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메트로 10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리 메트로 10호선은 총 연장 11.7km, 23개의 역을 가진 노선으로, 불로뉴-퐁 드 생 클루에서 오스테를리츠까지 운행된다. 9호선, 8호선, 13호선, 4호선, 7호선 등 다른 파리 메트로 노선과 분기되며, 전 구간이 지하로 운행된다. 1913년 8호선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연장 및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형태를 갖추었으며, MF 67형 열차를 사용하다가 2025년 MF 19 열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주요 환승역으로는 라 모트-피케-그르넬, 오데옹, 쥐시외 등이 있으며, 불로뉴-퐁 드 생 클루에서 생 클루, 오스테를리츠에서 이브리 쉬르 센으로의 연장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리 메트로 노선 - 파리 메트로 13호선
파리 메트로 13호선은 파리에서 가장 긴 노선으로, 파리 북서쪽과 북쪽에서 시작하는 두 지선이 합류하여 파리 중심가를 남쪽으로 가로지르며, 혼잡 해소를 위해 2035년까지 완전 자동화된 무인 운전 시스템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 파리 메트로 노선 - 파리 메트로 7호선
파리 메트로 7호선은 파리 동쪽을 남북으로 연결하며, 중심부에서 C자 모양으로 흐르고, 남쪽으로는 두 지선으로 나뉘며, MF 77형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2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충북선
충북선은 조치원역에서 봉양역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화물 수송과 무궁화호 운행을 중심으로 운영되며, 고속화 사업을 통해 KTX-이음 운행을 계획하고 있다. - 191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리쿠우토선
리쿠우토선은 동일본 여객철도가 미야기현 고고타역과 야마가타현 신조역을 잇는 94.1km의 단선 비전철화 노선으로, 1917년 개통 이후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의 교통을 담당하며 27개 역을 운영하고 다양한 온천 지역과 관광지를 연결한다. - 191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무기선
무기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도쿠시마현의 철도 노선으로, 단선 비전철화 구간이며 특급 및 보통 열차가 운행되고 일부 구간은 버스와 공동 경영하며, 일부 구간 이관 및 특급 열차 운행 종료 예정이다.
파리 메트로 10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색 | '#e0b03a' |
노선명 | 10호선 |
![]() | |
![]() | |
노선망 | 파리 메트로 |
기점 | 블로뉴-퐁 드 생클루역 |
종점 | 오스테를리츠역 |
역 수 | 23 |
개업 | 1923년 12월 |
운영자 | 파리 교통공단 |
노선 거리 | 11.7 km |
궤간 | 1,435 mm |
선로 수 | 복선 (오른쪽 통행) |
전철화 방식 | 직류 750V 제3궤조방식 |
![]() | |
통계 | |
연간 승객 수 | 40,411,431 명 |
교통 순위 | 14위/16위 |
운영 | |
운영 기관 | RATP (파리 교통공단) |
전력 공급 | 750 V DC 제3궤조 |
차량 | MF 67(5량, 30 편성) |
노선 정보 (프랑스어) | |
프랑스어 명칭 | (파리 메트로 10호선) |
역 목록 | |
주요 역 | 블로뉴-퐁 드 생클루역 발라드역 크루아-루주역 세브르-바빌론역 마빌롱역 |
2. 노선 정보
항목 | 내용 |
---|---|
총연장 | 11.7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역 수 | 23개 (폐역 2개 제외) |
역간 평균 거리 | 532m |
복선 구간 | 불로뉴-퐁 드 생 클루 ~ 불로뉴-장 조레스, 미라보 ~ (구) 오스테를리츠 (우측통행) |
단선 병렬 구간 | 불로뉴-장 조레스 ~ 미라보 (단선이 각각 놓여 있음)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제3궤조 방식, 직류 750V) |
3. 연혁
4. 차량
10호선은 노선의 역사만큼이나 특이한 차량이 많이 투입된 노선이다. 최초의 금속 차체 차량인 M 4형(통칭 스프라그-톰슨형)이 늦게까지 다녔고, 관절대차를 가진 MA 51형도 1994년까지 투입되었다. 현재는 전 차량 MF 67형으로 통일되어 있다.[7] 2025년에는 MF 19 열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1975년에는 스프라그-톰슨 차량이 13호선에서 운행 중이던 MA 51 연결 차량으로 교체되었으며, 이 차량은 1994년 6월 15일에 MF 67 차량으로 교체되었다.[7]
10호선 열차는 포르트 도퇴유역의 선로와 연결된 오퇴유 차량기지에서 정비를 받는다. 이 차량기지는 지하에 있으며, 9호선과도 연결되어 있지만 9호선은 불로뉴 차량기지가 개통된 이후로는 이곳을 사용하지 않는다.
10호선 열차의 중정비와 일반 정비는 쇼아지 차량기지에서 이루어진다. 이 차량기지는 파리 8구에 위치하며, 파리 순환 고속도로와 가깝고 7호선의 분기점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34350m2 면적을 차지하는 이 차량기지에는 2007년 기준 330명의 직원이 근무했다.
5. 역 목록
파리 메트로 10호선은 불로뉴 방면에서 오스테를리츠역으로 향하는 노선이지만, 도중에 불로뉴-장 조레스역과 자벨-앙드레 시트로엥역 구간에서 남북으로 분기된다.
- '''불로뉴 - 퐁 드 생 클루''' (Boulogne - Pont de Saint-Cloud)
- 이 역은 강에 매우 가까워 회차 선로가 없다. 따라서 열차는 도착한 승강장에서 바로 회차한다.
- '''불로뉴 - 장 조레스''' (Boulogne - Jean Jaurès)
- 이 역부터 미셸-앙주-몰리토르 방면(남쪽 분기선)과 포르트 도퇴유 방면(북쪽 분기선)으로 분기된다.
10호선은 불로뉴-장 조레스역에서 분기하여 자벨-앙드레 시트로엥역까지 남쪽 분기선(오스테를리츠 방면)과 북쪽 분기선(불로뉴 방면)으로 나뉘어 운행된다.
5. 1. 남쪽 분기선 (오스테를리츠 방면)
미셸-앙주-몰리토르(Michel-Ange-Molitor)역에서는 9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다음 역은 샤르동-라가슈(Chardon-Lagache)역이고, 이어서 미라보(Mirabeau)역이 나온다. 미라보 역은 오스테를리츠역 방면 선로에만 승강장이 있어 독바위역과 유사한 구조이다.[1] 미라보 역 앞에서 북쪽 분기선과 합류하여 자벨-앙드레 시트로엥역으로 이어진다.5. 2. 북쪽 분기선 (불로뉴 방면)
불로뉴-장 조레스역에서 분기된 북쪽 분기선은 포르트 도퇴유, 미셸-앙주-오퇴유역을 거쳐 자벨-앙드레 시트로엥역에서 남쪽 분기선과 합류한다.- '''포르트 도퇴유''' (Porte d'Auteuil)
- * 9호선으로의 연결선(통칭 La voie Murat와 La voie des Ateliers)이 분기한다. La voie Murat 상에는 폐역 Porte Molitor가 있으며, La voie des Ateliers는 Auteil 기지를 경유하여 9호선으로 이어진다.
- '''미셸-앙주-오퇴유''' (Michel-Ange-Auteuil)
- * 9호선 몽트뢰유 방면으로 이어지는 연결선이 분기한다(포르트 도퇴유에서 분기되는 연결선은 퐁 드 세브르 방면으로 이어진다).
- * 접속 노선: 9호선
- '''에글리즈 도퇴유''' (Église d'Auteuil)
- * 1921년 5월 15일에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5. 3. 합류 후 (오스테를리츠 방면)
자벨-앙드레 시트로엥 (Javel-André Citroën)에서 오스테를리츠역 방면으로 노선은 거의 동쪽으로 뻗어있다.- '''자벨-앙드레 시트로엥''' (Javel-André Citroën)
- 인근의 RER C선 자벨역과 도보 환승이 가능하다.
- '''샤를 미셸''' (Charles Michels)
- 개통 당시 역명은 보그르넬(Beaugrenelle)이었으나 1945년 7월 14일에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아브뉘 에밀 졸라''' (Avenue Émile Zola)
- 개통 당시 역명은 코메르스(Commerce)였으나 1937년 3월 1일에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 '''라 모트-피케-그르넬''' (La Motte-Picquet-Grenelle)
- 6호선, 8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역 동쪽에서 8호선으로의 연결선이 분기한다. 이 연결선은 일시적으로 영업선으로도 사용된 적이 있다.
- '''세귀르''' (Ségur)
- '''뒤로크''' (Duroc)
- 13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뒤로크∼바노 사이에 과거 영업선으로 쓰였던 13호선으로의 연결선이 있으나, 현재는 선로가 철거되고 터널만 남아 있다.
- '''바노''' (Vaneau)
- '''세브르-바빌론''' (Sèvres-Babylone)
- 12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마비용''' (Mabillon)
- '''오데옹''' (Odéon)
- 4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클뤼니-라 소르본''' (Cluny-La Sorbonne)
- 개통 당시 역명은 클뤼니(Cluny)였으나, 1988년 2월 17일에 RER B선의 생 미셸-노트르담역 개업으로 RER C선 기존 역과 환승역이 되면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어 영업을 재개했다. RER B선, RER C선의 생 미셸-노트르담역과 연결되어 환승이 가능하다.
- 4호선의 오데옹에서 분기되어 온 4호선과의 연결선은 이 역을 지나 본선에 합류된다. 승강장은 중선이 하나 있는 상대식 형태(□|||□)이다 (중선이 4호선으로의 연결선).
- '''모베르-뮈튀알리테''' (Maubert-Mutualité)
- 역 동쪽에서 7호선으로의 연결선이 분기한다. 해당 연결선은 일시적으로 영업선으로도 사용된 적이 있다.
- '''카르디날 르무안''' (Cardinal Lemoine)
- '''쥐시외''' (Jussieu)
- 7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오스테를리츠 역''' (Gare d'Austerlitz)
- 5호선, RER C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 개통 당시 역명은 가르 도를레앙-오스테를리츠(Gare d'Orléans-Austerlitz)였으나 1979년에 현재의 역명으로 바뀌었다.
5. 4. 폐역
- '''크루아 루즈'''(Croix Rouge) : 1939년 9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 인력 부족과 영업 축소로 인해 영업이 중지되었다.[1] 인근 역과의 거리가 가깝다는 이유로 폐역되었으며, 현재는 환기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1]
- '''포르트 몰리토르'''(Porte Molitor) : 'La voie Murat' 상에 위치한 역으로, 승강장만 건설되어 있고 외부 출입구가 없어 영업한 적이 없는 유령역이다.[2] 'Murat'라고도 불리며, 인근 축구 경기장인 파르크 데 프랭스로 가는 교통 편의를 위해 계획되었으나, 결국 외부 통로가 만들어지지 않아 미개통 상태로 남았다.[2]
6. 특징적인 역
자벨-앙드레 시트로엥 역은 앙드레 시트로엥의 삶과 사업을 소개하는 안내판과 사진을 전시하고 있었다. 역 좌석은 1905년에 제작된 기어에서 영감을 받은 쉐브론 로고의 색상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 장식은 2000년대 "메트로의 부활" 개조 공사로 제거되었다.
라 모트-피케-그르넬 역 연결 통로에는 투생-기욤 피케 드 라 모트 가문의 문장(세 개의 금색 쉐브론과 세 개의 은색 화살촉이 있는 파란색)이 있다. 프레스코 벽화는 예전에 역이 있던 자리에 있었던 농민 총감의 벽의 문 중 하나인 '바리에르 드 라 퀴네트'를 묘사한다.
세브르-바빌론 역에는 재활용, 재생 에너지, 세계의 물 소비 및 전기 소비에 대한 전시가 있다. 2008년에는 그르넬 환경 포럼 계획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표지판으로 개조되었다.
클뤼니-라 소르본 역 천장은 라신, 몰리에르, 미슐레, 빅토르 위고, 랭보 등 유명 작가들의 모자이크와 서명으로 장식되어 있다.
7. 운행
2008년 기준으로, 10호선의 전 구간 운행 시간은 서쪽에서 동쪽 방향으로 28분, 반대 방향으로 29분이다. 파리 메트로의 모든 노선(3bis, 7bis 노선 제외)과 마찬가지로, 첫차는 오전 5시 30분에 출발한다. 불로뉴-퐁 드 생클루 역에서는 오전 5시 35분에 출발하는 열차가 있으며, 이보다 먼저 포르트 도퇴유 역에서 오전 5시 30분에 첫차가 출발한다. 포르트 도퇴유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는 오퇴유의 회차 루프에서 승객을 태우는 유일한 열차이기도 하다.[1]
막차는 불로뉴-퐁 드 생클루 역에서 다음날 오전 12시 47분에 가르 도스테를리츠 역으로 출발한다. 가르 도스테를리츠 역에서는 마지막 열차가 오전 12시 35분에 불로뉴-퐁 드 생클루 역으로, 다른 한 대는 오전 12시 51분에 포르트 도퇴유 역으로 출발한다. 금요일 밤부터 일요일, 공휴일에는 불로뉴-퐁 드 생클루 역에서 마지막 열차가 다음날 오전 1시 47분에 가르 도스테를리츠 역으로 출발한다. 이 종착역에서는 마지막 열차가 오전 1시 35분에 불로뉴-퐁 드 생클루 역으로, 오전 1시 46분에 포르트 도퇴유 역으로 출발한다.[1]
10호선의 열차는 다른 노선보다 운행 간격이 긴 편이다. 낮 시간에는 열차 간격이 평균 3~5분이며, 심야 시간에는 8~9분이다. 일요일 오전에는 열차 간격이 6~7분이고, 금요일 밤과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에는 오전 12시 30분 이후(금요일과 토요일 밤에는 오전 1시 15분 이후)에 약 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1]
메트로 직원은 크게 역무원과 운전사 두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역무원은 승차권 판매, 승객의 승차권 확인, 역의 전반적인 관리, 그리고 서비스의 필요에 따라 기타 업무를 담당한다. 운전사는 열차의 운행을 책임진다. 근무는 주간, 혼합, 야간의 세 교대로 이루어진다.[1]
8. 향후 확장 계획
2030년까지 파리 일드프랑스 지역 개발 계획(SDRIF)에 따르면 10호선의 공식적인 연장 계획은 없다. 하지만, 여러 해 동안 많은 프로젝트들이 제안되었다.
서쪽으로는 불로뉴-퐁 드 생 클루에서 생 클루 역까지 연장하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며, 생 클루 공원에 중간역을 신설하는 방안이다. 이 연장은 총 1km 정도가 될 것이며, 10호선은 생 클루 공원에서 T2 트램과 연결되고, 생 클루 역에서 트란실리앵 네트워크와 연결될 것이다. 그러나 이 서쪽 연장은 2008년에 채택된 SDRIF에 포함되지 않았다.
동쪽으로는 가르 드 오스테를리츠와 가르 드 리옹 사이의 센 강을 건너는 메트로 또는 RER 노선이 없다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10호선을 연장해야 한다는 요구가 있었다. 현재 노선 구성과 제안된 노선 지역의 지반 상태는 그러한 연장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연장은 RER C 노선을 따라 13구를 향해 rue du Chevaleret 아래로 이어지는 노선이다. 14호선의 올랭피아드 개통과 파리 리브 고슈 지역의 대학교 건설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여전히 서비스가 부족하다. 2007년, 파리 시의회는 10호선을 이v리 쉬르 센까지 연장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심의했으나, 2008년에 채택된 SDRIF에는 이 제안이 포함되지 않았다.
2008년 10월, SEMAPA는 감베타 광장에서 이v리 쉬르 센까지의 확장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요청했다. 일 드 프랑스 교통 노조(STIF)는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Chevaleret, Bibliothèque François Mitterrand, Bruneseau, Ivry – Nelson-Mandela, Ivry-Place Gambetta 역을 포함했다.
9. 관광
10호선은 주스 대학교(campus de Jussieu), 소르본, 파리 정치대학(Sciences Po) 등 여러 주요 대학을 연결하여 학생들의 이용률이 높다. 또한 파리와 그 서부 교외 지역의 여러 관광 명소를 지난다.
- 생클루 공원과 부르뉴비양쿠르의 알베르 칸 구립 박물관 (부르뉴 – 퐁 드 생클루)
- 오퇴유 온실 정원과 롤랑 가로스 경기장 (포르 도퇴유)
- 클뤼니 온천, 국립 중세 박물관, 라탱 지구 (클뤼니 – 라 소르본, 모베르 – 뮈튀알리테 및 카르디날 르모안)
- 파르크 데 프랭스 축구 경기장 (파리 생제르맹 축구 클럽의 홈 구장)
- 앵발리드는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묘소가 있다.
- 생제르맹데프레 - 실존주의의 탄생과 관련된 역사, 오래된 동굴에서의 재즈 사랑, 오래된 교회와 수도원, 그리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카페로 유명하다.
- 생 미셸과 라탱 지구.
- 아랍 세계 연구소(Institut du monde Arabe).
- 오스테를리츠역(Gare d'Austerlitz).
참조
[1]
기타
[2]
웹사이트
Calendrier du renouvellement des métros franciliens
https://www.youtube.[...]
2023-03-02
[3]
웹사이트
Grand Paris : la ligne 10 du métro a cent ans et elle a bien changé depuis 1923
https://www.leparisi[...]
2023-12-31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