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양외국어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양외국어대학은 1949년 김일성종합대학 내의 로어대학으로 시작하여 1964년에 분리 설립된 북한의 외국어 교육 기관이다.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등 주요 언어 학부와 18개 언어를 교육하는 민족어대학을 운영하며, 졸업생들은 외교관, 정보기관 등에서 활동한다. 혁명 유자녀 등 출신 성분이 좋은 학생들에게 입학 우선권이 주어지며, 2012년부터는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여 정보화 교육도 실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양시의 학교 - 김정일정치군사대학
    김정일정치군사대학은 북한 평양에 위치한 간첩 양성 기관으로, 무력 적화통일을 위한 핵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해외 침투 공작원을 양성하며, 군사 훈련과 주체사상 교육을 실시한다.
  • 평양시의 학교 - 김일성종합대학
    김일성종합대학은 1946년 10월 1일 설립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의 종합대학으로, 사회주의 건설 엘리트 양성을 목표로 평양에 위치하며, 주체사상 교육을 강조하고 북한 엘리트 계층 양성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교 - 김정일정치군사대학
    김정일정치군사대학은 북한 평양에 위치한 간첩 양성 기관으로, 무력 적화통일을 위한 핵심 인력 양성을 목표로 해외 침투 공작원을 양성하며, 군사 훈련과 주체사상 교육을 실시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대학교 - 김일성군사종합대학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은 북한의 고급 장교 양성 및 재교육 기관으로, 1952년 개교하여 195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조선로동당과 정부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하며 중요한 위상을 지닌다.
  • 1964년 개교 - 서울신길초등학교
    서울신길초등학교는 1964년 개교하여 1996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60년 역사의 초등학교이다.
  • 1964년 개교 - 진경여자중학교
    진경여자중학교는 1964년 개교하여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2024년까지 6,69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평양외국어대학 - [대학]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 (한국어)평양외국어대학
이름 (한자)平壤外國語大學
이름 (조선글)평양외국어대학
이름 (영어)Pyongyang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학교 정보
종류공립
위치평양
국가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북한)

2. 역사

1949년 11월 15일 김일성종합대학 내의 로어대학(露語大學)으로 발족했다가 1961년 평양외국어대학으로 분리되어 단일 대학으로 승격했다. 입학은 혁명유자녀, 영예군인 자녀 등 출신성분이 좋은 사람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졌다. 또한 고등중학교 과정의 외국어학원 출신들이 진학하는 경우도 많다. 외국어 학원은 대한민국의 외국어고등학교와 유사하다.

외국어 학부는 5개가 있는데, 현재는 21개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학생 수는 2,000명이다. 졸업하면 외국어 전문가 자격이 부여되며, 외국 유학의 우선권이 주어지고 졸업생들은 조선로동당 국제부, 외무성,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등에 배치된다.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이 되는 2012년을 목표로 여러 사업을 펼치고 있으며, 2012년부터는 일반과목, 기초과목들도 100% 외국어로 강의하게 된다. 2010년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외국어원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평양외국어대학 학장 박성진은 "''교육의 질을 높이고 대학이 내건 목표를 달성하자면 우선 교직원들이 분발해야 한다. 지금 모든 현직교원들이 학위학직소유자로 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있다"'' 고 말하였다.[9]

2. 1. 설립 배경

1964년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1] 북한의 국영 조선중앙통신은 설립일을 1949년 11월 15일로 밝히고 있다.[2][3] 졸업생 대부분은 실무 외교관이 되거나 정보기관에서 근무하며, 김일성종합대학 외국어학부만큼 정치 엘리트를 양성하는 곳으로 명성이 높지는 않다.[4]

2. 2. 연혁

1949년 11월 15일 김일성종합대학 내의 로어대학(露語大學)으로 발족했다가[2][3] 1964년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1]

3. 학부

평양외국어대학은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학부를 위한 별도의 단과대학과 그 외 18개 언어를 교육하는 "민족어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10] [5]

3. 1. 주요 학부

평양외국어대학에서는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단과대학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른바 "민족어대학"에서는 헝가리어, 아랍어, 말레이어, 크메르어, 태국어, 라오어, 페르시아어, 힌디어, 우르두어, 독일어, 불가리아어, 체코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스페인어 등 18개 언어를 추가로 교육한다.[5]


3. 2. 민족어대학

이 대학은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학생들을 위한 별도의 대학을 가지고 있으며, "민족어대학"은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태국어, 우르두어, 크메르어, 그리고 2007년 7월에 새로 추가된 폴란드어이탈리아어를 포함한 18개 언어로 교육을 제공한다.[10]

평양외국어대학에서는 총 22개 언어를 가르친다. 이 대학은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를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단과대학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으며, "민족어대학"에서는 헝가리어, 아랍어, 말레이어, 크메르어, 태국어, 라오어, 페르시아어, 힌디어, 우르두어, 독일어, 불가리아어, 체코어, 폴란드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스페인어 등 18개 언어를 추가로 교육한다.[5]

4. 입학 및 교육

1949년 11월 15일 김일성종합대학 내 로어대학(露語大學)으로 발족했다가 1961년 평양외국어대학으로 분리되어 단일 대학으로 승격했다. 입학은 혁명유자녀, 영예군인 자녀 등 출신성분이 좋은 사람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고등중학교 과정의 외국어학원 출신들이 진학하는 경우도 많다.

외국어 학부는 5개가 있고, 현재 21개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학생 수는 2,000명이다. 졸업하면 외국어 전문가 자격이 부여되며, 외국 유학의 우선권이 주어진다. 졸업생들은 조선로동당 국제부, 외무성,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등에 배치된다.[9]

4. 1. 교육 과정

1949년 11월 15일 김일성종합대학 내 로어대학(露語大學)으로 발족했다가 1961년 평양외국어대학으로 분리되어 단일 대학으로 승격했다. 입학은 혁명유자녀, 영예군인 자녀 등 출신성분이 좋은 사람들에게 우선권이 주어진다. 고등중학교 과정의 외국어학원 출신들이 진학하는 경우도 많다. 외국어 학원은 대한민국의 외국어고등학교와 유사하다.

외국어 학부는 5개가 있으며, 현재 21개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학생 수는 2,000명이다. 졸업하면 외국어 전문가 자격이 부여되며, 외국 유학의 우선권이 주어진다. 졸업생들은 조선로동당 국제부, 외무성,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등에 배치된다.

김일성 주석 탄생 100주년이 되는 2012년을 목표로 여러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2012년부터 일반과목, 기초과목들도 100% 외국어로 강의하게 된다. 대학교육의 정보화 수준을 높여 2010년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외국어 원격교육을 실시하게 된다.

박성진 평양외국어대학 학장은 "교육의 질을 높이고 대학이 내건 목표를 달성하자면 우선 교직원들이 분발해야 한다. 지금 모든 현직 교원들이 학위학직 소유자로 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하였다.[9]

4. 2. 정보화 교육

현재 이 대학에서는 김일성 주석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2012년을 목표로 여러 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2012년부터는 일반과목, 기초과목들도 100% 외국어로 강의하게 된다. 그리고 대학교육의 정보화 수준을 높여 2010년부터는 전국을 대상으로 외국어 원격교육을 실시하게 된다.[9]

5. 졸업 후 진로

졸업하면 외국어 전문가 자격이 부여되며, 외국 유학의 우선권이 주어진다. 졸업생들은 조선로동당 국제부, 외무성, 대외문화연락위원회 등에 배치된다.[9]

6. 주요 동문

7. 주요 교직원

찰스 로버트 젠킨스는 미국의 탈북자이자 전 영어 교사였다. 그의 딸 브린다와 미카는 평양외국어대학 학생이었다.[6] 제임스 드레스녹은 미국의 탈북자 제임스 조셉 드레스녹의 아들이다.[7] 리용호[8]태영호는 북한 탈북자로, 태영호는 전 영국 주재 북한 부대사를 지냈으며 현재 대한민국 국회의원이다.

찰스 젠킨스는 한국 전쟁 미군 탈영병으로 미국 영어가 모국어이며 영어학부 교수였다. 제임스 드레스녹은 미군 탈영병으로 그의 아들 제임스는 영어학부 학생이었다.

현재 학장은 평양외국어대학 출신 박성진이다. 박성진 학장은 "교육의 질을 높이고 대학이 내건 목표를 달성하자면 우선 교직원들이 분발해야 한다. 지금 모든 현직교원들이 학위학직소유자로 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있다"고 말하였다.[9]

참조

[1] 뉴스 과학기술중시정책 영향... 외국어 배우기 열풍, 2개 국어 회화 필수 http://www.minjog21.[...] Minjog21 2007-07-23
[2] 뉴스 Pyongyang Univ. of Foreign Studies http://www.kcna.co.j[...] 2009-11-24
[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m.oananews.or[...]
[4] 뉴스 North Korea's Confusing Brand of English https://www.npr.org/[...] National Public Radio 2006-10-10
[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minjog21.[...]
[6] 뉴스 The strange saga of Charles Robert Jenkins http://www.atimes.co[...] Asia Times Online 2004-06-05
[7] 방송 An American in North Korea
[8] 서적 North Korea Handbook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2
[9] 뉴스 〈평양외국어대학 창립60돐〉 세계에서 조선의 본때 과시하는 인재를:《다방면적인 실력》 중시 조선신보 2009-11-26
[10] 웹인용 북평양외대, 폴란드.이태리어科 신설 http://nk.joins.com/[...] 2009-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