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영철 (1935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영철은 1935년 목포시 출생으로, 한국일보, 민국일보, 동아일보 기자, 동아일보 정치부 부장을 거쳐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당선되어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할 때까지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노태우 정부에서 대한민국 체신부 장관, 대한민국 노동부 장관, 대통령 비서실 정치담당 특별보좌관, 부총리대한민국 통일원 장관을 역임했다. 이후 통일번영연구원 회장, 서경대학교 석좌교수, 제8대 서경대학교 총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통일원 장관 - 나웅배
    나웅배는 롯데제과, 해태제과, 한국타이어 사장 등을 지낸 기업인 출신으로, 제11대부터 14대 국회의원과 경제기획원 장관, 통일원 장관, 재정경제원 장관 등을 역임한 경제학자이자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통일원 장관 - 김덕
    김덕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와 김영삼 정부의 국가안전기획부 부장 및 통일원 장관을 지낸 대한민국의 학자이자 정치인으로, 제15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목포유달초등학교 동문 - 한화갑
    한화갑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소속으로 제14대부터 제17대까지 4선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목포유달초등학교 동문 - 조운 (시인)
    조운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활동한 시인으로, 민족주의적 시조를 짓고 시조 부흥 운동에 참여했으며, 월북 후 잊혀졌다가 해금 조치 이후 재평가되었다.
최영철 (1935년)
기본 정보
이름최영철
원어명최영철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35년 12월 19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목포
본관초계(草溪)
학력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신문대학원
정치 경력
정당무소속
의원 선수2
경력민주공화당 상임위원
민주정의당 상임고문
제17대 대한민국 통일원 장관
자유민주연합 전임고문
서경대학교 초빙교수
웹사이트
웹사이트헌정회
행정통계 인물

2. 생애

崔永喆|최영철중국어1935년 일제강점기 전라남도 목포에서 태어났다.[3] 목포유달공립국민학교(현 목포유달초등학교), 목포중학교(현재 폐교), 목포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컬럼비아 대학교 신문대학원을 졸업했다.[1] 이후 언론인, 정치인, 대학교수, 대학 총장 등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2. 1. 언론인 시절 (1958년 ~ 1971년)

최영철은 한국일보, 민국일보, 동아일보에서 기자로 활동했다. 구체적인 기간은 다음과 같다.

신문사기간
한국일보1958년 ~ 1959년
민국일보1959년 ~ 1962년
동아일보1962년 ~ 1971년



1968년부터 1971년까지 동아일보 정치부 부장을 역임했으며, 1971년에 동아일보를 퇴임했다.[1]

2. 2. 정치 입문과 국회의원 시절 (1971년 ~ 1988년)

1971년 이병희 정무담당 무임소 장관 정무조정실 실장을 지냈다.[1] 1973년 제9대 총선에서 통일주체국민회의 소속으로 당선되어 유신정우회 소속 국회의원이 되었다.[1][3]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 낙선할 때까지 총 4선 국회의원을 지냈다.[1]

연도직책
1973년~1979년제9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1]
1973년유신정우회 정책위원 겸 상공위원장[1]
1979년~1980년제10대 국회의원(민주공화당무소속)[1]
1981년민주정의당 원내부총무, 대변인[1]
1981년~1985년제11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1]
1981년~1985년국회 보사위원회 위원장[1]
1983년민주정의당 정책위원회 부의장[1]
1985년민주정의당 전당대회 부의장[1]
1985년~1988년제12대 국회의원(민주정의당)[1]
1985년국회부의장[1]



1987년 직선제 개헌을 위한 여야 8인 정치 회담에서, 최영철은 대통령 임기 문제에 대해 단임제를 5년 중임제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지만, 다른 참가자 전원에게 거부당했다.[3]

2. 3. 정부 요직 역임 (1988년 ~ 1993년)

1988년 대한민국 체신부 장관을 역임하였다.[1][3] 1989년 대한민국 노동부 장관을 역임하였다.[1][3] 1990년부터 1992년까지 대통령 비서실 정치담당 특별보좌관을 역임하였다.[1] 1992년부터 1993년까지 부총리대한민국 통일원 장관을 역임하였다.[1][3]

2. 4. 정계 은퇴 이후 (1993년 ~ 현재)

1994년 통일번영연구원 회장을 역임하였다.[3] 2001년 서경대학교 북한학과 석좌교수로 임용되었고, 2008년 1월부터 2020년까지 제8~11대 서경대학교 총장을 역임하였다.[3] 2020년 9월부터 2023년 9월까지 학교법인 서경대학원 이사를 맡았다.

김대중햇볕정책에 대해서는, 6·15 남북 공동선언에 북한의 핵 문제 등 대량살상무기 해결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점을 들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3] 노무현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3]

3. 학력

4. 역대 선거 결과

연도선거명대수직책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1973년총선9대국회의원유신정우회지명당선초선
1978년총선10대국회의원민주공화당66,730표38.77%1위당선재선
1981년총선11대국회의원민주정의당60,280표33.61%1위당선3선
1985년총선12대국회의원민주정의당75,877표37.24%1위당선4선
1988년총선13대국회의원민주정의당14,568표13.98%2위낙선


5. 평가

최영철은 목포시 출신으로,[3] 한국일보동아일보에서 기자와 정치부장을 역임하고, 정무조정실장을 지냈다.[1] 1973년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제9대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후 4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주정의당 전라남도 지부장, 체신부 장관, 노동부 장관, 대통령 정치담당 특별보좌역, 노태우 정권의 부총리 겸 통일원 장관을 역임했다.[1][3]

5. 1. 부정적 평가

1987년 직선제 개헌을 위한 여야 8인 정치 회담에서 최영철은 대통령 임기를 5년 중임제로 변경할 것을 제안했지만, 다른 참가자 전원에게 거부당했다.[3] 또한 북한을 협상 상대로 믿어서는 안 된다고 여겼으며, 2009년 인터뷰에서 김대중, 노무현의 대북 정책을 비판했다. 특히 6·15 남북 공동선언에 북한의 핵 문제 등 대량살상무기 해결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점을 들어 햇볕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3]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8-25
[2] 웹사이트 의회정치 60년, 선량들이 낳은 진기록|신동아 https://shindonga.do[...] 2008-08-04
[3] 웹사이트 만나고 싶었습니다 최영철 서경대 총장·前국회부의장 https://www.seoul.co[...] 서울신문 2009-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