최경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경창은 조선 선조 때의 문신으로, 1568년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쳤다. 1582년 종성 부사를 지냈으며, 1583년 방어사 종사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서울로 올라오던 중 사망했다. 기생 홍랑과의 시문 교류 일화로 유명하며, 시와 피리에 능했다. 조선 중기 팔문장계의 한 명으로, 저서로는 《고죽유고》가 있다.
1568년(선조 원년)에 문과에 급제했다.[1] 이후 여러 관직을 거쳐 1582년(선조 15년) 종성 부사를 거쳐 1583년 (선조 16년) 방어사의 종사관에 임명되어 서울로 올라오던 도중 죽었다.[1]
기생 출신의 첩 홍랑[5]과 시문을 교유한 일화[6]가 유명하다. 시를 잘 지었으며 피리도 잘 불었다. 어려서 영암 바닷가에 살 때 해적의 무리에게 포위되자 퉁소를 구슬프게 불었는데, 그 연주법이 너무 뛰어나 해적들은 신이 부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모두 흩어져 돌아갔다.[1]
2. 생애
2. 1. 관직 활동
1568년(선조 원년)에 문과에 급제했다.[1] 여러 관직을 거쳐 1582년(선조 15년) 종성 부사를 지냈다.[1] 1583년(선조 16년) 방어사의 종사관에 임명되어 서울로 올라오던 도중 사망했다.[1]
3. 일화
3. 1. 홍랑과의 관계
기생 출신의 첩 홍랑과의 시문 교유 일화가 유명하다.[5][6] 최경창은 시를 잘 지었으며 피리도 잘 불었다.
3. 2. 음악적 재능
최경창은 시뿐만 아니라 피리에도 능했다. 어렸을 때 영암 바닷가에서 해적들에게 포위된 적이 있었는데, 이때 퉁소를 구슬프게 불었다.[1] 해적들은 최경창의 뛰어난 연주를 듣고 신이 부는 것이라 생각하여 모두 흩어져 돌아갔다고 한다.[1]
4. 조선 중기 팔문장계
5. 저서
최경창의 저서로는 《고죽유고》가 있다. 또한, 한시 〈기성진상좌승〉이 전해진다.
6. 전기 자료
참조
[1]
서적
남계집 권12, 고죽시집 후서
[2]
서적
저촌유고 권45, 영의정 간재 최 공 묘표
[3]
서적
서하집 권12, 최경창의 고죽집 발문[崔孤竹集跋]
[4]
서적
서당사재 권9, 망처 해주 최씨 묘지명; 서계집 권14, 유인 해주 최씨 묘표
[5]
실록
선조실록 권10, 선조 9년(1576년) 5월 2일(갑오) 2번째 기사; 권13, 선조 12년(1579년) 6월 8일(임오) 2번째 기사
1576-05-02, 1579-06-08
[6]
서적
회은집 권5, 잡설, 사한(詞翰), 崔孤竹贈洪娘詩序曰萬曆癸酉秋。~ 後人何以知咸關舊時曲之有謂耶。聊記之
[7]
문서
전기자료의 형식이 전(傳)이나 묘도문자(묘지명, 묘표, 묘갈명 등)가 아니라 후서(後序)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