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스 브리타니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팍스 브리타니카는 1815년 나폴레옹 전쟁 종결부터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까지 영국이 세계적인 패권 국가로서 유지했던 시기를 지칭한다. 영국은 산업 혁명과 자유 무역을 통해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고, 강력한 해군력과 외교 정책을 바탕으로 세계 무역을 통제하고 식민지를 확장했다. 팍스 브리타니카는 오스만 제국의 쇠퇴, 독일, 일본, 미국의 산업화로 인한 영국의 산업 우위 쇠퇴,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로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국제 관계 - 비동맹 운동
비동맹 운동은 1961년 유고슬라비아에서 창설된 국제기구로, 특정 강대국 블록에 가담하지 않고 독립적인 국가들의 모임이며, 제국주의, 식민주의 등에 반대하며 주권과 영토 보전을 목표로 한다. - 20세기 국제 관계 - 제1차 세계 대전의 외교사
제1차 세계 대전의 외교사는 1914년부터 1918년까지 교전국들이 전쟁 목표를 설정하고 동맹 관계를 형성하며 비밀 조약을 통해 참전을 유도하는 등 외교적 과정을 다루며, 윌슨 대통령의 14개조 발표와 미국의 참전이 큰 영향을 미쳤다. - 팍스 - 팍스 로마나
팍스 로마나는 기원전 27년부터 기원후 180년까지 로마 제국의 상대적 평화 시대를 가리키며, 옥타비아누스 집권 이후 시작되어 내전 종식과 제국 안정, 무역 활성화, 문화 교류를 가져왔지만 제국주의적 통치의 산물이라는 비판과 함께 후대 제국 평화 시대를 설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팍스 - 팍스 몽골리카
팍스 몽골리카는 13세기와 14세기 몽골 제국이 유라시아 대부분을 지배하며 이룩한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번영의 시기로, 제국은 교역망 구축과 문화 교류를 촉진했으나 분열, 갈등, 흑사병으로 쇠퇴했다.
팍스 브리타니카 |
---|
2. 역사
빈 체제 회의 이후, 대영 제국은 강력한 해군력[13]과 유럽 대륙 내 힘의 균형 유지를 위한 외교적 노력으로 경제를 발전시켰으나, 빈 체제 붕괴와 함께 팍스 브리타니카는 약화되기 시작했다.[21]
이 시기 영국 해군은 해적 진압 및 노예 무역 차단 같은 국제적 활동을 수행했다. 1807년 노예 무역 금지법으로 영국 제국 전역에서 노예 무역을 금지하고, 서아프리카 함대를 설립해 이를 강제했다.[15][16] 청나라를 상대로 아편 전쟁(1839-1842)과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을 수행하기도 했다.
영국-이집트 전쟁으로 이집트는 70년간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17] A. J. P. 테일러는 이 사건을 세당 전투와 러일 전쟁 사이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하며, 이집트 점령이 영국의 세력 균형을 바꾸고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길을 열었다고 강조했다.[18][19]
영국은 1840년 이후 자유 무역 정책을 채택하고, 증기선과 전신 등 신기술로 제국을 효율적으로 통제, 방어했다. 1902년에는 올 레드 라인이라는 전신 케이블 네트워크로 제국을 연결했다.[20]
2. 1. 성립 배경
빈 회의 이후, 대영 제국은 강력한 해군력[13]과 유럽 대륙 내에서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켜 나갔다.미국 독립 전쟁에서 13개 식민지를 잃은 후, 영국은 아시아, 태평양, 그리고 아프리카로 눈을 돌려 제2차 영국 제국(1783–1815)을 건설했다. 산업혁명은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시작되었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1776)과 같은 자유 시장에 대한 새로운 사상이 등장했다. 자유무역은 1840년대까지 영국이 실천한 중심 원리가 되었으며, 영국의 경제 성장과 금융 지배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1815년 나폴레옹 전쟁 종전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영국은 세계적인 패권국가 역할을 수행했다. 1815년 영국 실론(현 스리랑카) 병합으로 주요 해상 무역로에 대한 "영국 평화" 부과가 시작되었다.[11] 페르시아 만 영국 거주지 하에, 지역 아랍 통치자들은 영국의 지역 보호를 공식화하는 여러 조약에 동의했다. 영국은 1820년 일반 해상 조약으로 알려진 반해적 행위 조약을 부과했다. 1853년 영구 해상 휴전에 서명함으로써, 아랍 통치자들은 외부 위협으로부터 영국의 보호를 받는 대가로 바다에서 전쟁을 벌일 권리를 포기했다.[12] 영국 군대와 상업의 세계적 우위는 분열되고 상대적으로 약한 유럽 대륙과 전 세계 바다에 존재하는 영국 해군에 의해 도움을 받았다. 영국은 공식 제국 외부에서도 중국, 샴, 아르헨티나와 같은 많은 국가와의 무역을 통제했다.
2. 2. 전개 과정
빈 회의 이후, 대영 제국은 강력한 해군력과 유럽 대륙 내 균형 유지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팍스 브리타니카는 빈 체제의 붕괴와 함께 약화되기 시작했다.[21]오스만 제국의 쇠퇴로 인해 크림 전쟁이 발발하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후 이탈리아와 독일 같은 새로운 민족 국가들이 등장하면서 유럽 강대국들과의 관계는 긴장 국면에 들어섰다. 이 두 전쟁에는 유럽의 주요 강대국들과 군대가 복잡하게 얽혀 있었다. 독일 제국과 미국 등이 산업화되면서 1870년대 이후 영국의 공업 분야에서의 절대적 우위는 크게 쇠락했다.
미국 독립 전쟁에서 13개 식민지를 잃은 후, 영국은 아시아, 태평양, 그리고 아프리카로 눈을 돌려 제2차 영국 제국(1783–1815)을 건설했다. 산업혁명은 18세기 후반 영국에서 시작되었고,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1776)과 같은 자유 시장에 대한 새로운 사상이 등장했다. 자유무역은 1840년대까지 영국의 중심 원리가 되었으며, 영국의 경제 성장과 금융 지배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1815년 나폴레옹 전쟁 종전부터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영국은 세계적인 패권국가 역할을 수행했다. 1815년 영국 실론(현 스리랑카) 병합으로 주요 해상 무역로에 대한 "영국 평화"가 시작되었다.[11] 페르시아 만 영국 거주지 하에, 지역 아랍 통치자들은 영국의 보호를 공식화하는 여러 조약에 동의했다. 영국은 1820년 일반 해상 조약을 통해 반해적 행위 조약을 부과했고, 1853년 영구 해상 휴전에 서명함으로써 아랍 통치자들은 외부 위협으로부터 영국의 보호를 받는 대가로 바다에서 전쟁을 벌일 권리를 포기했다.[12] 영국 군대와 상업의 세계적 우위는 분열되고 상대적으로 약한 유럽 대륙과 전 세계 바다에 존재하는 영국 해군에 의해 도움을 받았다. 영국은 공식 제국 외부에서도 중국, 샴, 아르헨티나와 같은 많은 국가와의 무역을 통제했다. 빈 체제 회의 이후, 영국 제국의 경제력은 해군력의 우세[13]와 유럽 대륙의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계속 발전했다.[14]
영국 해군은 해적 진압 및 노예 무역 차단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했다. 1807년 노예 무역 금지법으로 영국 제국 전역에서 노예 무역이 금지되었고, 영국 해군은 서아프리카 함대를 설립하고 정부는 국제 조약을 협상하여 금지를 시행했다.[15][16] 영국 해군은 청 제국에 대항하여 아편 전쟁(1839-1842)과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을 수행했다. 1815년부터 1890년과 1898년 독일 해군 법 통과까지 프랑스만이 잠재적인 해군 위협이었다. 크림 전쟁을 제외하고 1815년부터 1914년까지 주요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다.
영국-이집트 전쟁은 1914년까지 오스만 제국이 명목상 소유권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70년 동안 이집트를 영국이 점령하게 만들었다.[17] 역사가 A. J. P. 테일러는 이것이 "위대한 사건이었다. 실제로 세당 전투와 러일 전쟁에서 러시아의 패배 사이의 국제 관계에서 유일한 진정한 사건이었다"라고 말했다.[18] 그는 이집트 영국 점령이 힘의 균형을 바꾸어 영국에 인도로 가는 길의 안전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동지중해와 중동의 지배자로 만들었고, 해협에서 러시아에 맞서 최전선에 설 필요가 없게 만들었으며, 10년 후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길을 열었다고 강조한다.[19]
영국은 1840년 이후 자유 무역 정책을 채택하여 전 세계 국가들과 광범위하게 상품과 자본을 거래했다. 영국의 제국력 성장은 19세기 후반에 발명된 증기선과 전신에 의해 더욱 뒷받침되었으며, 제국을 통제하고 방어할 수 있게 했다. 1902년까지 영국 제국은 올 레드 라인이라고 불리는 전신 케이블 네트워크로 연결되었다.[20]
2. 3. 쇠퇴와 종말
빈 회의에 의해 확립되었던 대륙 질서가 붕괴되면서 팍스 브리타니카는 약화되기 시작하였다. 오스만 제국의 쇠퇴로 크림 전쟁이 일어났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이후 이탈리아와 독일 같은 새로운 민족 국가들이 출현하면서 유럽 강대국들과의 관계는 긴장 국면에 들어섰다. 크림 전쟁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는 당시 유럽의 강대국들과 군대들이 복잡하게 휘말려 들었다. 독일, 일본, 미국의 산업화는 19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 우위의 상대적 쇠퇴에 기여했다.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의 시작은 팍스 브리타니카의 종말을 의미했다. 그러나 영국 제국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탈식민화가 시작될 때까지 가장 큰 식민 제국으로 남아 있었고, 영국은 1956년 수에즈 사태까지 주요 강국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이 사건에서 영국과 프랑스 군대는 미국과 소련의 압력으로 이집트에서 철수해야 했다.[17]
3. 해군력
영국 해군은 나폴레옹 전쟁에서 승리하여 절대적 우위를 확립했고, 이를 바탕으로 팍스 브리타니카가 유지되었다. 평시에는 해적과 노예 무역 단속을 주로 맡았으며, 대규모 함대를 항상 유지하지는 않았지만, 필요시 다른 나라보다 빠르게 전열함을 건조할 수 있었다. 19세기 말 영국 해군 정비 기본 방침은 이중 표준(Two-Power Standard)으로, 1889년 Naval Defence Act에 명기되었다. 이 원칙은 2위, 3위 국가 해군력을 합친 것보다 더 큰 해군력을 정비한다는 것이다. 초기에는 프랑스와 러시아를 가상 적국으로 상정했으나, 1900년경부터 독일 제국과 미국이 새로운 경쟁국으로 떠오르면서 건함 경쟁이 격화되어 이중 표준은 유지되기 어려웠지만, 1909년까지 공식적으로 유지되었다.[44]
4. 외교 정책
빈 회의 이후, 대영 제국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유럽 내 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켜 나갔다.
나폴레옹 전쟁 종전(1815년)부터 제1차 세계 대전(1914년)까지 영국은 세계적인 패권 국가의 역할을 수행했다. 1815년 영국 실론(현재의 스리랑카) 병합을 시작으로 주요 해상 무역로에 대한 영국의 영향력을 확대했다.[11] 페르시아 만 영국 거주지 하에, 지역 아랍 통치자들은 영국의 보호를 공식화하는 여러 조약에 동의했다. 영국은 1820년 일반 해상 조약을 통해 해적 행위를 금지했고, 1853년 영구 해상 휴전을 통해 아랍 통치자들은 외부 위협으로부터 영국의 보호를 받는 대가로 해상 전쟁 권리를 포기했다.[12] 영국 군대와 상업의 세계적 우위는 유럽 대륙의 약세와 영국 해군의 존재에 힘입은 것이었다. 영국은 공식 제국 외부에서도 중국, 샴, 아르헨티나 등 여러 국가와의 무역을 통제했다. 빈 체제 회의 이후, 영국 제국의 경제력은 해군력의 우세[13]와 유럽 대륙의 힘의 균형 유지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했다.[14]
당시 영국 해군은 해적 진압 및 노예 무역 차단과 같은 국제적인 활동을 펼쳤다. 1807년 노예 무역 금지법을 통해 영국 제국 전역에서 노예 무역을 금지했으며, 서아프리카 함대를 설립하고 국제 조약을 체결하여 노예 무역 금지를 강제했다.[15][16] 그러나 해군력은 육지에 투사되지 않았다. 크림 전쟁, 프랑스-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등은 주요 강대국 간의 육지 전쟁이었다. 영국 해군은 청 제국에 대항하여 아편 전쟁(1839~1842)과 제2차 아편 전쟁(1856~1860)을 수행했다. 1890년과 1898년 독일 해군 법 통과까지 프랑스만이 잠재적인 해군 위협이었다.
영국-이집트 전쟁은 1914년까지 이집트가 오스만 제국의 명목상 소유권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국이 이집트를 70년 동안 점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17] 역사가 A. J. P. 테일러는 이 사건이 세당 전투와 러일 전쟁 사이 국제 관계에서 유일한 진정한 사건이었다고 평가하며,[18] 장기적인 영향으로 이집트 영국 점령은 힘의 균형을 바꾸었고, 영국에 인도로 가는 길의 안전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동지중해와 중동의 지배자로 만들었으며, 10년 후 프랑스-러시아 동맹의 길을 열었다고 강조한다.[19]
영국은 1840년 이후 자유 무역 정책을 채택하여 전 세계 국가들과 상품과 자본을 거래했다. 영국의 제국력 성장은 19세기 후반 증기선과 전신의 발명으로 더욱 강화되어 제국을 통제하고 방어할 수 있게 했다. 1902년까지 영국 제국은 이른바 올 레드 라인이라고 불리는 전신 케이블 네트워크로 연결되었다.[20]
그러나 팍스 브리타니카는 빈 체제 회의에 의해 수립된 대륙 질서의 붕괴로 약화되었다.[21] 크림 전쟁을 야기한 오스만 제국의 쇠퇴와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이후 이탈리아와 독일의 등장 등은 유럽 열강 간의 관계를 긴장시켰다. 독일, 일본 제국, 미국의 산업화는 19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 우위의 상대적 쇠퇴에 기여했다.
19세기 영국 외교는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나폴레옹 전쟁의 교훈을 바탕으로 「해상권 장악」, 「전략적 요충지의 안전 확보」, 「반영 연합의 저지」라는 세 가지 원칙에 따라 진행되었다.
4. 1. 해상 통로 확보
가장 중요한 것은 엠파이어 루트(Empire Route)라 불리는 제국 통상로, 즉 이집트를 경유하여 영국(본국)과 인도(최중요 식민지)를 잇는 항로의 확보였다. 나일 해전과 트라팔가르 해전에 의해 해상에서의 영국의 우위는 확립되었지만, 이를 더욱 유지·강화할 필요가 있었다. 무역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병력의 신속한 수송에도 관여했기 때문이다. 몰타섬, 희망봉, 스리랑카 등 영국에게 있어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점이 전쟁 중에 점령되었고, 빈 회의에서 그 영유가 인정되었다. 이러한 통상로상의 요지에는 해군기지가 건설되었다. 이집트에 수에즈 운하가 생기자 이 또한 즉시 영국의 영향하에 두었다.4. 2. 전략 지역 안전 확보
보스포루스 해협, 다르다넬스 해협 및 영국 해협 건너편 네덜란드와 같이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의 안전과 중립이 과제가 되었다. 영국과 바다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 현재 벨기에에 해당하는 지역은 목구멍에 겨누어진 단검과 같았으며, 역대 영국 정부는 이 지역의 중립화에 힘써 왔다. 가톨릭 국가 스페인으로부터 프로테스탄트 네덜란드가 독립할 때는 이를 지지하였고, 네덜란드로부터 남부 가톨릭 주가 분리될 경우 프랑스의 영향하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4. 3. 반(反)영국 동맹 저지
영국은 미국 독립 전쟁이나 나폴레옹 전쟁 때처럼 유럽 여러 국가와 연합하여 대항하면 매우 불리했다. 따라서 영국과 동맹을 맺거나, 단독으로 영국을 위협할 만한 강대국이 유럽에 나타나는 것을 어떻게든 막아야 했다. 전통적인 적국인 프랑스와 러시아가 항상 경계 대상이었기 때문에, 두 나라를 견제하는 새로운 세력으로 통일된 독일 제국이 나타나 프랑스 제2제정을 타도했을 때는 처음에는 환영받기까지 했다. 그러나 독일 제국이나, 마찬가지로 미국 남북 전쟁을 극복하고 재통일을 이룬 미국과 같은 신흥국이 부상하면서, 영국을 비롯한 기존 강대국들은 상대적으로 지위가 낮아졌다. 더욱이, 친영적이고 대외 정책에 신중했던 오토 폰 비스마르크를 해임한 빌헬름 2세가 친정을 시작하면서, "신항로" 정책이라고도 불리는 그의 대외 적극 정책이 영국 제국의 이익과 충돌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아프리카에서는 보어 전쟁에서 예상치 못한 고전을 겪으면서 영국은 국력과 위신을 크게 잃었다. 그래서 러시아를 억제할 목적으로, 당시 근대화 과정에 있던 동양의 작은 나라인 일본과 영일동맹을 맺고, "영광스러운 고립" 정책마저 포기했다. 그 2년 후에는 영불협상으로 오랜 숙적이었던 프랑스와 사실상 동맹 관계를 맺고, 독일 제국의 팽창 정책에 대항하려 했다. 더 나아가, 러일 전쟁에서 일본의 승리와 러일의 화해(러일협상)를 거쳐 영러협상을 체결하고, 주로 독일을 가상 적국으로 하는 세력 균형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참조
[1]
서적
Johnston
[2]
서적
Porter
[3]
서적
Hyam
[4]
서적
Smith
[5]
서적
Parsons
[6]
서적
Porter
[7]
서적
Porter
[8]
서적
Marshall
[9]
서적
Cameron
[10]
서적
Darwin
[11]
서적
Crawfurd
[12]
웹사이트
The British in the Gulf: An Overview
http://www.qdl.qa/en[...]
British Library Qatar Foundation Partnership
2014-08-13
[13]
서적
Pugh
[14]
서적
Thackeray
[15]
서적
Falola
[16]
웹사이트
The legal and diplomatic background to the seizure of foreign vessels by the Royal Navy
http://www.pdavis.nl[...]
[17]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gypt Volume 2 Modern Egypt, from 1517 to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M.W. Daly
[18]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XI: Material Progress and World-Wide Problems, 1870–98
[19]
서적
International Relations
[20]
서적
Dalziel
[21]
서적
Pugh
[22]
서적
Johnston
[23]
서적
Porter
[24]
서적
Hyam
[25]
서적
Smith
[26]
서적
Parsons
[27]
서적
Porter
[28]
서적
Porter
[29]
서적
Marshall
[30]
서적
Cameron
[31]
서적
Wheelock's Latin
HarperCollins
[32]
서적
Darwin
[33]
서적
Crawfurd
[34]
웹사이트
The British in the Gulf: An Overview
http://www.qdl.qa/en[...]
British Library Qatar Foundation Partnership
2014-10-25
[35]
서적
Pugh
[36]
인용
Thackeray
[37]
인용
Falola
[38]
웹사이트
The legal and diplomatic background to the seizure of foreign vessels by the Royal Navy
http://www.pdavis.nl[...]
2020-12-23
[39]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Egypt Volume 2 Modern Egypt, from 1517 to the end of the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40]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XI: Material Progress and World-Wide Problems, 1870–98
[41]
인용
Taylor, International Relations
[42]
인용
Dalziel
[43]
인용
Pugh
[44]
인용
Haigh
[45]
인용
Por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