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루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루가주는 러시아 연방의 행정 구역으로, 동유럽 평원 중앙부에 위치해 있다. 12세기부터 도시들이 언급되었으며,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의 분쟁 지역이었다. 1944년 설립되었으며, 1996년 헌장이 채택되었다. 2023년에는 우크라이나로부터 드론 공격을 받기도 했다. 주요 강으로는 오카 강이 있으며, 기후는 온대 대륙성 기후이다. 경제적으로는 자동차, 핵 에너지, 과학 기술 분야가 발달했으며, 폭스바겐, 볼보 등 다수의 외국 기업이 진출해 있다. 칼루가 치올코프스키 국립 대학교, 국립 핵 연구 대학교 MIFI 등이 위치해 있다. 주요 도시는 칼루가, 옵닌스크, 수히니치 등이며, M3 "우크라이나" 고속도로 등 주요 교통망이 지나간다. 2021년 기준 러시아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러시아 정교회가 가장 많은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루가주 - 주코프 (칼루가주)
    주코프는 러시아 칼루가주에 위치한 산업 도시로, 17세기 초 철강 공장과 함께 시작되어 1974년 게오르기 주코프 원수를 기념하여 개명되었으며 역사적 명소와 기념관들이 있다.
  • 칼루가주 - 코젤스크
    코젤스크는 1146년에 처음 언급된 러시아 도시로, 1238년 몽골 침공 당시 격렬한 저항으로 "악의 도시"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전략 로켓군 기지와 역사적 건축물, 옵티나 푸스틴 수도원으로 알려진 군사적, 문화적, 종교적 요충지이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칼루가주
일반 정보
지도
상징
칼루가 주 깃발
깃발
칼루가 주 문장
문장
인구
정치
기타

2. 역사

16세기와 17세기 칼루가에서는 무역과 수공업이 활발히 발전했고, 특히 목공예와 보석 제작 기술이 발달했다. 1654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재통일된 후, 칼루가는 모스크바와 우크라이나 간 무역 중개자 역할을 하며 경제적으로 성장했다.

1776년 8월 24일, 예카테리나 2세는 칼루가와 툴라 주를 통합하여 칼루가 부왕령을 설치하는 칙령을 발표했고, 부왕령의 중심지는 새로운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795년 파벨 1세 통치 기간에 칼루가 부왕령은 주로 변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코젤스크에는 1939년 소련의 폴란드 침공 당시 포로로 잡혀 1940년 카틴 학살에서 살해된 폴란드인들을 위한 소련 전쟁 포로 수용소가 있었다. 1941년 이 지역은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다가 이후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현대 칼루가주는 1944년 7월 5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칙령에 따라 설립되었다. 소련 해체 이후 칼루가주는 러시아 연방의 연방 주체가 되었으며, 1996년 3월 칼루가주 헌장이 채택되었다.

2023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 우크라이나군의 드론 공격을 받았다.[38][39]

2. 1. 고대 및 중세

가짜 드미트리 2세가 모스크바의 차르에 등극하기 위해 자리를 잡았던 곳이 칼루가주이다. 칼루가주의 영토는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칼루가주를 흐르는 타루사강은 러시아 민족의 역사와 기원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가장 오래된 인류 유적은 중석기 시대(기원전 10,000~6,000년)로 거슬러 올라간다. 칼루가 도시들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2세기의 사건, 특히 올레고비치와 모노마호비치 사이의 봉건 전쟁과 관련되어 있다 (코젤스크 - 1146년, 세렌스크 - 1147년, 보로틴스크 - 1155년, 모살스크 - 1231년).[36]

14세기에 칼루가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의 끊임없는 대립의 장이었다.[36] 전통적으로 칼루가는 리투아니아의 공격으로부터 모스크바 공국을 보호하기 위한 국경 정착지로 설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칼루가주의 서부 및 남부 지역과 코젤스크, 모살스크, 메슈초프,[11] 세르페이스크,[12] 페레미슐, 보로틴스크와 같은 도시들의 약 절반이 14세기 말~15세기에 리투아니아의 일부였다.

1480~1481년 사이에 칼루가 영토는 우그라 강 대전투가 벌어진 장소였으며, 이로 인해 러시아 땅이 타타르의 지배에서 해방되었고 모스크바가 주권 국가로 변모했다.

몽골의 러시아 침략 이전에는 이 지역은 체르니고프 공국의 통치를 받았으나, 점차 체르니고프 공 미하일 2세의 후손들에 의한 수십 개의 영지로 분열되었다. 이들은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지배자가 변동하며 압박을 받았다.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오카 강의 상류, 이 주와 툴라주의 영역에 걸쳐 10개의 작은 공국 (벨료프, 노보실, 오도예프, 볼로틴스크, 마살스크, 즈베니고로트, 카라체프, 코젤스크, 페레미실, 타루사, 메시초프스크, 보랴치노, 오보렌스크)이 난립하여 리투아니아에 조공을 강요받았다.

가톨릭의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동맹 시, 이 지역의 영주들은 리투아니아의 확장에 대항하여 15세기 말에는 모스크바 공국의 편에 섰다. 그 때문에 1494년, 리투아니아는 이 지역의 영토를 모두 잃었다.

2. 2.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가짜 드미트리 2세가 모스크바의 차르에 등극하기 위해 자리를 잡았던 곳이 칼루가주이다. 14세기 칼루가 지역은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의 끊임없는 대립의 장이었다.[36] 전통적으로 칼루가는 리투아니아의 공격으로부터 모스크바 공국을 보호하기 위한 국경 정착지로 설립된 것으로 여겨진다. 현재 칼루가주의 서부 및 남부 지역과 코젤스크, 모살스크, 메슈초프,[11] 세르페이스크,[12] 페레미슐, 보로틴스크와 같은 도시들의 약 절반이 14세기 말~15세기에 리투아니아의 일부였다.

1480~1481년 사이에 칼루가 영토는 우그라 강 대전투가 벌어진 장소였으며, 이로 인해 러시아 땅이 타타르의 지배에서 해방되었고 모스크바가 주권 국가로 변모했다.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오카 강의 상류, 이 주와 툴라주의 영역에 걸쳐 10개의 작은 공국 (벨료프, 노보실, 오도예프, 볼로틴스크, 마살스크, 즈베니고로트, 카라체프, 코젤스크, 페레미실, 타루사, 메시초프스크, 보랴치노, 오보렌스크)이 난립하여 리투아니아에 조공을 강요받았다.

가톨릭의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동맹 시, 이 지역의 영주들은 리투아니아의 확장에 대항하여 15세기 말에는 모스크바 공국의 편에 섰다. 그 때문에 1494년, 리투아니아는 이 지역의 영토를 모두 잃었다.

2. 3. 러시아 제국 시대

가짜 드미트리 2세가 모스크바의 차르 자리를 노리고 칼루가주에 자리를 잡았다. 칼루가주의 영토는 오래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으로, 타루사강은 러시아 민족의 역사와 기원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가장 오래된 유적은 중석기 시대(기원전 10,000~6,0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칼루가 도시들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2세기의 사건, 특히 올레고비치와 모노마호비치 사이의 봉건 전쟁과 관련되어 있다 (코젤스크 - 1146년, 세렌스크 - 1147년, 보로틴스크 - 1155년, 모살스크 - 1231년).[36]

14세기에는 칼루가 지역이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의 끊임없는 분쟁 지역이었다.[36] 칼루가는 전통적으로 리투아니아의 공격으로부터 모스크바 공국을 보호하기 위한 국경 정착지로 설립되었다고 여겨진다. 현재 칼루가주의 서부 및 남부 지역과 코젤스크, 모살스크, 메슈초프,[11] 세르페이스크,[12] 페레미슐, 보로틴스크와 같은 도시들의 약 절반이 14세기 말~15세기에 리투아니아의 일부였다.

칼루가 현의 여성들이 전통 러시아 복장을 하고 있다.


1480~1481년 사이에 칼루가 영토는 우그라 강 대전투가 벌어진 곳으로, 이 전투의 결과 러시아는 타타르의 지배에서 벗어나 모스크바가 주권 국가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16세기와 17세기에는 무역과 수공업이 활발하게 발달하면서, 칼루가는 목공예와 보석 제작 기술로 유명해졌다. 1654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재통일된 후, 칼루가는 모스크바와 우크라이나 사이의 무역 중개자 역할을 하면서 경제적으로 더욱 발전했다.

1776년 8월 24일, 예카테리나 2세는 칼루가와 툴라 주를 통합하여 칼루가 부왕령을 설치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부왕령의 중심지는 새로운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1795년, 파벨 1세 통치 기간 동안 칼루가 부왕령은 주로 변경되었다.

몽골 제국의 러시아 침공 이전에는 이 지역은 체르니고프 공국의 통치를 받았으나, 점차 체르니고프 공 미하일 2세의 후손들에 의한 수십 개의 영지로 분열되었다. 이들은 리투아니아 대공국모스크바 대공국 사이에 있었기 때문에 지배자가 변동하며 압박을 받았다.

14세기부터 15세기에 걸쳐 오카 강의 상류, 이 주와 툴라주의 영역에 걸쳐 10개의 작은 공국 (벨료프, 노보실, 오도예프, 볼로틴스크, 마살스크, 즈베니고로트, 카라체프, 코젤스크, 페레미실, 타루사, 메시초프스크, 보랴치노, 오보렌스크)이 난립하여 리투아니아에 조공을 강요받았다.

가톨릭의 폴란드와 리투아니아의 동맹 시, 이 지역의 영주들은 리투아니아의 확장에 대항하여 15세기 말에는 모스크바 공국의 편에 섰다. 그 때문에 1494년, 리투아니아는 이 지역의 영토를 모두 잃었다.

2. 4. 소련 시대

가짜 드미트리 2세가 모스크바의 차르에 등극하기 위해 자리를 잡았던 곳이 칼루가주이다. 칼루가주의 영토는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으며, 타루사강은 러시아 민족의 역사와 기원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가장 오래된 인류 유적은 중석기 시대(기원전 10,000~6,000년)로 거슬러 올라간다. 칼루가 도시들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2세기의 사건, 특히 올레고비치와 모노마호비치 사이의 봉건 전쟁과 관련되어 있다 (코젤스크 - 1146년, 세렌스크 - 1147년, 보로틴스크 - 1155년, 모살스크 - 1231년).[36]

1480~1481년 사이에 칼루가 영토는 우그라 강 대전투가 벌어진 장소였으며, 이로 인해 러시아 땅이 타타르의 지배에서 해방되었고 모스크바가 주권 국가로 변모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코젤스크에는 1939년 소련의 폴란드 침공 당시 포로로 잡혀 1940년 카틴 학살에서 살해된 폴란드인들을 위한 소련 전쟁 포로 수용소가 있었다. 1941년, 이 지역은 나치 독일에 점령되었고, 이후 소련군의 제10군, 제16군, 제33군, 제43군, 제49군, 제50군, 제61군, 제20전차여단, 제1항공군, 제1기병군 및 노르망디 비행대에 의해 독일 점령으로부터 해방되었다.

현대 주(oblast)는 1944년 7월 5일 소련 최고 소비에트 간부회의 칙령에 따라 설립되었다. 소련 해체 이후 칼루가주는 러시아 연방의 연방 주체가 되었다. 1996년 3월, 칼루가주 헌장이 채택되었다.

2. 5. 러시아 연방 시대

가짜 드미트리 2세가 모스크바의 차르 자리를 노리고 이곳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소련 해체 이후 칼루가주는 러시아 연방의 연방 주체가 되었습니다. 1996년 3월에는 칼루가주 헌장이 채택되었습니다.[36]

2023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에는 우크라이나군으로부터 드론 공격을 받았습니다.[38][39]

3. 지리

칼루가주는 동유럽 평원의 중앙부에 위치해 있다.[10] 주의 영토는 중앙 러시아 고지(평균 해발고도 200m 이상, 남동부 최고 해발고도 275m), 스몰렌스크-모스크바 고지, 드네프르강–데스나강 유역 사이에 있다. 주의 대부분은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평원, 들판,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행정 중심지는 바랴티노-수히니치 평원에 있다. 주의 서쪽 부분은 범람원 평원에 위치해 있으며, 스파스-데멘스크 산등성이가 지배적이다. 남쪽에는 평균 해발고도가 200m에 달하는 브랸스크-지즈드라 삼림의 일부인 범람원이 있다.

칼루가주는 북쪽에서 남쪽으로 220km 이상 뻗어 있으며, 북위 53°30′에서 55°30′까지, 동쪽에서 서쪽으로는 220km이다. 면적은 29800km2이다.

주의 영토는 칼루가를 모스크바, 브랸스크, 키이우, 리비우, 바르샤바와 연결하는 주요 국제 간선 도로 및 철도가 통과한다.[36]

3. 1. 인접 지역

칼루가 주는 모스크바주, 툴라주, 브랸스크주, 스몰렌스크주, 오룔주와 접해 있다.[10] 2012년 7월 1일부터 모스크바 연방시와도 접하고 있다.

방위접경 지역
북서쪽스몰렌스크주
북동쪽모스크바주
동쪽툴라주
남쪽오룔주
남서쪽브랸스크주
(없음)모스크바 연방시 (2012년 7월 1일부터)


3. 2. 기후

칼루가주의 기후는 뚜렷한 계절을 가진 온대 대륙성 기후이다. 즉, 덥고 습한 여름과 눈이 안정적으로 쌓이는 춥고 긴 겨울이 나타난다. 7월 평균 기온은 북부에서 18°C, 남부에서 20°C이며, 1월에는 북동부에서 -11°C, 남서부에서 -8°C이다. 온난 기간(평균 기온이 0도 이상)은 215~220일이다. 칼루가주 영토는 상당한 양의 태양 복사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1제곱센티미터당 약 115Kcal에 달한다. 연평균 기온은 북부와 북동부에서 3.5°C~4°C에서 서부와 동부의 4°C~4.6°C까지 다양하다. 무상 기간은 113~127일이다. 칼루가주 북부가 가장 춥고, 중앙부는 비교적 춥다. 남부의 삼림 스텝 지역은 기후가 비교적 온화하다. 강수량은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북부와 서부에서 780mm~826mm까지, 남부에서 690mm~760mm까지 다양하다.

3. 3. 수자원

오카 강은 이 지역의 주요 강이다. 우그라 강, 지즈드라 강, 프로트바 강, 보랴 강도 이 지역을 흐르는 강이다. 큰 호수로는 베즈돈 호수와 스뱌토예 호수가 있다.

3. 4. 동식물

2006년 기준으로 숲이 차지하는 총 면적은 약 1380000ha이다. 포유류로는 불곰, 스라소니, 엘크, 늑대, 멧토끼, 다람쥐 등 전형적인 숲 속 동물들이 있다. 이 지역 남부에는 최근 오를롭스코예 뽈레세 국립공원에 방사된 들소가 가끔 출현한다. 수생 동물로는 칠성장어 2종과 경골어류 41종이 있다. 다양한 어종은 서식지의 다양성으로 설명된다. 양서류 11종 중 가장 흔한 종은 유럽빗영원과 영원, 붉은배두꺼비, 두꺼비, 푸른 두꺼비, 다양한 호수, 연못, 늪지, 풀개구리이다. 파충류는 독성이 있는 살무사와 무해한 유혈목이, 을 포함하여 7종이 있다.

총 267종의 조류가 이 지역을 방문하는 것으로 등록되었으며, 이 중 177종은 번식하고, 58종은 이동하며, 32종은 가끔 통과한다. 가장 중요한 맹금류 서식지는 칼루츠키예 자세키 자연 보호구역과 비테베트 강, 레세타 강 사이의 유간 지역에 위치해 있다. 가장 큰 개체군은 다음과 같다. 물새 - 청둥오리, 반수생 - 검은머리갈매기, 숲 - 되새, 유럽솔새, 강둑을 따라 - 모래제비, 정착지 - 집비둘기, 칼새, 갈까마귀, 참새.

3. 5. 환경

러시아 천연자원환경부에서 발행한 정부 보고서 《러시아 연방의 환경 현황 및 보존에 관한 보고서》에 따르면 칼루가주는 중앙 연방관구에서 가장 생태적으로 깨끗한 지역 중 하나이다. 몇몇 성공적인 생태 정착지가 있는데, 그 예로 칼루지스키예 자세키 자연 보호 구역, 우그라 국립공원, 타루사 자연 보호 구역, 그리고 칼루즈스키 보르 자연 보호 구역이 있다.[1]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주의 남부와 남서부가 방사성 오염되었다.[1] 9개 지역에서 방사능 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으며,[1] 방사선량은 확립된 방사선 상황을 준수하고 있다.[1]

4. 행정 구역

칼루가주는 24개의 구(район)와 4개의 주 직할시로 나뉜다.[24] 지방 자치체에 따르면, 행정 구역의 영토는 24개의 지방 자치구로 통합되고, 2개의 주 직할시의 영토는 도시 구역으로 통합된다.[25] 다른 2개의 주 직할시는 해당 지방 자치구 내의 도시형 정착지로 통합된다.[26]

칼루가주를 구성하는 지구(라이온)는 다음과 같다.

지구(районru)중심지
바비니노 지구(Бабынинский районru)바비니노
바랴티노 지구(Барятинский районru)바랴티노
보롭스크 지구(Боровский районru)보롭스크
두미니치 지구(Думиничский районru)두미니치
제르진스키 지구(Дзержинский районru)콘드로보
지즈드라 지구(Жиздринский районru)지즈드라
주코프 지구(Жуковский районru)주코프
이즈노스키 지구(Износковский районru)이즈노스키
키로프 지구(Кировский районru)키로프
코젤스크 지구(Козельский районru)코젤스크
쿠이비셰프 지구(Куйбышевский районru)베트리차
류디노보 지구(Людиновский районru)류디노보
말로야로슬라베츠 지구(Малоярославецкий районru)말로야로슬라베츠
메드이느 지구(Медынский районru)메딘
메시초프스크 지구(Мещовский районru)메시초프스크
모사리스크 지구(Мосальский районru)모사리스크
페레믜슐 지구(Перемышльский районru)페레믜슐
스파스-데멘스크 지구(Спас-Деменский районru)스파스-데멘스크
수히니치 지구(Сухиничский районru)수히니치
타루사 지구(Тарусский районru)타루사
울리야노프스크 지구(Ульяновский районru)울리야노보
페르지코보 지구(Ферзиковский районru)페르지코보
흐바스토비치 지구(Хвастовичский районru)흐바스토비치
유흐노프 지구(Юхновский районru)유흐노프



※ 지구에서 독립한 주 직할시

5. 주민

2022년 기준 칼루가주의 출생아 수는 8,462명(1,000명당 8.4명), 사망자 수는 15,307명(1,000명당 15.2명)이다.[14][15] 2022년 합계출산율은 여성 1인당 1.34명이며,[16] 2021년 기준 기대 수명은 전체 69.16세(남성 64.31세, 여성 74.12세)이다.[17]

5. 1. 민족 구성

2002년 조사에 따르면 칼루가주에는 104만 900명의 주민이 거주했다. 1996년 조사에서는 러시아인 93.8%, 우크라이나인 2.8%, 벨라루스인 0.8%, 타타르족, 집시 0.3%, 아제르바이잔인, 모르도바인, 유대인 0.2%, 아르메니아인, 몰도바인, 루마니아인 0.1%, 기타 1.2% 순으로 나타났다.

2002년 인구 조사[19]에 따른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민족인구 수
러시아인973,600
우크라이나인23,200
아르메니아인7,100
벨라루스인6,600
타타르족4,300
집시3,200
아제르바이잔인3,200
독일인1,500
몰도바인1,400
모르도바인1,400
추바시인1,100
조지아인1,100



2021년 조사에 따른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21]

민족인구비율
러시아인906,53390.4%
타지크인18,7151.9%
아르메니아인12,5191.2%
우즈베크인12,0841.2%
우크라이나인8,8480.9%
기타44,6564.5%
민족 미상66,549


5. 2. 종교

칼루가주 시골에 있는 로드노베리 사원


칼루가주는 슬라브 토착 신앙(로드노베리) 운동의 중심지이며, 칼루가시에는 슬라브 토착 신앙 공동체 연합(Союз Славянских Общин Славянской Родной Веры)의 본부가 있다. 이 지역에는 슬라브 신들에게 바쳐진 많은 사원이 있다.[22][23]

2012년 스레다 아레나 아틀라스(Sreda Arena Atlas) 조사에 따르면 칼루가주의 종교 분포는 다음과 같다.[22][23]

종교비율
러시아 정교48.6%
기타 동방 정교회2%
고(古) 신자0.6%
기타 기독교7.9%
이슬람교0.6%
로드노베리 및 기타 토착 신앙1.6%
무종교, 그러나 영적인25.9%
무신론불가지론8.9%
기타 및 미신고3.9%


6. 경제

칼루가 주는 러시아 연방에서 경제적으로 가장 발전된 주 중 하나이다. 이 지역에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주요 국제 기업으로는 폭스바겐(Volkswagen), 볼보(Volvo), 푸조(Peugeot), 시트로엥(Citroen), 미쓰비시(Mitsubishi), GE, 삼성(Samsung), 콘티넨탈(Continental), 베를린-케미/메나리니(Berlin-Chemie/Menarini), 노보 노디스크(Novo Nordisk), STADA CIS 등이 있다. 터보 발전기 및 가스 터빈 엔진, 철도 장비, 건축 자재, 전자 제품, 광학 시스템 제조업체 등을 대표하는 전통적인 경제 부문에서도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1]

6. 1. 산업

칼루가주에서 추진되는 경제 정책은 산업 단지의 구조를 변화시키고 첨단 기술 생산 기업의 발전을 위한 조건을 만들었다. 이 지역에는 2,747개의 다양한 기업이 있으며, 이는 지역 총생산(GRP)의 약 40%와 지방 예산의 세금 납부액의 절반 이상을 창출한다. 이 지역 주민의 거의 3분의 1이 산업에 종사하고 있다.

이 지역 산업의 전통적인 기반은 자동차 복합 단지이다.

6. 2. 과학 및 교육


  • 모스크바 공학 물리학 연구소의 지부인 국립 핵 연구 대학교 MIFI 오브닌스크 핵 에너지 연구소, 의학부가 있다.
  • 칼루가 치올코프스키 국립 대학교가 있다.
  • 러시아 국립 과학 센터의 지부인 카르포프 물리학 및 화학 과학 연구소가 있다.
  • 러시아 공중 보건부 산하 의료 방사선 과학 센터가 있다.
  • 레이푼스키 물리 에너지 연구소가 있다.

7. 교통

콘드로보 철도역


주요 지역 교통 요지는 칼루가, 옵닌스크, 수히니치에 있다.

M3 "우크라이나" 고속도로는 주요 자동차 고속도로로, 하루 최대 대의 차량이 통행하며, 발라바노보, 옵닌스크, 말로야로슬라베츠, 칼루가, 수히니치, 지즈드라 마을을 통과한다. 모스크바 - 바르샤바 연방 고속도로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하루 최대 대의 차량이 통행하며, 벨로우소보, 옵닌스크, 말로야로슬라베츠, 메딘, 유흐노프, 스파스데멘스크를 통과한다. 또한 지역 도로인 비야즈마-칼루가-툴라-랴잔 고속도로가 있으며, 하루 최대 대의 차량이 통행하며, M3 "우크라이나" 고속도로 구간은 발라바노보 마을을 통과한다. 포장도로의 총 길이는 6564km이다. 일반 사용 포장도로 네트워크의 밀도는 1,000km2당 165km이다.

간선 철도 모스크바 - 키예프는 발라바노보, 옵닌스크, 말로야로슬라베츠, 수히니치를 통과한다. 또한, 지역에는 단선 디젤 노선도 있다. 칼루가에는 대규모 기관차 및 디젤 동차 차고가 있다. 일반 사용 철도의 총 길이는 872km이다. 일반 사용 철도의 밀도는 1,000km2당 29km이다.

칼루가시 근처에 위치한 그랍체보 공항(2008년 폐쇄), 예르몰리노 마을의 군용 비행장, 샤이코프카의 대규모 군용 비행장을 포함하여 4개의 비행장이 있다.[28]

칼루가에서 흐르는 오카강 부분은 러시아의 국내 수로 중 하나이다. 세르푸호프에서 타루사까지, 세르푸호프에서 벨레고시까지 관광 유람선이 운행된다. 또한 칼루가알렉신 노선을 따라 운행하는 "루치"라는 두 척의 모터선이 있다. 항해 가능하고 조건부 항해 가능한 수로의 총 길이는 101km이다. 모스크바 - 칼루가 급행(하루 3회 출발, 소요 시간 - 2시간 40분)이 특히 중요하다.

칼루가의 시내 교통은 잘 발달된 트롤리버스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8. 문화

칼루가주에서 관광객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지역은 주도인 칼루가, 옵티나 수도원, 군사적 영광의 도시인 코젤스크, 과학 도시 오브닌스크, 나폴레옹 군대가 저지된 말로야로슬라베츠와 메슈초프스크, 폴로트냐니 자보드의 곤차로프 영지, 스뱌토-티호노바 푸스틴 수도원과 스뱌토-파프누티예프 보로프스키 수도원, 타루사 마을, 보로비 동물원 등이다. 유네스코 우그라 국립공원과 칼루즈스키에 자세키와 같은 독특한 자연 보호 구역에는 다양한 관광 코스가 개설되어 있다. 칼루가주에는 3,5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춘 15개의 건강 관리 센터와 여름 휴양지가 있다.

아르히스토야니에


미르 기타리 페스티벌에서의 존 맥러플린


관광객을 위해 정기적으로 개최되는 주요 행사들은 다음과 같다.

  • 아르히스토야니에 페스티벌
  • 푸스티에 홀미 페스티벌
  • 말로야로슬라베츠 자전거 축제
  • 벨리 크롤리크 페스티벌
  • 칼루가 미르 기타리 페스티벌[29][30]
  • 칼루가 젤레즈니예 데비 록 음악 축제[31]


16세기 초, 칼루가는 리투아니아모스크바를 잇는 주요 상업 항구 역할을 했다.[32] 당시 이 도시는 지방 경계를 넘어 멀리까지 알려진 나무 식기를 수출했다. 1680년대부터 나무 교회 부지에 석조 교회가 건설되었다. 18세기 후반까지 칼루가에는 183개의 석조 건물과 2235개의 목조 건물이 있었다. 반원형 돔과 패턴이 있는 처마 장식이 있는 17세기 코로보프 저택은 이 시대의 훌륭한 토목 건축의 예이다.[33]

8. 1. 스포츠

FC 칼루가는 2009년 12월 칼루가주 스포츠, 관광 및 청소년 정책부, 칼루가 시청, 갈란투스&K OOO에 의해 설립된 자율 비영리 단체이다. 신탁 이사회는 아나톨리 아르타모노프 칼루가주 주지사가 의장을 맡고 있다.

FC 칼루가는 2010년 시즌 러시아 선수권 대회 중부 지구(2부 리그)에서 10위를 차지했다. 칼루가 FC의 지원을 받은 올림픽 예비 전문 유소년 축구 학교는 4개 연령대에서 러시아 선수권 대회에 칼루가주를 대표할 수 있게 되었다. 러시아 선수권 대회의 공식 라운드 훈련과 축구 경기는 안넨키 어린이 청소년 스포츠 학교의 축구 경기장에서 열린다.[13]

8. 2. 미디어

니카 FM 라디오 및 니카 TV 방송국이 칼루가주에서 운영되고 있다.[34][35]

9. 정치

칼루가주 정부 건물


칼루가주 헌장은 주의 기본 법률이다. 칼루가주 입법 의회는 주의 상설 입법(대표) 기구이다. 최고 행정 기구는 주 정부이며, 여기에는 개발을 촉진하고 주의 일상 업무를 운영하는 구역 행정부, 위원회 및 위원회와 같은 주 집행 기구가 포함된다. 주 행정부는 최고 공무원인 주지사의 활동을 지원하며, 러시아 헌법에 따라 주 헌장의 준수를 보장하는 역할을 한다.[36]

9. 1. 칼루가주 입법 의회

빅토르 세르게예비치 바부린은 칼루가주 입법 의회의 의장이다.[37]

9. 2. 2020년 입법 의회 선거

통일 러시아 당이 42.43%의 득표율로 승리하여 칼루가주 의회에서 29석을 확보했다.

정당득표율의석 수
통일 러시아42.43%29석
러시아 연방 공산당12.90%3석
자유민주당8.60%2석
새로운 사람들8.08%2석
정의 러시아8.01%3석
연금 수급자당7.84%1석


10. 상징

11. 저명한 출신 인물


  •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1857–1935) — 로켓 과학자.
  • 옵티나의 암브로스 (1812–1891) — 러시아 정교회 사제, 이예로몬크.
  • 게오르기 주코프 (1896—1974) — 소련의 군 지도자, 1943년 소련 원수
  • 예브도키야 로푸히나 (1669—1731) — 표트르 1세의 첫 번째 부인, 차리나.
  • 예브도키야 스트레시네바 (1608—1645) — 미하일 1세의 두 번째 부인, 차리나.
  • 파프누티 체비쇼프 (1821—1894) — 러시아의 수학자이자 기계 공학자.
  • 미하일 얀신 (1902—1976) — 소련 배우이자 영화 감독.
  • 타티아나 셰프초바 (1969년 출생) — 러시아 국방부 차관.
  • 아나톨리 알타모노프 — 주지사.

참조

[1] 문서 Law #423-OZ
[2] 문서 Charter of Kaluga Oblast, Article 4.4
[3]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09-01
[4] 간행물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http://kalugastat.gk[...] Kaluga Oblast Territorial Branch of the Russian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5] 문서 Charter of Kaluga Oblast, Article 3.2
[6] 문서 Charter of Kaluga Oblast, Article 26.1
[7] 웹사이트 Anatoly Dmitriyevich Artamonov http://www.artamonov[...] Official website of the Governor of Kaluga Oblast
[8] 문서 Charter of Kaluga Oblast, Article 18.1
[9] 문서 ru-pop-ref
[10] 서적 Промышленность. Россия: Центральный федеральный округ (том 5) https://books.google[...] Business Information Agency
[11]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VI
[12]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X
[13]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XIII
[14]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registered births, deaths, marriages and divorces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15] 웹사이트 Birth rate, mortality rate, natural increase, marriage rate, divorce rate for January to December 2022 https://rosstat.gov.[...] 2023-02-21
[16] 웹사이트 Суммарный коэффициент рождаемости https://rosstat.gov.[...] 2023-08-10
[17] 웹사이트 Демографический ежегодник Росс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of Russia (Rosstat) 2022-06-01
[18] 문서 ru-pop-ref
[19] 문서 ru-pop-ref
[20] 문서 ru-pop-ref
[21] 웹사이트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2-12-30
[22] 웹사이트 Arena: Atlas of Religions and Nationalities in Russia http://sreda.org/en/[...] Sreda 2012
[23] 뉴스 2012 Arena Atlas Religion Maps http://c2.kommersant[...] Ogonek 2012-08-27
[24] 웹사이트 Законодательство по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му устройству http://old.admoblkal[...] 2013-03-10
[25] 웹사이트 Закон «Об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м устройстве Калужской области» http://docs.cntd.ru/[...] 2016-11-18
[26] 웹사이트 Об отнесении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ов, расположенных на территории Калужской области, к категории городских и сельских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ов https://docs.cntd.ru[...] 2021-08-03
[27] 웹사이트 Международный аэропорт «Ермолино» http://www.investkal[...] 2016-02-15
[28] 웹사이트 Ворсино – контейнерное царство http://www.gudok.ru/[...] Гудок 2018-12-27
[29] 웹사이트 В Калуге, Москве и Владимире пройдёт 26-ой международный фестиваль гитарной музыки https://artmoskovia.[...] 2023-05-12
[30] 웹사이트 Джон Маклафлин в Калуге: преодоление гравитации http://www.jazz.ru/m[...] 2016-10-12
[31] 웹사이트 «Железные девы» возродятся как опен-эйр https://kaluga24.tv/[...] 2013-03-27
[32] 웹사이트 Древнейшие поселения Калужской области. http://kaluga-poisk.[...] 2016-04-23
[33] 서적 Летопись калужская от отдалённых времён до 1841 года https://books.google[...] Рипол Классик 2017-01-05
[34] 웹사이트 «Ника ТВ» начнёт цифровое эфирное вещание https://kgvinfo.ru/n[...] 2019-11-06
[35] 웹사이트 Календарь знаменательных и памятных дат Калужской области 2016 года http://belinklg.ucoz[...] 2016-10-07
[36] 서적 Калужская область: население, экономика, соц. сфера, экология, культура, туризм: краевед. материалы Издательство Н. Ф. Бочкарёвой 2015
[37] 웹사이트 Кутаенки https://rodnaya-vyat[...] Родная Вятка 2015-09-07
[38] 웹사이트 攻撃継続中の情報も…ロシアに“最大規模”ドローン攻撃 モスクワで一時全空港閉鎖 https://news.tv-asah[...] 2023-09-02
[39] 웹사이트 ウクライナ、ロシア各地で大規模ドローン攻撃 https://www.nikkei.c[...] 2023-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