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크리스토퍼 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리스토퍼 심스는 미국의 경제학자이다. 1942년 워싱턴 D.C.에서 태어났으며, 하버드 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하버드 대학교, 미네소타 대학교, 예일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계량경제학회 특별 회원,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 특별 회원, 미국과학아카데미 회원 등을 지냈다.

심스는 계량경제학 및 거시경제학 분야에서 벡터자기회귀모형(VAR)을 활용한 실증 분석 기법을 발전시켰으며, 베이즈 추정자 개발에도 기여했다. 그는 통화 공급의 변화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 통화주의 이론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했다. 2011년에는 "거시 경제에서 인과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를 인정받아 토마스 J. 서전트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 유대계 미국인 - 루이스 칸
    루이스 칸은 구조와 디자인의 필연성을 추구한 20세기 후반 미국의 저명한 건축가로, 빛과 재료의 물성을 중시하는 건축 철학으로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기능성 논란과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도 받았다.
  • 에스토니아 유대계 미국인 - 샘 사이먼
    샘 사이먼은 《심슨 가족》을 공동 개발하고 초기 성공에 기여한 미국의 텔레비전 작가, 프로듀서, 감독이자 동물 권리 옹호와 자선 활동에 헌신한 박애주의자이다.
  •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 - 존 바딘
    존 바딘은 트랜지스터와 초전도 현상에 대한 이론적 설명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두 번 수상한 미국의 물리학자로서, 트랜지스터 발명과 BCS 이론 발표를 통해 현대 전자공학과 물리학 발전에 혁신적인 기여를 했다.
  •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 - 토머스 사전트
    토머스 사전트는 합리적 기대 혁명의 주요 인물로서 정책 무효성 명제를 제안하고 합리적 기대 이론을 발전시켜 현대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학자이며, 크리스토퍼 심스와 함께 거시경제의 인과 관계에 대한 경험적 연구로 201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미국의 통계학자 - 허먼 홀러리스
    허먼 홀러리스는 천공 카드 시스템을 개발하여 데이터 처리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IBM의 토대가 된 회사를 설립한 미국의 통계학자이자 발명가이다.
  • 미국의 통계학자 - 사이먼 쿠즈네츠
    사이먼 쿠즈네츠는 러시아 제국 출신으로 미국으로 이민하여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고 국민 소득 연구를 통해 1971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경제 성장과 소득 불평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쿠즈네츠 사이클과 쿠즈네츠 곡선을 제시했다.
크리스토퍼 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크리스토퍼 앨버트 심스
출생일1942년 10월 21일
출생지워싱턴 D.C.
소속프린스턴 대학교
학문 분야거시경제학
계량경제학
시계열 분석
모교하버드 대학교 (A.B, PhD),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박사 지도교수헨드릭 S. 하우트하커르
박사 학위 논문 제목생산성 변화의 역학: 이론적 및 경험적 연구
주요 공헌벡터자기회귀모형의 이용
수상노벨 경제학상 (2011)
학문적 영향
주요 제자라스 피터 핸슨, 하랄트 울리그
기타 정보
반대 입장구조 방정식 모형
RePEc 식별자e | psi12

2. 생애

1942년 워싱턴 D.C.에서 태어났다.[22] 아버지는 앨버트 심스로 국무부 직원이었다.[5] 어머니는 민주당 정치인이자 윌리엄 모리스 레이서슨의 딸인 루스 보드만 (레이서슨)이었다.[5] 아버지는 잉글랜드와 북아일랜드 혈통이었으며, 어머니는 에스토니아계 유대인과 잉글랜드 혈통을 반반씩 가지고 있었다.[6] 삼촌은 예일 대학교 경제학자 마크 레이서슨이었다.[7]

1963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으로 ''우등''으로 문학사를 받았고,[8] 1968년에는 동 대학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22] 1963년부터 1964년까지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대학원생으로 재학했다. 1968년부터 하버드 대학교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를 지냈고, 1970년부터 1990년까지 미네소타 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9][10] 1990년부터 1999년까지는 예일 대학교 교수를,[9][10] 1999년부터 현재까지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9][10]

1974년부터 세계계량경제학회 특별 회원이며,[23] 1988년부터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 특별 회원,[24] 1989년부터 미국과학아카데미 회원,[12] 2012년부터 미국 철학 학회 회원이다.[12] 1995년에는 세계계량경제학회 회장을, 2012년에는 미국경제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현재 뉴저지에 거주하고 있다.

그의 이력을 시간 순서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942년워싱턴 D.C. 출생
1959년~1963년하버드 대학교 수학 학사(B.A., magna cum laude) 졸업
1963년~1964년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수학
1967년~1968년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전임 강사
1968년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Ph.D. 취득 (박사 논문 생산성 변화의 역학: 이론적 및 실증적 연구)
1968년~1970년하버드 대학교 조교수
1970년~1974년하버드 대학교 부교수
1970년~1971년NBER 연구 펠로우
1974년~1990년미네소타 대학교 교수
1983년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컨설턴트 (1986년~1987년에도 동일)
1988년~현재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89년~현재미국 과학 아카데미 회원
1990년~1999년예일 대학교 교수 (Henry Ford II 경제학 교수)
1995년계량경제학회 회장
1999년~2004년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2004년~ 현재프린스턴 대학교 교수 (Harold H. Helm '20 경제학 및 금융 교수)
2008년클래리베이트 인용 영예상 수상
2011년토마스 사전트와 함께 노벨 경제학상 수상


3. 업적

심스는 계량경제학과 거시경제적 이론 및 정책 분야에서 많은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실증 거시경제학에서 벡터자기회귀모형(VAR)을 이용할 것을 주장하고 그 모형의 베이즈 추정자 개발에 기여했다. 물가에 영향을 끼치는 재정 정책에 관한 이론과 합리적 부주의 이론을 개발하는 데에도 기여했다.[13]

심스는 거시 경제학 분야에서 합리적 기대 혁명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해 왔으며, 이를 계량 경제 정책 분석에 대한 "심각한 이의 제기"가 아닌 "주의해야 할 각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그는 실물 경기 순환 모형의 가치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15]

3. 1. 벡터자기회귀모형 (VAR)

심스는 계량경제학과 거시경제적 이론 및 정책 분야에서 수많은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그는 실증 거시경제학에서 벡터자기회귀모형(VAR)의 사용을 널리 알린 주역 중 한 명이었다. 그는 이러한 모형을 활용하여 통화 공급의 변화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고, 이로부터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으며, 밀턴 프리드먼으로 대표되는 통화주의 이론이 실제로 성립한다는 것을 제시했다.[13]

또한, 금리나 인플레이션의 변화가 통화 공급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과 같은 효과도 확인되었으며,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에 반응하여 정책 행동을 취하는 것과 같은 역방향의 인과 관계도 마찬가지로 성립하고 있음을 보였다. 심스는 구조 VAR 모형을 사용한 기법은 금융 정책의 인과 효과 방향을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고 언급했다.[13]

그는 베이즈 통계학을 옹호하여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데에도 기여했다.[13]

3. 2. 베이즈 추정 및 기타 이론

심스는 계량경제학과 거시경제적 이론과 정책 분야에서 수많은 중요한 논문을 발표했다. 특히 그는 실증 거시 경제학에서 벡터자기회귀모형(Vector Autoregression, VAR)의 사용을 널리 알린 주역 중 한 명이었다. 그는 또한 경제 정책의 수립 및 평가에서 그 강력함을 주장하며 베이즈 통계학을 옹호했다.[13]

심스는 거시 경제학 분야에서 합리적 기대 혁명에 대해 공개적으로 반대해 왔으며, 이를 계량 경제 정책 분석에 대한 "심각한 이의 제기"가 아닌 "주의해야 할 각주"로 간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4] 그는 실물 경기 순환 모형의 가치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15]

그는 또한 물가 수준의 재정 이론 및 합리적 부주의 이론 개발에 기여했다.

  • 계량경제학과 거시 경제 이론 분야에서 많은 논문을 저술했다. 특히, 거시 경제학의 실증 분석에서 vector autoregressive model|벡터 자기 회귀 모형영어(VAR 모형)을 활용하여 동태적 효과의 추계를 수행하는 기법을 발전시켰다.
  • 구조 VAR 모형을 사용한 기법은 금융 정책의 인과 효과 방향을 평가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고 심스는 언급했다. 그는 이 기법을 활용하여 통화 공급의 변화가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혀냈고, 이로부터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통제할 수 있으며, 밀턴 프리드먼으로 대표되는 통화주의 이론이 실제로 성립한다는 것을 제시했다. 한편, 금리나 인플레이션의 변화가 통화 공급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과 같은 효과도 확인되었으며, 중앙은행이 경제 상황에 반응하여 정책 행동을 취하는 것과 같은 역방향의 인과 관계도 마찬가지로 성립하고 있음을 보였다.
  • 그는 또한 베이지안 계량 경제학을 주도했는데, 이는 경제 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4. 수상 경력

2008년 클래리베이트 인용 영예상을 수상했다.

2011년 토마스 사전트와 함께 "거시 경제에서 인과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16] 그의 노벨 강연은 "통화 정책과 그 효과에 대한 통계적 모델링"이라는 제목으로 2011년 12월 8일에 열렸다.[17][18]

5. 주요 논문


  • 심스, 크리스토퍼 (1980년 1월). "거시경제학과 현실". 《이코노메트리카》 48 (1): 1–48. PDF. (1977년 연구 논문)

참조

[1] 웹사이트 Advantage Financial Harald Uhlig https://web.archive.[...] 2016-09-28
[2] 웹사이트 Christopher A Sims https://web.archive.[...] 2011-10-10
[3] 뉴스 Nobel prize for economics awarded to two Americans https://www.bbc.co.u[...] 2011-10-10
[4] 웹사이트 The Prize in Economic Sciences 2011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08-12-10
[5] 뉴스 Ruth Sims, First Woman Elected to Lead Greenwich, Conn., Dies at 92 https://www.nytimes.[...] 2012-06-13
[6] 웹사이트 Christopher A. Sims - Biographical https://www.nobelpri[...] Nobel Foundation 2017-05-31
[7] 웹사이트 Yale Bulletin and Calendar http://archives.news[...] 2002-08-30
[8] 웹사이트 Sims, Christopher Albert (born 1942) https://web.archive.[...]
[9] 웹사이트 CV (Christopher A. Sims) http://sims.princeto[...] Princeton University 2017-05-31
[10] 웹사이트 Christopher A. Sims https://www.nobelpri[...]
[11] 웹사이트 Fellows of the Econometric Society as of February 2011 https://web.archive.[...]
[12]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1-03-29
[13] 간행물 The Role of Models and Probabilities in the Monetary Policy Process 2002
[14] 간행물 Policy Analysis with Econometric Models https://www.brooking[...]
[15] 간행물 Macroeconomics and Methodology
[16] 웹사이트 The Prize in Economic Sciences 2011 https://www.nobelpri[...] Nobelprize.org 2008-12-10
[17] 웹사이트 The Sveriges Riksbank Prize in Economic Sciences in Memory of Alfred Nobel 2011 https://www.nobelpri[...] 2011-12-08
[18] 웹사이트 Statistical Modeling of Monetary Policy and its Effects, Nobel lecture https://web.archive.[...]
[19] 뉴스 Good Morning. You're Nobel Laureates https://www.nytimes.[...] 2011-12-03
[20] 웹사이트 Christopher A. Sims Curriculum Vitae http://sims.princeto[...] 2008-12-23
[21] 뉴스 노벨경제학상에 美 심스·사전트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1-10-10
[22] 웹사이트 크리스토퍼 심스 약력 http://www.nobelpriz[...] 노벨상 공식 웹사이트 2011-10-12
[23] 웹사이트 2011년 세계계량경제학회 특별 회원 명단 http://www.econometr[...] 세계계량경제학회 웹사이트 2011-10-13
[24] 웹인용 회원 명단, 1780–2011: S장 http://www.amacad.or[...] 미국예술과학아카데미 2011-1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