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영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영경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기축옥사로 인해 억울하게 죽음을 맞이하였으나 사후 신원되어 관작이 복구되었다. 서울에서 거주하며 조식을 스승으로 섬겼고, 선조 때 여러 차례 관직에 천거되었으나 사양하였다. 기축옥사 당시 정여립과 친분이 있다는 이유로 옥에 갇혀 사망하였으며, 이후 김성일의 노력으로 관작이 복구되고 대사헌으로 추증되었다. 저서로 《수우당실기》가 있으며, 드라마 징비록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순 최씨 - 호란
    호란은 연세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과 심리학을 전공하고 2004년 클래지콰이 멤버로 데뷔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으나, 음주운전 사고와 학교 폭력 관련 논란으로 사회적 물의를 빚었다.
  • 화순 최씨 - 최병렬 (정치인)
    최병렬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조선일보 기자 출신으로 제12대 국회의원을 시작으로 정계에 입문하여 노태우 정부와 김영삼 정부에서 주요 직책을 역임하고 한나라당 대표 최고위원을 지냈으나,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안 가결 후 정계를 은퇴, 2022년 별세했다.
  • 기축옥사 관련자 - 정여립
    정여립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동인으로 전향하여 이이를 비판하다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 후 대동계를 결성했으나 반란 혐의로 자결했으며, 기축옥사로 동서인 갈등을 심화시킨 인물이다.
  • 기축옥사 관련자 - 이산해
    이산해는 조선 중기 문신이자 정치가로, 뛰어난 문장과 서화 실력으로 이름을 알렸으며 동인으로 활동, 서인과의 당쟁 속에서 북인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임진왜란 초기 정국 운영에 대한 비판과 함께 사후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이다.
  • 1529년 출생 - 야마가타 마사카게
    야마가타 마사카게는 센고쿠 시대 다케다 신겐의 측근이자 다케다 사천왕 중 한 명으로, 붉은 갑옷을 입은 정예 부대 아카조나에를 이끌고 용맹을 떨쳤으나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 1529년 출생 - 류조지 다카노부
    류조지 다카노부는 센고쿠 시대 히젠국의 슈고 다이묘로, 몰락했던 류조지 가문을 재흥시키고 히젠 대부분을 정복했으나,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시마즈 씨에게 패배하여 전사했다.
최영경
기본 정보
최영경의 초상
최영경의 초상
본관삭녕(朔寧)
효원(孝元)
수우당(守愚堂)
출생1529년
사망1590년 (향년 61세)
생애 및 활동
주요 활동조선의 성리학자, 교육자, 의병장
시대조선 선조 시대
관직사헌부 장령, 사간원 사간
주요 사건정여립 모반 사건 연루
학문성리학
가족 관계
아버지최자해(崔自海)
어머니안동 권씨
배우자안동 김씨
아들최동망(崔東望)
최서망(崔西望)
최남망(崔南望)
사후
추증이조판서 추증
기타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는 설도 있음

2. 생애

최영경은 초기 생애와 관직 생활, 기축옥사로 인한 죽음, 사후 복권이라는 큰 흐름으로 생애를 요약할 수 있다.

최영경은 서울에서 가난하게 살았으나 성혼조식의 인정을 받아 널리 알려졌다. 선조의 부름에도 여러 차례 관직을 사양했다.

기축옥사정여립과의 친분으로 인해 모함을 받아 옥사하였다. 당시 서인의 영수였던 정철성혼이 이 사건에 연루되었다는 의심을 받았다.

사후 김성일의 노력으로 복권되었고, 대사헌으로 추증되었다. 동생 최여경도 관직을 받았다.[11]

2. 1. 초기 생애

서울에 거주하였고, 부모의 장례로 가산을 사용하여 가난하게 살던 중 마을에 비범한 사람이 있다는 소문을 들은 안민학이 성혼에게 소개하여 널리 알려졌다. 후에 진주에 있으면서 조식을 스승으로 섬겼다.[2][3]

선조 6년, 선조가 선비의 추천을 명하였을 때 이지함, 정인홍 등과 함께 천거되었다. 선조는 이들에게 6품직을 제수하였으나, 이지함과 최영경은 받아들이지 않았다.[4] 선조 14년과 16년에는 지평으로 제수되었으나 거절하였다.[2][5]

2. 2. 관직 생활과 사양

서울에 거주하였고, 부모의 장례로 가산을 사용하여 가난하게 살던 중, 마을에 비범한 사람이 있다는 소문을 들은 안민학이 성혼에게 소개하여 널리 알려졌다. 후에 진주에 있으면서 조식을 스승으로 섬겼다.[2][3]

1573년(선조 6년), 선조가 선비 추천을 명하였을 때 이지함, 정인홍 등과 함께 천거되었다. 선조는 이들에게 6품직을 제수하였으나, 이지함과 최영경은 받아들이지 않았다.[4] 1581년(선조 14년) 지평으로 제수되었으나 거절하였고,[2] 1583년(선조 16년)에도 받아들이지 않았다.[5]

2. 3. 기축옥사

기축옥사정여립과 친분이 있는 관리로 지목되었다.[6] 길삼봉(吉三峯)을 모주했다는 무고로 심문을 받았으나 증거가 없어 풀려났다. 그러나 이튿날 간원의 상소로 다시 옥에 갇혔고, 갇혀 있는 동안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2] 동인들은 당시 서인의 영수였던 정철이 죄를 씌운 것으로 의심하였고, 후에는 성혼에게 그 책임을 돌렸다.[7]

2. 4. 사후 복권과 추증

기축옥사정여립과 친하다는 이유로 관작이 삭탈되었다.[8] 1591년(선조 24년) 김성일이 부제학으로 임명된 후 끈질기게 요구하여 복권되었다.[9] 1594년(선조 27년)에는 대사헌으로 추증되었으며,[10] 1602년(선조 35년) 이조의 요청으로 최영경의 동생 최여경에게 관직이 내려졌다.[11]

3. 관련 작품

3. 1. 드라마

2015년 KBS 드라마 징비록에서 배우 윤덕용이 최영경 역을 연기했다.

4. 저서


  • 수우당실기

5. 전기 자료


  • 정인홍의 《내암집》 권12 '수우당 최 공 행장' 및 권13 '수우당 최 공 묘갈명'[1]
  • 이현일의 《갈암집》 권28 '수우당 선생 최 공 행장'[2]

참조

[1] 백과사전 최영경 https://terms.naver.[...]
[2] 서적 갈암집
[3] 서적 내암집
[4] 역사기록 선조실록 1573-06-03
[5] 역사기록 선조실록 1583-01-02
[6] 역사기록 선조실록 1589-11-03
[7] 역사기록 선조수정실록 1597-04-01
[8] 역사기록 선조실록 1590-05-02
[9] 서적 한강집·속집
[10] 역사기록 선조실록 1594-05-23
[11] 역사기록 선조실록 1602-02-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