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 아시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특정 아시아는 일본 인터넷 게시판에서 중국,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용어는 2채널(현 5채널) 등에서 이들 국가에 비판적인 의견을 가진 유저들을 중심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극동아시아 뉴스판'에서 유래했다. 이 용어는 일본 내에서 다양한 인물들이 사용해왔으며, 한국에서는 혐한류와 함께 일본의 부정적인 시각을 보여주는 단어로 인식된다.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은 동남아시아 국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반면, 중국과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인터넷 신조어 - 우타이테
우타이테는 '불러보았다' 영상을 통해 활동하는 아마추어 가수로, 기존 악곡이나 보컬로이드 커버 곡을 주로 부르며, 보컬로이드 인기와 함께 성장하여 오리지널 곡을 발표하는 넷 싱어와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된다. - 일본의 인터넷 신조어 - 유토리 세대
유토리 세대는 일본에서 학습량과 수업 시간 축소 시기에 교육받았으며, 학력 저하, 사회성 부족 등의 비판과 경제 불황, 취업난을 겪은 세대를 지칭한다. - 동아시아 - 중화민국
중화민국은 1912년 신해혁명을 통해 수립되었으며, 현재는 타이완 섬과 부속 도서를 실효 지배하고 있으며, "하나의 중국" 원칙 하에 독자적인 민주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국제적으로는 "중화 타이베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동아시아 - 동아시아 정상회의
동아시아 정상회의(EAS)는 아세안 10개국과 주변 국가들이 참여하는 연례 회의로, 경제 협력 및 지역 안보 현안을 논의하며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목표로 하지만, 회원국 간 이해관계 및 협력 구도의 복잡성으로 과제에 직면하고 있다. - 일본의 반한 감정 - 행동하는 보수
행동하는 보수는 1990년대 후반 일본에서 등장한 우익 사회운동으로, 직접적인 행동으로 정치적 주장을 표명하며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여론을 형성해왔으나,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시각과 혐오 발언, 폭력 등으로 논란을 빚으며 사회적 갈등을 심화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 일본의 반한 감정 - 만화 혐한류
《만화 혐한류》는 한국에 대한 극단적인 부정적 인식을 조장하는 일본 만화로, 역사 왜곡, 한국 문화 폄훼, 독도 영유권 부정 등의 주장을 담고 있으며, 일본 사회의 반한 감정을 반영하여 인종차별 및 역사 왜곡 비판을 받았고 넷우익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과 그 영향력에 대한 의문이 공존한다.
특정 아시아 | |
---|---|
개념 | |
정의 | 일본 극우 성향의 인터넷 용어, 특정 아시아 국가 지칭 |
대상 국가 |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
약칭 | 특아 (特ア, Toku-A) |
특징 | |
사용 맥락 | 원래 인터넷 게시판 등에서 사용되던 인터넷 속어 2010년대 이후 학자, 정치인, 언론인, 보수 성향 논객 등에서 사용 |
의미 | 일본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는 특정 아시아 국가를 비하하는 뉘앙스를 내포 |
2. 어원
니챤네루에서 중국, 한국, 북한 관련 화제는 사용자의 이데올로기 차이로 인해 분쟁이 잦았다. 특히 뉴스 게시판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이 3개국 관련 뉴스는 '뉴스 극동판'으로 분리되었다. '뉴스 극동판'에서는 이들 3개국에 비판적인 의견을 가진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비교적 자유로운 토론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특정 아시아'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
'특정 아시아 제국(特定アジア諸国)'이라는 용어는 이전부터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었지만,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특정 아시아'와는 관련이 없다.[1]
2. 1. 2채널에서의 유래
일본의 인터넷 게시판 니챤네루에서는 이전부터 중국, 한국, 북조선 관련 화제에 대해 사용자의 이데올로기 차이에 따른 분쟁이 잦았다. 특히 뉴스 게시판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으며, 이 3개국 관련 뉴스는 '뉴스 극동판'으로 분리되었다. '뉴스 극동판'에서는 이들 3개국에 비판적인 의견을 가진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비교적 자유로운 토론이 이루어졌고,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특정 아시아'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였다.[1]'특정 아시아 제국(特定アジア諸国)'이라는 용어는 이전부터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었지만,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특정 아시아'와는 관련이 없다.[1]
2. 2. 기존 용어와의 관계
니챤네루는 이전부터 중국, 한국, 북조선 관련 화제에 대하여 유저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분쟁하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뉴스계 게시판에서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졌기 때문에 이 3개국 관계의 뉴스만 '뉴스 극동판'으로 분리하게 되었다. '뉴스 극동판'에서는 이들 3개국에 비판적 의견을 가진 유저들을 중심으로 비교적 자유로운 의론이 이루어졌고,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특정 아시아'라는 용어가 쓰이게 되었다.[1]'특정 아시아 제국(特定アジア諸国)'이라는 용어는 그 이전부터 다양한 상황에서 쓰이고 있었지만, 이들 모두 이 문서에서 말하는 '특정 아시아'와는 무관하다.[1]
3. '특정 아시아' 국가들의 대일 감정
BBC 월드 서비스와 퓨 리서치 센터가 실시한 국제 여론조사에 따르면, '특정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높게 나타났다.[16][17][18]
연도 | 조사 기관 | 조사 대상국 | 긍정 | 부정 | 어느 쪽도 아님 | 긍정-부정 |
---|---|---|---|---|---|---|
2017년 | BBC 월드 서비스[16] | 중화인민공화국 | 22% | 75% | 3% | -53% |
2013년 | 퓨 리서치 센터[17] | 중화인민공화국 | 4% | 90% | 6% | -86% |
2011년 | BBC 월드 서비스[18] | 중화인민공화국 | 18% | 71% | 11% | -53% |
2013년 | 퓨 리서치 센터[17] | 대한민국 | 22% | 77% | 1% | -55% |
2011년 | BBC 월드 서비스[18] | 대한민국 | 68% | 20% | 12% | 48% |
2015년 퓨 리서치 센터 조사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았으며, 한국은 가장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23] 일본은 중국과 한국을 제외한 국가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23][24]
한국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이유를 ODA, 만화, 경제 대국 이미지,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과 대등하게 싸웠다는 강국의 이미지 등 다양한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24]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 『환구시보』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일본에 대한 높은 호감도를 보도하면서, 중국인 언론인 정만군은 일본이 동남아시아 국가로부터 호감을 얻는 이유를 소프트 파워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남아시아에서의 역할 등에서 찾고 있다.[25]
3. 1. 반일 감정의 배경
대한민국과 중국은 국가가 적극적으로 시행하는 강력한 반일 교육과 언론 통제로 인해 국민들의 반일 감정이 다른 나라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인다.[22] 북한 또한 일본의 식민 지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강조하는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BBC 월드 서비스와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세계 각국은 일본에 대해 호의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이 세계에 좋은 영향을 준다고 평가한다. 하지만, "특정 아시아" 국가인 중국과 대한민국은 일본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 경향이 더 강하다. (북한은 조사 데이터 없음)[23][24]
2015년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10개국과 미국인들은 일본, 중국, 인도, 한국 중 일본에 가장 호의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평균 71%)[23] 반면 한국은 4개국 중 가장 낮은 호감도를 기록했다.(평균 47%)[23] 일본은 중국과 한국을 제외한 말레이시아(84%), 베트남인(82%), 필리핀인(81%), 오스트레일리아인(80%), 미국인(74%), 인도네시아인(71%)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23]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해 대한민국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일본을 좋아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24]
- 과거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타이완과 같은 피해국에게도 친일적인 경향이 있다.
- 유럽 국가들의 식민 지배와 달리 일본은 사람 대접을 했다는 인식이 있다.
- 일본이 대동아공영권을 통해 유럽으로부터의 해방군 역할을 했다는 인식이 있다.
- ODA, 전자제품, 만화 등이 긍정적 역할을 했다.
- 일본의 기부, 높은 시민의식, 경제 대국 이미지, 혁신적 제품, 양질의 자동차,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과 대등하게 싸웠다는 강국 이미지가 작용했다.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 『환구시보』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높다고 보도했다.[25] 중국인 언론인 정만군은 일본이 동남아시아 국가로부터 호감을 얻는 이유를 분석하며, 중국의 텔레비전에서는 항일 드라마가 방영되지만, 동남아시아에서는 항일 소재 작품이 적다는 점을 지적했다.
『환구시보』는 일본의 투자·원조를 이유로 들었지만, 정만군은 일본의 “소프트 파워”를 강조하며, 동남아시아 국가는 과거의 빚을 현재의 일본인에게 묻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동남아시아 지도자들이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양 문명의 구현자로서 행동하고, 일본식 “몬로주의”로 백인 식민 지배자를 몰아냈다는 점을 이용했다고 설명했다. 아웅산은 일본과 협력하여 영국을 몰아냈고,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도 유사한 경험을 했으며, 동양의 패왕인 일본이 이들 국가에 희망을 주었다고 평가했다.
3. 2. 국제 여론조사
BBC 월드 서비스와 퓨 리서치 센터 등에서 실시하는 국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체로 일본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높지만, '특정 아시아' 국가들에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16][17][18] 특히 2013년 퓨 리서치 센터 조사에서 한국과 중국은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17]2017년 BBC 월드 서비스의 국제 여론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16]
조사 대상국 | 긍정 | 부정 | 어느 쪽도 아님 | 긍정-부정 |
---|---|---|---|---|
중화인민공화국 | 22% | 75% | 3% | -53% |
스페인 | 39% | 36% | 25% | 3% |
튀르키예 | 50% | 32% | 18% | 18% |
파키스탄 | 38% | 20% | 42% | 18% |
인도 | 45% | 17% | 38% | 28% |
러시아 | 45% | 16% | 39% | 29% |
페루 | 56% | 25% | 19% | 31% |
나이지리아 | 57% | 24% | 19% | 33% |
영국 | 65% | 30% | 5% | 35% |
멕시코 | 59% | 23% | 18% | 36% |
케냐 | 58% | 22% | 20% | 36% |
독일 | 50% | 13% | 37% | 37% |
인도네시아 | 57% | 17% | 26% | 40% |
미국 | 65% | 23% | 12% | 42% |
그리스 | 52% | 9% | 39% | 43% |
프랑스 | 74% | 21% | 5% | 53% |
브라질 | 70% | 15% | 15% | 55% |
오스트레일리아 | 78% | 17% | 5% | 61% |
캐나다 | 77% | 12% | 11% | 65% |
2013년 퓨 리서치 센터의 국제 여론조사 결과(아시아·태평양 지역)는 다음과 같다.[17]
조사 대상국 | 긍정 | 부정 | 어느 쪽도 아님 | 긍정-부정 |
---|---|---|---|---|
중화인민공화국 | 4% | 90% | 6% | -86% |
대한민국 | 22% | 77% | 1% | -55% |
파키스탄 | 51% | 7% | 42% | 44% |
필리핀 | 78% | 18% | 4% | 60% |
오스트레일리아 | 78% | 16% | 6% | 62% |
인도네시아 | 79% | 12% | 9% | 67% |
말레이시아 | 80% | 6% | 14% | 74% |
2011년 BBC 월드 서비스의 국제 여론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18]
조사 대상국 | 긍정 | 부정 | 어느 쪽도 아님 | 긍정-부정 |
---|---|---|---|---|
중화인민공화국 | 18% | 71% | 11% | -53% |
멕시코 | 24% | 34% | 42% | -10% |
파키스탄 | 34% | 15% | 51% | 19% |
남아프리카 공화국 | 41% | 17% | 42% | 24% |
인도 | 39% | 13% | 48% | 26% |
프랑스 | 55% | 29% | 16% | 26% |
포르투갈 | 43% | 13% | 44% | 30% |
영국 | 58% | 26% | 16% | 32% |
독일 | 58% | 25% | 17% | 33% |
가나 | 55% | 11% | 34% | 34% |
오스트레일리아 | 60% | 26% | 14% | 34% |
스페인 | 57% | 19% | 24% | 38% |
이집트 | 52% | 14% | 34% | 38% |
케냐 | 61% | 20% | 19% | 41% |
튀르키예 | 64% | 21% | 15% | 43% |
대한민국 | 68% | 20% | 12% | 48% |
이탈리아 | 66% | 18% | 16% | 48% |
브라질 | 66% | 16% | 18% | 50% |
나이지리아 | 65% | 14% | 21% | 51% |
캐나다 | 67% | 16% | 17% | 51% |
미국 | 69% | 18% | 13% | 51% |
칠레 | 66% | 14% | 20% | 52% |
페루 | 64% | 10% | 26% | 54% |
러시아 | 65% | 7% | 28% | 58% |
필리핀 | 84% | 12% | 4% | 72% |
인도네시아 | 85% | 7% | 8% | 78% |
2015년 퓨 리서치 센터 조사에서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가장 높았으며, 한국은 가장 낮은 호감도를 보였다.[23] 일본은 중국과 한국을 제외한 국가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23][24]
한국에서는 이러한 조사 결과에 대해,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일본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이유를 ODA, 만화, 경제 대국 이미지,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국과 대등하게 싸웠다는 강국의 이미지 등 다양한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다.[24]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 『환구시보』는 동남아시아 국가의 일본에 대한 높은 호감도를 보도하면서, 중국인 언론인 정만군은 일본이 동남아시아 국가로부터 호감을 얻는 이유를 소프트 파워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남아시아에서의 역할 등에서 찾고 있다.[25]
3. 3.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대일 감정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일본에 대해 상당히 높은 호감도를 보이고 있다.[25] 이는 퓨 리서치 센터의 조사에서도 나타나는데, 아시아 태평양 10개국과 미국인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평균 71%가 일본에 대해 호의적인 견해를 표명했다.[23] 특히 말레이시아 (84%), 베트남 (82%), 필리핀 (81%), 인도네시아 (71%) 등에서 높은 긍정적 감정을 보였다.[23]이러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높은 대일 호감도에 대해,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산하의 환구시보는 일본이 동남아시아 국가에 투자와 원조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25] 그러나 중국 언론인 정만군은 이것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며, 일본의 경제적 영향력(하드 파워)뿐만 아니라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5]
또한, 정만군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과거사와 현재의 일본을 분리해서 보는 역사관을 가지고 있다고 언급했다.[25]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이 동남아시아에서 서구 열강의 식민 지배를 몰아내는 역할을 했다는 인식[24]과 아웅산과 같이 일본과 협력하여 영국을 몰아낸 사례[25]등이 이러한 역사관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4. '특정 아시아'의 사용 예시
일본의 언론인, 정치인, 학자 등 다양한 인물들이 '특정 아시아'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다.
- 산케이 신문 기자 아비루 루비는 2007년 아베 신조 총리의 미국 방문 관련 기사에서 중국, 한국, 북한을 언급하며 이 용어를 사용했다.[9]
- 미국 변호사이자 방송인 켄트 길버트는 자신의 저서에서 "특아 삼국(特亜三国)"이라고 표현했다.[26][27]
- 후루타 히로시는 산케이 신문 '정론(正論)'에서 일본이 중국과 한국으로부터 국익을 침해당하고 있다는 주장과 함께, "특정 아시아로부터 위조 역사까지 강요받고 있다"고 언급하며 이 용어를 사용했다.[10] 그는 "특정 아시아"를 "반일의 호(弧)"라고 표현하기도 했다.[28]
- 보도샤(宝島社)는 '자위대 VS 특정 아시아~중국·북한'이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11]
- 이시바 시게루는 기요야 신이치와의 대담에서 기요야 신이치가 "반일적인 아시아는 한국과 중국 등 특정 아시아뿐이다"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과거 일본군의 부정적인 면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했다.[29]
- 한국의 서울신문은 일본에서 유행하는 "혐한류(嫌韓流)"와 "특정 아시아(特亜)"라는 단어를 소개하며,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등 일본과 체제가 유사한 한국이 중국, 북한과 같이 언론의 자유가 제한된 일당 독재 사회주의 국가와 함께 분류되는 이유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보도했다.[12]
- 마이니치 신문 전문 편집위원 후세 히로시는 "발신함(発信箱)" 칼럼에서 "'특정 아시아'는 반일 감정이 강한 3개국을 냉담하게 격리하듯이, 인터넷 등에서 가끔 보는 말"이라고 소개하며, 이러한 용어 사용을 비판했다.[30]
- 도쿄대학 사회과학연구소의 타나베 슌스케는 일본에서의 "아시아관"을 분석하면서, 인터넷 게시판에서 이들 국가가 "Tokutei Asia(specific-Asia)"라고 불리는 것을 언급했다.[5]
참조
[1]
논문
Japanese Perspectives on "Asia": Analyses of JGSS-2006
http://jgss.daishoda[...]
2022-12-11
[2]
서적
まだGHQの洗脳に縛られている日本人
PHP研究所
2015-05-25
[3]
서적
儒教に支配された中国人と韓国人の悲劇
講談社
2017-02-21
[4]
뉴스
発信箱:特ア?=布施広(専門編集委員)
http://mainichi.jp/o[...]
2018-02-27
[5]
논문
日本人の「アジア観」-JGSS-2006 国別好感度データの分析から-
https://jgss.daishod[...]
大阪商業大学JGSS研究センター
2009-03
[6]
서적
アジア親日の履歴書
辰巳出版
2014-06-20
[7]
서적
現代用語の基礎知識2007
自由国民社
2006-11-02
[8]
웹사이트
【断層】大月隆寛 大学最前線の現実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20-12-26
[9]
웹사이트
【安倍政権考】「戦後レジーム」の厚い壁 阿比留瑠比
http://www.iza.ne.jp[...]
SANKEI EXPRESS
2020-04-16
[10]
뉴스
【正論】古田博司 恥ずかしい国に住んでないか
http://www.iza.ne.jp[...]
iza
2009-05-08
[11]
서적
自衛隊VS“特定アジア”―中国・北朝鮮・韓国
宝島社
2006-07-01
[12]
뉴스
열린세상 ‘특정 아시아’국가로 취급받는 한국/윤민호 일본 국제경제연구소 상임연구원
http://www.kdaily.co[...]
2005-12-20
[13]
웹사이트
一挙多得の対日戦略を目論む特定アジア 誇り高き日本を守るために国民が果たすべき義務とは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0-06-19
[14]
웹사이트
わが友、木村伊量社長への「訣別状」
https://ironna.jp/ar[...]
2020-06-19
[15]
서적
現代の理論
明石書店
[16]
웹사이트
2017 BBC World Service poll
https://www.globesca[...]
BBCワールドサービス
2021-06-21
[17]
웹사이트
Japanese Public's Mood Rebounding, Abe Highly Popular
http://www.pewglobal[...]
ピュー・リサーチ・センター
2021-06-21
[18]
웹사이트
Positive Views of Brazil on the Rise in 2011 BBC Country Rating Poll
https://globescan.co[...]
BBCワールドサービス
2011-03-07
[19]
서적
朝日新聞のトンデモ読者投稿
晋遊舎
2007-04-01
[20]
뉴스
米国が発表した「統一韓国の青写真」
http://japanese.chos[...]
2002-09-19
[21]
간행물
Blueprint for U.S. Policy toward a Unified Korea
http://www.csis.org/[...]
戦略国際問題研究所
2002-08
[22]
뉴스
【トップ直撃】趣味の「中国情報局」から日中友好ビジネス“橋渡し”
http://www.zakzak.co[...]
2011-05-02
[23]
웹사이트
How Asia-Pacific Publics See Each Other and Their National Leaders Japan Viewed Most Favorably, No Leader Enjoys Majority Support
https://www.pewresea[...]
2015-09-02
[24]
뉴스
日本はどうして国際社会でのイメージが良いの?=韓国ネットユーザーが挙げた理由とは
https://www.recordch[...]
2015-09-07
[25]
뉴스
日本に好感を寄せる東南アジア諸国=大きい、中国の日本観との差―中国人ジャーナリスト
https://www.recordch[...]
2013-01-30
[26]
서적
まだGHQの洗脳に縛られている日本人
PHP研究所
2015-05-25
[27]
서적
儒教に支配された中国人と韓国人の悲劇
講談社
2017-02-21
[28]
뉴스
産経新聞
2006-07-18
[29]
서적
2020-10-14
[30]
뉴스
発信箱:特ア?=布施広(専門編集委員)
http://mainichi.jp/o[...]
2013-10-30
[31]
서적
儒教に支配された中国人と韓国人の悲劇
講談社
2017-02-20
[32]
서적
現代用語の基礎知識2007
自由国民社
2007-01-01
[33]
서적
まだGHQの洗脳に縛られている日本人
PHP研究所
2015-06-08
[34]
웹사이트
【断層】大月隆寛 大学最前線の現実
http://sankei.jp.msn[...]
産経デジタル
2020-12-26
[35]
웹사이트
【安倍政権考】「戦後レジーム」の厚い壁 阿比留瑠比
http://www.iza.ne.jp[...]
SANKEI EXPRESS
2020-04-16
[36]
뉴스
恥ずかしい国に住んでいないか
https://web.archive.[...]
産経新聞
2009-05-08
[37]
서적
自衛隊VS“特定アジア”〜中国・北朝鮮
宝島社
2006-07
[38]
뉴스
[열린세상] ‘특정 아시아’ 국가로 취급받는 한국/윤민호 일본 국제경제연구소 상임연구원
http://www.kdaily.co[...]
서울新聞
2005-12-20
[39]
웹인용
一挙多得の対日戦略を目論む特定アジア 誇り高き日本を守るために国民が果たすべき義務とは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2020-06-19
[40]
웹인용
わが友、木村伊量社長への「訣別状」
https://web.archive.[...]
2020-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