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형우 (정치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형우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출신의 정치인이다. 부산공업고등학교, 동국대학교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했다. 4·19 혁명과 6·3 사태 당시 6·3 청년 민주 수호 투쟁위원회 사무총장을 지냈으며,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당선되어 5선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노태우 정부에서 정무장관, 김영삼 정부에서 내무부 장관을 지냈다. 만년에는 병환으로 거동이 불편했으나 김영삼의 장례식에 참석했으며, 4·19 유공자로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 - 김명성 (1946년)
    김명성(1946년)은 부산 출신의 야구 선수, 코치, 감독으로, 선수 시절 투수로 활동하며 1970년 실업 야구 리그 다승왕을 차지했으며, 롯데 자이언츠 감독 대행과 삼성 라이온즈 감독을 역임하다 2001년 급성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 구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동문 - 이재우 (1945년)
  • 대한민국의 정무제1장관 - 김윤환 (1932년)
    김윤환은 대한민국의 언론인, 정치인으로 5선 국회의원, 대통령비서실장, 정무장관을 역임하며 정권 창출에 기여하여 "킹 메이커"라는 별명을 얻었으나, 민주국민당 대표최고위원을 지내기도 했으며 신장암으로 사망했다.
  • 대한민국의 정무제1장관 - 김덕룡
    김덕룡은 서울대학교 총학생회장 출신 5선 국회의원으로, 학생운동과 민주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김영삼 정부에서 정무제1장관을 역임하고 여러 정당에서 활동하며 한국 정치사의 주요 국면과 연결된 정치인이다.
  • 울주군 출신 - 오영수 (소설가)
    오영수는 1949년 등단하여 향토적이고 서정적인 단편소설을 주로 발표하며 소박한 문체와 따뜻한 인간애를 바탕으로 작품 세계를 구축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다.
  • 울주군 출신 - 정인섭
    일제강점기 시인이자 영문학자, 평론가인 정인섭은 해외문학파 형성, 신극 운동, 민속학 연구에 기여했으나, 친일 활동으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등재되었고, 해방 후에는 시 번역에 힘쓰며 번역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상반된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최형우 (정치인)
기본 정보
이름최형우
출생일1935년 10월 15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경상남도 울산군 서생면
국적대한민국
종교천주교(세례명: 요한)
본관경주
정치 경력
정당무소속
지역구경남 울산시·울주군(8)
경남 울산시·울주군·동래군(9)
경남 울산시·울주군(10)
부산 동래구 을(13·14)
부산 연제구(15)
의원 선수6
의원 대수8·9·10·13·14·15
주요 경력
경력신민당 총재비서관
민주화추진협의회 간사장
통일민주당 부총재
통일민주당 원내총무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제13대 정무제1장관
민주자유당 사무총장
제58대 내무부 장관
신한국당 상임고문
제8·9·10·13·14·15대 국회의원
학력
학력동국대학교 정치학 학사
가족 관계
기타 정보
웹사이트대한민국헌정회

2. 생애

최형우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서생면에서 태어났다.[3] 부산공업고등학교,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했다. 4·19 혁명6·3 사태 당시 6·3 청년 민주 수호 투쟁위원회 사무총장을 지냈다.[1]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으로 당선된 이후 5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민추협 간사장을 역임했다.[1]

노태우 정부에서 정무장관을, 김영삼 정부에서 내무부 장관(제58대, 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을 역임했다.[2][4] 내무부 장관 재임 중 경기도 분할 시도는 실패했지만, 119 구조 구급대 탄생, 순직 소방관의 국립묘지 안장 관련 법 제정, 직할시울산광역시광역시 승격 관련 작업, "디지털 민주주의" 추진 등의 공적을 남겼다.[2]

만년에는 병으로 거동이 불편했으나, 2015년 김영삼 사망 당시 장례식장에 가서 통곡했다. 2023년 4월, 국가보훈부에 의해 4·19 유공자로 인정받았다.[2]

2. 1. 초기 생애 및 학창 시절

崔炯佑|최형우일본어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서생면에서 태어났다.[3] 1951년 부산공립원예중학교를 졸업하고, 1954년 부산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1958년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했다.[1] 4·19 혁명6·3 사태 당시 6·3 청년 민주 수호 투쟁위원회 사무총장을 지냈다.[1]

2. 2. 민주화 운동 참여

4·19 혁명6·3 사태 당시 6·3 청년 민주 수호 투쟁위원회 사무총장을 지냈다.[1] 민추협 간사장을 역임했다.[1]

김영삼 정부 초반 민주자유당 사무총장을 지냈으나, 차남의 대학 입시 문제 보도로 사임했다. 이후 강원특별자치도 신흥사 등 사찰과 중국에서 수개월을 보낸 후 김영삼 정부 내무부 장관에 취임했다.[2]

2023년 4월, 국가보훈부에 의해 4·19 유공자로 인정받았다.[2]

2. 3. 정치 활동

최형우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울주군 서생면에서 태어났다.[3] 부산공업고등학교, 동국대학교 법정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국제정치학을 전공했다. 4·19 혁명과 6·3 사태 당시 6·3 청년 민주 수호 투쟁위원회 사무총장을 지냈다.[1]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으로 당선된 이후 5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민추협 간사장을 역임했다.[1]

최형우 국회의원 선거 기록
선거명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선여부비고
제8대 총선8대국회의원경남 울산시·울주군신민당47,046표47.80%1위당선초선
제9대 총선9대국회의원울산시·울주군·동래군신민당50,395표37.27%2위당선재선
제10대 총선10대국회의원경남 울산시·울주군신민당62,237표30.88%2위당선3선
제12대 총선12대국회의원경남 울산시·울주군신한민주당73,360표22.61%3위낙선낙선
제13대 총선13대국회의원경남 동래구 을통일민주당76,174표59.25%1위당선4선
제14대 총선14대국회의원경남 동래구 을민주자유당65,708표55.04%1위당선5선
제15대 총선15대국회의원부산 연제구신한국당61,964표60.76%1위당선6선



노태우 정부에서 정무장관을, 김영삼 정부에서 내무부 장관(제58대, 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을 역임했다.[2][4] 김영삼 정부 초반에는 여당인 민주자유당 사무총장을 지냈으나, 차남의 대학 입시 문제 보도로 사임했다. 이후 강원특별자치도 신흥사 등 사찰과 중국에서 수개월을 보낸 후 김영삼 정부의 내무부 장관에 취임했다. 내무부 장관 재임 중 경기도 분할 시도는 실패했지만, 119 구조 구급대 탄생, 순직 소방관의 국립묘지 안장 관련 법 제정, 직할시울산광역시광역시 승격 관련 작업, "디지털 민주주의" 추진 등의 공적을 남겼다.[2]

만년에는 병으로 거동이 불편했으나, 2015년 김영삼 사망 당시 장례식장에 가서 통곡했다. 2023년 4월, 국가보훈부에 의해 4·19 유공자로 인정받았다.[2]

2. 4. 정부 관료 활동

노태우 정부에서 정무장관을, 김영삼 정부에서 내무부 장관(제58대, 1993년 12월 22일~1994년 12월 23일)을 역임했다.[2][4] 김영삼 정부 초반에는 여당인 민주자유당 사무총장을 지냈으나, 차남의 대학 입시 문제 보도로 사임했다. 이후 강원특별자치도 신흥사 등 사찰과 중국에서 수개월을 보낸 후 김영삼 정부의 내무부 장관에 취임했다. 내무부 장관 재임 중 경기도 분할 시도는 실패했지만, 119 구조 구급대 탄생, 순직 소방관의 국립묘지 안장 관련 법 제정, 직할시울산광역시광역시 승격 작업, "디지털 민주주의" 추진 등의 공적을 남겼다.[2]

2. 5. 말년

말년에는 병으로 거동이 불편했으나, 2015년 김영삼 사망 당시 장례식장에 가서 통곡했다.[2] 2023년 4월, 국가보훈부에 의해 4·19 유공자로 인정받았다.[2]

3. 학력

3. 1. 명예 박사 학위

1993년 동국대학교에서 명예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4. 가족 관계

최형우는 3남 중 차남이며, 배우자는 원영일이고 슬하에 2남을 두고 있다. 아들 또한 정당에서 활동했으며, 자유한국당 중앙위원회 건설분과 부위원장을 역임한 적이 있다.[5]

5.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대수직책선거구정당득표수득표율순위당락비고
8대 총선8대국회의원경남 울산시·울주군신민당47,046표47.80%1위당선초선
9대 총선9대국회의원울산시·울주군·동래군신민당50,395표37.27%2위당선재선
10대 총선10대국회의원경남 울산시·울주군신민당62,237표30.88%2위당선3선
12대 총선12대국회의원경남 울산시·울주군신한민주당73,360표22.61%3위낙선
13대 총선13대국회의원경남 동래구 을통일민주당76,174표59.25%1위당선4선
14대 총선14대국회의원경남 동래구 을민주자유당65,708표55.04%1위당선5선
15대 총선15대국회의원부산 연제구신한국당61,964표60.76%1위당선6선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rokps.or.kr/[...] 2022-06-07
[2] 웹사이트 문민정부 탄생 주역 최형우 전 장관, 60년만에 4.19유공자 포상 http://kor.theasian.[...] 2023-09-24
[3] 웹사이트 최형우 전 장관 고향서 설 보내 https://www.ksilbo.c[...] 2023-09-24
[4] 웹사이트 장·차관 소개> 역대장관 https://www.mois.go.[...] 2022-06-21
[5] 웹사이트 최형우·박관용 아들 공천 탈락 https://www.joongang[...] 2023-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