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이 (사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이는 후한 광무제의 초기 신하로, 신나라 말기 혼란한 시기에 유수에게 귀순하여 하북 평정, 적미 격파 등 여러 전장에서 공을 세웠다. 하북 원정 당시 콩죽과 보리밥을 제공하며 광무제를 도왔고, 관중을 평정하며 '대수장군'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이후 참소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광무제의 신임을 받으며 천수 태수를 역임했다. 외순과의 전투 중 병으로 사망했으며, 겸손하고 공을 드러내지 않는 성품으로 평가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핑딩산시 출신 - 대니얼 추이
대니얼 추이는 분수 양자 홀 효과를 호르스트 루트비히 슈퇴르머와 함께 발견하여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한 중국계 미국인 물리학자이며, 벨 연구소 연구원과 프린스턴 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를 역임 후 현재 프린스턴 대학교 명예 교수로 재직 중이다. - 핑딩산시 출신 - 장궁 (후한)
장궁은 후한 초기의 무장으로, 신나라 말기 하강병에 참여하여 광무제를 도와 군벌 평정에 공헌했으며, 시중, 기도위, 보위장군 등의 요직을 거쳐 낭릉후에 봉해지고 태중대부를 지냈다. - 34년 사망 - 사도 마태오
사도 마태오는 신약성경에 등장하는 예수의 열두 제자 중 한 명으로, 마태오 복음서의 저자로 여겨지며 세리 출신으로 예수를 따랐고, 기독교에서 성인으로 숭배받으며 사회적 약자와 소외된 사람들에 대한 관심과 실천을 강조하는 인물이다. - 34년 사망 - 유흡
유흡은 신나라 말기부터 후한 초기에 걸쳐 활동했으며, 경시제 정권 시기에는 원씨왕에 봉해지고 광무제에게 항복하여 사수왕에 봉해졌으나 별다른 공적 없이 사망하였다. - 후한의 대장군 - 조조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사가, 시인이었던 조조는 뛰어난 능력으로 위나라의 기반을 다졌으나, 잔혹한 행위와 권력욕으로 인해 후대 평가에서 논쟁적인 인물이다. - 후한의 대장군 - 양기
양기는 후한 시대 순제, 충제, 질제, 환제 4대에 걸쳐 권력을 휘두른 권신으로, 여동생이 황후가 되면서 외척으로서 권력을 잡고 황제 옹립에 관여하며 횡포를 부렸으나, 환제에 의해 몰락하여 자결한 인물이다.
풍이 (사람) | |
---|---|
풍이 | |
![]() | |
이름 | 풍이 |
간체자 | 冯异 |
정체자 | 馮異 |
병음 | Féng Yì |
생몰 | |
출생 | 기원전 ?년 |
사망 | 34년 |
활동 | |
시대 | 신나라, 후한 |
주요 활동 | 곤양 전투 참전, 갈루 전투 승리 |
관직 | 양후(陽侯), 정로장군(征虜將軍) |
봉호 | 시평후(澠鄕侯) |
시호 | 절(節) |
가족 | |
부인 | 현양장공주(顯陽長公主) |
2. 생애
왕망 밑에서 영천군 연을 맡아 부성에 근거지를 두었으나, 영천을 함락한 광무제 (유수)에게 항복했다. 광무제는 형 유연이 유현에게 살해당했기 때문에 일단 완으로 돌아가기로 했다. 광무제 군은 약탈을 하지 않았고, 풍이는 그의 인물을 비범하다고 보아 관할 아래의 다섯 성과 함께 광무제에게 귀순하기로 약속했다. 그 후, 유현 군의 장수로서 부성을 공격하는 자가 십수 명 있었으나 풍이는 굳게 지켜 항복하지 않았고, 광무제가 다시 부성을 방문했을 때 성문을 열었다. 이때 동향인 요기 등을 추천했다.[3]
현한에서 광무제의 하북 파견을 논의할 때, 당시 유력한 관료인 좌승상 조경·상서 조후(曹詡) 부자 중 조후의 마음을 얻도록 광무제에게 조언하여 하북 원정이 실현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3]
광무제가 하북으로 가 한단에 이르렀을 때, 왕랑이 한단에서 거병하고 광무제에게 현상금을 걸자, 광무제가 위험에 처했을 때 콩죽과 보리밥을 제공하며 충성을 다했다.
등우가 삼보 정벌에 연이어 실패하자, 등우를 대신해 삼보 정벌을 맡았다. 홍농군 화음현에서 적미와 60여 일간 교전하여 유시(劉始)·왕선(王宣) 등의 항복을 받았다. 27년 봄, 정서대장군에 임명되었다.
적미가 격파된 뒤에도 삼보에는 군웅들이 할거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무안왕을 자칭한 연잠에게 종속된 임량(任良)과 장한(張邯)의 공격을 받았으나 상림원에서 이를 무찔렀고, 성나라에 투항한 여유·장한·장진(蔣震)을 제외하면 관중은 광무제에게 평정되었다.
28년, 성나라의 장수 정오(程烏)가 여유를 돕기 위해 진창으로 나오자, 우부풍 조광과 함께 정오를 무찔러 한중으로 퇴각하게 하고, 퇴로에 있는 기곡에서 한 번 더 무찔렀다. 이후에도 성나라에서 관중을 여러 차례 침공했으나 모두 막아냈다.
외효가 죽고 아들 외순이 천수군 기에 웅거했으며, 공손술이 조광[8] 등을 보내 외순을 구원하려 했다. 풍이는 광무제의 명으로 천수태수를 대행(행천수태수사)하여 조광 등과 1년간 싸워 34년 여름에 조광 등을 베었다. 나아가 기를 공격했으나 함락하지 못하자, 제장들은 돌아가려 했으나 풍이는 뜻을 굽히지 않고 오히려 친히 선봉에 섰다. 낙문취(落門聚)를 공격했으나 함락하지 못하고, 그 해 여름을 넘기지 못하고[9] 병들어 군중에서 죽었다. 시호는 절(節)이라 했다.
2. 1. 후한 광무제의 초기 신하
왕망 밑에서 영천군 연을 맡아 부성에 근거지를 두었으나, 영천을 함락한 광무제 (유수)에게 항복했다. 광무제는 형 유연이 유현에게 살해당했기 때문에 일단 완으로 돌아가기로 했다. 광무제 군은 약탈을 하지 않았고, 풍이는 그의 인물을 비범하다고 보아 관할 아래의 다섯 성과 함께 광무제에게 귀순하기로 약속했다. 그 후, 유현 군의 장수로서 부성을 공격하는 자가 십수 명 있었으나 풍이는 굳게 지켜 항복하지 않았고, 광무제가 다시 부성을 방문했을 때 성문을 열었다. 이때 동향인 요기 등을 추천했다.[3]광무제는 풍이를 주부로, 묘맹을 종사로 삼았고, 풍이는 같은 고을 사람인 요기, 숙수, 단건(段建), 좌륭 등을 추천하니 광무제는 이들을 모두 연사로 삼아 함께 낙양에 이르렀다.[3]
현한에서 광무제의 하북 파견을 놓고 논의할 때, 당시 유력한 관료인 좌승상 조경·상서 조후(曹詡) 부자 중 조후의 마음을 얻도록 광무제에게 조언하여 하북 원정이 실현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유현은 광무제에게 하북 공략 임무를 부여하려 했으나, 유현의 여러 장수들이 광무제를 경계하여 이에 반대했다. 풍이는 유현의 좌승상 조경의 아들 조추에게 접근하여 광무제의 하북 파견을 실현하는 데 협력했다.[3]
2. 2. 하북 평정과 현한과의 전투
광무제가 하북으로 가 한단에 이르렀을 때, 요기와 함께 속현들을 순행하며 위무하고 죄인들을 처벌하며, 몰래 광무제를 따르는 자와 따르지 않는 자의 명단을 정리했다.[4] 왕랑이 한단에서 거병하고 광무제에게 현상금을 걸자, 광무제가 위험에 처했을 때 콩죽과 보리밥을 제공하며 충성을 다했다. 하간군의 병사를 거둬들여 편장군(偏將軍)이 되었고, 광무제가 왕랑을 무찌른 후 응후(廮侯)에 봉해졌다.중산군 북평현에서 농민반란군 철경(鐵脛)을 무찔렀고, 흉노 우림답퇴왕(于林闟頓王)[5]의 항복을 받아냈다. 현한의 무음왕 이일(李軼), 늠구왕 전립(田立), 대사마 주유, 백호공 진교(陳矯) 등이 낙양을 수비하자, 풍이는 맹진장군(孟津將軍)이 되어 구순과 함께 이들을 막았다.
풍이는 이일을 꾀어 현한을 배반하게 하고, 하남군 사향정(士鄕亭)에서 무발(武勃)을 격파했다. 광무제가 북쪽으로 향하는 것을 본 주유가 풍이와 구순을 공격하자, 구순과 함께 소무(蘇茂)를, 자신은 황하를 건너 주유를 격파하여 현한 군을 물리쳤다.[4][6]
승전 후, 광무제에게 제위에 오를 것을 권하고, 26년 봄에는 양가후(陽夏侯)에 봉해졌다.
2. 3. 적미, 연잠, 성가 격파
등우가 삼보 정벌에 연이어 실패하자, 등우를 대신해 삼보 정벌을 맡았다. 홍농군 화음현에서 적미와 60여 일간 교전하여 유시(劉始)·왕선(王宣) 등의 항복을 받았다. 27년 봄, 정서대장군에 임명되었고, 등우·거기장군 등홍과 합류했다. 등우·등홍이 바로 싸우려 하자, 민지현에 있는 광무제와 동서에서 함께 적미를 치는 게 좋겠다며 만류했으나 등우·등홍은 듣지 않았다. 먼저 등홍이 적미의 거짓 항복에 속아 대패하자 이를 등우와 함께 구원하고, 등우가 다시 싸우려는 것을 만류했으나 등우가 듣지 않아 또 대패했다. 등우는 의양현으로 달아났고, 풍이도 말을 버리고 회계(回谿)의 비탈을 올라가 군사를 수습해 수만 명을 모았다. 적미와 함께 싸울 날짜를 정하고, 장사들에게 적미의 옷을 입혀 길 곁에 숨겨두었다. 날이 밝아 적미가 1만 명으로 선두를 공격하자, 일부러 적은 군사로 구원했고, 이를 본 적미는 풍이가 약하다 여겨 전 군대를 이끌고 풍이를 공격했다. 날이 저물어 적미의 기세가 쇠하자, 복병을 일으켜 적미를 쳤다. 적미는 같은 옷을 입은 군대의 공격을 받자 혼란해져 무너졌고, 이를 추격해 효산(崤山) 밑에서 격파해 남녀 8만 명의 항복을 받았다. 나머지 적미는 동쪽으로 달아나다 의양에서 투항했다. 광무제는 새서를 내려 풍이의 공을 치하했다.적미가 격파된 뒤에도 삼보에는 군웅들이 할거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 무안왕을 자칭한 연잠에게 종속된 임량(任良)과 장한(張邯)의 공격을 받았으나 상림원에서 이를 무찔렀고, 연잠이 달아나 남양군 석현을 치자 복한장군(復漢將軍) 등엽과 보한장군(輔漢將軍) 우광을 보내 연잠을 격파하고 장군 소신(蘇臣) 등 8천여 명이 풍이에게 항복하니 연잠은 결국 관중을 포기하고 남양군으로 도주했다. 그러나 당시 굶주림이 심해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고 도로가 끊겨 과실로 군량을 삼았었다. 광무제가 조광을 우부풍으로 삼아 풍이를 돕고 군량을 보낸 후에야 식량 사정이 점차 좋아졌고, 광무제를 따르지 않는 군웅은 주살하고 따르는 자는 우두머리는 낙양으로 이주시키고 추종자들은 해산하여 자신들의 본업으로 돌려보냈다. 마침내 성나라에 투항한 여유·장한·장진(蔣震)을 제외하면 관중은 광무제에게 평정되었다.
28년, 성나라의 장수 정오(程烏)가 여유를 돕기 위해 진창으로 나오자, 우부풍 조광과 함께 정오를 무찔러 한중으로 퇴각하게 하고, 퇴로에 있는 기곡에서 한 번 더 무찔렀다. 돌아와서는 여유를 격파했다. 이후에도 성나라에서 관중을 여러 차례 침공했으나 모두 막아냈다.
2. 4. 참소와 외효, 외순과의 전쟁
외효가 죽고 아들 외순이 천수군 기에 웅거했으며, 공손술이 조광[8] 등을 보내 외순을 구원하려 했다. 풍이는 광무제의 명으로 천수태수를 대행(행천수태수사)하여 조광 등과 1년간 싸워 34년 여름에 조광 등을 베었다. 나아가 기를 공격했으나 함락하지 못하자, 제장들은 돌아가려 했으나 풍이는 뜻을 굽히지 않고 오히려 친히 선봉에 섰다. 제장들과 낙문취(落門聚)를 공격했으나 함락하지 못하고, 그 해 여름을 넘기지 못하고[9] 병들어 군중에서 죽었다. 시호는 절(節)이라 했다.3. 평가
유수가 형 유연이 유현에게 살해당하고 몰래 슬픔에 잠겨 있는 것을 위로했지만, 유수는 유현에게 경계받았기 때문에 형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에 대해 인내할 수밖에 없었다.[2] 유수 즉위 직전, 펑이는 "천하에 주인이 없어, 한나라의 존망은 대왕에게 달려 있습니다."라며 즉위를 권했다.[2]
펑이는 자신을 내세우지 않고 겸손하여, 장군들과 마주치면 수레를 비켜섰다. 장군들이 서로 군공을 논할 때마다, 항상 자리를 슬그머니 피해 나무 밑으로 숨었다. 그래서 군중에서 '대수장군(大樹將軍)'이라 불렸다. '장군'의 다른 이름인 '대수'는 이 펑이의 별명에서 유래했다. 독서를 좋아했고, 《좌전》, 《손자병법》에 통달했다.[2] 여러 장수가 전공과 그 포상을 논의할 때 여기에 참여하지 않고 혼자 큰 나무 아래로 물러났다. 사졸들은 그를 "대수장군"이라고 불렀고, 왕랑을 격파한 후 병력 재편성 때 사졸들은 모두 "대수장군에게 소속되고 싶다"라고 말했다.[2]
참조
[1]
서적
後漢書』巻17、馮岑賈列伝第7、馮異伝
[2]
문서
張卬
[3]
서적
후한서 유현전
[4]
서적
후한서 광무제기 제1 상
[5]
문서
흉노의 왕 이름
[6]
서적
후한서 등구열전 중 구순
[7]
문서
북지군에 있는 청산에 사는 호
[8]
문서
앞서 풍이를 도운 우부풍 조광
[9]
서적
후한서 광무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