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스쿠알 세르베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스쿠알 세르베라는 스페인 해군의 제독으로, 나폴레옹 전쟁 중 육군 장교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쿠바, 모로코, 필리핀 등지에서 복무하며 필리핀 탐험에 참여하여 지도 제작에 기여했다. 1890년대에는 해군 장관직을 거절하고 런던 주재 해군 무관으로 활동했으며, 미국-스페인 전쟁 발발 후 쿠바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에서 지휘했으나 패배하여 포로가 되었다. 전쟁 후 군법 회의에서 처벌을 받았지만, 그의 판단과 용감한 행동이 재평가되어 해군 참모총장, 종신 상원 의원을 역임했다. 그의 이름을 딴 군함이 건조되었으며, 사망 후에도 스페인 해군의 애국심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제독 - 루이스 카레로 블랑코
    루이스 카레로 블랑코는 스페인 내전 당시 프랑코 국가파에 합류한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프랑코 정권 하에서 요직을 거쳐 총리에 임명되었으나 바스크 조국과 자유에 의해 암살당해 스페인 정치적 혼미를 심화시키고 독재 체제 붕괴를 가속화했다.
  • 대십자 해군공훈십자장 수훈자 - 아돌포 수아레스
    아돌포 수아레스는 스페인의 정치인으로, 프랑코 시대에 요직을 거쳐 총리로 임명되어 민주주의 전환을 주도하고 입헌 군주제를 확립했으며, 마드리드-바라하스 공항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대십자 해군공훈십자장 수훈자 - 바르셀로나 백작 인판테 후안
    바르셀로나 백작 인판테 후안은 스페인 왕족으로 알폰소 13세의 아들이자 후안 카를로스 1세의 아버지였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 서열 1위였으나 프랑코 정권에 의해 배제되었고, 아들의 즉위로 왕정이 복원되었으며 해군과 인연이 깊고 훈장을 받았다.
파스쿠알 세르베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스쿠알 세르베라
이름파스쿠알 세르베라 이 토페테
출생지메디나시도니아, 카디스주, 스페인
사망지푸에르토레알, 카디스주, 스페인
안장 장소팡테온 데 마리노스 일루스트레스, 산페르난도, 카디스주, 스페인
경력
소속스페인 해군
복무 기간1858–1907
계급[[파일:3arm.png|20px]] Almirante (제독)
지휘해군 참모
쿠바 전대
해군부
카르타헤나 항구
전함 펠라요
코르벳함 페롤라나
코르벳함 산타 루시아
스쿠너 키르케
참전10년 전쟁
스페인-모로코 전쟁
스페인-모로 분쟁
* 파간룬간 요새 공격
제3차 카를로스파 전쟁
* 칸톤 반란
미국-스페인 전쟁
*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
정치 경력
직함해군부 장관
임기 시작1892년 12월 14일
임기 종료1893년 3월 23일
군주알폰소 13세
총리프락세데스 마테오 사가스타
이전호세 로페스 도밍게스
이후마누엘 파스킨 데 후안

2. 초기 생애 및 군 복무

1839년 2월 18일 메디나 시도니아에서 태어난 파스쿠알 세르베라 이 토페테는 산 페르난도의 해군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859년 스페인-모로코 전쟁에 참전했다.[21] 이후 1892년 12월 14일부터 1893년 3월 23일까지 해군 대신을 역임하며 스페인 해군의 행정 개혁을 시도했지만, 정치가와 관료의 방해로 1896년에 사임했다. 1898년 마리아 크리스티나 왕태후의 중재로 해군에 복귀, 대서양 함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2. 1. 해군 사관학교 입학 및 초기 경력

카디스 주 메디나-시도니아에서 태어난 파스쿠알 세르베라 이 토페테는 나폴레옹 전쟁 중 프랑스의 스페인 침공에 맞서 싸운 스페인 육군 장교의 아들이었다. 세르베라는 13세에 해군 사관학교에 입학했으며, 1858년 아바나로의 첫 항해에서 사관 후보생이 되었다. 그는 21세에 소위로 진급[1][2]했으며, 쿠바 (10년 전쟁 초기에)와 모로코 (스페인-모로코 전쟁 동안)에서 복무했다.[3][4]

2. 2. 필리핀 복무 및 탐험

세르베라는 스페인령 필리핀에 배치되었으며, 1864년 9월 카스토 멘데스 누녜스 제독의 지휘 아래 모로족 반군에 대항하여 포트 파갈룬을 공격하는 데 참여했다. 그는 그 작전에서 적의 깃발을 탈취하여 두각을 나타냈으며, 그 공로를 인정받아 중위로 진급[1]했으며, 전투에 대한 공식 보고서에 언급되었다.[5] 이후 세르베라는 필리핀 군도의 수백 개 섬을 지도하는 탐험에 참여하여 이 지역을 항해하는 선원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1865년 그는 스페인 본토로 돌아와 결혼했다.[1]

2. 3. 칸톤 반란 진압 및 함선 지휘

스페인 본토로 돌아와 결혼한 후, 세르베라는 카를로스 전쟁 중 하나인 칸톤 반란 진압에 참여했다.[1] 이후 스페인령 필리핀에서 스쿠너 ''키르케''와 코르벳 ''산타 루시아''를 지휘하며 다시 반군을 상대로 작전을 펼쳤다.[1] 1876년 홀로 총독으로 임명되었지만, 그곳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말라리아에 걸려 생존을 위협받았고, 안토니오 카노바스 델 카스티요 총리의 요청에 따라 그 직후 필리핀의 상황을 보고하기 위해 마드리드로 돌아왔다.[1]

2. 4. 해군 장관직 제안 거절 및 훈련함 지휘

안토니오 카노바스 델 카스티요 총리는 세르베라에게 해군부 장관직을 맡아달라고 요청했지만, 세르베라는 서류 업무보다는 바다에 있는 것을 선호한다며 거절했다.[1] 1879년 훈련용 코르벳 *페롤라나*의 지휘를 맡아 1882년까지 그 자리에 있었고, 이후 카르타헤나 해군 기지를 감독하기 위해 전출되었다. 1885년부터 1890년까지 전함 ''펠라요''의 조선 위원회에서 근무했으며, *펠라요*의 초대 함장이 되었지만, *펠라요* 건조를 지연시킨 스페인 해군의 관료주의적 절차에 맞서 싸워야 했다.[1]

3. 정부 요직

1891년 5월, 섭정 여왕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세르베라를 해군 부관으로 임명했다. 이후 세르베라는 섭정 여왕의 요청에 따라 스페인 해군을 위한 여러 순양함의 건조를 감독했다.[1]

세르베라는 해군 대신을 역임하며 스페인 해군의 행정 개혁을 여러 차례 시도했지만, 정치가와 관료의 방해를 받았다. 1898년에 섭정 마리아 크리스티나 왕태후의 중재로 해군에 복귀했다.[21]

3. 1. 해군 장관 임명 및 사임

1891년 5월, 섭정 여왕 마리아 크리스티나는 세르베라를 해군 부관으로 궁정에 배속시켰다. 1년 후, 여러 정치인들이 세르베라를 해군 장관으로 임명하려 했지만, 그는 정치를 혐오했기에 이를 거부했다. 1892년, 프락세데스 마테오 사가스타 총리는 섭정 여왕에게 그를 설득하여 내각의 해군 장관직을 수락하도록 요청했고, 세르베라는 마지못해 이를 수락하며 ''콘트라알미란테''(소장)로 진급했다. 그는 총리에게 해군 예산을 삭감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으나, 총리가 약속을 어기자 1892년에 사임했다. 사임 전에는 스페인 해군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1][4][6] 그는 1892년 12월 14일부터 1893년 3월 23일까지 해군 대신을 역임했다.[21]

3. 2. 런던 주재 해군 무관

세르베라는 그 직후 런던 주재 해군 무관으로 임명되었고, 그곳에서 영국 로열 해군이 만들어낸 기술 혁신을 목격했으며, 1896~97년경 쿠바의 상황이 악화될 때까지 그 직책을 맡았다.[1][4][6]

4. 쿠바 복무

1895년 세르베라의 기함, ''인판타 마리아 테레사''


세르베라 제독은 미국과의 전쟁에서 스페인의 패배를 예상하고 쿠바 함대 사령관 직을 수락했다. 이후 함대의 문제점을 개선하려 노력했지만 어려움을 겪었다. 1898년 미국-스페인 전쟁이 발발하자, 쿠바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 산티아고데쿠바 항에 진입하여 봉쇄되었고, 이후 미국과의 교전, 봉쇄 시도 등 여러 사건을 겪었다.[1][4][6]

4. 1. 쿠바 함대 사령관 임명

세르베라는 스페인과 미국 간의 긴장이 고조되는 것을 우려했다. 1892년부터 1896년까지 미 해군이 발전함에 따라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하는 것은 불가피하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세르베라는 스페인이 준비가 되어 있지 않고 식민지를 방어할 충분한 군함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897년 10월 20일 쿠바 함대 사령관 직을 수락하고, 해군 훈련이 마지막으로 실시된 1884년(독일 제국과의 캐롤라인 제도 분쟁 중) 이후 승무원들을 훈련시키기 위한 훈련을 즉시 조직했다. 세르베라는 훈련 부족과 부적절한 보급품을 포함하여 짧은 시간 안에 함대의 수많은 결함을 수정하려 했다. 그러나 세히스문도 베르메호 제독의 해군성으로부터 계속 어려움에 직면했다.[1][4][6]

4. 2. 미국-스페인 전쟁 발발

1898년 2월 아바나 항구에서 미국 전함 폭발 사고 이후, 세르베라 제독은 스페인으로 급히 돌아가 정부와 직접 대화를 나눴다. 하지만 함대의 심각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카보베르데에서 해군으로부터 여러 척의 배를 쿠바에 돌려보내 전쟁을 준비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4][6]

4. 3. 산티아고 데 쿠바 항 진입

1893년 라 일루스트라시온 에스파뇰라 이 아메리카나에 게재된 세르베라의 판화.


세르베라 제독은 카리브해로 돌아와 여러 사고와 석탄 재보급 항구를 찾는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1898년 5월 19일 미국 함대를 피해 산티아고데쿠바 항구에 진입했다. 카리브해에 영토를 소유한 대부분의 유럽 국가가 공식적으로 중립을 유지했기 때문이다.[1][4][6] 그의 병력은 순양함 Infanta Maria Teresa|인판타 마리아 테레사es, Vizcaya|비스카야es, Almirante Oquendo|알미란테 오켄도es, Cristóbal Colón|크리스토발 콜론es과 구축함 2척을 포함했다.[7]

4. 4. 산티아고 데 쿠바 봉쇄

미국은 1898년 5월 28일[8] 또는 29일[9] 윈필드 스콧 슐리 준장이 지휘하는 비행 함대에 의해 산티아고 데 쿠바 항구에서 스페인 함대를 발견하고 봉쇄했다. 5월 31일, ''크리스토발 콜론''과 미 해군 함선 3척(BB-4, BB-2, CL-22) 간에 교전이 벌어졌다. 잠시 후 세르베라는 함대 순양함에 항구로 돌아가라고 명령했고, 어느 쪽도 피해를 입지 않았다. 윌리엄 T. 샘슨 소장이 지휘하는 북대서양 함대는 6월 1일까지 쿠바 해역에 도착하여 미 해군은 함께 세르베라의 함대를 산티아고에 봉쇄했다.

6월 2~3일, 미국 지휘관은 항구 입구에 운반선 1894을 침몰시켜 스페인 함선을 봉쇄하려 했으나, 방어군의 공격을 받아 좌초되었다. 이 시점에서 스페인 제독은 미국 승무원을 직접 만나 포로로 잡았다.

세르베라는 나중에 자신의 참모총장을 휴전 협정 하에 보내 1894 승무원이 살아 있고 안전하다는 메모를 샘슨 제독에게 전달했다. 이는 그의 미국 적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샘슨은 나중에 그 사건이 "스페인 장교들에 대한 호의적인 인상을 심어주었다"고 언급했다.[11]

5. 산티아고 데 쿠바 해전



1898년 7월 2일, 쿠바 군정 장관 라몬 블랑코는 세르베라에게 출격 명령을 내렸다.[1] 세르베라는 이전부터 마드리드 당국에 출격에 반대하는 주장을 펼쳤지만, 블랑코의 명령으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함대는 7월 3일에 공식적으로 출항하기로 결정되었다.[12]

세르베라는 4척의 장갑순양함과 2척의 구축함을 이끌고 탈출을 시도했지만, 미 해군에 포착되어 격침되었고, 세르베라는 포로가 되었다. 그의 아들 또한 이 해전에 참전하여 포로가 되었다.

5. 1. 전투 경과

세르베라 제독은 미 해군과의 긴장 고조 속에서도 스페인의 패배를 예견하고 쿠바 함대 사령관 직을 수락했다. 1898년 2월, USS 메인 폭발 사건 이후, 그는 카리브해로 돌아와 산티아고 데 쿠바 항구에 진입했다. 그의 함대는 순양함 인판타 마리아 테레사, 비스카야, 알미란테 오켄도, 크리스토발 콜론과 구축함 2척으로 구성되었다.[7]

미국은 1898년 5월 28일[8] 또는 29일[9] 윈필드 스콧 슐리 준장의 비행 함대에 의해 스페인 함대를 발견했다. 5월 31일, ''크리스토발 콜론''과 USS 아이오와, USS 매사추세츠, USS 뉴올리언스 간의 교전이 있었으나 양측 모두 피해는 없었다. 윌리엄 T. 샘슨 소장의 북대서양 함대는 6월 1일까지 쿠바 해역에 도착하여 세르베라 함대를 봉쇄했다. 6월 2~3일, 미군은 항구 입구에서 USS 메리맥을 침몰시켜 스페인 함선을 봉쇄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세르베라는 미국 승무원을 포로로 잡았다.

세르베라는 참모총장을 통해 포로의 안전을 샘슨 제독에게 알렸고, 이는 미국 측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11]

7월 2일, 라몬 블랑코 쿠바 군정 장관의 명령으로 세르베라는 출격을 결정했다. 7월 3일, 미 해군은 경보를 울렸고, 세르베라의 기함 ''인판타 마리아 테레사''를 선두로 스페인 함선들이 발포하며 교전했다. 그들은 해안선을 따라 서쪽으로 향했으나,[13] 미국 함대의 추격을 받았다. 엔진 손상으로 ''인판타 마리아 테레사''는 오전 10시 15분에 좌초되었고, ''알미란테 오켄도''도 오전 10시 20분경 좌초되었다. 구축함 플루톤은 좌초되었고, 푸로르는 오전 10시 30분까지 침몰했다.[14]

''비스카야''와 ''콜론''은 추격 끝에 파괴되거나 좌초되었다. 미 함선은 스페인 선원 구조 작전을 시작했고, 세르베라 제독도 체포되었다.[15] 그는 로블리 D. 에반스 선장에게 항복했고,[16] 애나폴리스로 이송되어 미국인들의 환호를 받았다.[17] 그는 조건부 자유를 거절하고 1898년 9월 스페인으로 돌아갔다.[1]

열세에도 불구하고 세르베라 함대는 출격을 시도했으나, 미 해군에 포착되어 침몰했다. 5월 31일, 6월 6일, 12일, 16일에는 항구 요새에 함포 사격이 있었고, 6월 3일에는 항구 폐쇄 작전이 실패했다. 6월 22일, 미 육군이 상륙하여 압박을 가했고, 7월 1일 엘 카네 마을과 산 후안 언덕에서 육전이 벌어졌다. 세르베라는 4척의 장갑순양함과 2척의 구축함을 이끌고 탈출을 시도했지만, 전 함이 침몰하고 세르베라는 포로가 되었다.

5. 2. 세르베라의 항복 및 포로 생활

세르베라 제독은 미 해군에 의해 구조되어 USS ''아이오와''에 탑승, 다른 스페인 장교들과 함께 로블리 D. 에반스 선장에게 공식적으로 항복했다.[16] 이후 애나폴리스로 보내져 미국 해군사관학교를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었으며 미국인들의 환호를 받았다. ''뉴욕 타임스''는 그가 "드러난 진실성과 자발성에 매우 감동받은" 것으로 보도했다.[17] 1898년 8월 20일, 미국 정부는 미국에 대항하여 무기를 들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자유를 제안했지만, 그는 조건부 자유를 수락하는 것은 스페인 법에 위배된다고 말하며 거절했고, 1898년 9월까지 스페인으로 돌아가지 않았다.[1]

6. 전쟁 이후

세르베라는 귀국 후 군법 회의에서 금고 1년형을 선고받았으나, 해전 이후 그와 본국 간의 연락 내용이 공개되면서 그의 판단이 옳았고 무리한 명령 속에서도 용감하게 싸웠다는 점이 높이 평가되었다.[21] 이러한 평가는 스페인과 미국 대중 모두에게서 나왔다. 이후 근위 무관장 등을 역임했다. 스페인이 공화제가 된 후에도 그의 명성은 쇠퇴하지 않았으며, 프린시페 알폰소급 경순양함의 한 척에 그의 이름을 딴 "알미란테 세르베라"(1927-1966)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6. 1. 진급 및 참모총장 임명

1901년 2월, 세르베라는 중장으로 진급했으며, 1902년 12월에는 해군 참모총장이 되었다.

6. 2. 종신 상원 의원 임명

1903년 5월, 국왕 알폰소 13세는 파스쿠알 세르베라를 종신 상원 의원으로 임명했다.[1]

6. 3. 퇴역 및 사망

1901년 2월, 세르베라는 비제알미란테(중장)로 진급했으며, 1902년 12월에는 해군 참모총장이 되었다. 이듬해 5월, 알폰소 13세는 그를 종신 상원 의원으로 임명했다. 1906년에는 건강이 악화되어 페롤 해군 구역 관리 임무를 맡았고, 이듬해 퇴역했다. 그는 1909년 4월 3일에 사망했다.

7. 개인사

세르베라 제독은 결혼하여 여러 자녀를 두었지만, 사생활은 엄격한 일정으로 보냈다.[1] 그의 아들 중 한 명도 스페인 해군에 복무했으며 산티아고에서 아버지와 함께 복무했다.[18] 세르베라는 유창한 영어를 구사했다.[4]

8. 수상

국가수상 내역
[20]
이사벨라 가톨릭 훈장
[20]
성 헤르메네길도 왕립 군사 훈장
[20]
해군 공로 대십자장
[20]
백색장 해군 공로 십자장
[20]
적색장 해군 공로 십자장
[20]
레지옹 도뇌르


9. 평가 및 영향

세르베라 제독은 사후에도 인기를 누렸으며, 스페인 해군은 그를 애국심의 상징으로 인정하여 그의 이름을 딴 경순양함을 명명했다.[19] 해전 이후 세르베라와 본국 간의 연락 내용이 공개되었고, 세르베라의 판단 타당성과 무리한 명령 속에서도 용감하게 싸운 점이 높이 평가되었다. 세르베라는 1909년에 사망했지만, 스페인이 공화제가 된 후에도 명성은 쇠퇴하지 않았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프린시페 알폰소급 경순양함의 한 척에 "알미란테 세르베라"(1927-1966)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참조

[1] 웹사이트 Admiral D. Pascual Cervera http://www.spanamwar[...] 2017-08-16
[2] 도서 Leeke (2009)
[3] 웹사이트 Pascual Cervera y Topete https://www.britanni[...] 2017-08-16
[4] 간행물 Honor in Defeat http://www.avalanche[...] Avalanche Press 2015-11
[5] 도서 Davis (1903)
[6] 도서 Dyal (1996)
[7] 도서 Leeke (2009)
[8] 도서 Nofi (1996)
[9] 도서 Leeke (2009)
[10] 웹사이트 Biography of Pascual Cervera https://todoavante.e[...]
[11] 도서 Leeke (2009)
[12] 도서 Leeke (2009)
[13] 도서 Leeke (2009)
[14] 도서 Leeke (2009)
[15] 도서 Leeke (2009)
[16] 도서 Leeke (2009)
[17] 도서 Leeke (2009)
[18] 도서 Leeke (2009)
[19] 웹사이트 Almirante Cervera https://web.archive.[...] 2017-08-29
[20] 뉴스 El testamento de Pascual Cervera y Topete http://www.diariodec[...] Diario de Cadiz 2014-05-02
[21] 서적 「坂の上の雲」では分からない日本海海戦 並木書房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