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동원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동원상은 대한민국 프로야구 투수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故 최동원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선정위원회는 프로야구 원로 8인으로 구성되며, 등판 경기 수, 승리 수, 투구 이닝, 탈삼진, 퀄리티 스타트, 평균자책점, 세이브 수 등을 기준으로 후보를 선정한다. 2018년부터는 35세이브 이상을 기록한 마무리 투수도 수상 자격을 얻게 되었다. 역대 수상자로는 양현종, 유희관, 린드블럼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O 리그 상 - KBO 골든글러브
KBO 골든글러브는 한국 프로야구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초기 수비율 기준으로 시상되다 '베스트 10'과 통합되며 타격 능력과 인지도를 고려하는 종합적인 상으로 변모하였고, 야구계 투표를 통해 포지션별 최고 선수를 선정하며 이승엽이 최다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KBO 리그 상 - KBO 홈런상
KBO 홈런상은 KBO 리그에서 한 시즌 최다 홈런을 기록한 타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김봉연이 초대 홈런왕을 차지했으며 이승엽의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 박병호의 4년 연속 홈런왕 등 리그를 대표하는 홈런 타자들이 수상했다.
최동원상 | |
---|---|
최동원상 | |
![]() | |
정보 | |
종목 | KBO 리그 |
주관 | 최동원기념사업회 |
후원 | BNK금융그룹 |
시상 | 매년 11월 말 |
선정 대상 | 해당 시즌 KBO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토종 선발 투수 (선발 15승 이상, 180이닝 이상, 평균 자책점 2.50 이하, 35경기 이상 구원 등 4개 항목 중 1개 이상 충족 시 수상 자격) |
시상 내용 | 트로피 및 상금 2,000만원 |
역대 수상자 | |
2011년 | 윤석민 |
2012년 | 장원삼 |
2013년 | 더스틴 니퍼트 |
2014년 | 양현종 |
2015년 | 유희관 |
2016년 | 장원준 |
2017년 | 양현종 |
2018년 | 조쉬 린드블럼 |
2019년 | 양현종 |
2020년 | 라울 알칸타라 |
2021년 | 아리엘 미란다 |
2022년 | 안우진 |
2023년 | 구창모 |
2. 역사
최동원을 기리기 위해 최동원 기념사업회에서 주도한 상이며, 미국의 사이 영 상, 일본의 사와무라 에이지상을 참고하여 에 제정되었다. 부산은행이 메인스폰서이며 최동원 상 수상자에게는 트로피와 함께 20억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KBO 주최의 상이 아니라 최동원 기념 사업회가 주최하고 있다.
최동원상은 해당 연도 KBO 리그에서 가장 활약한 투수를 표창한다. MLB의 사이 영 상이나 NPB의 사와무라 에이지 상을 참고하였으나, "해당 연도에 가장 많은 활약을 한 완투형 선발 투수"를 표창하는 사와무라 상과는 달리 "해당 연도에 가장 활약한 투수"를 표창한다. 따라서, 사와무라 상에서는 선정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해당자 없음의 시즌도 있지만, 최동원상에서는 매년 반드시 수상자를 결정한다.
2. 1. 선정 방식
최동원상 수상자는 프로 야구 원로 8명으로 구성된 선정위원회의 투표로 결정된다. 선정위원회는 1인 1표 투표를 하며, 최다 득표자가 수상자로 선정된다.[1] 수상과 관련하여 7가지 선정 기준이 있으며, 이 중 하나라도 충족하면 후보 자격이 주어진다.[2]제1회(2014년)부터 제4회(2017년)까지는 한국인 투수 육성을 위해 외국인 투수를 선정 대상에서 제외했으나, 제5회(2018년)부터 외국인 투수도 선정 대상에 포함되었다. 또한 제1회에서는 국제 대회에서의 성적도 고려했으나, 제2회부터는 시즌 성적만으로 수상자를 결정한다.[3] 위원회에 의한 선정 및 선정 기준의 존재 등, 일본의 사와무라 에이지 상을 참고하여 만들어진 부분이 많이 존재한다.[4]
3. 선정 기준
최동원 상 후보는 다음 7개 항목 중 1개 이상 충족하면 된다.[4][5][6][7]
2016년까지는 평균자책점 2.50 이하, 2017년까지는 등판 경기 수 30경기 이상, 승리 수 15승 이상, 세이브 수 40세이브 이상이라는 심사 기준이었지만, 2018년 이후에는 현재의 심사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3. 1. 선발 투수
- 평균자책점: 3.00 이하[4]
- 등판: '''25경기''' 이상[5]
- 승리: '''12승''' 이상
- 투구 이닝: '''180이닝''' 이상
- 탈삼진: '''150개''' 이상
- 퀄리티 스타트: '''15QS''' 이상
- 세이브: '''35세이브''' 이상
7가지 항목 중, 2016년까지는 "평균자책점 2.50 이하", 2017년까지는 "등판 경기 수 30경기 이상", "승리 수 15승 이상", "세이브 수 40세이브 이상"이라는 심사 기준이었지만, 2018년 이후에는 현재의 심사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3. 2. 마무리 투수
KBO영어에서 마무리 투수는 35세이브 이상을 기록하면 최동원상 수상 자격이 주어진다.[7] 2017년까지는 "40세이브 이상"이 심사 기준이었지만, 2018년부터 현재 기준으로 변경되었다.4. 선정위원
선정위원 | 설명 |
---|---|
어우홍 (위원장) | 전 롯데 자이언츠 감독 |
박영길 | 전 태평양 돌핀스 감독 |
강병철 | 전 롯데 자이언츠 감독 |
천일평 | OSEN 편집인 |
김인식 | 전 국가대표 감독 |
허구연 | MBC 해설위원 |
양상문 | 전 롯데 자이언츠 감독 |
차명석 | LG 트윈스 단장 |
5. 역대 수상자
다음은 역대 최동원 상 수상자 명단이다.
회별 | 연도 | 선수 | 팀명 | 경기 | 선발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이닝 | 탈삼진 | 볼넷 | 사구 | QS | 평균자책 |
---|---|---|---|---|---|---|---|---|---|---|---|---|---|---|---|---|---|---|
제1회 | 2014 | 양현종 | KIA | 29 | 29 | 0 | 0 | 16 | 8 | 0 | 0 | 0.667 | 171.1 | 165 | 77 | 4 | 17 | 4.25 |
제2회 | 2015 | 유희관 | 두산 | 30 | 30 | 1 | 1 | 18 | 5 | 0 | 0 | 0.783 | 189.2 | 126 | 44 | 4 | 17 | 3.94 |
제3회 | 2016 | 장원준 | 두산 | 27 | 27 | 0 | 0 | 15 | 6 | 0 | 0 | 0.714 | 168 | 137 | 76 | 9 | 19 | 3.32 |
제4회 | 2017 | 양현종 | KIA | 31 | 31 | 1 | 0 | 20 | 6 | 0 | 0 | 0.769 | 193.1 | 158 | 45 | 0 | 20 | 3.44 |
제5회 | 2018 | 린드블럼 | 두산 | 26 | 26 | 0 | 0 | 15 | 4 | 0 | 0 | 0.789 | 168.2 | 157 | 38 | 8 | 21 | 2.88 |
제6회 | 2019 | 린드블럼 | 두산 | 30 | 30 | 0 | 0 | 20 | 3 | 0 | 0 | 0.870 | 194.2 | 189 | 29 | 6 | 22 | 2.50 |
제7회 | 2020 | 알칸타라 | 두산 | 31 | 31 | 1 | 0 | 20 | 2 | 0 | 0 | 0.909 | 198.2 | 182 | 30 | 9 | 27 | 2.54 |
제8회 | 2021 | 미란다 | 두산 | 28 | 28 | 1 | 1 | 14 | 5 | 0 | 0 | 0.737 | 173.2 | 225 | 63 | 1 | 21 | 2.33 |
제9회 | 2022 | 김광현 | SSG | 28 | 28 | 0 | 0 | 13 | 3 | 0 | 0 | 0.813 | 173.1 | 153 | 45 | 5 | 19 | 2.13 |
제10회 | 2023 | 페디 | NC | 30 | 30 | 0 | 0 | 20 | 6 | 0 | 0 | 0.769 | 180.1 | 209 | 35 | 4 | 21 | 2.00 |
제11회 | 2024 | 카일 하트 | NC | 26 | 26 | 0 | 0 | 13 | 3 | 0 | 0 | 0.813 | 157 | 182 | 38 | 11 | 17 | 2.69 |
연도 | 투수 | 팀 | 이닝 | 승-패 | 세이브 | ERA | 탈삼진 | |
---|---|---|---|---|---|---|---|---|
2014 | 양현종 | KIA 타이거즈 | 171.1 | 16-8 | 0 | 4.25 | 165 | |
2015 | 유희관 | 두산 베어스 | 189.2 | 18-5 | 0 | 3.94 | 126 | |
2016 | 장원준 | 두산 베어스 | 168 | 15-6 | 0 | 3.32 | 137 | |
2017 | 양현종 | KIA 타이거즈 | 193.1 | 20-6 | 0 | 3.44 | 158 | |
2018 | 린드블럼 | 두산 베어스 | 168.2 | 15-4 | 0 | 2.88 | 157 | |
2019 | 린드블럼 | 두산 베어스 | 194.2 | 20-3 | 0 | 2.50 | 189 | |
2020 | 알칸타라 | 두산 베어스 | 198.2 | 20-2 | 0 | 2.54 | 182 | |
2021 | 미란다 | 두산 베어스 | 173.2 | 14-5 | 0 | 2.33 | 225 | [1] |
2022 | 김광현 | SSG 랜더스 | 173.1 | 13-3 | 0 | 2.13 | 153 | |
2023 | 페디 | NC 다이노스 | 180.1 | 20-6 | 0 | 2.00 | 209 | [2] |
2024 | 카일 하트 | NC 다이노스 | 157 | 13-3 | 0 | 2.69 | 182 | [3] |
참조
[1]
웹사이트
Bears' ace Miranda wins top S. Korean pitching prize
https://en.yna.co.kr[...]
2021-11-12
[2]
웹사이트
Dinos ace Fedde wins top S. Korean pitching award
https://en.yna.co.kr[...]
2023-10-16
[3]
웹사이트
Dinos ace Kyle Hart wins top S. Korean pitching award
https://m-en.yna.co.[...]
2024-11-05
[4]
문서
2017년부터 평균자책점 기준을 2.50이하에서 3.00이하로 변경
[5]
문서
2018년부터 선발등판수 기준을 30선발등판 이상에서 25선발등판 이상으로 변경
[6]
문서
2018년부터 승리 기준을 12승 이상에서 15승 이상으로 변경
[7]
문서
2018년부터 세이브 기준을 40세이브 이상에서 35세이브 이상으로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