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라리 308 GTB/GTS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라리 308 GTB/GTS는 1975년 파리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된 2인승 미드십 스포츠카로, 피닌파리나가 디자인했다. 308 GTB는 쿠페 모델이며, 1977년에는 탈착식 루프를 가진 GTS 모델이 추가되었다. 308은 2,926cc V8 엔진을 탑재했으며, 1980년에는 이탈리아 내수 시장을 위해 배기량이 작은 208 GTB/GTS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후 연료 분사 방식을 적용한 308 GTBi/GTSi, 실린더당 4개의 밸브를 사용한 308 콰트로발볼레가 등장했다. 308은 랠리 버전으로도 제작되었으며, 1985년 페라리 328이 출시되면서 단종되었다. 이 차량은 1980년대 TV 시리즈 《매그넘 P.I.》에 등장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라리의 차종 - 페라리 로마
페라리 로마는 2020년에 출시된 페라리의 2+2 GT 쿠페로, 클래식 페라리 모델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과 3.9리터 V8 트윈 터보 엔진을 탑재하여 3.4초 만에 100km/h에 도달하며, 디자인으로 여러 상을 수상했다. - 페라리의 차종 - 페라리 488
페라리 488은 페라리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생산한 스포츠카로, 3,902cc V8 트윈 터보 엔진과 7단 듀얼 클러치 자동변속기를 사용하며, 다양한 파생 모델과 모터스포츠에서 활약했다. - 컨버터블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 컨버터블 -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는 1936년부터 시작되어 여러 세대를 거치며 다양한 차체 형태와 디자인 변화, 향상된 성능, 안전 기술, 편의 사양을 통해 진화해온 메르세데스-벤츠의 중형차급 승용차 시리즈이며 현재는 11세대 모델이 판매 중이다. - 1970년대 자동차 - 현대 포니
현대 포니는 대한민국 최초의 고유 모델 자동차로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생산되었으며, 독창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모델 출시로 한국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현대자동차 디자인 유산으로 자리매김했다. - 1970년대 자동차 - 포드 머스탱
포드 머스탱은 포드 모터 컴퍼니가 생산하는 스포츠카로, 1964년 출시 이후 여러 세대에 걸쳐 디자인과 성능 변화를 거듭하며 모터스포츠와 대중문화에서도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페라리 308 GTB/GTS - [자동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제조사 | 페라리 |
생산 기간 | 1975년–1985년 |
조립 장소 | 이탈리아 마라넬로 |
디자이너 |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 ( 피닌파리나 ) |
차종 | 스포츠카 (S) |
차체 스타일 | 베를리네타 (GTB) / 타르가 톱 (GTS) |
엔진 배치 | 가로 미드 엔진, 후륜 구동 |
관련 차량 | 페라리 208/308 GT4 페라리 몬디알 페라리 288 GTO |
선행 차량 | 디노 246 GT/GTS |
후속 차량 | 페라리 328 GTB/GTS |
차체 크기 | |
축간거리 | 2,340 mm |
전장 | 4,230 mm |
전폭 | 1,720 mm |
전고 | 1,120 mm |
차량 중량 | 1,090 kg (GTB, 1975년형) / 1,330 kg (GTB, 1983년형) |
엔진 및 변속기 | |
엔진 | 2,926cc 90도 V형 8기통 SOHC 2밸브 (1975-1981년형) / 2,926cc 90도 V형 8기통 DOHC 4밸브 (1982-1985년형) |
변속기 | 5단 MT |
서스펜션 및 브레이크 | |
전륜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 코일 |
후륜 서스펜션 | 더블 위시본 코일 |
브레이크 시스템 | 전륜 및 후륜 모두 벤틸레이티드 디스크식 |
성능 | |
최고 속도 | 252 km/h |
0-400m 가속 | 14.1초 (1975년형) |
2. 설계
308의 차체는 데이토나, 디노, 베를리네타 복서와 같은 페라리의 유명한 디자인을 담당했던 피닌파리나의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가 디자인했다. 308은 이러한 모양의 요소를 사용하여 각진 베르토네가 디자인한 GT4와 매우 대조되는 디자인을 만들었다. GTS 모델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시트 뒤의 비닐 덮개에 보관할 수 있는, 새틴 블랙 마감 처리된 착탈식 루프 패널을 특징으로 했다.
페라리 308 GTB/GTS는 1975년 파리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된 2인승 미드십 스포츠카이다. 1973년에 먼저 선보인 디노 308 GT4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308 GTB의 'B'는 베를리네타(Berlinetta)를 의미한다.
308은 차체와 분리된 튜브 프레임을 가지고 있었다. 308 GTB/GTS와 GT4는 기계적으로 유사하며, 초기 디노와도 많은 부분을 공유했다. 두 308 모두 동일한 튜브 플랫폼을 사용하지만, GT4는 2+2이므로 휠베이스가 더 길다. 엔진은 90도 배열의 V8이었으며, 각 실린더 뱅크당 벨트 구동식 오버헤드 캠샤프트가 2개씩 장착되었다. 엔진의 오일 팬 아래와 뒤쪽에 위치한 트랜스액슬 변속기 어셈블리와 일체형으로 횡 방향으로 장착되었다. 모든 모델은 완전 싱크로메시[2] 5단 "도그 레그" 수동 기어박스와 클러치 타입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을 사용했다.
서스펜션은 더블 위시본, 동축 코일 스프링 및 유압식 댐퍼, 그리고 양쪽 차축에 안티롤 바를 갖춘 모든 독립 현가 장치였다. 4륜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도 장착되었다. 스티어링은 무보조 랙 앤 피니언 방식이었다.[32]
3. 모델 역사
308의 아름다운 외관은 피닌파리나에서 디자인했으며, 디자이너는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였다. 헤드라이트는 당시 슈퍼카의 상징과도 같았던 원형 2등식 리트랙터블 헤드라이트를 사용했다. 초기 생산 모델은 FRP 차체를 사용했는데, 이는 이탈리아의 노동 파업으로 인해 강철 차체 생산이 지연되었기 때문이다.
308의 엔진은 2,926cc V형 8기통 DOHC 엔진으로, '308'이라는 이름은 3리터 8기통 엔진을 탑재했다는 의미이다. 초기 2밸브 모델은 웨버 카뷰레터를 장착하여 255마력(7,000rpm), 최대 토크 30.0kgf·m(5,000rpm)을 발휘했다. V8 엔진 특유의 흡기음과 고음의 엔진 및 배기 시스템은 페라리만의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냈고, 이는 308의 주요 판매 포인트 중 하나였다.
1977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는 탈착식 타르가 톱 루프를 가진 308 GTS 모델이 추가되었다. GTS의 'S'는 스파이더를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차체는 강철로 변경되었다.
1980년에는 2,000cc 이상 가솔린 엔진 차량에 높은 세금이 부과되는 이탈리아 내수 시장을 위한 208 GTB/GTS 모델이 출시되었다. 이 모델은 뉴질랜드에서도 판매되었다. 208 GTB/GTS는 1,991cc V8 엔진을 탑재하여 155마력의 출력을 냈다. 출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82년에는 터보차저를 장착하여 220마력을 내는 208 GTB 터보가 출시되었고, 1983년에는 208 GTS 터보가 출시되었다.
1980년에는 배기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연료 공급 장치를 인젝션(K 제트로닉) 방식으로 변경한 308 GTBi와 308 GTSi 모델이 출시되었고, 기존 카뷰레터 모델은 단종되었다. 1982년에는 엔진 헤드를 4밸브화한 콰트로발보레(Quattrovalvole, 이탈리아어로 4밸브) 모델이 추가되었다.
1985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후속 모델인 328이 발표되면서, 308은 10년간의 생산을 마감했다.
3. 1. 308 GTB/GTS (1975-1980)
피닌파리나 스타일의 '''페라리 308 GTB'''는 1975년 파리 모터쇼에서 그룹 베르토네가 디자인한 2+2 디노 308 GT4를 보완하고 2인승 디노 246을 대체하는 모델로 소개되었다.[3] 308의 차체는 피닌파리나의 레오나르도 피오라반티가 디자인했으며, 페라리의 데이토나, 다이노, 베를리네타 박서와 같은 유명한 디자인 요소들을 반영했다. 이는 각진 베르토네 디자인의 GT4와는 대조적이었다. GTS 모델은 새틴 블랙 마감 처리된 착탈식 루프 패널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시트 뒤 비닐 덮개에 보관할 수 있었다.
308 GTB의 ''F106 AB'' V8 엔진은 4개의 트윈 초크 웨버 40DCNF 기화기와 단일 코일 점화 장치를 장착했다. 유럽 버전은 6600rpm에서 255PS(레드라인 7700rpm)의 출력을 냈지만, 미국 버전은 배출 가스 규제 장치로 인해 6,600rpm에서 240PS로 낮아졌다. 유럽 사양 자동차는 드라이섬프 윤활 방식을 사용했고, 호주, 일본, 미국 시장용 차량에는 GT4의 기존 습식 섬프 엔진이 장착되었다.[3]
초기 308 GTB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카로체리아 스칼리에티에서 제작되었지만, 차체가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RP)으로 제작되어 1050kg의 매우 가벼운 무게를 가졌다는 것이다. 이는 1977년 6월까지 지속되었으며, 308이 강철 차체로 전환되면서 전체 무게가 약 150kg 증가했다.
5 스포크 14인치 알로이 휠이 기본으로 제공되었으며, 나중에 스포츠 배기 시스템, 고압축 보르고 피스톤, 높은 리프트 캠축 P6 및 더 깊은 프론트 스포일러와 함께 16인치 휠이 옵션으로 제공되었으며, 이 옵션은 "스프린트팩"이라고 불렸다.
1977년 프랑크푸르트 모터쇼에서 타르가 탑 '''308 GTS'''가 출시되었다.[4] 모든 GTS에는 습식 섬프 엔진과 강철 차체가 적용되었다. 유럽 GTB 모델은 1981년까지 드라이 섬프 윤활 방식을 유지했다.
1975년부터 1980년까지 3,219대의 GTS와 2,897대의 GTB가 제작되었다.[3][4] 유리 섬유(이탈리아어로 ''vetroresina'') 버전은 808대만 제작되었으며, 모두 베를리네타 차체였다.[5]
308에는 별도의 차체가 있는 튜브 프레임이 있었다. 308 GTB/GTS와 GT4는 기계적으로 유사했으며 오리지널 다이노와 많은 부분을 공유했다. 두 모델들은 동일한 튜브 플랫폼에 있지만 GT4(2+2)는 휠베이스가 더 길다. 엔진은 실린더 뱅크당 2개의 벨트 구동 오버헤드 캠샤프트가 있는 90도 구성의 V8이었다. 엔진 섬프 아래 및 뒤쪽에 있는 트랜스액슬 트랜스미션 어셈블리와 함께 장치에 가로로 장착되었다. 모든 모델은 완전 싱크로메시[32] 5단 "도그 레그" 수동 기어박스와 클러치식 슬립 제한 차동장치를 사용했다. 서스펜션은 이중 위시본, 동축 코일 스프링 및 유압 댐퍼, 양쪽 차축의 안티롤 바를 포함하여 완전히 독립적이었다. 4륜 통풍 디스크 브레이크도 장착되었다. 스티어링은 비보조 랙 앤 피니언이었다.
3. 2. 308 GTBi/GTSi (1980-1982)
1980년 보쉬의 K-제트로닉 기계식 연료 분사 장치가 제공되면서 '''308 GTBi'''와 '''GTSi'''가 출시되었다. 배출 가스는 감소했지만 유럽 모델은 214PS으로, 연방 규제 모델은 205PS으로 출력은 감소했다.[6] 연료 분사 장치는 각 실린더 뱅크에 코일, 배전기, 점화 모듈을 통합한 마렐리 MED 803A 디지플렉스 전자 점화 장치와 결합되었다.[6]
외부는 약간 다른 디자인의 미터법 크기의 휠과 미쉐린 TRX 래디얼 타이어가 장착된 것을 제외하면 308 GTB/GTS와 동일했다. 16인치 휠에는 미쉐린 XWX가 옵션으로 제공되었다. 내부에는 시계와 오일 온도 게이지가 센터 콘솔로 이동되었고, 3개의 천공된 스포크가 있는 새로운 검은색 스티어링 휠과 다른 패턴의 시트가 있었다.
1982년 308 ''Quattrovalvole''로 모델이 대체되기 전까지 494대의 GTBi와 1743대의 GTSi가 생산되었다.[6][7]
3. 3. 308 GTB/GTS 콰트로발볼레 (1982-1985)
1982년 파리 모터쇼에서 페라리는 '''308 콰트로발볼레'''를 GTB 및 GTS 형태로 출시했다.[8] 308 GTBi/GTSi에서 가장 큰 변화는 실린더당 4개의 밸브를 사용한 것이었다. (이탈리아어로 "4개의 밸브"라는 뜻의 ''콰트로발볼레'') 이를 통해 배출가스 제어 장치로 인해 손실된 성능을 회복하여 출력을 240hp-metric까지 끌어올렸다.
새로운 모델은 라디에이터 배기 공기 배출을 돕기 위해 전면 덮개에 슬림한 루버 패널을 추가하고, 작은 에나멜 페라리 배지를 부착한 전동식 미러, 각 측면에 직사각형 주행등이 있는 재설계된 라디에이터 그릴, 그리고 둥근 형태 대신 직사각형 측면 방향 지시등을 추가하여 식별할 수 있었다. 내부 역시 약간의 업데이트를 거쳤는데, 예를 들어 삼각형 중심부가 있는 새틴 블랙 3 스포크 스티어링 휠이 적용되었고, 표준 풀 가죽 시트 대신 천 시트 중앙부를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었다. 선택 가능한 옵션으로는 메탈릭 페인트, 깊은 프론트 스포일러, 에어컨, 더 넓은 16인치 Speedline 휠, 피렐리(Pirelli) P7 타이어 및 새틴 블랙 루프 에어로포일(일본 시장 모델의 표준 사양) 등이 있었다.
DOHC 32밸브 실린더 헤드를 제외하면, V8 엔진은 기본적으로 308 GTSi 모델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설계를 사용했다. 총 엔진 배기량은 이며, 보어 x 스트로크는 이었다. 유럽 사양 차량의 출력은 7000rpm에서 240hp-metric이고, 5000rpm에서 의 토크를 냈으며,[9] 미국 사양 차량의 경우 6800rpm에서 230hp SAE net, 5500rpm에서 의 토크를 냈다.[10] 콰트로발볼레 엔진의 수정된 특성에 맞게 기어비와 파이널 드라이브 기어비가 변경되었다. 콰트로발볼레의 4밸브 헤드의 또 다른 중요한 이점은 콰트로발볼레가 아닌 모델의 소듐 밸브를 대체했다는 점인데, 소듐 밸브는 헤드와 스템 사이의 접합부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보쉬(Robert Bosch GmbH)의 K-제트로닉(K-Jetronic) 연료 분사 및 마그네티 마렐리(Magneti Marelli) Digiplex 전자 점화 시스템은 GTBi/GTSi에서 그대로 이어졌다. 모든 미국 시장 모델에는 촉매 변환기가 장착되었다.
1984년에 출시된 288 GTO는 최초의 페라리 슈퍼카로 간주된다. 288은 이전 해인 1983년의 유럽형 308 GTB QV에서 많은 스타일링을 차용했다. 또한 유사한 2.8L V8 엔진을 사용했으며, 보어는 더 작고, 트윈 터보차저를 사용했다. 확장된 휠 아치, 다른 측면 통풍구, 더 큰 리어 스포일러, 더 긴(약 12.70cm) 휠베이스, 그리고 중앙 튜브형 스페이스 프레임 섀시를 유지했다.
1985년 페라리는 콰트로발볼레를 대체할 328을 출시했다. 1982년에서 1985년까지 콰트로발볼레는 총 3042대의 GTS와 748대의 GTB가 생산되었다.[8][11]
3. 4. 208 GTB/GTS (1980-1981)
1980년에 페라리는 308의 2리터 버전을 출시했는데, 이것이 '''208 GTB'''와 '''208 GTS'''였다. 이들은 주로 이탈리아 국내 시장을 위한 모델이었는데, 2리터 이상의 엔진을 장착한 신차에는 표준 18% 대신 38%의 훨씬 높은 부가가치세가 부과되었기 때문이다.[12] 208은 또한 포르투갈과 뉴질랜드에서도 판매되었다. 208 GTB/GTS는 208 GT4 2+2를 대체했다. 종종 역대 가장 느린 페라리로 여겨지지만, 1980년 미국의 잡지 ''Motor Trend''의 테스트에서는 208 GT4 베르토네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엔진은 1990.64cc의 총 배기량을 위해 66.8 mm로 언더 스퀘어(보어가 스트로크보다 작은 엔진) 설계를 가졌다.[13] 이로 인해 역대 가장 작은 V8 엔진 중 하나가 되었다. 네 개의 웨버 34 DCNF 기화기를 통해 공급되는 이 V8 엔진은 6800 rpm에서 155hp-metric의 출력을 냈다.[14] 1980년과 1981년에는 160대의 208 GTS와 140대의 208 GTB가 생산되었다.[14][15]
3. 5. 208 GTB/GTS 터보 (1982-1985)
1982년, 2리터 208은 터보차저 및 연료 분사 방식을 적용한 '''208 GTB 터보'''로 대체되었으며, 토리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다.[16] 이는 역사상 최초의 터보차저를 장착한 로드카 페라리였다. 1년 후인 1983년에는 GTS 버전이 출시되었다. 오리지널 208과 마찬가지로, 이 모델은 이탈리아 내수 시장을 겨냥했다.[17]
208의 엔진에는 단일 KKK K26 터보차저와 웨이스트게이트 밸브, 보쉬 K-제트로닉 연료 분사, 마렐리 전자 점화 시스템이 장착되었다. 터보차징 시스템의 설계는 당시의 페라리 126C2 포뮬러 원 자동차에 큰 영향을 받았다. 과급 방식은 7000 rpm에서 220hp-metric의 출력을 증가시켰으며, 토크 출력은 18% 증가했다. 208 터보는 0- 가속을 6.6초에, 최고 속도는 150mph를 기록했다고 한다.[17]
208 터보는 외부와 내부 모두 당시의 308 콰트로발볼레와 거의 동일했다. 뒷바퀴 웰 개구부 앞부분의 NACA 덕트와 후미에 부착된 "turbo" 배지, 그리고 덮여 있는 배기 파이프로 식별할 수 있었다. 라디에이터 그릴 아래, 전면 스포일러 하단에도 추가적인 냉각 슬롯이 추가되었다. 차량 후면에는 엔진 커버에 추가적인 루버가 추가되었고, 리어 범퍼 중앙에 냉각 통풍구가 배치되어 이를 둘로 나누었다.[17] 308에서는 옵션이었던 깊은 전면 스포일러와 검은색 루프 에일러론은 208 터보의 기본 장비였다.
1985년 생산이 종료되었으며, 437대의 GTB 터보와 250대의 GTS 터보가 생산되었다.[16][18] 1986년에는 328 기반의 인터쿨러를 장착한 GTB/GTS 터보로 대체되었다.
4. 랠리 버전
1978년부터 1986년까지, 랠리 경주용 페라리 308 GTB는 이탈리아 파도바에 있는 페라리 딜러이자 레이스 준비 워크숍인 미켈로토(Michelotto)에서 소량 개발 및 생산되었다. 미켈로토는 줄리아노 미켈로토가 소유하고 운영했으며, 조반니 미켈로티와는 관련이 없다. 미켈로토는 페라리와는 별개의 조직이었지만, 페라리 공장 엔지니어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세계 랠리 선수권 대회의 그룹 4 및 그룹 B 클래스에서 경쟁하기 위한 308 GTB의 랠리 버전을 제작했다. 여기에는 개조된 생산 섀시와 엔진을 기반으로 한 자동차와 더 급진적인 308 GT/M이 포함되었다. 이 차들은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지만, 1986년 그룹 B 클래스가 취소되면서 개발 및 공식적인 경쟁 사용이 중단되었다.
4. 1. 그룹 4

미켈로토는 1978년에 그룹 4 사양의 308 GTB 랠리 카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1980년 미켈로토는 파도바에 거주하는 랠리 드라이버 "니코" 그로솔리에게 Gr.4 308을 제공했다. 그로솔리는 미켈로토의 노력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페라리 공장으로부터 더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21] 당시 란치아는 피아트 그룹의 월드 랠리 챔피언십 공식 참가팀이었다. 페라리 역시 피아트 그룹의 일원이었으며, 표면적으로는 회원 브랜드 간의 경쟁 활동을 조율했지만, 미켈로토는 그로솔리의 지원을 받아 페라리 공장으로부터 공식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페라리는 미켈로토가 완전한 랠리 레이싱 카로 제작할 수 있도록 308 GTB 섀시와 엔진을 공급했다.[22][23] 미켈로토는 롤 케이지와 유지 보수를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설계된 개조된 엔진 베이를 포함하여 강철과 티타늄으로 제작된 경량 튜브 프레임 섀시 섹션을 설치했다. 이들은 고압축 피스톤, 개량된 밸브, 캠, 베어링, 점화 플러그를 사용하는 실린더당 2밸브(즉, 초기형 비-Quattrovalvole) 엔진을 장착했다. 웨버 기화기 또는 308 로드 모델에서 볼 수 있는 보쉬 K-Jetronic 인젝션 시스템 대신 보쉬 쿠겔피셔 기계식 연료 분사를 사용했다. 차량 전면에는 오일 쿨러가 두 개 더 추가되었다. 미켈로토의 개조를 거친 후 이 엔진은 약 288~330마력을 생산했다.[21][24][25] 가속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근접 기어비 변속기에 싱크로메시가 없는 변속기가 장착되었다. 서스펜션은 조정 가능한 코니 쇼크 업소버를 사용하여 표준 308 부품을 사용했다. 서스펜션은 랠리 스테이지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노면에 맞게 조정되었으며 308 로드 카보다 눈에 띄게 높은 지상고를 가졌다.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밸런스 컨트롤러가 추가된 표준 308 장비였다.[21] 캄파놀로 또는 루테 네리의 더 넓은 휠이 장착되었다. 차체는 유리섬유와 케블라로 제작되었으며 더 큰 펜더 플레어와 야간 스테이지용 옵션 조명이 장착되었다.[25] 무게를 줄이기 위해 내부는 제거되었고, 스파르코 유리섬유 레이싱 시트가 설치되었으며, 전동식 숨겨진 헤드램프 메커니즘은 수동으로 작동하는 메커니즘으로 교체되었다.[21] 미켈로토는 총 11대의 Gr.4 사양의 308 랠리 카를 제작했다.[25][23]
Group 4 308은 1978년부터 최소 1983년까지 랠리에 참가했다. 1978-79년에는 미켈로토가 제작한 Gr.4 308이 로베르토 리비에로와 라파엘레 "레레" 핀토에 의해 여러 랠리에 참가하여 1979년 몬자 랠리에서 우승했다. 1980년 후반에는 Gr.4 차량 중 하나가 "니코" 그로솔리에 의해 코스타 스메랄다 랠리, 랠리 일 치오코, 랠리 디 피안카발로 및 타르가 플로리오 랠리를 포함한 여러 랠리에 출전했다. 프랑스 드라이버 장-클로드 안드루에는 타르가 플로리오에서 308이 경쟁하는 것을 목격하고 샤를 포치 팀에게 1981년 동안 Gr.4 308 팀을 운영하도록 설득했다. 미켈로토는 포치를 위해 4대의 Gr.4 308을 제작했다.[25] 포치 팀은 모든 월드 랠리 챔피언십 레이스에 참가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이 참가한 제한된 수의 아스팔트 및 가벼운 자갈 랠리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포치 팀은 308이 그러한 지형에서 경쟁력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숲길 및/또는 눈이 포함된 이벤트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1981년, 안드루에와 공동 드라이버 샹탈 부셰탈[23] 및 미셸 "비슈" 프티는 타르가 플로리오 랠리, 랠리 4 레지오니, 24 오레 드 이프르, 투르 드 프랑스 오토모빌에서 우승했다. 그들은 투르 드 코르스, 랠리 코스타 브라바, 훈스뤽 랠리 및 랄리 비노 다 마데이라에서 잠시 선두를 유지했지만 우승하지는 못했다. 두 번째 포치 Gr.4 308은 가이 샤세일이 공동 드라이버 베르나데트 샤세일과 함께 운전했으며, 승리는 없었지만 여러 번 2위를 차지했다. 포치 팀은 1982년에도 308을 계속 운영했으며, 안드루에/프티가 투르 드 코르스에서 종합 2위를 차지하여 공식 일정 WRC 이벤트에서 308의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또한 1982년에는 이탈리아인 토니노 토냐나와 마시모 데 안토니로 구성된 독립 팀이 Gr.4 308을 운전하여 랠리 일 치오코와 랠리 디 피안카발로에서 우승하고 콜리네 디 로마냐에서 2위를 차지했다.[21] 1983년, "패닉"이라는 가명으로 활동하는 독립 드라이버가 전 포치 Gr.4 308을 투르 드 프랑스와 투르 드 코르스에서 경주하여 워크스 출전자가 아닌 상위권에 모두 이름을 올렸다.[25]
4. 2. 그룹 B
1982년 그룹 B 규정이 도입된 후, 미케롯(Michelotto)은 해당 클래스에서 경쟁하기 위해 308 GTB 랠리 카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 그룹 B 308은 스페인 랠리 드라이버 안토니오 자니니의 요청으로 제작되었다.[26] 총 4대의 그룹 B 사양 차량이 제작되었는데, 첫 번째 차량(섀시 18869)은 그룹 4 차량과 같은 2밸브 엔진을 사용했지만, 이후 3대는 308 콰트로발볼레의 4밸브 엔진과 보쉬(Bosch) K-제트로닉 연료 분사 장치를 사용했다. 콰트로발볼레(QV) 엔진은 미케롯의 튜닝을 거쳐 8,000rpm에서 310마력(hp)을 생산했다.[24]그룹 B 차량에는 "퀵 체인지" 기어박스가 장착되어 경기 중 최종 기어비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었다.[27] 또한 브렘보 브레이크, Fondmetal Canonica 휠, 강화된 안티롤 바, 로즈 조인트 서스펜션 링크, 경량 서스펜션 위시본, 더 빠른 스티어링 랙 등이 추가되었다.[26]
초기 호몰로게이션 규칙에 따라 그룹 B 차량은 일반 도로 주행용(로드고잉) 차량과 동일한 차체 패널을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그룹 B 308에는 강철 및 유리섬유 패널이 장착되었다. 308은 1982년 10월, 1983년 1월 및 4월에 세 차례 그룹 B 호몰로게이션을 획득하여, 미케롯은 엔진 부품, 경량 윈도우 및 차체 패널 등 페라리 제작 성능 부품을 추가로 통합할 수 있었다.[28]
1983년 섀시 18869는 임페리아 랠리, 시칠리아 랠리 챔피언십 등에서 1위를 차지했다. 1985년 안토니오 자니니는 이 차량으로 타르가 플로리오에서 3위를 기록하고, 이후 스페인 랠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26] 1984년 랠리 델라 라나에서 루이지 "럭키" 바티스톨리와 클라우디오 베로는 섀시 18847로 2위를 차지했고, 같은 해 비에른 발데가르드와 클라에스 빌스탐은 랠리 디 몬자에서 3위를 기록했다.[27][22]

4. 3. 308 GT/M
'''페라리 308 GT/M'''은 페라리와 미켈로토가 그룹 B "진화/종료" 규정에 따라 경쟁하기 위해 개발한 차량이다. 1982년 11월부터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Gr.4 308의 성공에 힘입어 페라리와 미켈로토는 그룹 B 규칙에 맞춰 특별 제작된 페라리 랠리카가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이 모델은 1987년 시즌에 그룹 B 차량이 금지되면서 취소되었다.[29][30]308 GT/M은 새로 설계된 튜블러 프레임 강철 섀시와 3.0리터 308 콰트로발볼레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엔진은 308 로드카 및 이전 Gr.4 랠리카의 횡 방향 장착과는 달리, 후방 미드 엔진 위치에 종 방향으로 장착되었다. 엔진은 내부적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동일 길이 배기 시스템과 수정된 보쉬 쿠겔피셔 연료 분사를 사용했다. 이 엔진은 8900rpm에서 약 363-370마력의 출력을 냈다. 업그레이드된 피스톤, 밸브 및 캠샤프트가 사용되었으며, 캠샤프트와 벨트 커버는 가벼운 마그네슘 합금으로 주조되었다. 휴랜드(Hewland) 5단 수동 트랜스액슬은 뒤쪽에 장착되어 뒷바퀴에만 동력을 공급했다. 또한 이 차에는 듀얼 플레이트, 포뮬러-원 타입 보그 앤 베크(Borg & Beck) 클러치가 장착되었다. 더블 위시본 서스펜션과 코일 스프링은 네 바퀴 모두에 사용되었으며, 서스펜션 지오메트리는 페라리 몬디알을 기반으로 했다. 일부 표준 308 및 몬디알 부품이 통합되었지만, 많은 부분이 수정되었다. 서스펜션 암과 스티어링 랙은 모두 차고 높이 조절을 위해 두 개의 대체 장착 위치를 가졌다. 브렘보 브레이크가 장착되었으며, 유압식 핸드 브레이크도 포함되었다. 차체의 케블라 및 탄소 섬유 바디는 프란체스코 보니올로가 설계했다. 이는 이전의 페라리 512 BB/LM과 유사했으며, 해당 모델의 풍동 실험의 영향을 받았다. 대형 고정 헤드라이트와 눈에 띄는 리어 스포일러가 통합되었다. 차체는 모데나 근처의 카로체리아 오토 스포츠(Carrozzeria Auto Sport)에서 제작되었다. 차량의 총 무게는 840kg으로, 그룹 B 규정에서 요구하는 최소 무게보다 120kg 적었다.[29][30]

페라리 드라이버들은 1984년부터 1986년까지 피오라노에서 308 GT/M을 광범위하게 테스트했다. 레이싱 타이어를 장착한 308 GT/M은 피오라노를 1분 24.6초에 랩을 돌았는데, 이는 F40 (1:25)과 512 BB/LM (1:26.6)보다 빨랐다. 이 차는 0-100kph까지 4초 이내에 가속했다. 페라리는 5단 기어에서 8500rpm 레드라인에서 최고 속도 270kph에 도달하도록 이 차를 설계했다.[29][30]
308 GT/M은 총 3대가 제작되었으며, 섀시 번호는 각각 001, 002, 003이다. 섀시 001은 1984년에 완성되어 페라리의 설계 개발 테스트용으로 사용되었으며, 피오라노 서킷에서 광범위한 트랙 테스트를 거쳤다. 이후 1984년 6월 벨기에 드라이버 장 "뵈르리스" 블라통에게 판매되어 벨기에 지역 랠리에 가끔 출전했다. 섀시 002는 1984년 몬차 랠리에 출전, 라파엘레 "레레" 핀토가 운전했다. 젖은 노면에서 핀토는 리어 서스펜션을 손상시켜 "전통적인" Gr.B 308 GTB에 뒤져 4위로 경기를 마쳤다. 이후 002는 수리되어 개인 소유주가 로드카로 사용했다. 섀시 003은 네덜란드 드라이버 헹크 콜을 위해 제작되었다. 1986년 가을에 제작이 시작되어 1987년 4월에 완료되었다. 섀시 003은 랠리 레이싱에 사용된 적은 없지만, 여러 페라리 트랙 행사에 등장했다.[29][30]
5. 대중문화
308은 1980년부터 1988년까지 8시즌 동안 방영된 텔레비전 시리즈 ''매그넘 P.I.''로 유명해졌다. 이 시리즈에서 주인공 토마스 매그넘(톰 셀렉)은 오아후에서 사건을 조사하며 이 차를 몰았다. 시즌마다 새로운 308 GTS 차량이 여러 대 사용되었으며, 대부분 촬영 후 경매에 부쳐졌다. 이 차량들은 모두 "ROBIN 1"이라는 번호판을 달고 있었다.[19]
- 시즌 1 – 1979 308GTS
- 시즌 2–6 – 1981 308GTSi
- 시즌 7–8 – 1984 308GTSi quattrovalvole
6. 수상
스포츠 카 인터내셔널은 2004년에 페라리 308 GTB/GTS를 1970년대 최고의 스포츠카 목록에서 5위로 선정했다.
7. 지역별 차이점
308 시리즈는 출시 기간 동안 매년 성능과 스타일이 업데이트되었으며, 수출 시장에 따라 동일한 시리즈의 차량이라도 여러 가지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유럽 자동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미국 시장용 308은 더 엄격한 미국의 도로 안전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더 크고 무거운 범퍼와 약간 더 튼튼한 프레임을 장착했다. 또한, 미국 시장용 차량은 낮은 압축비(8.6:1, 세계 대부분의 지역은 9.2:1)로 인해 성능 저하를 겪었으며, 주 배출 가스 규제로 인해 마력이 감소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순수한" 유럽 사양 차량은 연방 규격을 거친 차량보다 종종 더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
유럽 사양과 미국 사양 차량의 몇 가지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항목 | 유럽 사양 | 미국 사양 |
---|---|---|
마력 (QV 모델) | 240 마력 | 233 마력 |
기어비 | 다름 | 다름 |
전면 범퍼 | 후드 라인을 따르는 더 가볍고 작은 범퍼 | 2.5 mph 충격 범퍼 (확장형에 "갈고리" 부착) |
후면 범퍼 | 더 가볍고 작은 범퍼 | 스페이서가 있는 충격 범퍼 |
머플러 | 노출된 듀얼 팁 머플러 | 촉매 변환기가 있는 검은색 머플러 커버 |
외부 미러 | 비탈로니 스타일 | 더 나은 시야를 제공하는 더 큰 플래그 미러 |
방향 지시등/사이드 마커 | 사이드 라이트가 없는 작은 원형 황색 전면 방향 지시등 리피터 | 큰 직사각형 황색 전면 및 적색 후면 사이드 마커 라이트/반사판 유닛 (미국 내 유럽 차량은 유럽식 조명을 미국 사양으로 변환하고 적색 후면 라이트 추가) |
안전벨트 경고등 | 없음 | 있음 |
전면 그릴 주행등 | 플래시 투 패스 주행등 | 없음 |
스페어 타이어 | 스페이스 세이버 스페어 타이어 | 풀 사이즈 스페어 타이어 |
후면 엔진 덮개 그릴 | 좌우 그릴만 있음 | 머플러 뒤 추가 촉매 변환기에 필요한 더 큰 냉각 영역을 제공하는 U자형 그릴 |
무게 | 더 가벼움 | 더 무거움 |
8. 308 GTB 밀레키오디
308 GTB 밀레키오디는 피닌파리나가 308 GTB를 기반으로 설계한 공기역학 연구용 모델이다. 1977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었다.[20] 일반 308 GTB와 달리 맞춤형 무도색 공기역학 바디 키트와 베를리네타 복서의 계기판을 사용했다.[20] 이 차의 스타일링 요소 중 일부는 나중에 페라리 288 GTO에 반영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Designer
http://www.ajovalo.n[...]
2012-02-08
[2]
저널
Autotest: Ferrari 308 GTB
1976-10-23
[3]
웹사이트
308 GTB
http://auto.ferrari.[...]
2015-02-04
[4]
웹사이트
308 GTS
http://auto.ferrari.[...]
2015-02-04
[5]
저널
1976 Ferrari 308 GTB Vetroresina
2012-09
[6]
웹사이트
308 GTBi
http://auto.ferrari.[...]
2015-02-04
[7]
웹사이트
308 GTSi
http://auto.ferrari.[...]
2015-02-04
[8]
웹사이트
308 GTB Quattrovalvole
http://auto.ferrari.[...]
2015-02-04
[9]
웹사이트
1984 Ferrari 308 GTS Quattrovalvole model for Europe
http://www.automobil[...]
2018-06-14
[10]
웹사이트
1983 Ferrari 308 GTS Quattrovalvole model for North America U.S.
https://www.automobi[...]
[11]
웹사이트
308 GTS Quattrovalvole
http://auto.ferrari.[...]
2015-02-04
[12]
서적
Tax Coordination in the European Communit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987
[13]
웹사이트
Ferrari 208 gtb
http://auto.ferrari.[...]
2016-02-03
[14]
웹사이트
208 GTB
http://auto.ferrari.[...]
2015-02-04
[15]
웹사이트
208 GTS
http://auto.ferrari.[...]
2015-02-04
[16]
웹사이트
208 GTB Turbo
http://auto.ferrari.[...]
2015-02-04
[17]
웹사이트
Ferrari 208 GTB Turbo: the pioneer
https://www.ferrari.[...]
2019-01-08
[18]
웹사이트
208 GTS Turbo
http://auto.ferrari.[...]
2015-02-04
[19]
웹사이트
The Ferrari
http://magnum-mania.[...]
Magnum Mania
2014-04-22
[20]
뉴스
Pininfarina Ferrari 308 GTB Millechiodi
https://oppositelock[...]
2018-10-19
[21]
저널
308 Rallye
1983
[22]
웹사이트
Classified spotlight: Ferrari 308 Michelotto Group B
https://www.motorspo[...]
2020-04-30
[23]
웹사이트
When Ferrari made a rally car
https://magazine.fer[...]
2020-04-30
[24]
웹사이트
1976/1983 Ferrari 308 GTB Group B Michelotto
https://www.sportsca[...]
2020-04-30
[25]
웹사이트
Bonhams : 1976 Ferrari 308 GTB GR4 Michelotto Chassis no. 20373
https://www.bonhams.[...]
2020-04-30
[26]
웹사이트
Original Prototype - Ferrari 308 GTB Group B Michelotto
https://silodrome.co[...]
2020-05-01
[27]
웹사이트
1976 Ferrari 308 GTB Michelotto Group B
https://www.girardo.[...]
2020-05-01
[28]
웹사이트
Ferrari 308 GTB (Group 4 / B)
https://rallygroupbs[...]
2020-05-01
[29]
저널
308 GT/M
1989-02
[30]
웹사이트
Ferrari 308 GT/M – Group B Prototype
https://rallygroupbs[...]
2020-05-01
[31]
웹인용
Designer
http://www.ajovalo.n[...]
2012-02-08
[32]
저널
Autotest: Ferrari 308 GTB
1976-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