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팍스 몽골리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팍스 몽골리카는 13세기 몽골 제국 시대에 유라시아 대륙에 걸쳐 나타난 상대적인 평화와 안정, 그리고 그로 인한 광범위한 교류 시기를 의미한다. 칭기즈 칸의 몽골 제국은 13세기 초 팽창을 시작하여 광대한 영토를 정복했으며, 이는 무역로의 안전을 확보하고 동서양 간의 교류를 촉진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시기에는 다양한 기술, 상품, 문화, 그리고 사상이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질러 교류되었으며, 실크로드 무역이 부활하고 해상 무역로도 발전했다. 팍스 몽골리카는 몽골 제국의 행정 시스템과 무역 지원 정책을 통해 더욱 강화되었지만, 제국의 분열, 종교적 갈등, 흑사병의 창궐 등으로 인해 14세기에 쇠퇴했다. 팍스 몽골리카의 쇠퇴는 동서 간의 무역 감소와 중국의 고립주의 심화로 이어졌으며, 몽골 제국 멸망 이후에도 문화와 기술의 교류, 동서양의 상호 인식 변화 등 다양한 영향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팍스 - 팍스 로마나
    팍스 로마나는 기원전 27년부터 기원후 180년까지 로마 제국의 상대적 평화 시대를 가리키며, 옥타비아누스 집권 이후 시작되어 내전 종식과 제국 안정, 무역 활성화, 문화 교류를 가져왔지만 제국주의적 통치의 산물이라는 비판과 함께 후대 제국 평화 시대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팍스 - 팍스 브리타니카
    팍스 브리타니카는 1815년부터 1914년까지 영국이 산업 혁명과 해군력을 바탕으로 세계적인 패권을 유지하며 식민지를 확장했던 시기를 의미한다.
팍스 몽골리카
개요
명칭팍스 몽골리카 (Pax Mongolica), 몽골 평화
다른 명칭팍스 타타리카 (Pax Tatarica), 타타르 평화
배경
시기13세기 ~ 14세기
관련 국가몽골 제국
특징정복 전쟁 후 안정과 번영의 시기
주요 내용
정치적 안정몽골 제국의 통치 하에 정치적 안정 확보
경제적 발전실크 로드를 통한 무역 활성화, 문화 교류 증진
문화적 교류동서양 문화 교류 촉진, 다양한 종교와 사상의 공존
기술 발전과학 기술 발전과 지식 전파 촉진
영향
긍정적 영향동서양 교류 증진
무역 활성화
문화적 다양성 증진
기술 및 지식 전파
부정적 영향몽골 제국의 잔혹한 정복 전쟁
전염병 확산 (예: 흑사병)
강제적인 문화 이식 및 종교 탄압 (일부 지역)
평가
긍정적 평가유라시아 대륙의 통합
동서 문명 교류의 황금기
경제적 번영
비판적 평가몽골 제국의 폭력성과 파괴성 간과
제국주의적 시각
지역적 불균형 심화
관련 개념
유사 개념팍스 로마나, 팍스 브리타니카, 팍스 아메리카나
관련 인물칭기즈 칸, 쿠빌라이 칸
참고 문헌
관련 서적"몽골 제국사", "실크 로드" 관련 서적
같이 보기
관련 항목몽골 제국
실크 로드
팍스 로마나
팍스 브리타니카
팍스 아메리카나

2. 몽골 제국의 팽창

몽골 제국의 확장


몽골 제국의 팽창은 13세기 초 칭기즈칸을 시작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이후 ''팍스 몽골리카''로 이어졌다. 칭기즈칸은 이 지역의 여러 부족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몽골 부족 사회의 구조를 혁신적으로 바꾸었다.[4]

새로운 몽골 제국은 신속하게 영토 확장에 나섰다. 최초의 몽골 정복은 서하에 대한 원정이었으며,[7] 1209년 몽골은 서하를 정복했다. 1213년부터 1214년까지 몽골은 금나라를 정복했고, 1214년까지 황하 북쪽의 대부분의 땅을 점령했다.[7] 1221년 몽골 장군 제베수부다이카스피해 주변과 키예프 루스'로 원정을 시작했고, 칭기즈칸은 인더스 강 전투에서 투르크계 자랄 알-딘 밍부르누를 패배시켰으며, 같은 해에 호라즘 제국을 격파했다. 1235년 몽골은 고려를 성공적으로 침략했고,[7] 2년 후인 1237년 바투 칸과 수부다이는 루스' 정복을 시작했으며, 1241년 폴란드와 헝가리를 침략했다. 1252년 몽골은 송나라 침략을 시작했고, 1276년에 항주의 수도를 함락했다. 1258년 훌라구 칸은 바그다드를 함락했다.[7]

새로운 승리마다 몽골은 특히 외국 기술자와 노동자들을 사회에 편입할 기회를 얻었다. 새로운 정복은 새로운 무역로와 세금과 조공을 통제할 기회를 제공했다. 따라서 영토 확장을 통해 몽골은 제국이 된 것뿐만 아니라 기술적으로경제적으로 더 발전했다.[6]

2. 1. 칭기즈칸의 등장과 몽골 부족 통합

칭기즈칸은 13세기 초 몽골 제국의 팽창을 이끌었으며, 이는 ''팍스 몽골리카''로 이어졌다. 칭기즈칸은 여러 부족을 정복하는 과정에서 몽골 부족 사회의 구조를 혁신적으로 바꾸었다.[4] 부족 사회의 균형이 다양해짐에 따라, 1203년 칭기즈칸은 군대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의 씨족과 친족 기반의 분열을 극복하고 군대의 구조를 재편성했다. 그는 군대를 ''아르반''(10명으로 구성된 다민족 집단)으로 편성하고, ''아르반'' 구성원들은 민족 출신에 관계없이 서로에게 충성하도록 명령했다.[5] 열 개의 ''아르반''은 ''주운''(소대)을 이루고, 열 개의 ''주운''은 ''먄간''(대대)을 이루며, 열 개의 ''먄간''은 ''투멘''(1만 명의 군대)을 구성했다. 칭기즈칸의 군대의 이러한 십진법 조직은 중앙아시아 초원의 많은 부족을 정복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을 뿐만 아니라 몽골 사회 전체를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했다.[6] 1206년까지 칭기즈칸의 군사적 확장은 몽골의 부족들을 통합했고, 같은 해에 그는 몽골의 지도자로 선출되고 추대되었다.

2. 2. 몽골의 정복 전쟁



몽골 제국의 팽창은 13세기 초 칭기즈칸을 시작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이후 ''팍스 몽골리카''로 이어졌다. 칭기즈칸은 군대를 강화하기 위해 개혁을 명령하여 기존의 씨족과 친족 기반의 분열을 극복하고 군대의 구조를 재편성했다. 그는 군대를 ''아르반''(10명으로 구성된 다민족 집단)으로 편성하고, ''아르반'' 구성원들은 민족 출신에 관계없이 서로에게 충성하도록 명령했다.[5] 열 개의 ''아르반''은 ''주운''(소대)을 이루고, 열 개의 ''주운''은 ''먄간''(대대)을 이뤘으며, 열 개의 ''먄간''은 ''투멘''(1만 명의 군대)을 구성했다. 칭기즈칸의 강력한 군대의 이러한 십진법 조직은 중앙아시아 초원의 많은 부족을 정복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다.[6] 1206년까지 칭기즈칸의 군사적 확장은 몽골의 부족들을 통합했고, 같은 해에 그는 몽골의 지도자로 선출되고 추대되었다.

지원년간(1332년) 3년에 제작된 비문이 새겨진 청동 대포. 원나라(1206~1368). 1935년 베이징 방산의 운주사에서 발견됨.


새로운 몽골 제국은 신속하게 영토 확장에 나섰다. 최초의 몽골 정복은 서하에 대한 원정이었다.[7] 1209년 몽골은 서하를 정복했다. 1213년부터 1214년까지 몽골은 금나라를 정복했고, 1214년까지 몽골은 황하 북쪽의 대부분의 땅을 점령했다.[7] 1221년 몽골 장군 제베수부다이카스피해 주변과 키예프 루스'로 원정을 시작했고, 칭기즈칸은 인더스 강 전투에서 투르크계 자랄 알-딘 밍부르누를 패배시켰으며, 같은 해에 호라즘 제국을 격파했다. 1235년 몽골은 고려를 성공적으로 침략했다.[7] 2년 후인 1237년 바투 칸과 수부다이는 루스' 정복을 시작했고, 1241년 폴란드와 헝가리를 침략했다. 1252년 몽골은 송나라 침략을 시작했고, 1276년에 항주의 수도를 함락했다. 1258년 훌라구 칸은 바그다드를 함락했다.[7]

3. 팍스 몽골리카와 무역망

원나라 지폐와 인쇄판, 1287년


몽골 지배하에 새로운 기술과 상품들이 구세계(특히 유라시아 전역)에서 교류되었다. 몽골 시대에 많은 인적 교류가 있었으며, 경제(특히 무역과 공공 재정), 군사, 의학, 농업, 요리, 천문학, 인쇄술, 지리학, 역사서술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이 있었다. 이는 유라시아뿐만 아니라 북아프리카에도 영향을 미쳤다.[9]

몽골 제국은 야사(대법)라는 통일된 법률을 시행하여 제국 내 여러 지역의 법 체계를 통합하고, 평화로운 무역 환경을 조성했다.[28][29] 상업 활동 보호를 위해 절도와 가축 절도를 엄격히 금지하고, 분실물 센터를 운영했으며,[26][27]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여 다양한 종교를 가진 상인들이 자유롭게 교역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26]

오고타이 칸이 처음 도입하고, 차가타이 칸, 툴루이, 바투 칸에 의해 확장된 효율적인 역참 제도인 야음(Yam)(몽골어: Өртөө, Örtöö, 검문소)을 구축하여 통신과 운송 체계를 확립했다.[19] 몽골군은 무역로의 안전을 확보하고, 상인과 여행객을 보호하기 위해 무역로를 따라 수비대를 설치했다.[20] 또한, 도량형을 통일하고,[20] 무역로 주변에 나무를 심거나 돌기둥을 세워 상인들의 편의를 도왔다.[20] 몽골은 다른 국가와 동맹을 맺어 제국 간 무역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무역에 중요하지 않은 도시는 파괴하여 무역로를 재편하기도 했다.[20][21]

몽골은 몽골-오르토크 파트너십을 통해 투자와 대출을 장려하여 상업 통합을 촉진했다. 몽골 투자자들은 금화, 지폐, 금은괴 등을 투자에 활용했으며, 몽골 엘리트들은 마르코 폴로 가문을 포함한 외국 상인들과 무역 파트너십을 맺었다.[23][24]

3. 1. 실크로드의 부활과 동서 교류

몽골 제국의 전성기에는 동쪽의 부산에서 서쪽의 부다페스트까지, 북쪽의 리투아니아에서 남쪽의 베트남까지 광대한 영토가 하나의 정치 권력 아래 통일되었다. 그 결과, 상인들이 이용하는 무역로가 안전해져서 동쪽의 중국에서 서쪽의 영국까지 실크로드를 통한 무역이 크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다.[8]

몽골의 부상 이전, 구세계 체계는 고립된 제국 체계로 구성되었다.[10] 새로운 몽골 제국은 한때 고립되었던 문명들을 새로운 대륙 체계로 통합하고, 실크로드를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재확립하였다. 몽골의 지배하에 유라시아가 통일되면서 무역 네트워크 전반의 경쟁적인 조공 징수 세력의 수가 크게 줄었고, 여행의 안전과 보안이 더욱 확보되었다.[11] 몽골 제국의 평화 시대(Pax Mongolica) 동안, 마르코 폴로와 같은 유럽 상인들은 아나톨리아를 중국과 연결하는 잘 정비되고 이용이 많은 도로를 통해 유럽에서 중국으로 여행하였다.

실크로드를 통해 카라반은 중국 비단, 후추, 생강, 계피, 그리고 육두구향신료 제도에서 대륙간 무역로를 통해 서쪽으로 가져왔다. 동양의 음식도 유럽에 소개되었다.[12] 인도산 무슬린, 면직물, 진주, 그리고 귀금속은 유럽에서 판매되었고, 무기, 카펫, 그리고 가죽 제품도 이란에서 유럽으로 수출되었다.[12] 화약 또한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래되었다. 반대로 유럽은 은, 고급 직물, 말, 리넨, 그리고 다른 상품들을 근동과 극동으로 보냈다.[12] 무역과 상업의 증가는 각 국가와 사회가 새로운 상품과 시장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켰고, 따라서 무역 체계에 참여한 각 국가 또는 사회의 GDP를 증가시켰다. 13세기 세계 무역 체계에 참여한 많은 도시들은 규모가 급속도로 성장하였다.[13]

육상 무역로와 함께, 해상 실크로드는 상품의 흐름과 몽골 제국의 평화 시대(Pax Mongolica) 수립에 기여했다. 이 해상 실크로드는 중국 남부의 짧은 연안 항로로 시작되었다. 기술과 항해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항로는 인도양으로 향하는 대양 항로로 발전하였다. 결국 이러한 항로는 아라비아해, 페르시아만, 홍해, 그리고 동아프리카 해안까지 확장되었다.[14]

유형의 상품뿐만 아니라 사람, 기술, 정보, 그리고 사상이 최초로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질러 활발하게 이동했다.[15] 예를 들어, 베이징의 대주교인 요한 몬테코르비노는 인도와 중국에 로마 가톨릭 선교를 설립하고 신약 성서를 몽골어로 번역하기도 했다.[15] 장거리 무역은 극동에서 유럽으로 새로운 사업 방식을 가져왔다. 환어음, 예금 은행, 그리고 보험은 몽골 제국의 평화 시대(Pax Mongolica) 동안 유럽에 소개되었다.[16] 환어음은 여행자가 무거운 금속 동전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장거리 여행을 훨씬 더 쉽게 만들었다.[20]

이슬람의 수학, 천문학, 그리고 과학 방법은 몽골 제국의 평화 시대(Pax Mongolica) 동안 아프리카, 동아시아 그리고 유럽으로 전파되었다.[17] 제지술과 인쇄술은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초기 은행 시스템이 설립되었고, 환전과 신용 거래가 일반적이었으며, 상인들의 부가 크게 증가했다.[18]

3. 2. 해상 무역로의 발전

팍스 몽골리카 시대에는 육상 무역로뿐만 아니라 해상 무역로도 크게 발전했다. 중국 남부에서 시작된 해상 무역로는 인도양을 거쳐 아라비아 반도와 동아프리카 해안까지 이어졌다.

3. 3. 몽골 제국의 행정 시스템과 무역 지원

몽골 제국은 야사(대법)라는 통일된 법률을 시행하여 제국 내 여러 지역의 법 체계를 통합하고, 평화로운 무역 환경을 조성했다.[28][29] 상업 활동 보호를 위해 절도와 가축 절도를 엄격히 금지하고, 분실물 센터를 운영했다.[26][27] 또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여 다양한 종교를 가진 상인들이 자유롭게 교역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26]

오고타이 칸이 처음 도입하고, 차가타이 칸, 툴루이, 바투 칸에 의해 확장된 효율적인 역참 제도인 야음(Yam)(몽골어: Өртөө, Örtöö, 검문소)을 구축하여 통신과 운송 체계를 확립했다.[19] 25~30마일마다 중계소를 설치하고, 신선한 말과 사료를 제공하여 제국 내 빠른 정보 전달과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19]

몽골군은 무역로의 안전을 확보하고, 상인과 여행객을 보호하기 위해 무역로를 따라 수비대를 설치했다.[20] 또한, 도량형을 통일하고,[20] 무역로 주변에 나무를 심거나 돌기둥을 세워 상인들의 편의를 도왔다.[20] 몽골은 다른 국가와 동맹을 맺어 제국 간 무역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무역에 중요하지 않은 도시는 파괴하여 무역로를 재편하기도 했다.[20][21]

몽골은 몽골-오르토크 파트너십을 통해 투자와 대출을 장려하여 상업 통합을 촉진했다. 몽골 투자자들은 금화, 지폐, 금은괴 등을 투자에 활용했으며, 몽골 엘리트들은 마르코 폴로 가문을 포함한 외국 상인들과 무역 파트너십을 맺었다.[23][24]

4. 팍스 몽골리카의 쇠퇴

팍스 몽골리카의 쇠퇴는 무능하고 경쟁적인 지도자들, 부패, 반란, 퇴폐, 파벌 투쟁, 암살, 외부의 공격, 그리고 질병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9] 이는 동서 간의 원활한 무역 감소로 이어졌다.

4. 1. 제국의 분열과 내부 갈등

15세기 몽골 잔존 국가 및 영역


쇠퇴기에 가까워진 몽골 제국은 여러 "칸국"으로 분열되었다. 몽골 세계가 고립되면서 14세기의 많은 통치자들은 자신의 칸국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종교적 불관용은 ''팍스 몽골리카'' 쇠퇴의 한 요인이었다. 러시아의 몽골인(킵차크 칸국)들은 다른 종교에 대한 불관용으로 점차 권력과 영토를 잃었다. 러시아의 몽골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정치적 이유로 이집트 맘루크와 연합했다. 킵차크 칸국은 페르시아 몽골과 전쟁을 벌이기도 했다.[19] 킵차크 칸국의 동부 지역인 백색 칸국은 일칸국 및 대칸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무너지는 무역 시스템과 몽골 왕자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어려워지면서 분권화가 발생했다. 페르시아 몽골 지도자 가잔은 1295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했고, 이는 무슬림 오이라트 장군 나우루즈의 권력 성장에 기여했다.

중국에서는 쿠빌라이 칸의 후손들이 몽골인들이 "너무 중국화"됨으로써 권력이 약해졌다고 주장했다. 이는 황제들이 자신의 몽골 정체성을 강조하고 중국 문화를 거부하며 백성들과 자신들을 분리시키게 했다. 쿠빌라이 칸은 한때 중국 문화와 그 중요성을 증진시켰지만, 원 황제들 치하에서는 이것이 금지되었다. 중국 문화가 변화함에 따라 불관용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일부 중국인들은 몽골인들이 중국 아이들을 죽이고 성적인 의식을 행할 계획이라고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많은 중국인들이 몽골인에 대해 혐오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혐오감은 중국 통치자들이 몽골인들을 중국에서 몰아내고 명나라를 건국하게 했다.[19][33]

4. 2. 흑사병의 창궐과 영향

유럽으로 전파된 흑사병;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유입됨


몽골 제국 각 칸국들의 분리와 분열만이 팍스 몽골리카의 쇠퇴에 기여한 것은 아니었다. 흑사병의 발생 또한 팍스 몽골리카 쇠퇴에 파괴적인 역할을 했다.[34] 몽골 제국이 이전에는 고립되었던 지역들을 연결했기 때문에 흑사병이 빠르게 퍼질 수 있었다.[34] 역사학자 윌리엄 H. 맥닐은 페스트가 1252년 몽골 군인들이 해당 지역을 침략했을 때 중국 남부와 버마 히말라야 산기슭에 사는 설치류에서 옮겨졌다고 지적했다.[35] 1331년 중국에서 페스트가 발견되었고,[35] 동아시아에서 무역로를 따라 상인과 몽골 군인들에 의해 서쪽으로 퍼져나갔다. 이들은 팍스 몽골리카 기간 동안 대륙을 자유롭고 빠르게 여행할 수 있었다. 페스트에 감염된 벼룩은 의 갈기, 낙타의 털, 또는 화물이나 안장가방에 둥지를 튼 에 붙어 이동했다.[36] 흑사병은 중국 인구의 3분의 1과 유럽 인구의 25~50%를 사망에 이르게 한 것으로 추정된다.[37]

인구가 감소하면서 몽골인들은 제국 내 외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행사할 수 없었고, 페스트가 발생하자 반란이 시작되었다.[38] 이러한 반란은 상품 생산과 무역 흐름을 방해하여 팍스 몽골리카를 종식시켰다.[39]

4. 3. 종교적 불관용과 민족 갈등

종교적 불관용은 ''팍스 몽골리카''의 쇠퇴에 있어 특정한 요인 중 하나였다. 러시아에서 킵차크 칸국으로 알려진 몽골인들은 다른 종교에 대한 불관용으로 인해 점차 권력과 영토를 잃었다. 러시아의 몽골인들은 이슬람으로 개종하여 정치적 이유로 이집트 맘루크에 합류했으며, 페르시아 몽골과 싸우기도 했다.[19] 킵차크 칸국의 동부 지역인 백색 칸국은 일칸국 및 대칸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무너지는 무역 시스템과 몽골 왕자들 간의 경쟁으로 인해 의사소통이 매우 어려워짐에 따라 분권화가 발생했다. 결국, 페르시아 몽골 지도자 가잔은 1295년에 이슬람으로 개종했고, 이는 무슬림 오이라트 장군 나우루즈의 권력 성장에 기여했다.

중국에서는 쿠빌라이 칸의 후손들이 몽골인들이 "너무 중국화"됨으로써 권력이 약해졌다고 주장했다. 이는 황제들이 자신의 몽골 정체성을 강조하고 중국 문화를 거부하기 위해 백성들과 자신들을 분리시키게 했다. 쿠빌라이 칸은 한때 중국 문화와 그 실천의 중요성을 증진시켰지만, 원 황제들 치하에서는 이것이 금지되었다. 중국 문화가 변화함에 따라 불관용이 더욱 일반화되었다. 일부 중국인들은 몽골인들이 중국 아이들을 죽이고 성적 의식을 행할 계획이라고 생각했다. 결과적으로 많은 중국인들이 몽골인에 대해 혐오감을 갖게 되었고, 이러한 혐오감은 중국 통치자들이 몽골인들을 중국에서 몰아내고 명나라를 건국하게 했다.[19][33]

5. 팍스 몽골리카의 영향과 유산

팍스 몽골리카는 비록 짧은 기간 동안 지속되었지만, 유라시아 역사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몽골 제국의 전성기에는 동쪽의 부산에서 서쪽의 부다페스트까지, 북쪽의 리투아니아에서 남쪽의 베트남까지 광대한 영토가 하나의 정치 권력 아래 통일되었다. 그 결과, 상인들이 이용하는 무역로가 안전해져서 동쪽의 중국에서 서쪽의 영국까지 실크로드를 통한 무역이 크게 성장하고 확장되었다.[8]

몽골의 지배 아래에 새로운 기술과 상품들이 구세계, 특히 유라시아 전역에서 교류되었다. 토머스 T. 올슨은 몽골 시대에 많은 인적 교류가 있었다고 지적했다.[9] 경제, 군사, 의학, 농업, 요리, 천문학, 인쇄술, 지리학, 역사 서술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이 유라시아뿐만 아니라 북아프리카에도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후 중국은 점점 고립주의적이고 내향적으로 변화하였다. 중국은 외국인, 외국 무역, 중국어 이외의 언어를 금지했고, 유교도교가 다시 국교로 부활되었으며, 문화적 침체를 경험했다.[40] 명나라 초기, 정화의 항해에도 불구하고 세계 다른 지역과의 무역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40] 이는 전쟁, 전염병, 광범위한 혼란 때문으로 여겨지며, 경제적 어려움 또한 중요한 세계 무역 참여자로서의 쇠퇴에 기여했다.[40] 흑사병은 빠르게 세계 무역 시스템으로 확산되었고, 팍스 몽골리카 시대에 일반적이었던 장거리 무역은 거의 완전히 중단되었다.

5. 1. 문화와 기술의 교류

몽골 제국의 지배 아래 유라시아 대륙에서 새로운 기술과 상품이 교류되었다. 특히, 경제, 군사, 의학, 농업, 요리, 천문학, 인쇄술, 지리학, 역사 서술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유라시아뿐만 아니라 북아프리카에도 영향을 미쳤다.[9]

몽골의 부상 이전, 구세계 체계는 고립된 제국 체계로 구성되었다.[10] 그러나 몽골 제국은 이러한 문명들을 통합하고 실크로드를 주요 교통 수단으로 재확립하였다. 유라시아가 몽골의 지배 아래 통일되면서 무역 네트워크의 경쟁적인 조공 징수 세력의 수가 줄었고, 여행의 안전이 확보되었다.[11] 몽골 제국의 평화 시대에 마르코 폴로와 같은 유럽 상인들은 유럽에서 중국으로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었다.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 비단, 후추, 생강, 계피, 육두구 등이 서쪽으로 전해졌고, 동양의 음식도 유럽에 소개되었다.[12] 인도산 무슬린, 면직물, 진주, 귀금속, 무기, 카펫, 가죽 제품 등이 유럽에서 판매되거나 이란에서 유럽으로 수출되었다.[12] 화약도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해졌다. 반대로 유럽은 은, 고급 직물, 말, 리넨 등을 동양으로 보냈다.[12] 무역이 증가하면서 각 국가와 사회는 새로운 상품과 시장에 노출되었고, 이는 GDP 증가로 이어졌다.[13]

해상 실크로드도 상품 교류와 팍스 몽골리카 수립에 기여했다. 이 해상 실크로드는 중국 남부의 짧은 연안 항로에서 시작하여 기술과 항해술의 발전에 따라 인도양으로 향하는 대양 항로로 발전했고, 결국 아라비아해, 페르시아만, 홍해, 동아프리카 해안까지 확장되었다.[14]

유형의 상품뿐만 아니라 사람, 기술, 정보, 사상도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질러 이동했다.[15] 베이징의 대주교 요한 몬테코르비노는 인도와 중국에 로마 가톨릭 선교를 설립하고 신약 성서를 몽골어로 번역했다.[15] 장거리 무역은 극동에서 유럽으로 새로운 사업 방식을 가져왔고, 환어음, 예금 은행, 보험이 유럽에 소개되었다.[16] 환어음은 여행자가 무거운 금속 동전을 가지고 다닐 필요를 없애 장거리 여행을 쉽게 만들었다.[20]

이슬람의 수학, 천문학, 과학은 팍스 몽골리카 시기에 아프리카, 동아시아, 유럽으로 전파되었다.[17] 제지술과 인쇄술은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해졌다.[18] 초기 은행 시스템이 설립되었고, 환전과 신용 거래가 일반화되면서 상인들의 부가 크게 증가했다.[18]

5. 2. 동서양의 상호 인식 변화

팍스 몽골리카는 동서양의 상호 인식을 변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마르코 폴로와 같은 유럽 상인들은 아나톨리아를 통해 중국과 연결되는 잘 정비된 도로를 이용하여 유럽에서 중국으로 여행하였다.

실크로드를 통해 카라반은 중국 비단, 후추, 생강, 계피, 육두구향신료 제도에서 대륙간 무역로를 통해 서쪽으로 가져왔다. 동양의 음식도 유럽에 소개되었다.[12] 인도산 무슬린, 면직물, 진주, 귀금속은 유럽에서 판매되었고, 무기, 카펫, 가죽 제품도 이란에서 유럽으로 수출되었다.[12] 화약 또한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래되었다. 반대로 유럽은 은, 고급 직물, 말, 리넨, 그리고 다른 상품들을 근동과 극동으로 보냈다.[12]

유형의 상품뿐만 아니라 사람, 기술, 정보, 사상도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질러 활발하게 이동했다.[15] 예를 들어, 베이징의 대주교였던 요한 몬테코르비노는 인도와 중국에 로마 가톨릭 선교를 설립하고 신약 성서를 몽골어로 번역하기도 했다.[15] 장거리 무역은 극동에서 유럽으로 새로운 사업 방식을 가져왔다. 환어음, 예금 은행, 보험은 팍스 몽골리카 동안 유럽에 소개되었다.[16] 환어음은 여행자가 무거운 금속 동전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장거리 여행을 훨씬 더 쉽게 만들었다.[20]

이슬람의 수학, 천문학, 과학 방법은 팍스 몽골리카 동안 아프리카, 동아시아, 유럽으로 전파되었다.[17] 제지술과 인쇄술은 중국에서 유럽으로 전파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Mongol Empire: its rise and legacy Transaction 2006
[2] 서적 China: Its History and Culture (Fourth Edition) McGraw-Hill 2004
[3] 서적 Marco Polo: From Venice to Xanadu Vintage 2007
[4] 서적 The Mongols second edition OUP 2007
[5] 서적 Day of Empire: How hyperpowers rise to global dominance, and why they fall Random House 2007
[6]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ree Rivers Press 2004
[7] 웹사이트 The Mongol Empire http://www.allempire[...] 2009-11-22
[8]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Caimbridge UP 1954
[9] 서적 Culture and Conquest in Mongol Eurasia
[10] 간행물 The Shape of the World System in the Thirteenth Century 1988
[11]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OUP 1989
[12] 서적 The Mongol Empire: Its rise and legacy Transaction 2006
[13]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OUP 1989
[14] 서적 The Mongol Empire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East-West Relations Berghahn 2000
[15] 서적 Power and Plenty: trade, war, and the world economy in the second millenniu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6] 서적 Power and Plenty: trade, war, and the world economy in the second millennium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17] 서적 The Eastern Origins of Western Civilization Cambridge UP 2004
[18] 서적 A Splendid Exchange: How Trade Shaped the World Grove Press 2008
[19] 서적 The Mongol Empire in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Centuries: East-West Relations Berghahn 2000
[20]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ree Rivers Press 2004
[21]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ree Rivers Press 2004
[22] 서적 Genghis Khan and Mongol Rule Greenwood Press 2004
[23] 논문 The role of the ortoq in the Mongol Empire in forming business partnerships https://www.tandfonl[...] 2019
[24] 논문
[25]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ree Rivers Press 2004
[26] 서적 Genghis Khan and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Three Rivers Press 2004
[27] 서적 Daily Life in the Mongol Empire Greenwood Press 2006
[28] 서적 Genghis Khan and Mongol Rule Greenwood Press 2004
[29] 서적 Islam: A Short History Modern Library 2002
[30] 서적 Daily Life in the Mongol Empire Greenwood Press 2006
[31] 서적 Genghis Khan and Mongol Rule Greenwood Press 2004
[32] 서적 Genghis Khan and Mongol Rule Greenwood Press 2004
[33] 서적 The Black Sea: A History OUP 2004
[34] 서적 Atlas of Medieval Europe Routledge 1997
[35] 서적 A Splendid Exchange: How Trade Shaped the World Grove Press 2008
[36] 서적 A Splendid Exchange: How Trade Shaped the World Grove Press
[37] 서적 A Splendid Exchange: How Trade Shaped the World Grove Press
[38]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OUP
[39] 서적 Marco Polo: From Venice to Xanadu Vintage
[40] 서적 Before European Hegemony: The World System A.D. 1250–1350 OUP
[41] 서적 The Mongol Empire: its rise and legacy Transaction
[42] 서적 China: Its History and Culture (Fourth Edition) McGraw-Hill
[43] 서적 Marco Polo: From Venice to Xanadu Vintag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