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크라운제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크라운제과는 1947년 영일당제과로 설립되어 1956년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제과 회사이다. 1961년 크라운산도를 출시했으며, 1968년 주식회사 크라운제과를 설립했다. 1998년 외환 위기로 부도를 겪었으나 2003년 화의 절차를 마치고 정상화되었으며, 2005년 해태제과를 인수했다. 2017년에는 주식회사 크라운해태홀딩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주식회사 크라운제과를 재설립했다. 주요 제품으로는 비스킷, 스낵, 파이, 캔디, 초콜릿 등이 있으며, 일부 제품은 일본 상품을 벤치마킹한 경우도 있다. 과거 상표권 분쟁, 식중독균 검출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6년 해체된 기업 - SK네트웍스
    SK네트웍스는 1956년 선경직물로 시작하여 섬유, 무역, 건설,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성장해왔으나, 2000년대 이후 구조조정과 사업 재편을 거쳐 자동차, 무역, SK매직, 워커힐 호텔앤리조트 등의 사업을 유지하며 렌터카 사업 강화 등 사업 재편을 지속하고 있는 대기업이다.
  • 1956년 해체된 기업 - 오리온홀딩스
    오리온홀딩스는 오리온 그룹의 지주회사로서 제과, 미디어, 공익 사업을 주요 영역으로 그룹 전체를 관리하며, 1934년 풍국제과로 설립되어 동양제과를 거쳐 2017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었다.
  • 크라운해태그룹 - 해태제과식품
    해태제과식품은 1945년 해태제과 합명회사로 시작하여 해태캬라멜 출시 후 빙과, 초콜릿 등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부라보콘', '맛동산', '오예스' 등 장수 제품을 통해 성장했고, 2001년 제과 사업 부문 양수 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 2014년 '허니버터칩' 출시, 그리고 과자류와 냉동식품 '고향만두' 등을 주요 제품으로 판매하며 가격 인상 담합 및 여성 임원 부족 문제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크라운해태그룹 - 크라운베이커리
    크라운베이커리는 1988년 설립되어 빵, 케이크, 과자류 도소매업을 주요 사업으로 한 대한민국의 제빵 프랜차이즈였으나, 장완수 대표이사 체제 하에 2013년 9월 30일 영업을 종료했다.
  • 대한민국의 제과업체 - 롯데웰푸드
    롯데웰푸드는 1967년 롯데제과로 설립되어 과자와 빙과류 생산으로 성장한 대한민국의 식품 기업으로, 롯데푸드와의 합병 후 2023년 사명을 변경했으며 월드콘, 꼬깔콘, 빼빼로, 가나 초콜릿 등 다양한 브랜드를 보유하고 무설탕 디저트 ZERO 출시 등 사업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제과업체 - 오리온 (대한민국의 기업)
    1956년 풍국제과 인수로 시작된 오리온은 초코파이를 대표 상품으로 국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1990년대부터 중국, 베트남, 러시아 등 해외 시장에 진출, 2017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었다.
크라운제과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명주식회사 크라운제과
영문 회사명Crown Confectionery Co.,Ltd.
로고크라운제과 로고
종류주식회사
시장 정보(2017년 4월 11일 상장)
국적대한민국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72길 3 (남영동)
설립일 (최초 설립일)1968년 9월 18일
설립일 (신 크라운제과 창립일)2017년 3월 2일
창립자윤태현
업종음식료업
사업 내용코코아 제품 및 과자류 제조업
대표자윤영달 (회장), 윤석빈 (대표이사 사장)
자본금529억원
매출액3,442억 9,278만
주요 주주윤영달 외 특수관계인: 49.13%
국민연금공단: 7.38%
빙그레: 5.12%
모회사크라운해태홀딩스
웹사이트크라운제과 홈페이지
제품 정보
주요 제품크라운산도
마이쮸
쿠크다스
죠리퐁
콘칩
빅파이
버터와플
새콤달콤

2. 연혁

1947년 '''영일당제과'''(永一堂製菓[2])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고, 1956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1961년 크라운산도를 생산하였고, 같은 해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에 묵동공장을 세우고 본사도 묵동에 두었다. 이후 기존 회사는 폐업 처리하고 1968년 9월 18일 주식회사 크라운제과를 설립하였다.

1987년 5월 온양공장건물을 준공하였고, 6월 안양공장건물도 준공하였다. 1988년 4월 (주)크라운엔지니어링 별도 법인을 설립하였고, 7월 (주)크라운스낵 별도 법인을 설립하였다. 같은 해 11월 크라운 기술연구소를 발족하였고, 1990년 10월 파주공장을 준공하였고, 11월 (주)우리유업을 설립하였다. 1992년 3월 초콜33라인을 도입하였고, 1995년 9월 (주)크라운애드를 설립하고, 12월 음료사업에 진출하였다. 1996년 4월 (주)크라운식품, (주)원젤리를 설립하고, 와플라인도 도입하였다.

1998년 1월 외환위기 때 부도를 내고 화의 절차를 밟았으며, 이 때 묵동을 떠나 서초동으로 본사를 옮겼다. 2003년 화의 절차를 끝내고 정상화된 후 2005년 1월 해태제과를 인수하였는데, 이는 업계 4위 업체가 2위 업체를 인수한 것으로 많은 이의 관심을 모았다. 이후 본사를 남영동으로 이전했다. 2017년 3월 주식회사 크라운해태홀딩스로 사명을 변경하고, 주식회사 크라운제과를 재설립하였다.

3. 제품

크라운제과는 비스킷류, 스낵류, 파이류, 캔디·초콜릿류 등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 중에는 일본에서 이미 상품화된 것과 유사한 상품이 있다는 특징이 있다. 해태제과 또한 오츠카 제약의 칼로리 메이트와 유사한 "칼로리 밸런스" 등을 출시한 바 있다.[1]

3. 1. 비스킷류

제품명
크라운산도
쿠크다스
버터와플
참그린
그레이스
뽀또
치즈샌드
뽀나뜨
오곡쿠키
버터레몬
쭈쭈 동물원
초코하임
화이트하임
국희땅콩샌드
국희초코샌드
올가닉 통밀스낵
올가닉 올리브크래커
올가닉 웨하스
올가닉 키즈비스킷
올가닉 샌드
올가닉 키즈 쿠키
후레쉬스토리 소스크래커
후레쉬스토리 소프트와플


3. 2. 스낵류


  • 죠리퐁
  • 저지방 옥수수퐁
  • 와글와글
  • 초코퐁
  • 빅카초
  • 콘칩
  • 못말리는 신짱
  • 카라멜콘 땅콩
  • 콘초
  • 콘치
  • 듀 팝스 팝콘
  • 찹쌀 설병
  • 찹쌀 선과

3. 3. 파이류

크라운제과에서 생산하는 파이류 제품은 다음과 같다.

  • 빅파이
  • 초코파이
  • 후레쉬스토리 초코롤케이크
  • 후레쉬스토리 요거트파이
  • 텐더롤
  • 베이키
  • 롱스레이디
  • 크림블
  • 오뉴

3. 4. 캔디·초콜릿류

크라운제과의 캔디·초콜릿류에는 다음과 같은 제품들이 있다.

제품명
새콤달콤
투투캔디
미니쉘
미니쉘파티
미니쉘 2종
미니쉘 아몬드
프레쉬스토리 화이버카라멜
프레쉬스토리 칼슘카라멜
마이쮸 자일리톨
마이쮸 오렌지
마이쮸 요구르트
마이쮸 사과맛
마이쮸 딸기맛
마이쮸 포도맛
마이쮸 복숭아맛
땅콩 카라멜
비단박하
블랙로즈
키커
리첼 바나나앤화이버
리첼 밀크앤칼슘
밀크볼
꼬마곰
밤양갱
오곡양갱
블랙로즈다크
웰빙 연양갱
짝꿍



다양한 제품군이 존재하지만, 그중에는 일본에서 이미 상품화된 것과 유사한 상품이 있는 것도 특징이다. 특히, 츄잉 소프트 캔디인 일본의 모리나가 하이츄를 벤치마킹한 '''마이쮸'''는 소프트 캔디 상표를 둘러싼 재판에 휘말리기도 했다.

4. 사건 및 사고

크라운제과는 다음과 같은 사건 및 사고에 연루되었다.

4. 1. 모리나가 제과와의 상표권 분쟁

2004년 10월 일본의 모리나가 제과는 크라운제과 제품 마이쮸의 등록상표와 제품포장이 자사의 하이츄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상표권침해중지 및 부정경쟁행위금지 소송을 제기했다.[4][5] 크라운제과는 2005년 2월 1일 일본, 5월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마이쮸를 상표로 등록하였다. 특허심판원은 "마이쮸는 하이츄의 권리범위에 속하지 않는다"며 권리범위확인심판 승소 판결을 내렸고, 6월 2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11부는 원고(모리나가) 패소 판결을 내렸다.[4][5]

이후 크라운제과는 패키지 문제 등을 인정하고 "하이츄와 유사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4. 2. 롯데제과와의 상표권 분쟁

2001년 일본 짱구는 못말려 캐릭터를 사용한 스낵 과자 "몽마리눈 짱구(한국어 번역: 말썽꾸러기 짱구)"를 출시했다. 이후 7년 동안 광고 대행사를 통해 캐릭터 사용료를 지불하며 제조가 이어져 왔지만, 2007년 2월 사용료 계약 협상이 결렬되어, 더 높은 사용료를 제시한 롯데에 캐릭터 사용 권리가 넘어갔다. 그러나 롯데는 크라운제과 시절의 명칭, 포장과 매우 유사한 상품을 출시하여 크라운제과 측이 반발, 2008년 6월 등록 상표를 롯데가 무단으로 도용했다며 상표 사용 금지 가처분을 요구하는 소송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했다.[1]

4. 3. 식중독균 검출

식품의약품안전처2014년 9월 26일 크라운제과가 자체 검사한 결과, 2013년 11월 28일 이후 충청북도 진천군에 있는 공장에서 제조한 유기농웨하스 일부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되어, 유통 중인 해당 제품 2만 227상자를 자진 회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6] 살모넬라균, 장염비브리오균과 함께 3대 식중독균으로 꼽히는 황색포도상구균은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서울서부지방검찰청 부정식품사범 합동수사단은 2014년 10월 9일 크라운제과 생산담당이사 신모(52)씨 등 3명을 식품위생법 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하고, 공장장 김모(52)씨 등 5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밝혔다.[7] 이들은 2012년 1월부터 충청북도 진천군의 제조 공장에서 만든 유기농 웨하스에서 기준치 이상의 미생물식중독균이 검출되었음에도 폐기하지 않고, 2009년부터 5년간 시가 31억 상당(2012년 1월부터는 시가 23억 상당)의 유기농 웨하스를 유통한 혐의를 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jetro-ipr[...]
[2] 뉴스 https://newslibrary.[...] 1963-09-23
[3] 웹인용 크라운제과 제품보기 https://web.archive.[...] 2009-06-02
[4] 뉴스 크라운제과, '마이쮸' 상표권 지켰다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05-06-01
[5] 웹인용 패키징문화의 창조 팩넷 https://web.archive.[...] 2010-02-04
[6] 뉴스 크라운제과, '균 검출' 유기농 웨하스 회수 http://www.ytn.co.kr[...]
[7] 웹인용 '크라운제과' 식중독균 웨하스 만든 임원 구속기소…검찰, 회사관계자 3명 처벌 https://web.archive.[...] 2015-04-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