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퀴외스티 칼리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퀴외스티 칼리오는 핀란드의 정치인으로, 핀란드 중앙당 소속으로 여러 차례 총리를 역임했으며, 1937년부터 1940년 사망할 때까지 핀란드 대통령을 지냈다. 그는 농민 출신으로 농업 개혁에 힘썼으며, 핀란드의 독립과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 1940년 겨울 전쟁 중 건강 악화로 대통령직을 사임하고, 같은 해 헬싱키에서 열린 송별식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농무장관 - 페테리 오르포
    페테리 오르포는 1969년생 핀란드 정치인으로, 2007년 국회의원 당선, 내무부 및 재무부 장관을 거쳐 2023년 총선 승리 후 핀란드 총리가 되었으며, 공공 지출 삭감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이스라엘을 지지했다.
  • 핀란드의 교통장관 - 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유호 쿠스티 파아시키비는 핀란드의 독립과 냉전 시대 생존에 기여한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총리, 스웨덴/소련 대사를 거쳐 대통령을 역임하며 소련과의 우호 관계 구축 및 '파아시키비 독트린'을 통해 핀란드의 안보와 독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핀란드의 교통장관 - 산나 마린
    핀란드의 정치인 산나 마린은 사회민주당 소속으로 탐페레 시의회 의원, 국회의원, 교통통신부 장관을 거쳐 2019년 12월부터 2023년 6월까지 핀란드 총리를 역임하며 최연소 총리가 되었고, 코로나19 팬데믹 초기 대응으로 주목받았으나 사생활 및 공금 사용 논란을 겪었으며, 2023년 총선 후 총리직에서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다.
퀴외스티 칼리오 - [인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퀴외스티 칼리오 (1937년)
퀴외스티 칼리오 (1937년)
본명퀴외스티 칼리오
출생일1873년 4월 10일
출생지핀란드 대공국 윌리비에스카
사망일1940년 12월 19일
사망지핀란드 헬싱키
국적핀란드
배우자카이사 니발라
자녀6명
직업농부
은행원
퀴외스티 칼리오 서명
정치 경력
소속 정당농민 동맹
대통령
임기 시작1937년 3월 1일
임기 종료1940년 12월 19일
총리아이모 카얀데르
리스토 뤼티
이전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이후리스토 뤼티
총리
임기 시작1922년 11월 14일
임기 종료1924년 1월 18일
대통령카를로 유호 스톨베리
이전아이모 카얀데르
이후아이모 카얀데르
임기 시작1925년 12월 31일
임기 종료1926년 12월 13일
대통령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이전안티 툴렌헤이모
이후배이뇌 탄네르
임기 시작1929년 8월 16일
임기 종료1930년 7월 4일
대통령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이전오스카리 만테레
이후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임기 시작1936년 10월 7일
임기 종료1937년 2월 15일
대통령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이전토이보 미카엘 키비매키
이후아이모 카얀데르
의회 의장
임기 시작1920년 5월 8일
임기 종료1921년 3월 29일
이전라우리 크리스티안 렐란데르
이후배이뇌 부올리요키
임기 시작1922년 9월 6일
임기 종료1922년 11월 14일
이전배이뇌 부올리요키
이후배이뇌 부올리요키
임기 시작1924년 5월 2일
임기 종료1925년 3월 31일
이전파보 비르쿠넨
이후배이뇌 부올리요키
임기 시작1927년 9월 3일
임기 종료1928년 1월 31일
이전파보 비르쿠넨
이후파보 비르쿠넨
임기 시작1929년 2월 1일
임기 종료1929년 8월 16일
이전파보 비르쿠넨
이후파보 비르쿠넨
임기 시작1930년 10월 21일
임기 종료1936년 10월 8일
이전유호 수닐라
이후배이뇌 하킬라
농림부 장관
임기 시작1917년 11월 27일
임기 종료1918년 5월 27일
총리페르 에빈드 스빈후부드
이전퀴외스티 칼리오
이후퀴외스티 칼리오
임기 시작1918년 5월 27일
임기 종료1918년 8월 17일
총리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이전퀴외스티 칼리오
이후우노 브란데르
임기 시작1919년 4월 17일
임기 종료1919년 8월 15일
총리카를로 카스트렌
이전우노 브란데르
이후퀴외스티 칼리오
임기 시작1919년 8월 15일
임기 종료1920년 3월 15일
총리유호 벤놀라
이전퀴외스티 칼리오
이후에로 위리외 페흐코넨
임기 시작1921년 4월 9일
임기 종료1922년 6월 2일
총리유호 벤놀라
이전에로 위리외 페흐코넨
이후칼 엘프빙
국방부 장관
임기 시작1923년 6월 22일
임기 종료1923년 8월 16일
총리퀴외스티 칼리오
이전브루노 얄란데르
이후빌호 네노넨
교통 공공 사업부 장관
임기 시작1925년 3월 31일
임기 종료1925년 12월 31일
총리안티 툴렌헤이모
이전에로 하흘
이후유호 니우카넨
의회 의원
임기 시작1907년 5월 22일
임기 종료1937년 2월 15일
지역구피폴라
선수16

2. 생애

퀴오스티 칼리오는 1873년 핀란드 대공국 윌리비에스카에서 지역 유지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명은 구스타프 칼리오캉아스(Gustaf Kalliokangassv)였다.[5] 그의 아버지는 농장주이자 지역 유력 정치인으로 1904년부터 1906년까지 핀란드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다.

제1차 핀란드 압러시아화 운동 당시 칼리오는 젊은 핀란드당 당원으로 정계에 입문,[6] 1904년 핀란드 국회에 선출되었다.[24] 호헌파로서 카갈리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1906년 농민연맹에 합류하여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고, 1907년 의회 개혁 이후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5]

1917년 2월 혁명 이후, 칼리오는 핀란드의 헌정 질서 복원을 위한 대표단의 일원으로 페트로그라드에 파견되었다.[7] 오스카리 토코이를 원로원장으로 하는 의회식 상원이 구성되자 농업 장관을 맡아 농민 파업 중재와 식량 문제 해결에 힘썼다.[7] 10월 혁명 이후, P. E. 스빈후부드 상원에서 농업 장관으로 임명되어 핀란드 독립 선언을 주도했다.[7] 핀란드 내전 기간에는 헬싱키에 숨어 백군을 지원했고, 독일군이 헬싱키를 탈환한 후 새로운 상원(정부)을 구성하여 온건한 평화 조정자 역할을 맡았다.[7]

핀란드 내전 이후 핀란드의 국체 논쟁에서 칼리오는 공화제를 지지했고, 군주제를 주장한 파시키비 원로원에서 사퇴했다.[34] 1919년 카를로 카스트렌 내각과 제1차 벤놀라 내각에서 농무장관을 역임했다. 1920년 의회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921년 제2차 벤놀라 내각에서 농무장관으로 다시 입각하여 1922년 '칼리오법'으로 불리는 토지개혁법을 시행했다.

1922년, 1925년, 1929년, 1936년 네 차례 총리를 역임했다. 제1차 칼리오 내각은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당(SSTP) 당원 200여 명을 체포했고,[29] 1925년에는 칼리오법의 토지개혁을 확장시키는 풀키넨법이 만들어졌다.[31][32] 제3차 칼리오 내각은 라푸아 운동의 압력으로 공산주의 억압 법안을 통과시켰다.

1937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서 농업동맹, 국민진보당, 사회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대통령에 당선되었다.[36] 의원내각제 대통령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신의 권력 행사를 자제했다.

겨울 전쟁 중 칼리오는 소비에트 연방에 영토를 양보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1940년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서명해야 했다. 이후 건강이 악화되어 1940년 8월 뇌졸중으로 쓰러졌고, 리스토 뤼티 총리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다.[37] 1940년 11월 대통령직 사임을 발표했고, 12월 19일 헬싱키 중앙역에서 열린 송별식 도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40][41]

2. 1. 어린 시절

퀴오스티 칼리오는 1873년 핀란드 대공국 윌리비에스카에서 지역 유력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본명은 구스타브 칼리오캉아스(Gustaf Kalliokangassv)이다.[5] 1886년 친척 아주머니의 도움으로 라헤에서 문법학교를 다녔고, 오울루에서 학업을 이어갔다.[14] 칼리오는 학업보다 청소년 단체 활동과 농사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 산테리 알키오의 영향으로 청년운동에 참여했다. 칼리오는 문법학교 졸업이 최종 학력으로,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지지 않은 유일한 핀란드 대통령이다.

1894년 칼리오는 니바의 고향집 외에 헤이킬래와 메흐탤래 저택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후 10년간 토지 매입, 개간, 건물 건설 등을 통해 농장을 확장했다. 지역 청년 단체와 상호저축은행 일에도 참여했다.

2. 2. 정치 입문

제1차 핀란드 압러시아화 운동 당시 퀴외스티 칼리오는 젊은 핀란드당 당원으로 정계에 입문했다.[6] 1904년 피폴라에서 농민부 의원으로 핀란드 국회에 선출되었는데, 31세의 젊은 의원은 상당히 이례적이었다.[24] 칼리오는 호헌파로서, 러시아 제국의 핀란드 징병 정책에 반대하는 비밀결사 카갈리의 일원이었다. 1904년 3월에는 러시아로부터 추방당한 독립운동가들과 스웨덴 북부 보덴에서 만나기도 했다(보덴 회동).[25]

1906년, 칼리오는 신생 농업 연맹(이후 농민연맹으로 개칭)에 합류하여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907년 의회 개혁 이후 보통평등선거에서 청년 핀란드당과 농촌연맹의 지지를 받아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그는 청년 핀란드당이 농촌 문제에 비교적 무관심하다고 판단하여 농촌연맹으로 당적을 옮겼다.[25]

1917년 3월, 러시아에서 2월 혁명이 일어나자 칼리오는 제2차 러시아화 정책으로 파괴된 핀란드의 헌정 질서 복원을 요구하는 대표단의 일원으로 페트로그라드에 파견되었다.

2. 3. 핀란드 독립과 내전

1917년 2월 혁명으로 니콜라이 2세 차르가 퇴위하자, 핀란드에서는 러시아 임시정부의 아드리안 네페닌 부제독이 핀란드 정부 변화를 감독하게 되었다. 칼리오는 농업 연맹을 대표하여 이 과정에 참여했고, 핀란드 정치인들이 러시아화 운동 중단을 협상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파견한 사절단의 일원이었다.[7]

사절단은 성공적이었고, 핀란드는 오스카리 토코이를 원로원장으로 하는 의회식 상원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칼리오는 이 원로원에서 농업 장관을 맡아 농민 파업 중재와 식량 문제 해결에 힘썼다.[7]

차르 퇴위 이후, 핀란드 의회는 국가 최고 권력 이양 문제를 두고 우익과 좌익 간 갈등을 겪었다. 칼리오는 처음에는 사회주의자들의 주장을 지지했지만, 그들이 러시아 볼셰비키멘셰비키와 협력하는 것을 반대하여 결국 반대표를 던졌다. 사회주의자들의 제안은 통과되었지만, 러시아 임시정부의 알렉산드르 케렌스키1917년 9월 8일 핀란드 의회를 해산했다. 칼리오를 포함한 사회주의 상원 의원들은 사임했다.[7]

10월 혁명 이후, 핀란드 부르주아들은 볼셰비키 통치가 핀란드로 확산될 것을 우려하여 의회에 최고 권력을 부여하는 타협에 동의했다. 칼리오는 P. E. 스빈후부드 상원에서 다시 농업 장관으로 임명되어 핀란드 독립 선언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12월 4일 상원은 의회에 독립 선언을 제출했고, 칼리오가 작성한 결의안은 다음 날 의회에서 100대 88표로 통과되었다.[7]

핀란드 내전 당시 칼리오는 적군이 장악한 헬싱키에 숨어 지내며 백군을 지원했다. 독일군이 헬싱키를 탈환한 후, 칼리오는 헬싱키에서 새로운 상원(정부)을 구성하고 온건한 평화 조정자 역할을 맡아 적군에 대한 보복에 반대했다. 그는 니발라에서의 화해 연설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7][8]

2. 4. 공화정 수립과 개혁

핀란드 내전 이후 핀란드의 국체를 둘러싼 논쟁에서 칼리오는 공화제를 지지했고, 군주제를 주장한 파시키비 원로원에서 사퇴했다.[34] 이후 핀란드는 민주공화국이 되었다.

칼리오는 1919년 카를로 카스트렌 내각과 제1차 벤놀라 내각에서 농무장관을 역임했다. 그는 만네르헤임의 러시아 내전 참전과 동카리알라 문제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

1920년 칼리오는 의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 1921년 제2차 벤놀라 내각에서 농무장관으로 다시 입각하여 1922년부터 '칼리오법'으로 불리는 토지개혁법을 시행했다. 칼리오법은 새로운 정착지 개척을 장려하고 소작농들을 소규모 자영농으로 독립시키는 것을 목표로 했다.

2. 5. 총리 임기

칼리오는 1922년 11월 14일 총리로 취임했다.[28] 1923년 8월, 제1차 칼리오 내각은 핀란드 사회주의 노동자당(SSTP) 당원 200여 명을 체포했는데, 이때 SSTP의 준군사조직 뿐 아니라 지도부도 모두 체포되었고, 현직 의원도 27명 체포되었다. 사민당은 SSTP 의원들의 체포로 의회 정족수가 미달하게 되자 즉각적인 의회 해산과 재선거를 요구했다. 칼리오는 사퇴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스톨베리 대통령이 사민당과 합의하여 새로 선거를 하기로 했고, 칼리오 내각은 행정관료 출신의 아이모 카얀데르가 이끄는 제2차 카얀데르 내각으로 대체되었다.[29]

1925년에는 칼리오법의 토지개혁을 더욱 확장시키는 풀키넨법이 만들어졌다. 이 법에 따라 임산기업의 재산을 국유화하고 농민들에게 분배하였다.[31][32] 1926년에는 렐란데르 대통령 재임 시절 핀란드 내전 때 망했던 사민당이 소수여당내각이지만 탄네르 내각으로 여당이 되기도 했다.

1929년 제3차 칼리오 내각은 라푸아 운동이라는 파시스트들의 압력으로 공산주의 억압 법안을 통과시켰다. 라푸아 운동은 칼리오를 지도자로 영입하려 했으나 칼리오가 거부했고, 이에 따라 우익들 사이에서 칼리오의 평은 더 나빠졌다. 렐란데르 대통령이 오른쪽으로 기울면서 제3차 칼리오 내각은 1930년 7월 2일 총사퇴했고, 청년 핀란드당 출신의 보수파 스빈후부드가 제2차 스빈후부드 내각을 이끌었다.

1936년 핀란드 의회 선거 이후 키비매키 내각이 사퇴하고 칼리오가 총리가 되었다. 칼리오는 사회민주당에 입각을 권유했지만 스빈후부드 대통령이 사회주의자의 입각을 완강히 반대했다. 때문에 제4차 칼리오 내각은 농업동맹과 국민진보당의 연정으로 이루어졌고, 사회민주당은 입각하지 않았다.[34] 칼리오는 반공주의자였으며, 1923년에는 핀란드 공산당(SKP)을 억압했으나, 입법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2. 6. 대통령 당선과 겨울전쟁

1937년 핀란드 대통령 선거에서 칼리오는 자신의 소속 정당인 농업동맹국민진보당, 사회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다. 스빈후부드의 반대로 입각하지 못한 사회민주당은 스빈후부드를 쫓아내기 위해 칼리오에게 연대했다.[36]

결선투표에서 스빈후부드 대통령은 104표, 스톨베리 전 대통령은 19표, 칼리오는 177표를 얻어 압도적으로 당선되었다. 극우 세력은 이 결과에 불만을 품었다. 반면, 사회민주당은 대통령 권한 축소를 주장한 칼리오의 당선을 의회주의의 승리라고 평가했다.[36] 칼리오는 대통령으로서 타협의 정치를 내세웠고, 명확한 적을 만들지 않았다.

칼리오는 중도(농민당과 진보당)와 사회민주주의 연합의 지지를 받아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며, 의원내각제 대통령의 역할을 수행하며 자신의 권력 행사를 자제했다.

겨울 전쟁 직전, 만네르헤임 원수가 내각과의 불화로 핀란드 국방위원회 의장직 사퇴를 위협하자, 칼리오는 그를 설득하여 자리에 남도록 했다. 전쟁 중 칼리오는 소비에트 연방에 영토를 양보하는 것에 반대했지만, 1940년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서명해야 했다.

2. 7. 사망

겨울전쟁 직후 만네르헤임이 핀란드 방위평의회 주석직을 그만두겠다고 위협할 때마다 칼리오는 그를 설득하여 사표를 기각시켰다. 칼리오는 소련에게 영토를 넘겨줄 수 없다고 버텼지만, 결국 1940년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동의해야 했다. 이후 칼리오의 건강은 급격히 악화되어, 1940년 8월 27일 뇌졸중으로 오른손이 마비되었다. 계속전쟁에 관하여 독일과 교감하는 과정에 칼리오는 참여하지 못했고, 리스토 뤼티 총리가 대통령 권한을 대행했다.[37]

1940년 12월 19일 헬싱키 중앙역에서 병사들을 사열하는 칼리오와 만네르헤임. 이 사진이 찍히고 불과 몇 초 뒤 칼리오는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1940년 11월 27일, 칼리오는 대통령직 사임을 발표했다. 12월 19일, 헬싱키 중앙역에서 열린 송별식에서 칼리오는 만네르헤임과 함께 군인들을 사열하던 중 심장마비를 일으켰다. 그는 포리 연대 행진곡이 연주되는 가운데 그 자리에서 사망했다.[40][41] 칼리오는 부관 알라다르 파아소넨의 품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3. 사상과 신념

칼리오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 경건주의 가정에서 성장했다.[42] 핀란드의 금주법을 지지했으며, 1932년 금주법이 폐지되자 크게 실망했다. 대통령 취임 후에는 대통령궁에서 알코올 음료 제공을 금지했고,[43] 독립기념일 행사에서 그가 있으면 아무도 춤을 추지 않았다.[43]

칼리오의 사회 개혁 동기는 그의 깊은 신앙에서 비롯되었다. 가족과 함께 기독교 서적을 읽고 토론했으며, 연설에서 종종 하나님을 언급했다.[10][17][18] 겨울 전쟁 중에는 핀란드인들에게 성경을 읽도록 요청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overnments in chronological order http://valtioneuvost[...] Finnish government (Valtioneuvosto) 2017-03-27
[2] 웹사이트 Sodanajan politiikot Ryti ja Kallio https://yle.fi/aihe/[...]
[3] 웹사이트 Ministerikortisto https://web.archive.[...] Valtioneuvosto
[4] 웹사이트 Edustajamatrikkeli https://web.archive.[...] Eduskunta
[5] 서적 Suomen tasavallan presidentit WSOY
[6] 서적 Talonpoikaissäädyn historia. II Osa: Säädyn jäsenet, sihteerit ja tulkit Otava
[7] 웹사이트 Kyösti Kallio https://kyostikallio[...] 2023-09-02
[8] 웹사이트 Nivalassa juhlitaan Kyösti Kallion sovintopuhetta sata vuotta sitten – Katso presidentti Niinistön ja pääministeri Sipilän puheet, suora lähetys klo 13.15 alkaen https://yle.fi/a/3-1[...] 2018-05-05
[9] 서적 Suomen presidentit II: Kallio - Ryti - Mannerheim Otava Publishing Ltd.
[10] 서적 The Finnish Presidents II
[11] 서적 A Biography of Kyösti Kallio, II: 1930-1940
[12] 웹사이트 Kyösti Kallio kuolee, presidentiksi Risto Ryti https://yle.fi/aihe/[...] 2006-09-08
[13] 서적 Marsalkan tiedustelupäällikkönä ja hallituksen asiamiehenä Weilin, Göös
[14] 웹사이트 Kallio, Kyösti (1873 - 1940) President of Finland http://www.kansallis[...] Biografiakesku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13-01-10
[15] 웹사이트 Presidentti Kyösti Kallion salonkivaunu jäi Helsingin rautatieasemalle https://www.hs.fi/ko[...]
[16] 서적 Mannerheimin ristiriitainen upseeri: eversti Aladár Paasosen elämä ja toiminta WSOY
[17] 서적 The Presidents of the Republic 1931-1940
[18] 서적 Kyösti Kallion puheet
[19] 서적 Itsenäisen Suomen presidentit Gummerus
[20] 서적 Polun varrelta: merkintöjä ja muistikuvia ihmisistä ja tapahtumista Otava
[21] 웹사이트 Valtapeliä elokuussa 1940 https://m.imdb.com/t[...]
[22] 웹인용 Ministerikortisto https://web.archive.[...] Valtioneuvosto 2016-06-18
[23] 웹인용 Edustajamatrikkeli https://web.archive.[...] Eduskunta 2018-09-06
[24] 서적 Tamminiemestä Mäntyniemeen WSOY
[25] 서적
[26] 서적 Suomen tasavallan presidentit
[27] 서적 Mitä Missä Milloin, Kansalaisen vuosikirja 1975 Otava
[28] 웹사이트 Kyösti Kallion muistokirjoitus http://www.hs.fi/mui[...]
[29] 서적 Itsenäisyytemme vuosikymmenet Yhtyneet Kuvalehdet
[30] 서적 Suomen historian Pikkujättiläinen WSOY
[31] 웹사이트 Tasavallan ja demokratian puolesta 1917 – 1944 https://www.keskusta[...]
[32] 서적 Suomen historian Pikkujättiläinen
[33] 서적 Suomen historian Pikkujättiläinen
[34] 웹사이트 Kallio, Kyösti (1873–1940) http://www.kansalli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08-03-07
[35] 서적 Suomen Sotilas- ja Erikoisajoneuvohistoriallinen Museo, näyttelyjulkaisu 1991 Vehoniemen Automuseo
[36] 서적 Itsenäinen Suomi: seitsemän vuosikymmentä kansakunnan elämästä Otava
[37] 서적 Suomen presidentit II: Kallio - Ryti - Mannerheim Otava Publishing Ltd.
[38] 서적 The Finnish Presidents II
[39] 서적 A Biography of Kyösti Kallio, II: 1930-1940
[40] 서적 Marsalkan tiedustelupäällikkönä ja hallituksen asiamiehenä Weilin, Göös
[41] 웹사이트 Kallio, Kyösti (1873 - 1940) President of Finland http://www.kansallis[...] Biografiakeskus, Suomalaisen Kirjallisuuden Seura 2013-01-10
[42] 서적 Suomen tasavallan presidentit WSOY
[43] 서적 Itsenäisen Suomen presidentit Gummerus
[44] 서적 Itsenäisen Suomen presidenti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