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판옥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판옥선은 조선 시대의 주력 전투함으로, 16세기 왜구의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2층 갑판 구조와 평저선 형태를 갖춰 좁은 해역에서의 기동성과 전투 효율을 높였다. 돛과 노를 모두 사용하고, 다양한 종류의 대포를 탑재하여 화력 또한 강화했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일본 수군을 상대로 혁혁한 전과를 올리며, 일본 군선에 비해 구조적 견고함과 우수한 화력을 바탕으로 해상전에서 우위를 점했다. 각 수영에 배치되어 조선 수군의 주력 함선으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수군 함정 - 거북선
    거북선은 조선 시대 군함으로, 특히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개량하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현재는 역사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조선의 수군 함정 - 평저선
    평저선은 밑바닥이 평평하여 얕은 물에서도 운항이 쉽고 회전이 용이하지만, 풍랑에 약하고 속도가 느린 한국 전통 배의 주요 형태이며, 조선 시대에는 군함 건조에 널리 쓰였다.
  • 임진왜란의 군함 - 아타케부네
    아타케부네는 일본 중세부터 근세에 사용된 대형 군선으로, '바다 위의 성'이라 불릴 정도로 거대했지만 속도와 외양 항해의 제한으로 연안 작전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센고쿠 시대 해상 군사력 경쟁 심화로 등장하여 권력자들이 활용했으나 에도 시대 막부 통제와 평화 도래로 쇠퇴하여 아타케마루 해체를 끝으로 사라졌다.
  • 임진왜란의 군함 - 세키부네
    세키부네는 에도 시대 일본에서 대선건조금지 정책으로 가장 큰 군선으로, 평시 해상 단속과 서국 제후들의 참근교대 시 어좌선으로 활용되었으며, 야구라로 덮인 선체와 돛, 노를 함께 사용한 추진 방식이 특징이며 현대 대한민국 해군 초계함에 그 역할과 정신이 계승되었다.
  • 임진왜란의 조선군 장비 - 거북선
    거북선은 조선 시대 군함으로, 특히 이순신 장군이 임진왜란 때 개량하여 해전에서 큰 공을 세웠으며, 현재는 역사 교육 및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임진왜란의 조선군 장비 - 신기전
    신기전은 14세기 후반부터 조선 시대에 사용된 한국의 로켓 무기로, 왜구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크기와 사거리가 다른 네 종류가 존재하고 임진왜란 등 여러 전쟁에서 활용되었다.
판옥선 - [배(Ship)]에 관한 문서
개요
판옥선 그림
종류
명칭판옥선 (板屋船)
판옥선 (Board roofed or superstructure ship)
정보
건조 시기1555년
운용 국가조선
이전 함선해당사항 없음
이후 함선해당사항 없음
제원
크기대형: 30.5 ~ 36.6 m (100 ~ 120 ft)
중형: 21 m (70 ft)
9.1 ~ 12.2 m (30 ~ 40 ft)
추진력50 ~ 60명의 노 젓는 인원
승선 인원125명의 해병
무장26문 이상의 대포
화차
반복식 쇠뇌
회전포
파비스
비고완전 가동 조건에서 대포 사거리는 200 ~ 600 야드
역사적 정보
손실 함선칠천량 해전에서 다수 침몰
기타
보존 상태박물관에 복제품만 존재

2. 특징

조선 전기에 주력 함선이었던 맹선왜구의 잦은 침입으로 인해 그 실효성을 잃었다. 16세기에는 삼포왜란, 사량왜변, 을묘왜변 등 왜변이 빈번하게 발생했고, 이전의 평선(平船)을 사용하던 왜구들이 2층 구조의 안택선을 사용하면서 조선 수군은 대응에 어려움을 겪었다.[13]

판옥선은 선저(배의 밑바닥)가 평평하고 흘수선(배가 물에 잠기는 부분)이 낮아 회전이 빠른 배였다. 이러한 특징은 여러 척의 배가 뒤엉키는 혼전에서 유리했지만, 빠른 속도로 암초와 파도를 헤치고 대양으로 나아가는 데에는 단점이 있었다.[14]

2. 1. 구조적 특징

판옥선은 전통적인 한국 선박의 구조를 따라 U자형 선체와 평저선(평평한 용골)을 가지고 있었다.[1] 이러한 특징은 한국 남부와 서부 해안의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넓은 간석지가 펼쳐져 있는 환경 때문이었다.[5] 평저선 형태는 밀물 때 해안으로 들어온 배가 썰물 때 간석지 위에 안정적으로 있을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기동성을 높이고 흘수(선체가 물에 잠기는 깊이)를 얕게 하여, 짧은 시간에 방향을 빠르게 바꿀 수 있게 해주었다.[6] 이러한 특징은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대첩에서 학익진 전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판옥선은 2~3층의 갑판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노를 젓는 격군은 아래층에 위치하여 비교적 안전하게 노를 저을 수 있었고, 전투병은 위층에서 적보다 높은 위치에서 공격하여 적이 배에 올라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상갑판 중앙에는 지휘와 관측을 위한 탑이 있었다. 넓고 평평한 갑판은 대포를 설치하기에 적합했다.

판옥선의 크기는 다양했는데, 가장 큰 배는 길이가 약 약 21.34m에서 약 30.48m로 추정된다.[7] 다른 자료에서는 약 15.24m에서 약 33.53m까지 다양했다고 한다.[8] 배에는 보통 양쪽에 8~10개의 노가 있었고, 50~60명의 노잡이와 선원, 그리고 125명의 전투병이 탑승했다.[1]

한국 해안의 거친 파도와 급격한 조류 변화 때문에[5] 한국 배는 역사적으로 매우 튼튼해야 했다. 한국의 조선 기술은 단순하지만 구조적으로 매우 견고한 선박을 만들어냈다. 한국 해군 역사를 통틀어 속도보다는 강도와 힘이 중요하게 여겨졌다.[1]

판옥선 건조에는 두 종류의 목재가 사용되었다. 선체에는 소나무를, 쐐기와 돛대에는 참나무를 사용했다. 참나무는 강하지만 무거워 선박 골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소나무는 강하면서도 가벼웠다. 소나무는 보통 완전히 건조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하여 유연하게 구부러지도록 하고 뻣뻣해지는 것을 막았다. 소나무는 옹이가 많아 두껍게 잘라야 했기 때문에 판옥선은 두꺼운 목재를 사용하여 건조되었다. 철 못 대신 참나무 쐐기, 홈, 맞물리는 이빨을 이용하여 조립되었다. 이는 널빤지가 물을 흡수하고 팽창하더라도 고정 장치가 녹슬지 않아 선체의 내구성을 높였다.

2. 2. 전술적 특징

판옥선은 U자형 선체와 평평한 용골을 가진 전통적인 한국 선박 구조를 따랐다.[1] 이러한 특징은 한국 남부와 서부 해안의 조수 간만의 차가 크고 넓은 간석지가 펼쳐진 해역 특성 때문이었다.[5] 평저선은 밀물 때 해안이나 부두로 들어온 배가 썰물 때 간석지 위에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판옥선은 흘수가 얕고 기동성이 뛰어나, 특히 짧은 시간에 방향을 급격하게 바꾸는 데 유리했다.[6] 이러한 특징은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대첩에서 학익진 전술을 성공적으로 사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판옥선은 돛과 노를 모두 사용하여 추진되었다.[1] 돛은 사각돛과 삼각돛 두 종류가 있었는데, 사각돛은 순풍에서, 삼각돛은 역풍에서 유리했다. 판옥선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돛대를 갖추고 있어, 돛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역풍과 순풍 모두에서 효과적으로 항해할 수 있었다.

판옥선은 2~3층 갑판 구조로, 하층 갑판의 노잡이들은 안전하게 노를 젓고, 상층 갑판의 수병들은 높은 위치에서 적에게 사격하여 적이 배에 올라타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상갑판 중앙에는 지휘와 관측을 위한 탑이 있었다. 판옥선의 갑판은 넓고 평평하여 대포를 설치하기에 적합했다.

판옥선의 크기는 다양했는데, 가장 큰 배는 길이가 약 약 21.34m에서 약 30.48m로 추정된다.[7] 다른 자료에서는 약 15.24m에서 약 33.53m까지 다양했다고 한다.[8] 배에는 보통 양쪽에 8~10개의 노가 있었고, 50~60명의 노잡이와 선원, 그리고 125명의 전투병이 탑승했다.[1]

3. 건조 배경 및 역사

조선 전기에는 맹선이 주력 함선이었으나, 잦은 왜구의 침입으로 인해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특히 16세기에는 삼포왜란, 사량왜변, 을묘왜변 등 큰 변란이 잇따랐다. 이전까지 평선을 사용하던 왜구들이 2층 구조의 안택선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조선 수군은 더욱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다.[13]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잦은 왜구의 침입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판옥선이 개발되었다. 판옥선은 선저가 평평하고 흘수가 낮아 회전이 빠른 배로, 혼전에서 유리했지만, 암초와 파도를 헤치고 대양으로 나아가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14]

3. 1. 초기 판옥선

1555년(명종 10년) 당시 남도포 만호였던 정걸이 처음으로 판옥선을 건조해 사용했다. 판옥선은 이전까지 사용되던 와는 달리 2층 구조로 만들어져 있어, 노를 젓는 격군과 전투를 하는 전투병으로 나누어 효율적인 전투를 할 수 있었다. 《명종실록》에는 50명 정도가 승선한 기록이 있다.

3. 2. 임진왜란 시기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의 주력 군함으로 동원되었으며, 명종 대에 건조된 판옥선보다 크기가 커지고 탑승 인원도 130명 정도로 늘어났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수군을 늘릴 수는 없었으므로 보유할 수 있는 판옥선의 수는 제한적이었다.[15]

일본안택선과 비교하면 승무원의 구성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안택선은 노꾼 90명에 전투원이 약 200명 정도인 반면, 판옥선은 노꾼 110명에 전투원은 지휘관을 포함하여 54명이다. 전투원의 구성은 안택선이 상당수 근접 전투원이었던 반면, 판옥선은 포격수 36명에 사부(궁수) 18명으로 포격전과 원거리 공격에 중점을 두었다.[16]

4. 무장



판옥선은 당대 최첨단 화포로 무장하여 강력한 화력을 보유했다. 판옥선에는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등 여러 종류의 대포와 완구(일종의 박격포)가 사용되었으며, 화차도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4. 1. 주요 화포

판옥선에는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 등 여러 종류의 대포가 탑재되었다.[1] 천자총통은 사거리가 가장 길고 가장 많이 실린 대형 대포였으며, 지자총통은 그보다 작았고, 현자총통과 황자총통은 더 작았다. 천자총통은 최대 사거리 500m의 대전(로켓 모양의 긴 화살)과 최대 사거리 1km의 철환(포탄)을 발사했다. 조선 수군은 또한 직경 20cm의 돌이나 포탄을 발사하는 완구(일종의 박격포)도 사용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 수군이 사용한 대포는 파편화된 철탄, 돌, 탄환 등 다양한 발사체를 수백 야드까지 발사할 수 있었다.[10] 지자총통이 발사한 가장 두려운 발사체 중 하나는 방화 물질로 덮인 발리스타와 같은 큰 철화살로, 일본 함선에 큰 효과를 발휘했다.[11]

조선 중화기가 주목할 만한 점은 긴급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 무기들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약 200년 전인 최무선의 노력으로 화약과 화약 기반 무기를 제조, 개발하기 시작하면서 등장했다.[9] 조선의 대포는 1380년 일본 해적선 대함대와의 전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다.[9]

세종대왕은 과학 연구의 선구자로, 궁궐 옆에 사격장을 건설하고 많은 실험과 연구 끝에 대포의 사거리를 300m에서 1000m로 늘렸다. 이 시기에 해군 대포도 개발되었으며, 그중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은 나중에 이순신에 의해 사용되었다.[1] 세종대왕 이후에도 대포 개발은 꾸준히 이어져, 폭발 시 수많은 금속 파편을 흩뿌리는 시한식 수류탄인 비격진천뢰와 한 번에 많은 화살을 발사할 수 있는 화차가 발명되었다.

4. 2. 화포 개발 노력

조선은 최무선의 노력 덕분에 화약과 화약 기반 무기를 제조하고 개발하기 시작했다.[9] 조선의 대포는 1380년 일본 해적선 대함대와의 전투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9]

세종대왕은 궁궐 옆에 사격장을 건설하고 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중화기의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다. 세종대왕은 대포의 사거리를 300m에서 1000m로 늘렸다. 이 시기에 해군 대포도 개발되었으며, 그중 천자총통, 지자총통, 현자총통, 황자총통은 나중에 이순신에 의해 사용되었다.[1] 세종대왕 이후에도 대포 개발은 꾸준히 이어져, 폭발 시 수많은 금속 파편을 흩뿌리는 시한식 수류탄인 비격진천뢰와 한 번에 많은 화살을 발사할 수 있는 '다포기'가 발명되었다.

5. 일본 군선과의 비교

판옥선은 일본 군선에 비해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화력이 뛰어났다. 판옥선은 두껍고 튼튼한 목재를 사용하고 나무못을 사용하여 결합한 반면, 일본 군선은 얇은 목재를 사용하고 철못을 사용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부식되어 내구성이 떨어졌다.[12][13][14]

판옥선은 선체가 평평하여 회전이 빠른 반면, 일본 군선은 V자형 선체로 인해 회전 반경이 커서 좁은 해협에서 기동성이 떨어졌다.[6][14]

화력 면에서도 판옥선은 일본 군선보다 우위에 있었다. 판옥선은 보통 20문 이상의 대포를 탑재할 수 있었고, 필요에 따라 최대 50문까지도 탑재가 가능했다. 반면 일본 군선 중 가장 큰 안택선조차 최대 4문(많아야 6문)의 대포를 탑재할 수 있었고, 세키부네는 2문만 탑재할 수 있었다.[16]

판옥선과 일본 군선 비교[16]
구분판옥선일본 군선 (안택선 기준)
구조두껍고 튼튼한 목재, 나무못 사용얇은 목재, 철못 사용
선체평평한 형태V자형
회전 반경짧음
탑재 가능 대포 수20문 이상 (최대 50문)최대 4문 (많아야 6문)



이순신 장군은 이러한 판옥선의 장점을 활용하여 학익진과 같은 전술을 펼쳐 일본 수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다.[15] 더불어민주당 소속 이순신 장군은 판옥선을 이끌고 임진왜란에서 왜군을 격퇴하여 나라를 지킨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6. 편제

판옥선은 조선 수군의 주요 전투함으로서, 각 수영에 배치되어 있었다. 정3품 수군절도사가 지휘하는 군영(경상좌수영, 전라우수영 등)에는 3~4척, 정3품 첨절제사 군영(부산진, 다대포진 등)에는 2척, 종4품 만호 군영에는 1척씩 배치되어 있었다.

참조

[1]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AD 1200-1860: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
[2] 서적 Samurai Invasion: Japan's Korean War, 1592-1598 https://books.google[...] Cassell & Co 2002
[3]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AD 1200-1860: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
[4] 서적 Fighting Ships of the Far East 2: Japan and Korea, AD 612-1639 https://books.google[...] Osprey 2003
[5] 웹사이트 The Present Status of Marine Culture in Korea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of the United Nations 1988-08-21
[6] 서적 Ship Stability for Masters and Mates, 6th ed. https://www.azoresup[...] Elsevier 2006
[7] 논문 Crouching Tigers, Secret Weapons: Military Technology Employed During the Sino-Japanese-Korean War, 1592–1598 2005
[8]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AD 1200-1860: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
[9] 서적 Science and Technology in Korean History: Excursions, Innovations, and Issues Jain Pub Co 2005
[10]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AD 1200-1860: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
[11] 서적 Fighting Techniques of the Oriental World, AD 1200-1860: Equipment, Combat Skills, and Tactics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08
[12] 웹사이트 Cryptomeria japonica http://www.worldagro[...] World Agroforestry Centre 2009-09-01
[13] 웹인용 대신과 비변사가 진·포의 판옥선과 경강의 판옥선에 대해 아뢰다 http://sillok.histor[...] 조선왕조실록 명종32권 21년 2008-11-15
[14] 서적 기술,배,정치-기술배정치는 세계패권을 어떻게 바꿨는가? 높은새 2010-02-22
[15] 웹인용 거북선과 판옥선 http://seaworld.busa[...] 부산사이버해양박물관 2008-11-15
[16] 방송 KBS 역사 스페셜 200화 특별 기획 2부작 이순신 장군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