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평저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평저선은 배 밑바닥이 평평한 구조의 선박을 의미한다. 한국 전통 평저선은 장삭과 개삭으로 연결된 평탄한 구조를 가지며, 얕은 흘수로 빠른 선회 기동이 가능하지만, 풍랑에 약하고 속력이 느린 단점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나무못을 사용하여 배의 수명을 연장하고, 분해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여 수리 및 관리를 용이하게 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판옥선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일본의 첨저선에 비해 우위를 보였다. 현대에는 바지선, 바토, 곤돌라 등 다양한 종류의 평저선이 존재하며 각기 다른 용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수군 함정 - 판옥선
    판옥선은 정걸 장군이 건조한 조선 시대 군함으로, 2층 구조, 빠른 선회, 강력한 화력을 특징으로 하며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 함선이었다.
  • 조선의 수군 함정 - 거북선
    거북선은 조선 시대 군함으로, 특히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개량하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현재는 역사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임진왜란의 군함 - 아타케부네
    아타케부네는 일본 중세부터 근세에 사용된 대형 군선으로, '바다 위의 성'이라 불릴 정도로 거대했지만 속도와 외양 항해의 제한으로 연안 작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센고쿠 시대 해상 군사력 경쟁 심화로 등장하여 권력자들이 활용했으나 에도 시대 막부 통제와 평화 도래로 쇠퇴하여 아타케마루 해체를 끝으로 사라졌다.
  • 임진왜란의 군함 - 판옥선
    판옥선은 정걸 장군이 건조한 조선 시대 군함으로, 2층 구조, 빠른 선회, 강력한 화력을 특징으로 하며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 함선이었다.
  • 조선의 무기 - 쇠뇌
    쇠뇌는 활을 가로로 얹어 활시위를 고정하는 장치와 방아쇠를 갖춘 활의 일종으로, 활시위를 당긴 상태 유지가 용이하고 훈련 없이도 사용 가능하여 군사적, 사냥, 스포츠, 특수 목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 조선의 무기 - 기창
평저선
개요
정의바닥이 평평하거나 거의 평평한 배
특징
장점얕은 물에서 항해 가능
제작 용이
저렴한 비용
단점안정성 부족
파도에 취약
속도 제한
활용
용도강, 호수, 늪지대 등 얕은 수역 운항
어업, 수송, 레저 활동
군사 작전 (상륙정 등)
예시뗏목
상륙정
장선 (배)
역사
기원고대 문명 (이집트, 메소포타미아 등)
발전다양한 문화권에서 독자적인 형태로 발전
종류
구조에 따른 분류폰툰형
스키프형
박스형
용도에 따른 분류어선
수송선
레저용 보트
기타
관련 용어흘수선, 안정성, 복원성

2. 한국 전통 평저선의 특징

한국 전통 배는 바닥이 평평한 평저선 구조로, 바닥 판재를 나무못(장삭)으로 연결하고 개삭하여 만들었다. 이러한 방식은 배의 수리, 분해, 조립을 쉽게하여 수명을 늘렸다.[2] 경국대전에는 나무못을 사용한 배의 수명을 20년으로 정하고, 8년과 14년 차에 수리하도록 규정하였다.[3][4]

2. 1. 구조적 특징

평저선은 배 밑에 평탄한 저판(底板)을 깐 평탄한 구조의 선박으로 바닥이 평평하다. 바닥 판재들은 긴 나무못인 장삭으로 연결하고 개삭한다. 이는 장삭으로 개삭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선체가 뾰족한 것보다 평평한 것이 수월하기 때문이다.[2]

이러한 평저선은 바닥이 평평하여 흘수가 얕아져 빠른 선회 기동은 가능하지만, 물 위에 높이 솟아 있어 풍랑에 약해 전복되기 쉽다.[2] 또한 선수부가 개삭을 쉽게 하기 위해 평면이거나 곡면이라 저항을 많이 받아 속력이 느리다.[2]

경국대전에는 배의 수리 연한과 수명을 규정하고 있는데, 나무못을 사용한 배는 수명을 20년으로 한다. 쇠못은 빼낼 수 없어 판자가 썩어도 그냥 방치할 수밖에 없지만, 나무못은 판자에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배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므로, 배를 건조한 후 8년과 14년이 지나면 배를 수리하도록 경국대전에서 규정하고 있다.[3][4]

당시에 쇠못을 사용하여 제대로 배를 건조할 경우 수명이 20년이지만, 대부분 견고하게 만들어지지 못해 수명을 채우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우리나라 근해의 실정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조선 시대는 평저선 구조로 일관한다.[5]

한편 이러한 평저선의 특징을 지닌 판옥선임진왜란정유재란 당시, 일본 수군의 첨저선에 비해 상대적인 우위를 보였다.

2. 2. 장점과 단점

우리나라의 전통 배는 배 밑에 평평한 저판(底板)을 깐 구조로, 바닥이 평평한 평저선이다. 이 바닥 판재들은 긴 나무못인 장삭으로 연결하고 개삭한다. 이는 장삭으로 개삭을 쉽게 하기 위해서는 선체가 뾰족한 것보다 평평한 것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반면 평저선은 바닥이 평평하여 흘수가 얕아져 빠르게 회전할 수 있지만, 물 위에 높이 솟아 있어 풍랑에 약해 전복되기 쉬운 단점이 있다.[2] 또한 선수부가 개삭을 쉽게하기 위해 평면이거나 곡면이라 저항을 많이 받아 속력이 느린 단점도 있다. 공사 기간(工期)이 너무 짧아 쇠못으로 건조된 배보다 수명이 짧다는 견해도 있지만, 쇠못을 사용한 경우보다 배의 수명이 길다는 내용도 있다. 경국대전에는 배의 수리 연한과 수명을 규정하고 있는데, 나무못을 사용한 배는 수명을 20년으로 한다. 쇠못은 빼낼 수 없어 판재가 썩어도 그냥 방치할 수밖에 없지만, 나무못은 판재에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배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므로, 경국대전에서는 배를 건조한 후 8년과 14년이 지나면 배를 수리하도록 규정하고 있다.[3][4] 당시에 쇠못을 사용하여 제대로 배를 건조하면 수명이 20년이지만 대부분 견고하게 만들어지지 못해 수명을 채우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우리나라 근해의 실정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조선 시대에는 평저선 구조로 일관하였다.[5]

한편 이러한 평저선의 특징을 지닌 판옥선임진왜란정유재란 당시 일본 수군의 첨저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2. 3. 판옥선과 첨저선

우리의 전통 배는 배 밑에 평평한 저판(底板)을 깐 평저선 구조로, 바닥 판재들은 긴 나무못인 장삭으로 연결되고 개삭된다. 이는 장삭으로 개삭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선체가 뾰족한 것보다 평평한 것이 수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평저선은 바닥이 평평하여 흘수가 얕아져 빠른 선회가 가능하지만, 물 위에 높이 솟아 있어 풍랑에 약해 전복되기 쉬운 단점도 있다. 또한 선수부가 개삭을 위해 평면이거나 곡면이라 저항을 많이 받아 속력이 느린 단점도 있고, 건조 기간이 짧아 쇠못으로 건조된 배보다 수명이 짧다는 견해도 있다.[2] 그러나 쇠못을 사용한 경우보다 배의 수명이 길다는 내용도 있다. 경국대전에는 배의 수리 연한과 수명을 규정하고 있는데, 나무못을 사용한 배는 수명을 20년으로 한다. 쇠못은 빼낼 수 없어 판자가 썩어도 그냥 방치할 수밖에 없지만, 나무못은 판자에서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배의 분해와 조립이 가능하므로, 배를 건조한 후 8년과 14년이 지나면 배를 수리하도록 경국대전에서 규정하고 있다.[3][4] 당시에 쇠못을 사용하여 제대로 배를 건조할 경우 수명이 20년이지만 대부분 견고하게 만들어지지 못해 수명을 채우지 못했다. 이런 이유와 함께 우리나라 근해의 실정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조선 시대는 평저선 구조로 일관한다.[5]

한편 이러한 평저선의 특징을 지닌 판옥선임진왜란정유재란 당시, 일본 수군의 첨저선에 비해 해상 전투에서 우위를 보였다.

3. 현대의 평저선 종류

프랑스 샤토-라-발리에르의 연못에 있는 평저선


현대에는 다양한 종류의 평저선이 있으며, 각기 다른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주요 평저선 종류는 다음과 같다.

바지선
바토
불 보트
화차
코라클
커라
도리
더럼 보트
플랫보트
곤돌라
존 보트
킬보트
상륙함
노퍽 펀트
피로그
폰툰 보트
프램
펀트
Pünte
쿠파
산돌로
스코
샤피
트로


3. 1. 주요 평저선 종류

참조

[1] 서적 기술,배,정치-기술배정치는 세계패권을 어떻게 바꿨는가? 높은새 2010-02-22
[2] 서적 기술,배,정치-기술배정치는 세계패권을 어떻게 바꿨는가? 높은새 2010-02-22
[3] 서적 우리 배의 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01
[4] 서적 우리의 배 서울대학교출판부 1996-06-20
[5] 웹사이트 갑조선 http://100.daum.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