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홈런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O 홈런상은 KBO 리그에서 한 시즌 동안 가장 많은 홈런을 기록한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이다. 1982년 김봉연을 시작으로 매년 홈런왕을 배출했으며, 이만수, 김성한, 장종훈, 이승엽, 박병호, 최정 등이 여러 번 수상했다. 특히 이승엽은 2003년 56홈런으로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박병호는 6회로 최다 홈런왕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2. 역대 KBO 리그 홈런왕
연도 이름 소속 홈런 비고 1982년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22 첫 홈런왕 1983년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27 1984년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23 홈런왕, 타격왕, 최다 타점 등 최초 타격 트리플크라운 달성 1985년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22 최초 공동 홈런왕 1985년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22 최초 공동 홈런왕 1986년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21 역대 최소 홈런 홈런왕 1987년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22 최초 2루수 홈런왕 1988년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30 최초 시즌 30홈런 돌파 1989년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26 1990년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28 최초 유격수 홈런왕 1991년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35 1992년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41 최초 시즌 40홈런 돌파 1993년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28 1994년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25 최초 좌타자 홈런왕 1995년 김상호 OB 베어스 25 최초 잠실구장 홈구장팀 홈런왕 1996년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30 최초 신인왕과 홈런왕 동시 석권 1997년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32 역대 최연소 홈런왕 1998년 우즈 OB 베어스 42 최초 외국인 선수 홈런왕 1999년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54 최초 시즌 50홈런 돌파 2000년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40 2001년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39 2002년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47 2003년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56 단일 시즌 최다 홈런 2004년 박경완 SK 와이번스 34 2005년 서튼 현대 유니콘스 35 2006년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26 홈런왕, 타격왕, 최다 타점 등 타격 트리플크라운 달성 2007년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31 역대 최소 타율 홈런왕 2008년 김태균 한화 이글스 31 2009년 김상현 KIA 타이거즈 36 최초 시즌 중 이적 선수 홈런왕 2010년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44 역대 5번째 40홈런 타자(외국인 선수 제외). 최초 타격 부문 7관왕 2011년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30 방출 선수 출신 최초 홈런왕. 우투좌타 최초. 2012년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31 2013년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37 2014년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52 2015년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53 4년 연속 홈런왕,최초 2년연속 50홈런 2016년 테임즈 NC 다이노스 40 역대 2번째 공동 홈런왕 2016년 최정 SK 와이번스 40 역대 2번째 공동 홈런왕 2017년 최정 SK 와이번스 46 2년 연속 홈런왕 2018년 김재환 두산 베어스 44 2019년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33 개인 통산 5번째 홈런왕 2020년 로하스 kt 위즈 47 한국프로야구 최초 스위치히터 홈런왕 2021년 최정 SSG 랜더스 35 2022년 박병호 kt 위즈 35 개인 통산 6번째 홈런왕(역대 최다 기록) 2023년 노시환 한화 이글스 31
2. 1. 연도별 홈런왕
wikitable
연도 | 이름 | 소속 | 홈런 | 비고 |
---|---|---|---|---|
1982년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22 | 첫 홈런왕 |
1983년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27 | |
1984년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23 | 홈런왕, 타격왕, 최다 타점 등 최초 타격 트리플크라운 달성 |
1985년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22 | 최초 공동 홈런왕 |
1985년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최초 공동 홈런왕 | |
1986년 | 김봉연 | 해태 타이거즈 | 21 | 역대 최소 홈런 홈런왕 |
1987년 | 김성래 | 삼성 라이온즈 | 22 | 최초 2루수 홈런왕 |
1988년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30 | 최초 시즌 30홈런 돌파 |
1989년 | 김성한 | 해태 타이거즈 | 26 | |
1990년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28 | 최초 유격수 홈런왕 |
1991년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35 | |
1992년 | 장종훈 | 빙그레 이글스 | 41 | 최초 시즌 40홈런 돌파 |
1993년 | 김성래 | 삼성 라이온즈 | 28 | |
1994년 | 김기태 | 쌍방울 레이더스 | 25 | 최초 좌타자 홈런왕 |
1995년 | 김상호 | OB 베어스 | 25 | 최초 잠실구장 홈구장팀 홈런왕 |
1996년 | 박재홍 | 현대 유니콘스 | 30 | 최초 신인왕과 홈런왕 동시 석권 |
1997년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32 | 역대 최연소 홈런왕 |
1998년 | 우즈 | OB 베어스 | 42 | 최초 외국인 선수 홈런왕 |
1999년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54 | 최초 시즌 50홈런 돌파 |
2000년 | 박경완 | 현대 유니콘스 | 40 | |
2001년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39 | |
2002년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47 | |
2003년 | 이승엽 | 삼성 라이온즈 | 56 | 단일 시즌 최다 홈런 |
2004년 | 박경완 | SK 와이번스 | 34 | |
2005년 | 서튼 | 현대 유니콘스 | 35 | |
2006년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26 | 홈런왕, 타격왕, 최다 타점 등 타격 트리플크라운 달성 |
2007년 | 심정수 | 삼성 라이온즈 | 31 | 역대 최소 타율 홈런왕 |
2008년 | 김태균 | 한화 이글스 | 31 | |
2009년 | 김상현 | KIA 타이거즈 | 36 | 최초 시즌 중 이적 선수 홈런왕 |
2010년 | 이대호 | 롯데 자이언츠 | 44 | 역대 5번째 40홈런 타자(외국인 선수 제외). 최초 타격 부문 7관왕 |
2011년 | 최형우 | 삼성 라이온즈 | 30 | 방출 선수 출신 최초 홈런왕. 우투좌타 최초. |
2012년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31 | |
2013년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37 | |
2014년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52 | |
2015년 | 박병호 | 넥센 히어로즈 | 53 | 4년 연속 홈런왕,최초 2년연속 50홈런 |
2016년 | 테임즈 | NC 다이노스 | 40 | 역대 2번째 공동 홈런왕 |
2016년 | 최정 | SK 와이번스 | 역대 2번째 공동 홈런왕 | |
2017년 | 최정 | SK 와이번스 | 46 | 2년 연속 홈런왕 |
2018년 | 김재환 | 두산 베어스 | 44 | |
2019년 | 박병호 | 키움 히어로즈 | 33 | 개인 통산 5번째 홈런왕 |
2020년 | 로하스 | kt 위즈 | 47 | 한국프로야구 최초 스위치히터 홈런왕 |
2021년 | 최정 | SSG 랜더스 | 35 | |
2022년 | 박병호 | kt 위즈 | 35 | 개인 통산 6번째 홈런왕(역대 최다 기록) |
2023년 | 노시환 | 한화 이글스 | 31 | |
2. 1. 1. 1980년대
1982년 한국프로야구에서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이 22개의 홈런으로 첫 홈런왕을 차지했다. 1983년부터 1985년까지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가 3년 연속 홈런왕을 차지했는데, 특히 1984년에는 홈런왕, 타격왕, 최다 타점을 기록하며 최초로 타격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했다. 1985년에는 이만수와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이 22개로 공동 홈런왕이 되었다. 1986년에는 김봉연이 21개로 역대 최소 홈런 홈런왕을 기록했다. 1987년에는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가 22개로 최초 2루수 홈런왕이 되었다. 1988년 김성한은 30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최초로 시즌 30홈런을 돌파했고, 1989년에도 26개로 홈런왕을 차지했다.2. 1. 2. 1990년대
1990년 장종훈(빙그레 이글스)은 28개의 홈런으로 최초 유격수 홈런왕에 올랐으며, 1991년 35개, 1992년에는 41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최초로 시즌 40홈런을 돌파했다. 1993년에는 김성래가 28개로 홈런왕을 차지했다. 1994년에는 김기태(쌍방울 레이더스)가 25개의 홈런으로 최초의 좌타자 홈런왕이 되었다. 1995년 김상호(OB 베어스)는 25개로 최초 잠실구장을 홈구장으로 쓰는 팀의 홈런왕이 되었다. 1996년 박재홍(현대 유니콘스)은 30개로 최초 신인왕과 홈런왕을 동시에 석권했다. 1997년 이승엽(삼성 라이온즈)은 32개로 역대 최연소 홈런왕에 올랐고, 1998년 우즈(OB 베어스)는 42개로 최초의 외국인 선수 홈런왕이 되었다. 1999년 이승엽은 54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최초로 시즌 50홈런을 돌파했다.2. 1. 3. 2000년대
2000년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은 40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홈런왕을 차지했다.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은 3년 연속 홈런왕을 차지했는데, 특히 2003년에는 56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경신했다. 이 기록은 현재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 2004년에는 박경완이 SK 와이번스 소속으로 34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홈런왕에 올랐다. 2006년에는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가 26개의 홈런으로 홈런왕을 차지했으며, 타격왕, 최다 타점 등 타격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2. 1. 4. 2010년대
2010년 이대호는 타격 7관왕을 달성하며 44홈런으로 홈런왕을 차지했다. 이는 역대 5번째 40홈런 기록(외국인 선수 제외)이었다. 2011년에는 최형우가 30홈런으로 홈런왕에 올랐는데, 방출 선수 출신이자 우투좌타 선수로는 최초의 기록이었다.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박병호는 4년 연속 홈런왕을 차지하며 압도적인 활약을 펼쳤다. 특히 2014년과 2015년에는 2년 연속 50홈런 이상을 기록하는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2016년에는 최정과 테임즈가 40홈런으로 공동 홈런왕이 되었다. 2017년 최정은 46홈런을 기록하며, 2년 연속 홈런왕을 차지하였다. 2018년에는 김재환이 44홈런으로 홈런 1위를 기록했다. 2019년에는 박병호 33홈런으로 개인 통산 5번째 홈런왕을 차지했다.2. 1. 5. 2020년대
2020년 KBO 리그에서 로하스(kt 위즈)는 47개의 홈런을 기록하며 한국프로야구 최초의 스위치히터 홈런왕이 되었다. 2021년 KBO 리그에서는 최정(SSG 랜더스)이 35개의 홈런으로 홈런왕을 차지했다. 2022년 KBO 리그에서는 박병호(kt 위즈)가 35개의 홈런으로 개인 통산 6번째 홈런왕(역대 최다 기록)을 달성했다. 2023년 KBO 리그에서는 노시환(한화 이글스)이 31개의 홈런으로 홈런왕을 차지했다.2. 2. 기록 및 통계
2. 2. 1. 최다 홈런왕
박병호가 통산 6회로 최다 홈런왕 수상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승엽은 5회로 그 뒤를 잇고 있다.2. 2. 2. 단일 시즌 최다 홈런
2003년에 이승엽이 56홈런을 기록하여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을 세웠다.2. 2. 3. 연속 시즌 홈런왕
박병호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4년 연속 KBO 홈런상을 차지했다.3. 기타
3. 1. 논란
3. 1. 1. 약물 복용 논란
김재환(두산 베어스)은 2018년 홈런왕을 차지하였으나, 과거 약물 복용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4.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