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 (한국 음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식 치킨은 15세기 문헌에 기록된 닭고기 조리법에서 유래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미국식 프라이드 치킨이 유입된 후 1960년대 전기구이 통닭 판매를 통해 현대적인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1970년대 식용유 보급과 림스치킨의 등장으로 닭튀김이 대중화되었고, 1980년대 양념치킨이 개발되면서 치킨 산업이 성장했다. 1990년대 다양한 프랜차이즈가 생겨났으며, 2002년 월드컵 이후 치킨 메뉴가 다양해지고 '치맥' 문화가 확산되었다. 현재는 배달 음식과 외식 메뉴로 인기가 높으며, '치맥', '치느님' 등 관련 신조어가 널리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닭고기 요리 - 양념치킨
양념치킨은 튀긴 닭고기에 물엿, 고추장, 케첩 등을 넣어 만든 소스를 발라 조리하는 한국식 치킨 요리이며, 튀김옷이 눅눅해지기 쉽고 높은 열량을 가진다는 특징이 있다. - 대한민국의 닭고기 요리 - 불닭
불닭은 2004년 대한민국에서 매운맛으로 인기를 얻은 닭고기 요리이며, 상표권 분쟁 후 일반 명사로 인정받았고, 현재는 불닭볶음면 등 파생 상품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 닭고기 요리 - 슈니첼
슈니첼은 얇게 펴서 빵가루를 입혀 튀긴 고기 요리로, 오스트리아 빈 요리의 대표 음식이며, 비너 슈니첼이 대표적이고, 돼지고기, 닭고기 등 다양한 고기를 사용한 변형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돈가스와 유사한 형태로 즐겨 먹는다. - 닭고기 요리 - 코르동 블뢰
코르동 블뢰는 햄과 치즈를 속으로 채워 빵가루를 입혀 튀기거나 구운 커틀릿 요리로, "푸른 리본"이라는 프랑스어에서 유래했으며 "솜씨 좋은 요리사"를 뜻하는 관용적 표현으로도 쓰인다. - 닭튀김 - 롯데리아
롯데리아는 1972년 신격호가 일본에서 설립한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매장망을 구축하고 새우버거와 김치버거 등 다양한 메뉴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2023년 젠쇼홀딩스에 매각되었다. - 닭튀김 - 프라이드 치킨
프라이드 치킨은 스코틀랜드와 서아프리카 요리의 영향을 받아 미국 남부에서 발전한 닭고기 튀김 요리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가정부들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패스트푸드 산업 발전과 함께 전 세계로 확산되어 다양한 스타일과 변형 요리가 존재한다.
치킨 (한국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 |
---|---|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 | |
![]() | |
종류 | 닭튀김 |
주재료 | 닭고기, 튀김옷, 식용유 |
나라 | 대한민국 |
명칭 | |
한국어 | 치킨 |
로마자 표기 | chikin |
다른 이름 | 닭튀김, 프라이드 치킨 |
2. 역사
한국식 닭튀김의 역사는 15세기 전순의가 편찬한 《산가요록》에 소개된 '포계(炮鷄)'에서 시작된다.[38] 포계는 닭고기를 기름에 조리한 음식으로, 한국식 닭튀김의 원조로 추정된다.[40][41] 6.25 전쟁 이후 미군을 통해 미국식 닭튀김(프라이드 치킨)이 유입되었다. 1960년대 서울 명동 영양 센터에서 미국식 프라이드 치킨을 모방한 통닭튀김을 팔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현대적인 닭 튀김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다.[42][43]
2000년대에는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치킨 산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58] 이전까지 1만여 개였던 점포 수가 단기간에 2만 5000여 개로 증가했다. 아울러 파닭, 불닭, 간장치킨, 마늘치킨, 닭강정 등 다양한 메뉴가 개발됐다. 또한, 남북교류가 이루어지면서 북한 지역에도 남한식 닭튀김이 보급되었다.
2013년까지 한국에는 2만 개가 넘는 닭튀김 식당이 있었고, 2017년에는 3만 6천 개에 달했다.[17][21] 한국에서 소비되는 닭고기의 거의 3분의 1이 튀겨지며, 스미소니언 매거진은 이를 "어디에나 있는 필수품"이라고 부른다.[22][19]
2. 1. 일제강점기와 닭튀김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외래종 닭을 도입했으나, 양계는 부업 수준에 머물렀다.[46] 1960년대 초 배합사료공장이 본격적으로 들어서고,[44][45] 1965년에 육계(肉鷄, broiler) 병아리를 수입하면서 양계의 전업화 및 규모화가 이루어졌다.[46]조선에는 튀김 요리가 있었으나 크게 발달하지 못했기에, 19세기 이후 포르투갈 요리에서 유래한 덴푸라 등 튀김 요리는 일본의 영향을 받았다.[49] 일제가 식용유 공장을 국내에 세웠으나,[50] 이는 일본 내수를 충당하기 위한 조치였을 뿐, 국내 식용유 공급은 충분하지 못했다.
2. 2. 1970년대 이후의 변화
1971년 동방유량(사조해표의 전신)에서 "해표 식용유"를 대량 생산하여 독점 체제로 공급하였다.[51][52] 이전에는 식용유 자급률이 낮아 수입에 의존하고, 재래식 소규모 공장 시설로는 식용 기름 공급에 한계가 있어 식용유 가격이 높았다. 1979년 제일제당이 '백설표' 식용유를 생산하여 경쟁 체제가 시작되자[53] 식용기름의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튀김 요리가 대중화되었다.[54]1977년에는 림스치킨이 신세계백화점 본점 지하에 설립되어 국내 최초로 닭을 조각내 튀겨 판매했다.[55] 1980년대에는 페리카나, 처갓집양념통닭 등에서 양념치킨을 판매하며 본격적으로 치킨산업이 성장했다. 1982년 프로야구 출범, 1986년 서울 아시안게임, 1988년 서울 올림픽 등으로 스포츠 붐이 일면서 치킨이 전기구이 통닭을 대체하며 대중적인 닭요리로 자리잡았다. TV에서는 유명 연예인들을 앞세운 광고도 시작되었다.[56]
교촌치킨(1991년)과 BBQ(1995년) 등 1990년대 이후 많은 브랜드들이 생겨나 치킨 프랜차이즈 사업이 시작되었다. 이들은 아이돌 가수들을 앞세운 스타 마케팅을 도입했다. 1997년 IMF 경제위기 이후 실업자들이 삼겹살과 더불어 치킨집 창업에 뛰어들었다.[57] 특별한 기술 없이 단기간 교육으로 본사 규범에 따라 메뉴를 제공하면 되었기에 창업이 쉬웠기 때문이다.
3. 종류
한국에서 치킨은 다양한 양념과 조리법으로 만들어진다. 초창기에는 후라이드 치킨과 양념치킨 두 종류가 기본이었으나, 점차 여러 업체들이 다양한 맛의 치킨 메뉴를 선보였다. 파, 간장, 치즈 등을 양념이나 부재료로 사용하거나, 외국의 탄두리 치킨이나 버팔로 윙을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하기도 한다.
1977년 림스치킨이 국내 최초로 닭을 조각내 튀겨 판매했고,[55] 1980년대 페리카나, 처갓집양념통닭 등에서 양념치킨을 판매하며 치킨 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했다. 교촌치킨(1991년), BBQ(1995년) 등 1990년대 이후 많은 브랜드들이 생겨났고,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파닭, 불닭, 간장치킨, 마늘치킨, 닭강정 등 다양한 메뉴가 개발되었다.
3. 1. 양념에 따른 분류
- '''후라이드 치킨'''(후라이드 치킨한국어) – 흔히 '후라이드'로 줄여 부르며, 기본적인 닭튀김이다.
- '''양념 치킨'''(양념 치킨한국어) – 고추장 기반의 달콤하고 매콤한 소스로 버무린 닭튀김이다.[1]
- '''반반''' – '양념 반, 후라이드 반'을 줄인 말로, 양념치킨과 후라이드 치킨을 절반씩 섞어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24]
- '''간장치킨''' – 간장 기반의 달콤 짭짤한 소스로 버무린 닭튀김으로, 마늘 향이 나는 경우가 많다.[25]
- '''파닭''' – 채 썬 대파를 듬뿍 얹거나 곁들인 닭튀김이다.[1][26]
- '''허니 치킨''' – 간장 양념을 기본으로 하지만 꿀을 넣어 달콤하고 끈적한 맛을 내는 닭튀김이다.[27]
3. 2. 조리 방식에 따른 분류
통닭은 토막 내지 않고 통째로 기름에 튀기는 반면, 치킨은 부위별로 (닭다리, 닭가슴, 목 등) 나누어 튀김옷을 입힌 뒤 기름에 튀겨 판매한다.[33] 통닭은 튀김옷을 입히지 않거나 입히더라도 아주 얇게 입히는 반면, 치킨은 두꺼운 튀김옷을 주로 사용한다. 닭을 통째로 튀기면 부위별로 익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조각내서 튀긴다.[33] 척추를 중심으로 반을 가르고 가슴과 다리 사이를 한 번 더 잘라 네 조각으로 나누면 지방이 적은 가슴 부위 두 조각, 비교적 지방 함량이 많고 색이 짙은 다리 부위 두 조각을 얻을 수 있다.- 통닭: 닭을 통째로 튀긴 형태이다. '옛날 통닭'이라고도 불린다.[1]
- 순살 치킨: 뼈를 제거하고 살코기만 튀긴 치킨이다.[1]
4. 생활 문화
치킨은 한국의 대표적인 배달 음식이며, 외식 메뉴로도 인기가 높다.[60][61][62][63] 직장인 회식 메뉴 1위는 삼겹살이지만,[59] 배달 음식으로는 치킨이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기점으로 '치맥'이라는 말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64] '치느님', '1인 1닭'과 같은 표현도 자주 쓰인다. '치느님'은 스포츠 경기 중계 전 주문한 치킨이 경기 종료 때까지 오지 않은 '치킨 파동'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66][67][68][69] 해외에서는 KFC를 'Korean Fried Chicken'으로 인식, 'K치킨'이라고도 부른다.
4. 1. 치맥 문화
'치맥'은 치킨과 맥주를 함께 즐기는 문화를 의미하며, 2002년 한일 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반화되었다.[64] 한류 열풍을 타고 해외에도 알려져 옥스포드 영어사전에도 등재되었다.[65]4. 2. 골목상권 침해 논란
2010년 12월, 대형 유통업체인 롯데마트는 '통큰치킨'을 마리당 5000원에 판매하기 시작했다.[70][71] 이 가격은 일반 치킨 전문점 판매가의 3분의 1 수준으로 매우 저렴했다.[72]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에 환영했지만,[73] 매장당 한정 판매로 인해 항의가 발생하기도 했다.[74] 그러나 영세 치킨 판매점들의 생존권을 위협한다는 비판 여론이 거세지면서, 더불어민주당 등 정치권에서도 골목상권 침해 문제를 지적했다. 결국 롯데마트는 판매 개시 일주일 만에 통큰치킨 판매를 중단했다.[75]2022년, 홈플러스가 '당당치킨'을 6990원에 판매하면서,[76] 12년 전과 유사한 논쟁이 다시 발생했다.[77][78]
4. 3. 수원 통닭 거리
수원 통닭 골목은 수원시 팔달구 남수동 팔달문로 인근 100m 길이의 거리에 조성되어 있다. 1970년부터 문을 연 원조 가게부터 신생 가게까지 10여 곳 정도의 가게가 있다.[79] 이곳은 큰 가마솥에 기름을 붓고 닭을 튀기는 전통 방식을 유지하고있다. 매향통닭, 진미통닭, 용성통닭, 남문통닭, 장안통닭 등이 이 골목의 터줏대감으로 불린다.[79] 초창기에는 좌판에 닭장을 놓고 손수 닭을 잡아 튀겼다고 한다.[79] 가격이 저렴하고 양이 푸짐하며 독특한 맛이 있다는 입소문 때문에 전국 각지에서 손님들이 찾아와 붐비는 편이다.[79]4. 4. 영화 '극한직업'
극한직업은 2019년 상반기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코미디 영화이다.[80] 영화의 주요 배경은 치킨집이다. 해체 위기에 처한 경찰 마약반이 국제 범죄조직의 활동 정황을 포착한 뒤 조직의 아지트 근처 치킨집에서 잠복 근무를 시작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러나 잠복근무는 곧 교착상태에 빠지고 적자에 시달리던 가게 주인은 폐업을 선언해버리고 만다. 부득불 가게를 인수하여 위장 창업을 하게 되고, 배달을 가장해 조직의 아지트를 수색하는 작전을 펼친다. 하지만, 엉뚱하게도 절대미각을 가진 마 형사의 뛰어난 요리 솜씨로 치킨 가게가 너무 바빠지기 시작하며 범인을 잡기 전에 닭 먼저 잡게 생겼다는 식으로 이야기가 코믹스럽게 진행된다.[81]영화는 개봉 15일만인 2019년 2월 6일, 관객 수가 1,000만 명을 넘어섰다.[82] 총 누적 관객수는 16,266,337명으로 역대 관객수 순위 2위, 역대 매출액 순위 1위를 기록했다. 또한, 2020년에 56회 대종상 영화제에서 남우조연상과 기획상을 받는 등 다수의 상을 받았다.
4. 5. KFC 종로점 폐쇄
1984년 문을 연 KFC 종로점은 한국 내 1호점이라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었으나, 2022년 1월 38년 만에 폐점하였다.[83] 이는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주변 상권이 크게 위축되고, 높은 임대료 부담과 노후화된 매장 유지 보수 비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음식평론가 이용재는 KFC가 한국식 치킨의 성장으로 인한 경쟁 심화로 고전한 결과라고 분석했다.[84]4. 6. 대구 치맥 페스티벌
대구 두류공원에서는 매년 7월경에 치맥 페스티벌이 개최된다. 대구는 멕시카나, 처갓집양념치킨 등 1980년대 치킨 프랜차이즈 1세대가 시작된 곳으로, 계육 산업이 크게 발달한 지역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치맥을 지역 특화 콘텐츠로 삼아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2013년부터 축제를 시작했다.[85]보통 5일 동안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며, 2016년에는 방문객이 100만 명을 넘었다. 2019년에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유망 축제로 선정하기도 했다.[85]
5. 홈치킨 튀기기
집에서 닭튀김을 만들 때는 적절한 닭고기 품종(육계)과 재료를 선택하고, 올바른 조리법을 따라야 한다.
튀김용 닭고기는 조리법에 따라 품종과 사육 개월 수가 다르므로, 반드시 '튀김용 닭고기(육계)'를 구입해야 한다.[86] 튀김용 닭은 성장 속도가 빠르고 육질이 연한 육계를 사용하며, 한국에서는 주로 약 30일 정도 사육한 육계를 사용한다.
필요한 재료와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
재료 | 분량 |
---|---|
닭고기 1마리 | 700g |
우유 | 2컵(400ml) |
식용유 | 5컵(1000ml) |
소금 | 2g |
후추 | 1g |
청주 | 1큰술(15ml) |
다진 마늘 | 10g |
튀김가루 | 50g |
감자전분 | 50g |
마른 찹쌀가루 (반죽용) | 30g |
베이킹파우더 | 2g |
마늘가루 | 15g |
물 | 1컵(200ml) |
마른 오레가노 | 약간 |
마른 찹쌀가루 | 50g |
시중에서 닭 튀김 전용 튀김가루를 구입하거나, 박력소맥분을 사용해도 된다.[94]
'''조리법'''
# 닭은 적당한 크기로 토막 내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우유에 담가 냄새를 제거한다.[95]
# 닭을 흐르는 물에 헹궈 체에 밭쳐 물기를 뺀 후, 밑간 재료(소금, 후추, 청주, 다진 마늘)를 넣고 골고루 버무려 1시간 동안 재운다.
# 닭에 찹쌀가루를 골고루 묻힌다.
# 반죽 재료(튀김가루, 감자전분, 찹쌀가루, 베이킹파우더, 마늘가루, 물, 오레가노)를 섞은 후 닭을 넣고 튀김옷을 입힌다.
# 냄비에 식용유를 넣고 170℃ 온도로 끓여 닭을 10분간 튀긴 후 건진다.
# 식용유 온도를 180℃로 올려 다시 닭을 넣고 노릇하고 바삭하게 튀긴 후 체에 밭쳐 기름기를 뺀다.
초벌 튀김은 닭고기를 속까지 익히는 것이 목적이고, 약 160℃에서 10분 정도 튀긴 후 닭을 건져내 식히면서 기름이 빠져나오도록 해야 한다. 재벌 튀김은 초벌보다 높은 온도에서 튀겨 튀김옷을 바삭하게 만들기 위함이며,[97] 180℃ 이상에서 짧게 튀겨야 느끼함이 덜하다. 반죽이나 튀김옷에 설탕을 넣으면 검게 타 버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온도계가 없을 경우, 반죽을 기름에 떨어뜨렸을 때 바로 떠오르면 튀기기에 적당한 온도(약 170℃)이다.
5. 1. 닭고기 선택
닭고기는 조리법에 따라 품종과 사육 개월 수가 다르므로 반드시 '튀김용 닭고기(육계, broiler)'를 구입해야 한다.[86] 백숙용, 삼계탕용, 프라이드 치킨용 닭은 모두 다르다.[87][88] 프라이드용 닭의 품종은 육계(肉鷄, broiler)로, 1, 2차 세계 대전 이후 동물성 단백질을 빠르게 공급해야 할 필요를 느낀 미국 등에서 품종 개량을 통해 만들어졌다. '팝콘치킨'이라는 별명을 가진 육계는 성장 속도가 빠르고 비육률이 뛰어나며,[89] 특히 서양인들이 좋아하는 닭가슴살이 풍성하고 육질이 연한 것이 특징이다. 프라이드 치킨을 위해 토종닭이나 시중에서 파는 산란계,[90] 폐닭, 오골계 등을 사용하면 육질이 지나치게 질겨진다.[91]한국에서는 주로 약 30일 정도 사육한 육계를 프라이드용으로 사용한다.[92] 이 닭들은 전량 수입된 외래 종계를 통해 태어난다. 한국의 사육 환경과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에 맞는 육계 품종으로, 약 30~45일 정도 사육 후 출하한 닭을 사용해야 '겉바속촉'의 한국식 프라이드 치킨을 제대로 맛볼 수 있다. 육계를 튀기거나 구우면 쫄깃한 육질이 더해지지만, 토종닭이나 백세미, 산란계를 튀기면 너무 질겨서 먹을 수 없다.[90] 반대로 육계로 백숙을 하면 살이 지나치게 흐물흐물해져 쫄깃한 식감을 즐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고기 맛도 없고 국물 맛도 토종닭보다 못하다.[93]
미국 등에서는 육계를 2개월 정도 사육한 후 출하하므로 프라이드로 튀길 때 한국산 육계와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산 토종닭은 주로 백숙용으로 육질이 질기고 사육 기간은 보통 70~90일이므로 프라이드 튀김닭으로는 부적합하다.
5. 2. 재료 및 조리법
재료 | 분량 |
---|---|
닭고기 1마리 | 700g |
우유 | 2컵(400ml) |
식용유 | 5컵(1000ml) |
소금 | 2g |
후추 | 1g |
청주 | 1큰술(15ml) |
다진 마늘 | 10g |
튀김가루 | 50g |
감자전분 | 50g |
마른 찹쌀가루 (반죽용) | 30g |
베이킹파우더 | 2g |
마늘가루 | 15g |
물 | 1컵(200ml) |
마른 오레가노 | 약간 |
마른 찹쌀가루 | 50g |
시중 대형 슈퍼마켓이나 온라인 마켓에서 닭 튀김 전용 튀김가루를 판매하므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튀김 가루 구입이 불가능할 때는 시중에 판매하는 밀가루 중에 박력소맥분(薄力小麥粉)을 사용해도 무방하다.[94]
조리법은 다음과 같다.
# 닭은 적당한 크기로 토막 낸다. 흐르는 물에 씻은 후 우유에 담가 냄새를 제거한다.[95]
# 닭은 흐르는 물에 헹군 후 체에 밭쳐 물기를 뺀다. 닭 밑간 재료(소금, 후추, 청주, 다진 마늘)를 넣고 골고루 버무려 1시간 동안 재운다.
# 닭에 찹쌀가루를 골고루 묻힌다.
# 볼에 반죽 재료(튀김가루, 감자전분, 찹쌀가루, 베이킹파우더, 마늘가루, 물, 오레가노)를 넣고 골고루 섞은 후 닭을 넣고 튀김옷을 입힌다.
# 냄비에 식용유를 넣고 170도 온도로 끓인다. 닭을 넣고 10분간 튀긴 후 건진다.
# 식용유 온도를 180도로 올린 후 다시 닭을 넣고 노릇하고 바삭하게 튀긴다. 체에 밭쳐 기름기를 뺀다.
초벌 튀김은 닭고기를 속까지 잘 익히는 것이 목적이고, 약 160도에서 10분 정도 튀겨낸 후 닭을 건져내어 식히며 닭고기 안에 흡수된 기름이 빠져나오도록 해야 지나치게 느끼하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재벌은 초벌보다 높은 온도로 튀기기를 함으로 튀김옷에 바삭함을 추가하여 '겉바속촉'[96] 되도록 만들기 위함이며,[97] 180도 이상에서 아주 짧은 시간 내에 튀겨내어 튀김용 기름의 흡수양이 적어야 느끼함이 줄어든다.
반죽이나 튀김옷에 설탕을 넣을 경우 검게 타 버려 보기에 흉하게 되니 주의가 필요하다. 온도계를 이용하여 튀김 온도를 맞추는 것이 좋으나, 온도계가 없을 경우 튀김옷으로 만든 반죽을 조금 튀김용 기름에 떨어뜨렸을 때 바로 반죽이 상승하여 표면으로 올라오면 이때의 온도가 대략 170도 전후가 되니 튀기기 적당한 온도라 할 수 있다.
6. 한국의 치킨 브랜드
- BBQ 치킨[29]
- 본촌치킨
- 교촌치킨
- 네네치킨
- 페리카나 치킨
- 굽네치킨[30]
참조
[1]
뉴스
Watch your wing, KFC! Korean fried chicken (and beer) is here
http://edition.cnn.c[...]
2017-02-10
[2]
뉴스
Koreans Share Their Secret for Chicken With a Crunch
https://www.nytimes.[...]
2013-03-04
[3]
뉴스
"[우리 식생활 바꾼 음식 이야기] 기름·닭·소스 388가지 맛 '치킨 공화국' …20년간 외식 메뉴 1위"
http://www.seoul.co.[...]
2017-02-11
[4]
웹사이트
치킨 (chicken)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2-11
[5]
웹사이트
치킨 (chicken)
https://krdict.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2-11
[6]
웹사이트
닭-튀김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2-11
[7]
웹사이트
프라이드치킨 (fried chicken)
http://www.korean.go[...]
2017-02-11
[8]
서적
산가요록(山家要錄)
1450
[9]
방송
대식가들
2016-10-29
[10]
Youtube
대식가들 - 조선시대 프라이드치킨이 있었다?! 포계.20161029
https://www.youtube.[...]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24-06-15
[11]
웹사이트
Fried chicken in Joseon Dynasty
https://www.korea.ne[...]
2020-12-04
[12]
간행물
Fried chicken during the Joseon era?
https://books.google[...]
2024-06-15
[13]
웹사이트
First Fried Chicken Franchiser in Korea, Lims Chicken
http://www.kfoodstor[...]
2017-03-25
[14]
웹사이트
History of Korean-style fried chicken
http://www.koreahera[...]
2017-02-11
[15]
웹사이트
All Hail the Chicken God: Han's Chimaek serves the crispiest fried chicken in Boise
https://www.boisewee[...]
2020-08-03
[16]
문서
[17]
웹사이트
CULINARY JOURNEYS : Watch your wing, KFC! Korean fried chicken (and beer) is here
http://edition.cnn.c[...]
2020-08-01
[18]
웹사이트
"'원조 KFC' 양념치킨 제2 전성기"
https://www.hankyung[...]
2020-07-08
[19]
웹사이트
How Korean Fried Chicken, AKA "Candy Chicken" Became a Transnational Comfort Food
https://www.smithson[...]
2020-08-01
[20]
웹사이트
Chicken 'hallyu' in offing
https://www.koreatim[...]
2013-12-29
[21]
웹사이트
How Korean fried chicken become so popular
https://www.thestar.[...]
2020-01-31
[22]
웹사이트
후라이드치킨이 없던 시절 우린 닭을 어떻게 먹었을까?
http://www.farminsig[...]
2020-01-29
[23]
웹사이트
As Other Restaurants Close, Bonchon, Known For Korean Fried Chicken, Is Growing
https://www.forbes.c[...]
2020-08-01
[24]
뉴스
Reiko Hashimoto: 'I never buy anything ready-made – not even sandwiches'
https://www.theguard[...]
2017-02-11
[25]
뉴스
Seven Singapore places to get your fried chicken fix
http://www.themalaym[...]
2017-02-11
[26]
웹사이트
The many flavors of Korean fried chicken
http://www.bworldonl[...]
2017-02-11
[27]
웹사이트
교촌허니오리지날(상세)
http://www.kyochon.c[...]
2021-03-30
[28]
뉴스
"[스마트 리빙] 추억의 그 맛, '옛날 통닭' 外"
http://imnews.imbc.c[...]
2017-02-10
[29]
웹사이트
South Korean chain offers a different take on fried chicken
https://www.heraldne[...]
2019-07-11
[30]
웹사이트
The Best Restaurants For Korean Fried Chicken
https://www.mashed.c[...]
2024-08-31
[31]
문서
[32]
문서
[33]
문서
[34]
문서
[35]
서적
대한민국 치킨전
따비
2014
[36]
뉴스
"[조선일보] “역시 치킨 공화국”…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 3만개 육박"
https://it.chosun.co[...]
조선일보
2023-03-27
[37]
뉴스
"[조선일보] ‘치킨집 공화국’은 이제 옛말, 4년 만에 2배 늘어난 업종은?"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1-09
[38]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산가요록 [山家要錄] - 1450년 (음식고전, 2016. 10. 17., 한복려, 한복진, 이소영)"
https://terms.naver.[...]
[39]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산가요록 (음식고전, 2016. 10. 17., 한복려, 한복진, 이소영)"
https://terms.naver.[...]
[40]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포계 · 닭고기구이 [炮鷄, Pogye] - Fried Chicken (다시 보고 배우는 산가요록, 2007. 12. 01., 한복려, 한국관광공사, 네이버문화재단)"
https://terms.naver.[...]
[41]
문서
肥鷄一隻切作二十四五介(비계일척 절작이십사오개)
[42]
서적
한국인, 무엇을 먹고 살았나: 한국 현대 식생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43]
뉴스
"‘치코노미’ 50년… 1960년대 명동영양센터 통닭 첫 등장."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3-10-24
[44]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사료 [飼料]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45]
서적
대한민국 치킨전
따비
[46]
서적
가금학
[47]
서적
가금학
[48]
서적
대한민국 치킨전
따비
[49]
뉴스
"윤덕노 [매일경제] 튀김요리의 뿌리는 고대 로마제국의 올리브 오일2021-10-06"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1-10-06
[50]
웹사이트
"[한국문화원연합회] 기름의 대량생산, 식용유"
https://ncms.ncultur[...]
[51]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사조해표 [Sajo Haepyo, 思潮─]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https://terms.naver.[...]
[52]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사조 해표 [思潮-]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s://terms.naver.[...]
[53]
뉴스
"[헤럴드Photo] 제일제당 ‘백설표 식용유’ 첫 출시"
http://photo.heraldc[...]
헤럴드
2017-09-06
[54]
서적
대한민국 돼지산업
팜커뮤니케이션
[55]
뉴스
"‘치코노미’ 50년… 1960년대 명동영양센터 통닭 첫 등장."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3-10-24
[56]
뉴스
"‘치코노미’ 50년… 1960년대 명동영양센터 통닭 첫 등장."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13-10-24
[57]
뉴스
"`소자본 창업 시리즈' 인기 속에 연장방송 1997.04.21."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7-04-21
[58]
서적
대한민국 치킨전
따비
[59]
뉴스
직장인 회식 메뉴 1위 "단언컨대 최고의 회식 메뉴는 삼겹살입니다"
https://ent.sbs.co.k[...]
SBS 연예뉴스
[60]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영양학 사전] 외식"
https://terms.naver.[...]
[61]
네이버 국어사전
《네이버 국어사전》 외식 2 外食
https://ko.dict.nave[...]
[62]
연합뉴스 tv
배달 외식이 대세…외식업소 배달·포장 비중 급증
https://ko.wikipedia[...]
[63]
뉴스
배달 대장' 치킨도 물가 부담에 포장 주문 늘었다.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64]
서적
대한민국 치킨전
따비
[65]
웹사이트
samgyeopsal (1993)
https://public.oed.c[...]
[66]
한겨레 21
치킨을 얻은 자 복이 있나니
https://h21.hani.co.[...]
[67]
서적
대한민국 치킨전
따비
[68]
우리말샘
"[우리말샘] 치느님"
https://ko.dict.nave[...]
[69]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신어와 문법 (신어, 2016.08.10., 남길임, 이수진)."
https://terms.naver.[...]
[70]
뉴스
롯데마트, 프라이드치킨 1마리가 5000원
http://www.asiae.co.[...]
아시아 경제
2010-12-08
[71]
서적
한국음식문화박물지
따비
2011
[72]
뉴스
정진석 청와대수석 "롯데마트 치킨에 영세상인들 울상"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12-09
[73]
뉴스
롯데마트 '통큰 치킨' 인기..치킨 전문점은 반발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0-12-10
[74]
서적
대한민국 치킨전
따비
2014
[75]
웹사이트
"[먼타임스] 소비자들은 왜 대형마트 치킨에 푹 빠졌나"
http://www.womentime[...]
[76]
웹사이트
"[서울경제] 치킨 한 마리 3만원? 안 먹는다…뿔난 소비자, 불매 나서나"
https://www.sedaily.[...]
[77]
웹인용
“당당치킨 6990원에 팔아도 남는다니”… 점주들 분노
https://news.kmib.co[...]
2022-08-11
[78]
웹인용
"9900원에 2마리 먹을게요"…`마트 치킨`이 소환한 가격 논쟁
https://www.mk.co.kr[...]
2022-08-14
[79]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수원통닭거리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https://terms.naver.[...]
[80]
웹사이트
류승룡X이하늬X진선규X이동휘X공명, 코믹영화 '극한직업' 캐스팅..3월말 크랭크인
http://the-star.co.k[...]
[81]
웹사이트
"[네이버 영화 정보] 극한 직업"
https://search.naver[...]
[82]
뉴스
"[연합뉴스] 관객들이 웃음 원했다"…'극한직업' 1천만 돌파(종합2보)
https://archive.toda[...]
[83]
뉴스
"[경향신문] KFC 한국 1호점도 코로나 못 이기고···38년 만에 폐점"
https://www.khan.co.[...]
[84]
뉴스
"[한국일보] K치킨이 대세 켄터키 치킨의 몰락"
https://www.hankooki[...]
[85]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대구치맥페스티벌 [Daegu Chimac Festival]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86]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육계 [肉鷄]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87]
뉴스
"[파이낸셜뉴스] 어젯밤 당신이 먹은 치킨은 닭이 아닌 병아리?"
https://www.fnnews.c[...]
[88]
웹사이트
"[소몰리에타임즈] 수요미식회, 토종닭과 육계의 차이는?"
https://www.sommelie[...]
[89]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브로일러 [broiler]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90]
뉴스
"[서울신문] 기름·닭·소스 388가지 맛 ‘치킨 공화국’ …20년간 외식 메뉴 1위"
https://www.seoul.co[...]
[91]
서적
한국음식문화박물지
따비
2011
[92]
뉴스
"[한국일보] 작은 치킨은 맛없다? 상관없다? 1.5㎏ 닭은 바뀔 수 있을까"
https://www.hankooki[...]
[93]
서적
한국음식문화박물지
따비
2011
[94]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밀가루의 종류 및 품질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95]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프라이드 치킨 만드는 법 (쿡쿡TV)"
https://terms.naver.[...]
[96]
웹사이트
"[오픈사전 PRO] 신조어, 겉바속촉"
https://open-pro.dic[...]
[97]
웹사이트
"[포인트 데일리] 윤홍근 BBQ 회장 \"美 24번째 주 진출"
https://www.thekpm.c[...]
[98]
웹인용
스마트컨슈머 > 소비자정보 > KCA보고서 > 상세보기
https://www.kca.go.k[...]
2021-04-10
[99]
간행물
프랜차이즈치킨, 치킨 한 마리의 나트륨 함량 최대 3배 차이
한국소비자원
2012-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