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레데릭 더하우트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은 16~17세기 활동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탐험가이자 언어학자이다. 그는 동인도 제도 탐험 중 아체 술탄국에 포로로 잡히는 사건을 겪었으며, 천문 관측을 통해 새로운 별자리를 발견하고 말레이어 사전을 편찬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1619년에는 호주 서해안을 탐험하여 '더 에델스란트'('Eendrachtsland')라고 명명했으며, 하우트만 아브롤호스는 그의 탐험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다. 또한, 수술 해부학 및 상지 수술 관련 저서를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 탐험가 -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영국의 자연 과학자이자 탐험가인 앨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찰스 다윈과 독립적으로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 이론을 제창하고, 아마존과 말레이 군도 탐험을 통해 '월리스선'을 발견했으며, 생물지리학, 경계색 이론, 종 분화에 기여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경고와 우주생물학 연구, 심령술에 대한 믿음으로도 알려져 있다.
  • 인도네시아 탐험가 - 토메 피르스
    포르투갈의 약제사이자 외교관, 작가인 토메 피르스는 동방 정보를 수집하고 《동방지》를 저술하여 동남아시아 역사 기록에 기여했으나, 중국 사절단 파견 실패 후 광저우 감옥에서 사망했다.
  • 하우다 출신 -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는 르네상스 시대 네덜란드 출신 인문주의자이자 신학자, 가톨릭 사제로 고전 문헌 연구와 성서 번역에 힘썼으며 가톨릭교회 비판과 종교개혁 반대, 자유 의지 옹호, 평화주의 주장으로 르네상스 인문주의와 종교 개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하우다 출신 - 에트 더후이
    에트 더후이는 네덜란드 축구 선수 출신으로 스파르타 로테르담, 페예노르트, 첼시 FC 등에서 골키퍼로 활동하며, 네덜란드 국가대표로도 활약, 페예노르트 에레디비시 우승, 첼시 FC 리그 컵과 컵 위너스 컵 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 골키퍼 코치로도 활동했다.
  • 네덜란드의 탐험가 - 빌럼 바런츠
    빌럼 바런츠는 북동 항로를 탐험하다가 노바야제믈랴에서 조난당해 사망했지만, 그의 탐험은 북극 지역에 대한 유럽인들의 지식을 넓히는 데 기여했다.
  • 네덜란드의 탐험가 - 헨드릭 브라우어르
    헨드릭 브라우어르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선장이자 총독으로서 브라우어르 항로 개척, 일본과의 관계 개선, 아유타야 왕국과의 무역 관계 확립,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분쟁 해결 노력, 태평양 탐험 지원, 칠레 발디비아 재점령 원정 등을 통해 네덜란드 동인도 제국 확장에 기여했다.
프레데릭 더하우트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프레데릭 더 하우트만 {{circa|1615}}
프레데릭 더 하우트만
직업탐험가, 항해사, 총독
소속컴파니 반 베르
페이르스 컴파니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탐험제1차 동인도 제도 네덜란드 탐험
제2차 동인도 제도 네덜란드 탐험
배우자Vrouwtje Cornelisdr Clock
친척코르넬리스 더 하우트만 (형제)
생애
출생, 남홀란트 하우다
사망1627년 10월 21일, 북홀란트 알크마르
경력
암본 총독1605년 3월 1일 ~ 1611년 2월 18일
몰루카 총독1621년 7월 11일 ~ 1623년 2월 25일

2. 생애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은 네덜란드 17주 홀란트하우다에서 태어났다.[2] 1595년부터 1597년까지 홀란트에서 동인도 제국으로 향한 첫 번째 탐험에서 그는 동료인 네덜란드 항해사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의 천문 관측을 도왔다.[2] 이후 탐험에서 그는 케이세르의 관측 목록에 더 많은 별들을 추가하였다.[2]

1598년부터 1599년까지의 탐험에서 그의 동생인 코넬리우스 더하우트만이 죽고 프레데릭은 북 수마트라아체 술탄에게 감금되었으나, 감옥 안에서의 2년을 활용하여 그 지역의 말레이어를 익히고 천문을 관측하였다.[2] 1603년 홀란트로 돌아온 후 프레데릭은 말레이와 말라가시 언어의 사전과 문법 책을 내면서 부록으로 그가 관측한 천체 목록을 실었다.[2]

1619년에는 동인도 회사의 도르트레흐트(Dordrecht) 호의 프레데릭과 암스테르담 호의 야코프 더 에델(Jacob d'Edel)이 현재의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부근 해안의 땅을 발견하고 '더 에델스란트'라 이름 붙였다.[3]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한 후 일단의 모래톱을 만나 간신히 회피하고, 후에 이를 '호우트만 아브롤류스'(Houtman Abrolhos, 호우트만 뾰족 장애물)라 불렀다.[3] 프레데릭은 '엔드라흐츠란트'(Eendrachtsland)로 알려진 지역에 첫 발을 디뎠는데, 이는 앞서 탐험가 디르크 하르토흐가 마주쳤던 곳이다.[3]

더하우트만은 1627년 네덜란드 공화국의 알크마르에서 사망하였다.[2]

3. 경력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은 홀란트하우다에서 태어나 1627년 알크마르에서 사망했다. 그는 동인도 제도오스트레일리아 지역을 탐험하고, 천문학말레이어 연구에 업적을 남겼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내용
1595년~1597년최초의 네덜란드 탐험에 참여하여 동인도 제도로 항해,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의 천문 관측 보조.[2]
1598년~1599년수마트라 아체 술탄에게 감금, 말레이어 학습 및 천문 관측.[2]
1603년네덜란드로 귀환, 말레이와 말라가시 언어 사전 및 문법 책 출판, 천문 관측 결과 부록 수록.[2]
1619년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도르트레흐트(Dordrecht) 호 승선,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부근 해안 발견.[3]


3. 1. 동인도 제도

1595년에서 1597년까지, 더하우트만은 최초의 네덜란드 탐험에 참여하여 동인도 제도로 향했으며, 이 항해에서 그는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의 천문 관측을 도왔다.[2] 이후 탐험에서 그는 케이세르의 관측 목록에 더 많은 별들을 추가하였다.

1598년에서 1599년까지의 탐험에서 그의 동생인 코르넬리스 더하우트만이 사망하고, 프레데릭은 북수마트라아체 술탄에게 감금되었다.[2] 그는 1599년 9월부터 1601년 8월까지 2년 동안 감옥에 있으면서 그 지역의 말레이어를 익히고 천문 관측을 했다.[2]

1619년, 더하우트만은 동인도 회사의 도르트레흐트(Dordrecht) 호를 타고, 암스테르담 호의 야코프 더 에델(Jacob d'Edel)과 함께 현재의 오스트레일리아 퍼스 부근 해안의 땅을 발견하고 '더 에델스란트'라 이름 붙였다.[3]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한 후, 그는 일련의 모래톱을 만나 간신히 회피하고, 이를 '호우트만 아브롤류스'(Houtman Abrolhos, 호우트만 뾰족 장애물)라 불렀다.[3]

3. 2. 천문학 연구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은 1595년부터 1597년까지 홀란트에서 동인도 제국으로 향한 첫 번째 탐험에서 동료 항해사인 피터르 디르크스존 케이세르의 천문 관측을 도왔다.[2] 이후 탐험에서 케이세르의 관측 목록에 더 많은 별을 추가했다. 1598년부터 1599년까지의 탐험에서 그의 동생 코넬리우스 더하우트만이 죽고 프레데릭은 북수마트라 아체 술탄에게 감금되었으나, 2년(1599년 9월~1601년 8월) 동안 감옥에서 그 지역의 말레이어를 익히고 천문을 관측하였다.[2]

이러한 관측으로 형성된 별자리는 1597년 또는 1598년에 페트루스 플란시우스에 의해 지구본에 처음 발표되었으며, 이후 지구본은 더하우트만의 후기 관측을 기반으로 조정되었다. 이 별자리들에 대한 공로는 일반적으로 케이서, 더하우트만, 플란시우스에게 공동으로 부여되지만, 일부 기본 별들은 이전에 알려져 있었다. 또한 이 별자리들은 1603년 천문 지도인 ''우라노메트리아''에 별자리를 포함시킨 요한 바이어와 널리 연관되어 있다.

1603년 홀란트로 돌아온 후 프레데릭은 말레이와 말라가시 언어 사전과 문법 책을 내면서 부록으로 그가 관측한 천체 목록을 실었다.[2] 케이서와 하우트만이 만든 12개 별자리는 요한 바이어가 만든 성도 ''우라노메트리아''에 게재되었다.

3. 3. 말레이어 연구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은 1598년에서 1599년까지의 탐험에서 그의 동생인 코넬리우스 더하우트만이 죽고 북수마트라아체 술탄에게 감금되었으나, 감옥 안에서의 2년을 활용하여 그 지역의 말레이어를 익혔다.[2] 그는 1599년 9월부터 1601년 8월까지 2년 동안 투옥 기간을 이용하여 현지 말레이어를 연구했다.

1603년 홀란트로 돌아온 후 프레데릭은 말레이와 말라가시 언어의 사전과 문법 책을 냈으며, 책의 부록에는 자신의 천문 관측 결과를 실었다.[2]

3. 4. 오스트레일리아

1619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도르트레흐트(Dordrecht) 호에 승선한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은 암스테르담 호의 야코프 더 에델(Jacob d'Edel)과 함께 현재의 호주 퍼스 부근 해안을 발견하고 '더 에델스란트'라고 명명했다.[1]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한 후, 일련의 모래톱을 만나 간신히 회피했는데, 이 모래톱은 후에 하우트만 아브롤호스(Houtman Abrolhos)라고 불리게 되었다.

더하우트만은 이전에 디르크 하토흐가 발견했던 '에엔드라흐츠랜드'에 상륙했다. 그는 자신의 저널에서 이 해안들을 마르코 폴로가 언급한 해변의 땅 또는 '로카흐'(Locach)로 여겼는데, 이는 당대의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나 얀 호이헨 판 린스호텐이 그린 지도에도 나타나 있었다.[3] 이는 당시 유럽인들이 아시아에 대한 지식이 제한적이었음을 보여준다.

4. 하우트만 아브롤호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배 도르드레흐트 호에 승선한 하우트만은, 암스테르담 호에 승선한 야코프 데 에델(Jacob d'Edel)과 함께 1619년 오스트레일리아의 데 에델스란트(d'Edelsland, 현재의 퍼스) 연안에 도달했다.[1] 제럴턴 서쪽 80킬로미터 해상에 위치한 들과 산호초 연쇄인 하우트만 아브롤호스(Houtman Abrolhos, 속칭: 아브롤호스 제도)는 그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아브롤호스'는 당시 포르투갈어로 "해상의 암초"를 뜻한다.[3]

하우트만은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하다가 일련의 얕은 여울을 마주쳤고, 간신히 피했는데, 그 여울들이 나중에 하우트만 아브롤호스라고 불리게 되었다. 더하우트만은 그의 저널에서 이들 해안을 마르코 폴로가 언급한 해변의 땅 또는 'Locach'(로훅, 羅斛)으로 여겼고, 이는 당대의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나 얀 호이헨 판 린스호텐이 그린 지도에도 나타나 있다.

5. 참고 문헌


  • Dekker, E.영어 (1987). "남쪽 하늘의 초기 탐사". ''Ann. Sci.'' 44 (5): 439–470. 10.1080/00033798700200301. 1987AnSci..44..439D.[1]
  • Howgego, Raymond John영어 (2003). ''탐험 백과사전 1800까지''. Hordern House. 521쪽. 1875567364.[2]
  • Kanas, N.영어 (2012). ''별 지도: 역사, 예술성 및 지도 제작법''. 뉴욕: 스프링거. 9781461409168.[3]
  • Lohuizen, J. Van영어 (1966). "하우트만, 프레데릭 데 (1571–1627)". ''호주 인물 사전''. 캔버라: 호주 국립 대학교, 국립 전기 센터.
  • De Houtman, F.nl (1603). ''스라에크 앤 워르트-보크''. 암스테르담: 클로펜부르크. 68675342.
  • Leupe, P.nl (1868). ''네덜란드인의 남쪽 땅 여행''. 암스테르담: 훌스트 반 코일렌. 71447539.
  • Rouffaer, G.nl; IJzerman, J.nl (1915). ''첫 번째 항해''. 1권. 헤이그: 니이호프. 1042910864.
  • Rouffaer, G.nl; IJzerman, J.nl (1925). ''첫 번째 항해''. 2권. 헤이그: 니이호프. 1043001128.
  • Rouffaer, G.nl; IJzerman, J.nl (1929). ''첫 번째 항해''. 3권. 헤이그: 니이호프. 1042945897.
  • Stapel, F.nl (1937). ''동인도 회사와 호주''. 암스테르담: 반 캄펜. 254249686.

참조

[1] 웹사이트 The Dutch East India Company's shipping between the Netherlands and Asia 1595-1795 http://resources.huy[...] Huygens ING 2020-02-16
[2] 서적 Spraeck ende woord-boeck, in de Maleysche ende Madagaskarsche talen, met vele Arabische ende Turcsche woorden http://objects.libra[...] Jan Evertsz. Cloppenburch 1603
[3] 간행물 Letter of Commandeur Frederik de Houtman to the Chamber Amsterdam(지휘관 프레데릭 더하우트만이 암스테르담 의회에 보낸 편지) Algemeen Rijksarchief, The Hague 1620-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