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다르 야노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다르 야노시는 1912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1989년 사망한 헝가리의 정치인이다. 1931년 헝가리 공산당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소련의 지원을 받아 혁명을 진압하고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제1서기를 역임했다. 그는 '구야시 공산주의'로 불리는 독자적인 사회주의 노선을 추구하며 경제 개혁과 문화적 자유를 확대했으나, 동시에 정치적 반대와 비판을 억압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카다르 시대는 헝가리에서 안정과 번영의 시기로 평가받기도 하며, 그의 유산은 헝가리 현대사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계 헝가리인 - 페퇴피 샨도르
페퇴피 샨도르는 1823년 헝가리에서 태어나 민족주의, 자유, 민주주의를 옹호하는 시를 쓴 시인이자 혁명가로, 1848년 헝가리 혁명을 주도했으며 헝가리 국민 시인으로 추앙받는다. - 슬로바키아계 헝가리인 -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
파벨 요제프 샤파리크는 슬라브 민족의 언어, 문학, 역사, 문화를 연구하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 민족의식 고취에 기여한 슬로바키아의 언어학자, 민족학자, 역사가이며, 대표적인 저서로는 《슬라브 고대》가 있다. - 헝가리의 공산주의자 - 러커토시 임레
임레 라카토시는 헝가리 출신으로 런던 정치경제대학교(LSE) 교수였으며, 수학적 발견의 논리와 과학적 지식의 성장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를 통해 '과학적 연구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여 과학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헝가리의 공산주의자 - 라코시 마차시
라코시 마차시는 20세기 헝가리의 공산주의 정치인으로, 헝가리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헝가리에 공산주의 정권을 수립하고 스탈린주의에 입각한 독재 정치를 펼치며 "살라미 전술"을 통해 정적을 제거하고 개인 숭배를 구축했으며 공포 정치를 통해 헝가리 사회를 통제하다 1956년 헝가리 봉기 직전 소련으로 추방되었다. - 1956년 헝가리 혁명 관련자 - 라코시 마차시
라코시 마차시는 20세기 헝가리의 공산주의 정치인으로, 헝가리 공산당 서기장으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헝가리에 공산주의 정권을 수립하고 스탈린주의에 입각한 독재 정치를 펼치며 "살라미 전술"을 통해 정적을 제거하고 개인 숭배를 구축했으며 공포 정치를 통해 헝가리 사회를 통제하다 1956년 헝가리 봉기 직전 소련으로 추방되었다. - 1956년 헝가리 혁명 관련자 - 루카치 죄르지
루카치 죄르지는 헝가리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 미학자, 문학 평론가로서, 청년 헤겔주의 연구와 마르크스주의 이론 발전에 기여했으며, 특히 《역사와 계급 의식》을 통해 서구 마르크스주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카다르 야노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체르머니크 야노시 요제프 |
출생일 | 1912년 5월 26일 |
출생지 | 피우메, 오스트리아-헝가리 |
사망일 | 1989년 7월 6일 |
사망지 | 부다페스트, 헝가리 인민공화국 |
배우자 | 마리아 타마슈카 (1949년 결혼) |
정당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1956년–1989년) |
이전 정당 | 헝가리 공산당 (1931년–1948년) 헝가리 노동인민당 (1948년–1956년) |
안장 장소 | 피우메 도로 묘지 |
직책 |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서기장 | 1956년 10월 25일 – 1988년 5월 22일 |
헝가리 인민공화국 각료평의회 의장 | 1961년 9월 13일 – 1965년 6월 30일 |
헝가리 인민공화국 각료평의회 의장 | 1956년 11월 4일 – 1958년 1월 28일 |
내무부 장관 | 1948년 8월 5일 – 1950년 6월 23일 |
기타 직책 | |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총재 | 1988년 5월 22일 – 1989년 5월 8일 |
2. 어린 시절
카다르 야노시는 1912년 5월 26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피우메(현재 크로아티아 리예카)에서 군인 야노스 크레싱어와 슬로바키아계 하녀 보르발라 체르마니크 사이의 사생아로 태어났다.[9] 그의 본명은 조반니 체르마니크(Giovanni Czermanik)였다.[10] 카다르는 외가로부터는 헝가리인과 슬로바키아인의 혈통을, 친가로부터는 독일인의 혈통을 물려받았다.[6][7][8]
카다르는 타자기 정비공 견습공으로 17세에 노동조합 청년회에 가입했고, 1931년 불법 헝가리 공산당에 입당하여 불법적인 정치 활동으로 이후 여러 차례 체포되었다.[86][87]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 사망 후 너지 임레가 총리로 임명되면서 카다르는 1954년에 석방되었다. 카다르는 부다페스트 제13구역 당서기로 활동하며 노동자들의 지지를 얻었다. 1956년 헝가리 혁명이 발발하자, 카다르는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제1서기로 선출되었고, 너지 임레 정부의 국무장관이 되었다.[54] 카다르는 초기에는 혁명을 지지하는 듯 보였으나, 소련 지도부의 설득과 압력으로 입장을 바꿨다. 그는 소련 지도자들이 헝가리에 주둔한 소련군의 도움으로 혁명을 진압하기로 이미 결정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에야 입장을 바꾸는 데 동의했다.[55] 1989년 4월 12일 연설에서 그는 너지의 처형에 역할을 했다고 자백하며, 이를 자신의 "개인적인 비극"이라고 불렀다.[55]
카다르 야노시는 1956년 헝가리 혁명 진압 이후 소련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의 지도자가 되었다. 그는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을 이끌며 30년 이상 헝가리를 통치했다.
어머니 보르발라는 아들을 낳을 당시 휴가 중이었고, 미혼모를 고용하려는 사람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 그녀는 카다르의 아버지 크레싱어를 찾아갔지만, 그의 가족은 관계를 맺고 싶어하지 않았다. 결국 보르발라는 카폴리 시로 10킬로미터를 걸어가 발린트 가족에게 수수료를 주고 카다르를 맡겼다.[10]
카다르는 쇼모지주 카폴리에서 양부모와 함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양아버지 임레 발린트 대신, 그의 형 샨도르 발린트가 카다르를 주로 돌봤다. 카다르는 어린 시절 샨도르와 좋은 관계를 맺었으며, 일찍부터 일을 시작해 샨도르가 아픈 아내를 돌보는 것을 도왔다. 카다르는 훗날 자신의 초기 경험이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고 회상했다.[11]
1918년, 여섯 살이 된 카다르는 어머니와 함께 부다페스트로 이주하여 학교에 입학했다. 학교에서 그는 촌스러운 태도와 사투리 때문에 괴롭힘을 당했다. 보르발라는 카다르가 좋은 교육을 받도록 노력했지만, 카다르는 종종 학교를 빼먹고 책을 읽는 데 시간을 보냈다.[11][12]
1926년, 14세의 카다르는 학교를 그만두고 자동차 정비공 견습생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거절당하고, 1927년 토르페도 타자기 회사의 헝가리 대표인 샨도르 이자크의 견습생이 되었다. 타자기 정비공은 당시 노동자 계급 사이에서 높은 지위를 가진 직업이었다.[13][14]
1928년, 카다르는 마르크스주의 문학을 처음 접했다. 이발사 노동조합 주니어 체스 대회에서 우승한 후,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반 뒤링''을 상품으로 받았다. 카다르는 이 책을 통해 세상의 법칙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고 회고했다.[16]
대공황 시기, 카다르는 해고되어 저임금 일자리와 빈곤을 겪었다. 이 경험은 그가 헝가리 공산당과 접촉하는 계기가 되었다.[16] 1930년 9월, 카다르는 조직된 노동조합 파업에 참여했지만, 당국에 의해 진압되었다. 1931년 6월, 그는 공산주의 청년 조직인 공산주의 청년 노동자 협회(KIMSZ)에 가입했고, 야코프 스베르들로프의 이름을 딴 스베르들로프 당 세포에서 야노스 바르나라는 가명으로 활동했다.[17]
1931년 12월, 카다르는 공산주의 활동 혐의로 체포되었지만 증거 부족으로 풀려났다. 그러나 경찰의 감시를 받으며 KIMSZ 활동을 계속했고, 1933년 5월 KIMSZ 부다페스트 위원회 위원이 되었다. 그러나 1931년 다른 공산주의 활동가들과 함께 다시 체포되어 경찰의 폭력으로 인해 자백하고 2년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자백으로 인해 KIMSZ에서 제명되었다.[18]
3. 제2차 세계 대전 전후의 정치 활동
이후 헝가리 사회민주당에 입당하여 부다페스트 지부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937년 호르티 미클로시 정권에 의해 체포되어 3년간 투옥되었다. 석방 후 소련으로 가지 않고 라이크 라슬로와 함께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공산주의 지하 운동을 전개하여 1943년 아호 카다르 야노스를 선택하였다. 1944년 세르비아로 가는 국경을 넘으려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빨치산과 비밀 접촉을 시도하던 중 체포되어 마우트하우젠 강제 수용소로 유대인들을 수송하는 파견대에 배속되었다. 코마르노의 도시 교도소로 잠시 이송되던 중 탈출하여 부다페스트로 돌아왔다.
1943년과 1945년 사이에 헝가리 공산당 제1서기였고, 1943년과 1944년 사이에는 합법적인 위장 조직인 평화당을 지도하였다.
소련에 의한 헝가리 점령과 공산당 지도부의 모스크바 지점 부상 후, 카다르는 부다페스트의 새로운 경찰 부국장으로 임명되었다.[33]
1946년 헝가리 공산당 부서기장으로 선출되었다.[37] 1949년 내무장관으로서 라이크 라슬로를 승계하였다. 라이크는 라코시 마차시에 의해 외무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소련에서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시작된 재판과 유사하게 헝가리에서 재판이 열릴 예정에 주요 피고인으로 이미 비밀리에 선택되어 있었다. 라이크와 "그의 간첩 행위"는 훗날 유고슬라비아의 대통령 티토와 공모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었고 사형을 당했다.
마키아벨리즘적인 계획에서 라코시는 라이크와 그의 부인 율리아 둘 다와 친구였던 카다르를 라이크의 재판에 눈에 띄게 관여시키기 위해 그를 내무장관 직위에 놓았다. 사실 조사를 담당했던 헝가리 국가 보안부는 라코스로부터 직접 명령을 받았으나, 내무장관으로서 카다르는 라이크의 "범죄"를 비난하여 그에게 자백을 강요하려고 했고, 그의 사형식에 참석하였다.
1년 후, 카다르는 호르티의 경찰 간첩으로 지낸 것에 대한 허위 혐의로 자신의 재판에서 자신을 피고인으로 찾아냈다. 이때 비밀 경찰들에게 매를 맞은 카다르는 "자백"을 촉구받았다. 그는 유죄 판결을 받고 무기 징역을 선고받았다. 그의 감금은 3년간 독방 감금으로, 호르티 정권 아래 투옥되었던 동안 자신이 겪은 것보다 더욱 최악의 상태를 포함하였다.
1953년 너지 임레가 총리로 임명된 후, 그리고 이오시프 스탈린의 사망 후, 카다르는 이듬해 7월에 석방되었다.[86]
카다르는 중공업이 발달한 부다페스트 제13구역에서 당 서기로 활동하라는 제안을 받아들였다. 그는 노동조합을 위해 더 많은 자유를 요구하는 노동자들 사이에서 많은 지지자를 형성하며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4. 1956년 헝가리 혁명에서의 역할
1956년 11월 4일, 카다르는 소련군의 지원을 받아 헝가리 혁명 노동자-농민 정부를 수립하고 혁명을 진압했다. 카다르는 너지 임레를 비롯한 혁명 지도자들에게 안전한 귀환을 약속했지만, 이 약속은 지켜지지 않았고 너지 임레는 1958년 처형되었다.[54]
5. 카다르 시대
카다르는 위기 상황에서 권력을 잡았다.[55] 국가는 몇 달 동안 소련 군정 하에 있었고, 몰락한 공산당 지도자들은 소련에서 헝가리의 권력 복귀를 꾀하고 있었다. 중공, 동독, 체코슬로바키아 지도자들은 혁명 가담자들에 대한 강력한 보복을 요구했다. 그러나 카다르는 헝가리가 동구권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국민들에게 서방의 지원 약속이 헛된 것이었음을 알렸다. 헝가리는 서방의 암묵적 동의 하에 소련의 영향권에 남게 되었다.
카다르는 "우리를 반대하지 않는 그는 우리와 함께 한다."라는 온건한 입장을 취했다.[58] 다른 동구권 국가들에 비해 헝가리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자유를 누렸다. 비밀경찰의 감시가 있었지만, 다른 동구권 국가들에 비해 억압의 정도는 덜했다. 헝가리 언론은 서방의 기준으로는 엄격했지만,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보다는 덜 엄격한 검열을 받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활 수준과 여행 제한 완화로 인해 헝가리는 냉전 시기 동유럽에서 살기 좋은 나라 중 하나로 여겨졌다. 많은 헝가리인들은 1990년대 자본주의로의 전환 이후 생활 수준이 급격히 하락하자 카다르 시대를 그리워했다.
카다르의 통치 기간 동안 캐나다, 미국, 서유럽에서 온 많은 관광객들과 함께 관광 산업이 크게 성장하여 헝가리에 외화를 가져다주었다. 헝가리는 개발도상국들과 강한 관계를 맺었고, 많은 해외 유학생들이 헝가리를 찾았다. 1978년에는 헝가리 왕관이 미국으로부터 부다페스트로 반환되었다.
카다르는 단순하고 검소한 생활 방식으로 알려졌으며, 부패를 혐오했다. 그는 레닌 평화상(1975–76)과 소련 영웅 칭호(1964)를 받았다.[95] 그는 정치·경제 개혁을 추진하면서도 소련과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93]
5. 1. 카다르 시대의 외교 정책
카다르는 소련에 충성하면서도 서방과의 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실용적인 외교 정책을 펼쳤다. 1960년대 초부터 언론과 이동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고 문화 활동에 대한 규제도 일부 풀었다.[58] 그는 서유럽의 사회민주당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고, 미국과의 관계 개선도 시도했다. 하지만, 카다르의 공산주의 국제주의에 대한 헌신 때문에 한계가 있었다.[58]
카다르 정권은 외교 정책에서 소련에 충실했지만, 국내 정책에서는 국민적 합의를 이루고자 했다. 그는 개발도상국들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많은 외국 유학생들을 유치했다. 1978년에는 미국으로부터 헝가리 왕관을 반환받았다.[57]
헝가리에서 서방으로의 여행은 다른 동구권 국가에 비해 비교적 자유로웠다. 카다르 통치 기간 동안 국제 관광이 크게 늘어, 캐나다, 미국, 서유럽에서 온 많은 관광객들이 헝가리에 돈을 가져왔다.[57]
5. 2. 카다르 시대의 경제 정책
카다르 야노시 집권 초기에는 중앙 계획 경제 체제를 유지했지만, 1960년대부터 니에르시 레죄 등이 주도한 "신 경제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시장 경제 요소를 일부 도입했다. 이를 통해 집단농장의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공업과 서비스업이 발전하면서 헝가리 국민들의 소득도 증가했다.[90]
1973년 소련의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정권의 압력으로 헝가리의 개혁은 후퇴했다. 경제에 대한 당 중앙의 통제가 강화되었고, 1974년에는 개혁을 주도하던 니에르시 레죄 등이 해임되거나 좌천되었다. 그러나 그 처우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구스타프 후사크 제1서기의 "정상화 노선"에 비하면 온건한 것이었다.[92] "신 경제 메커니즘"도 완전히 폐지되지 않고, 1970년대 후반 제2차 석유 파동 이후에는 다시 개혁이 추진되어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지향되었다.
경제 개혁은 비교적 높은 생활 수준을 낳았고, 헝가리는 냉전 중 동유럽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 중 하나였다. 1990년대 자본주의 경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초래된 생활 수준의 극적인 저하 때문에, 많은 헝가리인들이 카다르 시대에 향수를 느꼈다. 이러한 향수는 전 헝가리 사회주의 노동자당 개혁파 정치인 호른 줄러 전 외무장관 (헝가리 사회당)의 총리 선출(1994년)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카다르 시대에는 관광 여행이 극적으로 증가하여, 캐나다, 미국, 서유럽에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여, 막대한 자금을 헝가리에 가져다주었다. 헝가리는 서방 선진국들과 강한 관계를 구축했고, 많은 외국인 연구가들이 방문했다. 1978년에는 "헝가리 국왕의 성관" (제2차 세계 대전기까지의 호르티 미클로시 정권의 정치적 상징성을 막기 위해, 미디어에서는 "헝가리의 왕관"이라고 불렸다.) 및 보물이 미국에서 수도 부다페스트로 반환되었다.
헝가리에서 서방으로의 여행도 다른 동구권 국가에 비해 비교적 자유로웠고, 1980년에는 380만 명이 서방으로 여행했다.[93] 검열도 비교적 완화되었고, 각료의 지명은 형식적이지만, 당 중앙위원회정치국의 결정뿐만 아니라 대중 조직 "애국 인민 전선"과 협의하여 결정하는 등의 개혁이 이루어졌다.[93]
1982년에는 국제 통화 기금(IMF)에 가입하여, 경제에 시장 원리의 도입, 개인 기업의 설립 자유화, 국영 기업의 당으로부터의 자립 등 경제 자유화가 진행되었다. 정치적으로도 1983년에는 다시 국회의원 선거가 복수 후보제가 되었고, 1985년에는 사회주의 노동자당의 당원 외에도 국회의원에 당선되는 자가 나오게 되었다.[94]
5. 3. 카다르 시대의 사회, 문화 정책
카다르 야노시는 헝가리 혁명 이후 집권하여 다른 동구권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사회, 문화 정책을 펼쳤다. 그는 "우리를 반대하지 않는 자는 우리와 함께한다"라고 선언하며 언론, 출판, 여행의 자유를 확대했다.[58] 헝가리인들은 동구권 다른 국가들보다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자유를 누렸다.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창작의 자유가 어느 정도 보장되었다.
그러나 정치적인 반대나 비판은 여전히 용납되지 않았고, 비밀경찰인 내무부 III부에 의한 감시와 통제는 계속되었다.[57] 헝가리 언론은 서방에 비해서는 엄격했지만, 다른 공산주의 국가보다는 덜 엄격한 검열을 받았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활 수준과 완화된 여행 제한 덕분에 헝가리는 냉전 시기 동유럽에서 살기 좋은 국가 중 하나로 여겨졌다.[57] 많은 헝가리인들은 1990년대 자본주의 경제로 전환되면서 생활 수준이 급격히 하락하자 카다르 시대를 그리워하기도 한다.
카다르 정권은 관광 산업을 육성하여 캐나다, 미국, 서유럽 등지에서 많은 관광객을 유치했고, 이는 헝가리에 외화를 가져다주었다. 헝가리는 개발도상국과도 강한 관계를 맺어 많은 외국 유학생들이 헝가리를 찾았다. 1978년에는 헝가리 국왕의 성관과 왕실 보물이 미국으로부터 부다페스트로 반환되었다.[93]
카다르는 검소하고 겸손한 생활 방식으로 유명했으며, 부패를 혐오했다. 그는 레닌 평화상 (1975-76)과 소련 영웅 칭호 (1964)를 받았다.[95]
6. 퇴임과 사망
1988년 카다르 야노시는 경제적 어려움과 건강 악화로 당 서기직에서 물러났다. 그해 5월 당 회의에서 그로스 카로이 총리가 당 서기직을 승계하였다. 그로스는 카다르의 정책을 수정하여 계속 추진하려 했다. 카다르는 당 의장이라는 의례적인 직책을 맡았으나, 당의 핵심 의사결정 기구인 정치 위원회에는 재선되지 않기를 원했다.[62]
1989년 초, 카다르는 건강이 악화되어 모든 공직에서 물러났고, 얼마 지나지 않아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3] 같은 해 4월 12일, 카다르는 중앙위원회 비공개 회의에 예기치 않게 나타나 횡설수설하는 연설을 했다. 그는 1956년 모스크바에서의 협상과 너지 임레의 유죄 판결 및 처형에 대해 고백하고 싶어했다. 그러나 1956년과 1989년 사이에 동유럽과 헝가리에서 일어난 모든 변화가 그의 머릿속에 혼재되어 있었다.[64][65][66] 네메트 미클로시의 증언에 따르면, 1989년 5월 말 또는 6월 초, 카다르는 사망하기 몇 주 전에 로마 가톨릭 사제에게 고해성사를 요청했는데, 이는 일부 사람들에게 기독교로의 개종 징후로 여겨졌다.[68][69][70]
카다르는 1989년 7월 6일, 그가 창조한 정권이 공식적으로 붕괴되기 3개월 전에 암으로 사망했다.
7. 평가
카다르 야노시는 헝가리 현대사에서 가장 논쟁적인 인물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는 1956년 헝가리 혁명을 진압하고 소련의 위성국으로서 헝가리를 통치했지만, 동시에 상대적으로 온건한 정책을 펼쳐 "구야시 공산주의"라는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
카다르는 위기 상황에서 권력을 잡았다. 헝가리 혁명으로 인해 국가는 몇 달간 소련의 군사 행정부 아래 있었고, 공산당 지도자들은 소련으로 피난을 갔다. 중공, 동독, 체코슬로바키아는 "반혁명" 세력에 대한 강력한 보복을 요구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카다르는 빠른 시간 안에 상황을 정상화시켰다. 이는 헝가리가 동구권에서 벗어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현실 인식과, 서방의 지원 약속이 헛되다는 것을 국민들이 깨달았기 때문이다. 헝가리는 서방의 묵인 하에 소련의 영향권에 남게 되었다.
카다르는 "우리를 반대하지 않는 그는 우리와 함께 한다"라는 정책을 통해, 라코시 마차시와는 달리 국민들에게 더 많은 자유를 허용했다. 동구권 국가들에 비해 헝가리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더 많은 자유를 누렸으며, 여행 제한도 완화되었다. 비밀경찰의 활동은 억압적이었지만, 다른 동구권 국가들에 비해서는 자제된 편이었다.
카다르 집권 기간 동안 관광 산업이 크게 성장하여 서방의 화폐가 헝가리로 유입되었고, 개발도상국과의 관계도 강화되었다. 1978년에는 미국으로부터 헝가리의 "성스러운 왕관"과 예복이 반환되기도 했다.
카다르는 단순하고 겸손한 생활 방식으로 알려졌으며, 부패를 혐오했다. 그는 확고한 공산주의자였으며, 외교 정책에서는 소련에 충성했지만, 국내 정책에서는 국민적 합의를 추구했다. 서유럽의 사회민주당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으려 했고, 1968년 프라하의 봄 당시에는 군사 개입을 막기 위해 중재 노력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소련이 개입을 결정하자 바르샤바 조약 기구 작전에 참여했다.
2007년 5월 2일, 부다페스트의 케레페시 묘지에 있는 카다르의 묘가 파손되고 유골이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헝가리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으며, 극단주의 단체의 소행으로 추정된다.
카다르는 1964년 4월 3일 소비에트 연방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레닌 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7. 1. 긍정적 평가
카다르 시대는 헝가리 역사상 비교적 안정적이고 번영했던 시기로 평가된다. 카다르 야노시는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고, 문화적 자유를 확대했으며, 서방과의 관계를 개선하는 등 실용적인 정책을 추진했다.[102] 헝가리는 다른 동구권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온건한 통치를 통해 "가장 살기 좋은 동구권 국가"로 여겨졌다.[101]헝가리 노동당은 카다르 야노시가 헝가리의 영웅이자 사회주의의 거장이라고 주장하며, 그의 집권 기간을 생활권 보장과 사회권 보장이 수반된 평화와 안정의 시대로 평가한다.[102] 헝가리 정책 솔루션(Policy Solutions)이 2020년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헝가리인의 54%가 카다르 시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살았다고 믿는 반면, 31%는 카다르 시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이 더 나빴다고 답했다.[78]
카다르는 이슈트반 티사, 미클로시 호르티와 함께 20세기 헝가리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6%가 그를 "가장 위대한 헝가리인"이라고 생각했으며, 10가지 선택지 목록에서 3위를 차지했다.[77]
일본에서는 카다르의 자서전 『야노시 카다르 : 새로운 헝가리로의 길』 (1974년)[99]과 평전 『카다르 야노시 전 : 현대 헝가리사의 증인』(1985년)[100]이 고분샤(恒文社)에서 간행되었다.
7. 2. 부정적 평가
카다르는 1956년 헝가리 혁명 당시 소련군 개입을 요청하고 너지 임레를 처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기 때문에, 독재자이자 소련의 앞잡이라는 비판을 받는다.[78]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정치적 자유는 제한되었고, 비밀경찰에 의한 감시와 통제가 계속되었다. 다른 동구권 국가들에 비해 자유가 কিছুটা 완화되었지만, 정권에 대한 명백한 반대는 허용되지 않았다.또한, 경제 개혁의 한계와 대외 채무 문제 등 경제적 어려움도 겪었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활 수준을 유지했지만, 이는 국가 빚의 증가를 초래했다. 정권의 문화적, 사회적 정책은 권위주의적이었으며, 현대 헝가리 문화에 미친 영향은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헝가리 내 비평가들은 카다르 야노시를 독재자이자 소련의 구색 정치가라고 비판하며, 2020년 헝가리 당국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1%가 카다르 정권을 부정적으로 평가했다.[78]
8. 비판
카다르 야노시는 정치인으로서 능력과 자질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다.[1] 1948년 알바니아 인민공화국의 지도자이자 알바니아 노동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이었던 엔베르 호자는 이러한 비판을 제기했다.
8. 1. 자질 부족에 대한 비판
1948년 알바니아 인민공화국의 지도자이자 알바니아 노동당 중앙위원회 서기장이었던 엔베르 호자는 카다르 야노시가 정치인으로서 능력과 자질이 매우 부족하다고 비판했다.9. 유산
카다르의 유산은 오늘날 헝가리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다. 카다르 지지자들은 카다르 시대가 평화와 안정의 시기였으며, 일반 사람들을 위한 광범위한 고용 안정과 강력한 사회적 보호가 이루어졌다고 주장한다. 반면, 다른 사람들은 카다르가 헝가리인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고 광범위한 자유화를 시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헝가리는 근본적으로 독재 국가이자 소련의 위성 국가였다고 주장한다.[77]
2007년 5월 2일 부다페스트에 있는 케레페시 묘지에서 카다르의 묘가 파손되었으며 그의 부인 마리아 타마스카의 유골함과 더불어 그의 해골을 포함하여 그의 다수의 유골이 도난당했다. "1956년-2006년 살인자들과 반역자들은 거룩한 땅에 쉬지 못할 것이다"라고 읽혀진 메시지가 가까이 쓰여졌다. 2개의 날짜들은 1956년 헝가리 혁명과 2006년 항의들을 가리킨다. 이 행위는 헝가리에서 정치적, 사회적 스펙트럼을 넘나들며 보편적인 혐오감을 불러일으켰다. 경찰의 조사들은 "빅뱅을 일으킬 행위를 수행하는" 데 이미 시작된 극단주의 단체들에 집중되었다.
그는 이슈트반 티사와 미클로시 호르티와 함께 20세기 헝가리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한 연구에 따르면 응답자의 6%가 그를 "가장 위대한 헝가리인"이라고 생각했으며, 10가지 선택지 목록에서 3위를 차지했다.[77]
여론 조사에 따르면 카다르 시대에 대한 향수가 헝가리에서 널리 퍼져 있다. 헝가리 정책 솔루션(Policy Solutions)이 2020년에 실시한 여론 조사에 따르면, 헝가리인의 54%가 카다르 시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살았다고 믿는 반면, 31%는 카다르 시대에 대부분의 사람들의 삶이 더 나빴다고 답했다.[78]
참조
[1]
서적
Unfinished Socialism: Pictures from the K d r Era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9-01
[2]
서적
Hungary’s Negotiated Revolution: Economic Reform, Social Change and Political Succession, 1957–1990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뉴스
Janos Kadar of Hungary Is Dead at 77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2-11-04
[4]
서적
Masterpices of History: The Peaceful End of the Cold War in Europe, 1989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5]
뉴스
Hungarys Economic Model In Trouble Hungarys New Economic Model I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75-06-12
[6]
웹사이트
sonline.hu – Ingyen adná a Kádár-házat a nemzeti vagyonkezelő – Imre Fónai – February 13, 2014
https://web.archive.[...]
2018-05-26
[7]
서적
Kádár 1.
https://books.google[...]
Kossuth Kiadó
[8]
문서
Gough 2006, p. 1.
[9]
문서
Gough 2006, p. 2.
[10]
문서
Gough 2006, p. 3.
[11]
문서
Gough 2006, pp. 3–4.
[12]
문서
Gough 2006, pp. 6–7.
[13]
서적
A Good Comrade: János Kádár, communism and Hungary
https://books.google[...]
I.B. Tauris
[14]
문서
Gough 2006, p. 8.
[15]
문서
A conversation with János Kádár on 2nd of september, 1956 Reporter: István Kerekes
[16]
문서
Gough 2006, p. 10.
[17]
문서
Gough 2006, p. 11.
[18]
문서
Gough 2006, p. 12.
[19]
문서
Gough 2006, p. 13.
[20]
문서
Gough 2006, p. 14.
[21]
문서
Gough 2006, p. 15.
[22]
문서
Gough 2006, p. 18.
[23]
문서
Gough 2006, p. 19.
[24]
문서
Gough 2006, pp. 19–20.
[25]
문서
Gough 2006, p. 20.
[26]
문서
Gough 2006, pp. 20–21.
[27]
문서
Gough 2006, p. 21.
[28]
문서
Gough 2006, p. 22.
[29]
문서
Gough 2006, pp. 22–23.
[30]
문서
Gough 2006, p. 23.
[31]
문서
Gough 2006, p. 24.
[32]
문서
Gough 2006, p. 25.
[33]
문서
Gough 2006, p. 27.
[34]
문서
Gough 2006, p. 28.
[35]
문서
Gough 2006, p. 29.
[36]
서적
2006
[37]
서적
2006
[38]
서적
2006
[39]
서적
2006
[40]
서적
2006
[41]
서적
2006
[42]
서적
1986
[43]
서적
2006
[44]
서적
2006
[45]
서적
2006
[46]
서적
2006
[47]
서적
2006
[48]
서적
2006
[49]
서적
2006
[50]
서적
2006
[51]
서적
2006
[52]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https://archive.org/[...]
Routledge
1997
[53]
서적
2006
[54]
웹사이트
Hungary
https://www.britanni[...]
[55]
서적
The Hungarians: 1000 Years of Victory in Defeat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3
[56]
서적
Inside Europe Today
https://archive.org/[...]
Harper & Brothers
1961
[57]
웹사이트
Hungary National Government Debt
https://www.ceicdata[...]
2021-06-15
[58]
간행물
"'We Hungarian communists are realists': János Kádár's foreign policy in the light of Hungarian–US relations, 1957–67"
https://www.tandfonl[...]
2006-08-09
[59]
서적
Twelve Days
Pantheon Books
2006
[60]
웹사이트
Kádár bűvös vadászatai
https://mult-kor.hu/[...]
2012-05-26
[61]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warheroes[...]
[62]
문서
"Leadership Drift in Hungary:Empirical Observations on a Normative Concept"
https://docslide.net[...]
[63]
뉴스
Hungary's Janos Kadar retired from party posts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64]
웹사이트
The last speech of János Kádár
https://www.youtube.[...]
[65]
웹사이트
The 1956 Hungarian Revolution – Aftermath
https://www.eurotrib[...]
[66]
웹사이트
The funeral of János Kádár (July 14, 1989)
https://hungarianspe[...]
2009-07-26
[67]
웹사이트
Kornis Mihály: Kádár János utolsó beszéde 1989. április 12
https://www.youtube.[...]
2020-10-05
[68]
웹사이트
http://movil.religio[...]
[69]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70]
웹사이트
http://www.catholich[...]
[71]
뉴스
"Ex-Hungary ruler's remains stolen"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5-03
[72]
뉴스
Grave of Hungarian Communist leader Janos Kadar vandalized
http://www.iht.com/a[...]
Associated Press
2007-05-02
[73]
웹사이트
The message of the vandals with dates on
http://www.haon.hu/h[...]
[74]
뉴스
Hungarian leader's grave robbed
https://www.theguard[...]
2017-04-04
[75]
웹사이트
Former leader's grave desecrated in Budapest
http://www.caboodle.[...]
2007-05-03
[76]
웹사이트
Kádár grave robbery investigation leads outside Budapest
http://www.caboodle.[...]
2007-05-04
[77]
웹사이트
Pszinapszis
https://www.pszinaps[...]
2024-04-13
[78]
웹사이트
30 Years On – Public Opinion on the Regime Change in Hungary
https://www.policyso[...]
2022-01-30
[79]
웹사이트
Československý řád Bílého lva 1923–1990
https://www.prazskyh[...]
2024-10-18
[80]
서적
Gough 2006
[81]
뉴스
Kadar Appears Stronger Than Ever in Stable, Affluent Hungary
https://www.nytimes.[...]
2024-10-18
[82]
간행물
Predsjedniku Titu dodijeljen Order zastave Mađarske Narodne Republike I reda s dijamantima
https://arhiv.slobod[...]
1964-09-16
[83]
서적
Communism in Eastern Europe
Indiana University Press
2024-10-18
[84]
뉴스
Condecorado Janos Kadar con la Orden Nacional José Martí
http://lanic.utexas.[...]
2024-10-18
[85]
웹사이트
Řád Klementa Gottwalda – za budování socialistické vlasti
https://www.prazskyh[...]
2024-10-18
[86]
웹사이트
Kádár's Shadow
http://www.hungarian[...]
The Hungarian Quarterly
2001
[87]
웹사이트
János Kádár
http://www.rev.hu/hi[...]
The Institute for the History of the 1956 Hungarian Revolution
[88]
서적
社会主義の20世紀 第1巻
日本放送出版協会
1990
[89]
서적
東欧革命-権力の内側で何が起きたか-
岩波新書
1992
[90]
서적
社会主義の20世紀 第1巻
[91]
서적
東欧革命-権力の内側で何が起きたか-
[92]
서적
東欧革命-権力の内側で何が起きたか-
[93]
서적
東欧革命-権力の内側で何が起きたか-
[94]
서적
社会主義の20世紀 第1巻
[95]
웹사이트
Герои страны
http://www.warheroes[...]
[96]
서적
社会主義の20世紀 第1巻
[97]
서적
社会主義の20世紀 第1巻
[98]
서적
東欧革命-権力の内側で何が起きたか-
[99]
웹사이트
ヤーノシュ・カダル : 新しいハンガリーへの道
https://iss.ndl.go.j[...]
2018-03-10
[100]
웹사이트
カーダール・ヤーノシュ伝 : 現代ハンガリー史の証人
https://iss.ndl.go.j[...]
2018-03-10
[101]
웹사이트
헝가리 정권 교체에 대한 대중의 반응
https://www.policyso[...]
[102]
웹사이트
카다르는 사회주의의 거장이었다
https://munkaspart.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