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프테로닥틸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테로닥틸루스는 1784년 독일에서 발견된 화석을 바탕으로 명명된 익룡의 한 속이다. 최초 발견된 종은 Pterodactylus antiquus이며, 좁고 원뿔 모양의 이빨과 부드러운 조직으로 이루어진 두개골 볏을 특징으로 한다. 초기에는 비행 파충류로 인식되었으며, 19세기에는 다양한 종이 프테로닥틸루스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P. antiquus만이 유효한 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프테로닥틸루스는 독일 졸른호펜 석회암에서 주로 발견되며, 생애 주기와 식성, 생태적 지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중문화에서도 익룡을 대표하는 상징적인 생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쥐라기의 익룡 - 람포링쿠스
    람포링쿠스는 쥐라기 후기에 번성한 익룡의 한 속으로, 긴 꼬리와 앞다리 막을 이용해 하늘을 날아다녔으며, 먹이 사냥 방식과 성장 과정 등에 대한 다양한 고생물학적 연구가 진행되었다.
  • 쥐라기의 익룡 - 다위노프테루스
    다위노프테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살았던 익룡의 한 속으로, 다윈 탄생 기념으로 명명되었으며, 기저 및 파생 익룡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며 종에 따라 이빨 형태가 달라 생태적 지위 차이를 보이나, 화석 연구 해석에 논란이 있다.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망둑어과
    망둑어과는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좌우 배지느러미가 합쳐진 흡반과 독특한 번식 전략이 특징인 농어목의 저서어류로, 식용이나 관상어로 이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조르주 퀴비에가 명명한 분류군 - 놀래기과
    놀래기과는 베라과에 속하는 어류로,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분포하며 돌출 가능한 입과 턱니, 두꺼운 입술이 특징이고 육식성이며, 한국에서는 식용, 낚시 대상, 청소 물고기로 이용되기도 한다.
프테로닥틸루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P. antiquus의 아성체 표본, 바이에른 주 고생물학 및 지질학 컬렉션
P. antiquus의 아성체 모식표본, 바이에른 주 고생물학 및 지질학 컬렉션
학명Pterodactylus
명명자퀴비에, 1809년
모식종Pterodactylus antiquus
모식종 명명자좀머링, 1812년
속 하위 분류
하위 분류P. antiquus (좀머링, 1812년)
P. kochi? ( 바그너, 1837년)
P. scolopaciceps? (마이어, 1860년)
속 동의어Ornithocephalus (좀머링, 1812년)
Pterotherium (피셔, 1813년)
Macrotrachelus (기벨, 1852년)
Diopecephalus? (실리, 1871년)
Aerodactylus? (비도비치 & 마틸, 2014년)
종 동의어Ornithocephalus antiquus (좀머링, 1812년)
Pterodactylus longirostris (퀴비에, 1819년)
Ornithocephalus longirostris (퀴비에, 1819년)
Macrotrachelus longirostris (퀴비에, 1819년)
Pterodactylus crocodilocephaloides (리트겐, 1826년)
Ornithocephalus kochi? (바그너, 1837년)
Diopecephalus kochi? (바그너, 1837년)
Pterodactylus spectabilis (마이어, 1861년)
Pterodactylus westmani (비만, 1925년)
Pterodactylus cormoranus (되덜라인, 1929년)
Aerodactylus scolopaciceps (마이어, 1860년)
어원"그리스어: πτεροδάκτυλος (프테로닥틸로스)"
날개 달린 손가락
생물학적 분류
진핵생물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익룡목
아목익지룡아목
프테로닥틸루스과
화석 기록
시대쥐라기 후기, 티토니아절 초기 (약 1억 5080만 년 전 ~ 1억 4850만 년 전)

2. 역사

프테로닥틸루스(Pterodactylus)의 학명은 여러 차례 변경과 논쟁을 거쳤다. 1815년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가 조르주 퀴비에가 사용한 ''Ptéro-Dactyle''을 ''Pterodactylus''로 라틴어화했다.[17] 그러나 퀴비에는 1819년에 다시 ''Pterodactylus''로 이름을 변경하면서 ''longirostris''라는 종명을 부여했는데, 이는 사무엘 토마스 폰 쵐머링의 ''antiquus''보다 우선해야 했다.[18]

1888년, 리처드 리데커는 ''Pterodactylus antiquus''를 프테로닥틸루스의 모식 종으로 지정하고, ''Ornithocephalus antiquus''를 동의어로 처리했다. 또한 표본 BSP AS.I.739를 속의 모식 표본으로 지정했다.[20]

''Pterodactylus kochi''의 유년기 표본


2014년, 스티븐 비도비치와 데이비드 마틸은 ''P. kochi'', ''P. scolopaciceps'', ''P. antiquus'' 표본 간 차이를 바탕으로 이들을 별개의 종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P". kochi''를 ''P. antiquus''와 구별하기 위해 ''Diopecephalus'' 속을 사용했고, ''P. scolopaciceps''에는 ''Aerodactylus''라는 새 속을 명명했다.[71][72] 그러나 2017년 베넷은 이들의 주장에 반박하며 ''Diopecephalus''와 ''Aerodactylus''를 미성숙한 ''Pterodactylus antiquus''로 간주했다.[73]

200년 이상 ''프테로닥틸루스''의 다양한 종들은 분류학상 변화를 겪으며 여러 동의어를 갖게 되었다.

이름저자연도상태비고
Pterodactylus antiquus(쉠머링)(1812)유효Ornithocephalus antiquus를 대체하는 프테로닥틸루스모식종
Pterodactylus "suevicus"오켄1816[75]무명
Pterodactylus brevirostris(쉠머링)(1817)Ctenochasma elegans의 동의어Ornithocephalus brevirostri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iganteus(오켄)(1819)의문명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Ornithocephalus gigante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longirostris퀴비에1819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grandis퀴비에1824의문명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rocodilocephaloides리트겐1826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nettecephaloides리트겐1826잊혀진 이름Aurorazhdarcho micronyx의 동의어
Pterodactylus macronyx버클랜드1829Dimorphodon macronyx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macronyx(버클랜드)(1829)Dimorphodon macronyx의 동의어Dimorphodon macronyx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banthensis(테오도리)(1830)Dorygnathus banthensis로 재분류Ornithocephalus banthensi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ensirostris) banthensis(테오도리)(1830)잊혀진 이름Dorygnathus banthensis의 동의어
Pterodactylus goldfussi테오도리1830Dorygnathus banthensi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rassirostris골트푸스1831Scaphognathus crassirostr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acronyx마이어 non 버클랜드1831 non 1829Dorygnathus banthensis의 동의어
Pterodactylus medius뮌스터1831의문명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muensteri(골트푸스)(1831)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Ornithocephalus muenst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muensteri(골트푸스)(1831)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Pterodactylus muenst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bucklandi마이어1832불확정적인 람포린쿠스과한때 Rhamphocephalus 속에 할당됨
Pterodactylus longipes뮌스터1836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
Pterodactylus kochi바그너1837Diopecephalus kochi로 재분류Ornithocephalus koch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antiquu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lavateri마이어1838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pterus) lavateri(마이어)(1838)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Pterodactylus lavat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longicaudus뮌스터1839Rhamphorhynchus longicaud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eyeri뮌스터1842Diopecephalus kochi의 동의어
Pterodactylus secundarius마이어1843의문명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liftii만텔1844Palaeornis cliftii의 동의어Palaeornis clifti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diomedeus(오언)(1846)Cimoliornis diomedeus의 동의어Cimoliornis diomede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emmingi마이어1846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gemmingi(마이어)(1846)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Pterodactylus gemming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iganteus바우어뱅크 non 오켄1846 non 1819Lonchodraco gigante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ornis기벨1847Palaeornis clifti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onirostris오언1850Lonchodraco gigante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uvieri바우어뱅크1851Cimoliopterus cuvieri로 재분류
Pterodactylus compressirostris오언1851Lonchodectes compressirostr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redenbacheri(바그너)(1851)Aurorazhdarcho micronyx의 동의어Ornithocephalus redenbach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astinus(바그너)(1851)Altmuehlopterus rhamphastinus로 재분류Ornithocephalus rhamphastin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iganteus모리스 non 오켄 non 바우어뱅크1854 non 1819 non 1846Cimoliornis diomede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longicollum마이어1854Ardeadactylus longicollum로 재분류
Pterodactylus wuerttembergicus퀠슈테트1854잊혀진 이름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suevicus퀠슈테트1855Cycnorhamphus suevic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icronyx마이어1856Aurorazhdarcho micronyx로 재분류
Pterodactylus crassipes마이어1857거부된 이름Ostromia crassipes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crassipes(마이어)(1857)거부된 이름Ostromia crassipe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rassipe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eurychirus바그너1857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eurychirus(바그너)(1857)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Pterodactylus eurychir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suevicus eurychirus(바그너)(1857)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hirundinaceus바그너1857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hirundinaceus바그너1857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propinquus바그너1857의문명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propinquus(바그너)(1857)의문명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propinquus에서 재분류; 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propinquus medius바그너1857의문명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vulturinus바그너1857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
Pterodactylus vulturinus(바그너)(1857)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vulturin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liasicus퀠슈테트1858Campylognathoides liasic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fittoni오언1859의문명Ornithocheirus fittoni 또는 Anhanguera fittoni로 재분류; Cimoliopterus cuvieri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sedgwickii오언1859Camposipterus sedgwickii로 재분류
Pterodactylus silvestris오언1859Palaeornis clifti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erinensis마이어1860의문명
Pterodactylus grandipelvis마이어1860의문명
Pterodactylus scolopaciceps마이어1860Aerodactylus scolopaciceps로 재분류
Pterodactylus elegans바그너1861Ctenochasma elegans로 재분류
Pterodactylus pulchellus마이어1861Aurorazhdarcho micronyx의 동의어
Pterodactylus simus오언1861Ornithocheirus sim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spectabilis마이어1861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woodwardi오언1861의문명Ornithocheirus woodwardi로 재분류
Pterodactylus hopkinsi실리1864무명
Pterodactylus oweni실리1864Ikrandraco machaerorhynchus의 동의어이미 사용된 종인 "Pterodactylus oweni"와 혼동 주의
Pterodactylus longispinis코프1866Rhabdopelix longispin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acrurus실리1869Gnathosaurus macrur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nobilis오언1869의문명Ornithocheirus nobil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curtus오언1870의문명Ornithocheirus curt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oweni"마시1871이미 사용됨Pterodactylus occidentalis로 재할당됨
Pterodactylus ingens마시1872Pteranodon longiceps의 동의어Pteranodon ingens로 재분류
Pterodactylus occidentalis마시1872의문명"Pterodactylus oweni"에서 재분류; Pteranodon occidental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velox마시1872의문명Pteranodon velox로 재분류
Pterodactylus suprajurensis소바지1873의문명
Pterodactylus aclandi오언1874의문명Rhamphocephalus depressirostri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daviesii오언1874의문명
Pterodactylus duncani오언1874의문명Rhamphocephalus bucklandi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kiddii오언1874의문명Rhamphocephalus bucklandi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manseli오언1874의문명
Pterodactylus marderi오언1874Dimorphodon macronyx의 동의어
Pterodactylus pleydelli오언1874의문명
Pterodactylus sagittirostris오언1874Serradraco sagittirostr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umbrosus코프1874의문명Ornithochirus umbros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validus오언1875Doratorhynchus valid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ontanus마시1878Dermodactylus montan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suevicus프라스 non 퀠슈테트1878 non 1855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
Pterodactylus fraasi(실리)(1901)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Cycnorhamphus fraas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cristatus비만1925Germanodactylus cristat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westmani비만1925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ormoranus되데라인1929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arningi레크1931의문명
Pterodactylus brancai레크1931의문명Dsungaripterus brancai로 재분류
Pterodactylus maximus레크1931의문명
Pterodactylus raptor오언 vide 잉글리스 & 소여1979무명



프테로닥틸루스 분류는 헤르만 폰 마이어가 프테로닥틸루스속과 다른 익룡들을 포함하는 "Pterodactyli"라는 그룹을 명명하면서 시작되었다. 1838년 샤를 뤼시앙 보나파르트는 이를 과 "Pterodactylidae"로 수정했다.[109][110]

2. 1. 발견

코시모 알레산드로 콜리니가 1784년에 제작하여 출판한 ''P. antiquus'' 모식 표본의 오리지널 구리 조각


지금은 ''Pterodactylus antiquus''로 알려진 동물의 모식 표본은 역사상 최초로 확인된 익룡 화석이었다. 최초의 ''Pterodactylus'' 표본은 이탈리아 과학자 코시모 알레산드로 콜리니가 1784년에 바이에른의 졸른호펜 석회암에서 발굴된 화석 골격을 바탕으로 기술했다. 콜리니는 만하임에 있는 바이에른 선제후 카를 테오도어 궁전의 Naturalienkabinett|나투랄리엔카비네트de 또는 자연 진기한 물건의 진열장 (현대적인 자연사 박물관의 전신)의 큐레이터였다.[6][4] 그 표본은 약 1780년경에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추 파펜하임de 백작에 의해 수집되었으며, 아이히슈테트de의 석판 석회암 채석장에서 발견되었다.[5] 표본의 실제 발견 및 수집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767년에 작성된 수집 목록에는 언급되지 않았다. 따라서 1767년과 콜리니의 1784년 기술 사이의 어느 시점에 획득되었음에 틀림없다.

바글러가 1830년에 복원한 수생 ''Pterodactylus''


콜리니는 만하임 표본에 대한 최초의 기술에서 그것이 나는 동물이라고 결론 내리지 않았다. 그는 해양 생물일 것이라고 추측했는데, 해양 심해에 알려지지 않은 종류의 동물이 서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7][8] 익룡이 수생 동물이라는 생각은 1830년까지 소수의 과학자들 사이에서 지속되었는데, 이때 독일 동물학자 요한 게오르크 바글러는 날개를 지느러미로 사용하는 ''Pterodactylus''의 그림을 발표했다.[9]

헤르만의 오리지널 생물 복원도, 최초의 익룡 복원도, 1800년


독일/프랑스 과학자 요한 헤르만은 최초로 ''Pterodactylus''가 날개 막을 지탱하기 위해 긴 네 번째 손가락을 사용한다고 언급한 사람이었다. 1800년 3월, 헤르만은 프랑스 과학자 조르주 퀴비에에게 콜리니의 화석의 존재를 알렸는데, 이는 프랑스 영사관의 침략군에 의해 포획되어 파리의 수집품으로 보내졌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헤르만은 퀴비에에게 표본에 대한 자신의 해석을 포함하는 편지를 보냈고, 그는 이것이 포유류라고 믿었으며, 익룡의 최초로 알려진 생물 복원도를 포함했다. 헤르만은 동물을 긴 네 번째 손가락에서 발목까지 뻗어 있는 날개 막과 털로 덮인 상태로 복원했다. 퀴비에는 이 해석에 동의했으며, 헤르만의 제안에 따라 1800년 12월에 이러한 아이디어를 처음으로 발표했다.[8] 그러나 헤르만과는 반대로 퀴비에는 그 동물이 파충류라고 확신했다.[10] 1802년에 카를 테오도르가 사망한 후, 그것은 뮌헨으로 옮겨졌다.[6] 퀴비에는 화석을 연구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찾을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 1809년 퀴비에는 동물의 이름을 ''Petro-Dactyle''로 명명했다.[11] 그러나 이것은 오자였으며, 나중에 그에 의해 ''Ptéro-Dactyle''로 수정되었다.[8] 그는 또한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가 그것이 해안 새일 것이라는 가설을 반박했다.[11] 퀴비에는 "긴 손가락이 이 동물의 앞쪽 팔다리를 늘려 좋은 날개를 형성하는 막을 지탱하는 데 사용되었다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라고 말했다.[12]

폰 쵐머링이 1817년에 잘못 복원한 종 ''Pterodactylus brevirostris''


화석은 사라진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사무엘 토마스 폰 쵐머링이 연구하고 있었으며, 그는 1810년 12월 27일에 이에 대해 대중 강연을 했다. 1811년 1월, 폰 쵐머링은 퀴비에에게 편지를 썼다. 그의 강연은 1812년에 출판되었으며, 폰 쵐머링은 이 종을 '''''Ornithocephalus antiquus'''''.[13]라고 명명했다. 그 동물은 박쥐이자 포유류와 조류 사이의 형태라고 묘사되었다. 퀴비에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같은 해 그 동물이 파충류라고 다시 언급하는 긴 설명을 제공했다.[14] 1817년에 두 번째 ''Pterodactylus'' 표본이 다시 졸른호펜에서 발견되었다. 이 작은 표본은 그해에 폰 쵐머링에 의해 짧은 주둥이로 인해 명명된 ''Ornithocephalus brevirostris''로 기술되었으며, 현재는 어린 특징으로 이해된다.[22] 그는 골격 복원도를 제공했으며, 이것은 어떤 익룡에 대해서도 처음으로 출판된 것이었다.[8] 이 복원도는 매우 부정확했다.[15] 쵐머링은 이러한 형태가 박쥐라는 자신의 의견을 바꾸지 않았으며, 익룡을 해석하기 위한 이 "박쥐 모델"은 그들이 파충류라는 합의가 1860년경에 도달된 후에도 오랫동안 영향력을 유지했다.

1815년, 속명 ''Ptéro-Dactyle''은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에 의해 라틴어화되어 ''Pterodactylus''가 되었다.[17] 그러나 라피네스크의 출판물을 알지 못한 퀴비에 자신은 1819년에 ''Ptéro-Dactyle''의 이름을 다시 ''Pterodactylus''로 라틴어화했지만,[18] 그가 그때 부여한 종명 ''longirostris''는 폰 쵐머링의 ''antiquus''보다 우선해야 한다.[18] 1888년, 영국의 박물학자 리처드 리데커는 ''Pterodactylus antiquus''를 ''Pterodactylus''의 모식 종으로 지정하고 ''Ornithocephalus antiquus''를 동의어로 간주했다. 그는 또한 표본 BSP AS.I.739를 속의 모식 표본으로 지정했다.[20]

공막환을 포함한 ''프테로닥틸루스 안티쿠스''와 현생 조류 및 파충류의 비교를 통해 주행성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동시대에 살았던 야행성 익룡, 예를 들어 ''크테노카스마''와 ''람포린쿠스''와의 생태적 지위 분화를 나타낼 수도 있다.

선제후 컬렉션에 있던 표본의 그림. 본 속 및 ''P. antiquus''의 모식 표본


이 동물은 세계 최초로 발견된 익룡이며, 그 발견사는 익룡이라는 생물 자체의 이해의 역사와 일치한다.

최초로 화석이 보고된 것은 1784년으로, 팔츠 선제후카를 테오도르의 컬렉션 관리를 맡았던 이탈리아인 박물학자 코시모 알레산드로 콜리니가 선제후 컬렉션에 포함된 화석에 대한 보고로 발표했다.[97][98] 그 표본은 졸른호펜 근처 파펜하임의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백작으로부터 보내진 것이며, 아이히슈테트산이라고 하지만 발견 및 증여의 정확한 날짜는 불명확하다. 콜리니는 그 생물이 완전히 새로운 생물임을 이해하고, 조류와 비슷하지만 분명히 조류는 아니라고 결론 내렸지만, 자세한 분류나 명명은 하지 않았다.[99]

이 아이히슈테트 표본의 생물에 이름을 붙인 사람은 프랑스조르주 퀴비에이다. 그는 1801년에 이 생물이 길게 뻗은 손가락 뼈에 날개막을 펴서 날개로 삼아 하늘을 나는 파충류라는 견해를 발표했다. 1809년에는 더욱 상세한 논문을 발표했는데, 그 안에서 ''"Ptero-dactyle"''이라는 형태로 이름을 부여했다.[100][98] 원표본 소유자인 선제후가 상속 문제로 만하임에서 뮌헨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컬렉션 이동에 따른 여러 문제 때문에, 퀴비에는 일련의 연구 과정에서 실제 표본을 한 번도 손에 쥐지 못했고,[100] 콜리니가 남긴 논문과 동판화만으로 연구를 진행했다.[99]

선제후의 컬렉션이 뮌헨으로 옮겨지자 바이에른 과학 아카데미에 기증되었고, 아이히슈테트 표본은 사무엘 토마스 폰 제머링(Samuel Thomas von Sömmerring)에 의해 연구되었다.[101] 제머링은 퀴비에의 연구를 알지 못한 채 1810년에 강연 형태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는데, 그 안에서 ''Ornithocephalus antiquus''라고 명명한 이 생물은 포유류박쥐의 일종이라는 결론을 표명했다.[82] 1811년에 퀴비에의 논문을 알게 된 제머링은 1812년에 게재할 때, 콜리니와 퀴비에의 설 모두 비판적으로 논했다. 그러나 박쥐 설에 집착했기 때문에, 퀴비에와 달리 표본을 실제로 조사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논문에서는 상완골을 흉골로 착각하고, 실제의 전완골(척골과 요골)을 상완골에, 실제의 중수골을 전완골로 하는 잘못된 골격 복원도가 게재되었다.[82]

요한 헤르만도 이 동물이 포유류 설을 지지한 사람 중 한 명이다. 그는 이것을 포유류와 조류의 중간에 위치하는 포유류라고 생각했다.[82]

영국의 에드워드 뉴먼은 제머링 등과 마찬가지로 이 생물은 비행하는 포유류라고 생각했다. 하늘을 나는 행동 양식을 취하는 이상, 파충류와 같은 변온동물이 아니라 활동적인 항온동물이어야 한다는 관점에 의한 것이었다. 다만 그의 설이 제머링과 다른 점은 익수목(박쥐)이 아니라 유대류라고 생각한 것이다. 여기에는 1831년에 Georg August Goldfuss|게오르크 아우구스트 골드푸스de스카포그나투스 표본에 털의 흔적이 보인다고 발표한 것과, 윌리엄 버클랜드가 기재한 쥐라기 스톤스필드 점판암 산의 "주머니쥐"를 둘러싼 논쟁이 영향을 미쳤다고 한다.[102] 그 때문에 그가 1843년에 발표한 복원도에서는 체모와 귓바퀴를 가지고 하늘을 나는 익룡이 그려져 있다.[103]

이 표본이 하늘을 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조류에 포함시키려는 의견도 존재했다. 인종 분류를 확립한 괴팅겐 대학교(게팅겐 대학교)의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는 퀴비에의 발표 전후에 이 아이히슈테트 표본이 물새의 화석이라는 견해를 제시했다.[97][100]

St. George Jackson Mivart|세인트 조지 잭슨 미바트영어와 같이, 익룡을 조류의 조상으로 생각하는 사람이나,[104] 해리 고비어 시리와 같이, 동일한 조상에서 갈라진 아주 가까운 친척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었다.[105][106][107]

그러나, 퀴비에의 비교 해부학을 구사한 과학적 결론 이상의 설득력 있는 설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 때문에, 프테로닥틸루스뿐만 아니라 익룡 전체에 대해서도, 그것이 비행성 파충류라는 그의 해석은 많은 지지를 얻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108]

본 속의 모식 표본은 현재 뮌헨의 바이에른 국립 고생물학 지질학 박물관(Bayerische Staatssammlung für Paläontologie und Geologie)에 보관되어 있다.

'''프테로닥틸루스'''''라는 명칭은 1815년에 콘스탄틴 사무엘 라피네스크가 퀴비에가 명명한 것을 라틴어화한 ''Pterodactylus'' Cuv.[113]와 라피네스크의 라틴어화에 주목하지 못한 퀴비에가 1819년에 자신의 논문에서 아이히슈테트 표본에 대해 명명한 ''Pterodactylus longirostris''[82]가 그 시작이다. 이것은 국제동물명명규약 (ICZN)상, 1809년에 ''Ptero-dactyle''이라는 형태로 발표한 것을 학명의 기명법에 맞춰 수정한 것으로, ICZN 33.2에서 규정하는 "정당한 수정명"에 해당하며, 명명의 우선권과 날짜는 유지되므로, 속명의 명명 연도는 1809년이다. 따라서 이 명칭은 1812년에 발표된 제메링의 ''Ornithocephalus''에 대해 우선권을 가진다[82].(제메링의 1810년 발표는 강연이었으므로, 규약상의 정식 발표는 1812년이다).

1809년 당시 퀴비에는 종에 대해서는 명명하지 않았으므로, 종소명으로는 퀴비에가 1819년에 명명한 ''longirostris''가 아닌 1812년 제메링이 명명한 ''antiquus''가 우선권을 가진다[82] 따라서 프테로닥틸루스 속의 모식종의 명칭은 ''Pterodactylus antiquus''가 되며, 종에 대한 명명자도 제메링이다. 현재 유효한 명명자는 다음과 같다.

  • 속: ''Pterodactylus'' 퀴비에, 1809
  • 모식종: ''Pterodactylus antiquus'' (제메링, 1812)

2. 2. 학명 논쟁과 분류



최초로 확인된 익룡 화석은 italics=unset|코시모 알레산드로 콜리니it가 바이에른의 졸른호펜 석회암에서 발굴된 화석 골격을 바탕으로 기술했다. 독일/프랑스 과학자 요한 헤르만은 ''Pterodactylus''가 날개 막을 지탱하기 위해 긴 네 번째 손가락을 사용한다고 최초로 언급했다. 1800년 3월, 헤르만은 프랑스 과학자 조르주 퀴비에에게 콜리니의 화석의 존재를 알렸고, 퀴비에는 1800년 12월에 이 내용을 간략하게 발표했다.[8] 1809년, 퀴비에는 동물의 이름을 ''Petro-Dactyle''로 명명했으나, 이는 오자였으며 나중에 ''Ptéro-Dactyle''로 수정되었다.[11]

1815년, 콘스탄틴 새뮤얼 라피네스크는 속명 ''Ptéro-Dactyle''을 라틴어화하여 ''Pterodactylus''로 명명했다.[17] 1888년, 영국의 박물학자 리처드 리데커는 ''Pterodactylus antiquus''를 ''Pterodactylus''의 모식 종으로 지정하고, ''Ornithocephalus antiquus''를 동의어로 간주했다. 그는 표본 BSP AS.I.739를 속의 모식 표본으로 지정했다.[20]

2014년, 스티븐 비도비치와 데이비드 마틸은 ''P. kochi'', ''P. scolopaciceps'', ''P. antiquus'' 표본 간의 차이점을 근거로 이들을 세 개의 뚜렷한 종으로 구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Diopecephalus'' 속을 사용하여 ''"P". kochi''를 ''P. antiquus''와 구별하고, ''P. scolopaciceps''에 대해서는 새로운 속 ''Aerodactylus''를 명명했다.[71][72] 그러나 2017년, 베넷은 비도비치와 마틸의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며 ''Diopecephalus''와 ''Aerodactylus''를 미성숙한 ''Pterodactylus antiquus''로 간주했다.[73]

200년이 넘는 역사 동안, ''프테로닥틸루스''의 다양한 종들은 분류학상 많은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동의어를 가지게 되었다.

이름저자연도상태비고
Pterodactylus antiquus(쉠머링)(1812)유효Ornithocephalus antiquus를 대체하는 프테로닥틸루스모식종
Pterodactylus "suevicus"오켄1816[75]무명
Pterodactylus brevirostris(쉠머링)(1817)Ctenochasma elegans의 동의어Ornithocephalus brevirostri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iganteus(오켄)(1819)의문명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Ornithocephalus gigante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longirostris퀴비에1819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grandis퀴비에1824의문명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rocodilocephaloides리트겐1826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nettecephaloides리트겐1826잊혀진 이름Aurorazhdarcho micronyx의 동의어
Pterodactylus macronyx버클랜드1829Dimorphodon macronyx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macronyx(버클랜드)(1829)Dimorphodon macronyx의 동의어Dimorphodon macronyx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banthensis(테오도리)(1830)Dorygnathus banthensis로 재분류Ornithocephalus banthensi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ensirostris) banthensis(테오도리)(1830)잊혀진 이름Dorygnathus banthensis의 동의어
Pterodactylus goldfussi테오도리1830Dorygnathus banthensi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rassirostris골트푸스1831Scaphognathus crassirostr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acronyx마이어 non 버클랜드1831 non 1829Dorygnathus banthensis의 동의어
Pterodactylus medius뮌스터1831의문명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muensteri(골트푸스)(1831)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Ornithocephalus muenst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muensteri(골트푸스)(1831)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Pterodactylus muenst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bucklandi마이어1832불확정적인 람포린쿠스과한때 Rhamphocephalus 속에 할당됨
Pterodactylus longipes뮌스터1836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
Pterodactylus kochi바그너1837Diopecephalus kochi로 재분류Ornithocephalus koch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antiquu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lavateri마이어1838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pterus) lavateri(마이어)(1838)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Pterodactylus lavat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longicaudus뮌스터1839Rhamphorhynchus longicaud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eyeri뮌스터1842Diopecephalus kochi의 동의어
Pterodactylus secundarius마이어1843의문명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liftii만텔1844Palaeornis cliftii의 동의어Palaeornis clifti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diomedeus(오언)(1846)Cimoliornis diomedeus의 동의어Cimoliornis diomede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emmingi마이어1846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gemmingi(마이어)(1846)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Pterodactylus gemming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iganteus바우어뱅크 non 오켄1846 non 1819Lonchodraco gigante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ornis기벨1847Palaeornis clifti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onirostris오언1850Lonchodraco gigante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uvieri바우어뱅크1851Cimoliopterus cuvieri로 재분류
Pterodactylus compressirostris오언1851Lonchodectes compressirostr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redenbacheri(바그너)(1851)Aurorazhdarcho micronyx의 동의어Ornithocephalus redenbacher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astinus(바그너)(1851)Altmuehlopterus rhamphastinus로 재분류Ornithocephalus rhamphastin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giganteus모리스 non 오켄 non 바우어뱅크1854 non 1819 non 1846Cimoliornis diomede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longicollum마이어1854Ardeadactylus longicollum로 재분류
Pterodactylus wuerttembergicus퀠슈테트1854잊혀진 이름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suevicus퀠슈테트1855Cycnorhamphus suevic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icronyx마이어1856Aurorazhdarcho micronyx로 재분류
Pterodactylus crassipes마이어1857거부된 이름Ostromia crassipes로 재분류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crassipes(마이어)(1857)거부된 이름Ostromia crassipe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rassipe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eurychirus바그너1857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eurychirus(바그너)(1857)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Pterodactylus eurychir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suevicus eurychirus(바그너)(1857)Cycnorhamphus suevic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hirundinaceus바그너1857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hirundinaceus바그너1857Rhamphorhynchus muensteri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propinquus바그너1857의문명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propinquus(바그너)(1857)의문명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propinquus에서 재분류; 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propinquus medius바그너1857의문명Altmuehlopterus rhamphastin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vulturinus바그너1857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
Pterodactylus vulturinus(바그너)(1857)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Pterodactylus (Ornithocephalus) vulturin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liasicus퀠슈테트1858Campylognathoides liasic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fittoni오언1859의문명Ornithocheirus fittoni 또는 Anhanguera fittoni로 재분류; Cimoliopterus cuvieri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sedgwickii오언1859Camposipterus sedgwickii로 재분류
Pterodactylus silvestris오언1859Palaeornis cliftii의 동의어
Pterodactylus cerinensis마이어1860의문명
Pterodactylus grandipelvis마이어1860의문명
Pterodactylus scolopaciceps마이어1860Aerodactylus scolopaciceps로 재분류
Pterodactylus elegans바그너1861Ctenochasma elegans로 재분류
Pterodactylus pulchellus마이어1861Aurorazhdarcho micronyx의 동의어
Pterodactylus simus오언1861Ornithocheirus sim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spectabilis마이어1861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woodwardi오언1861의문명Ornithocheirus woodwardi로 재분류
Pterodactylus hopkinsi실리1864무명
Pterodactylus oweni실리1864Ikrandraco machaerorhynchus의 동의어이미 사용된 종인 "Pterodactylus oweni"와 혼동 주의
Pterodactylus longispinis코프1866Rhabdopelix longispin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acrurus실리1869Gnathosaurus macrur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nobilis오언1869의문명Ornithocheirus nobil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curtus오언1870의문명Ornithocheirus curt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oweni"마시1871이미 사용됨Pterodactylus occidentalis로 재할당됨
Pterodactylus ingens마시1872Pteranodon longiceps의 동의어Pteranodon ingens로 재분류
Pterodactylus occidentalis마시1872의문명"Pterodactylus oweni"에서 재분류; Pteranodon occidental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velox마시1872의문명Pteranodon velox로 재분류
Pterodactylus suprajurensis소바지1873의문명
Pterodactylus aclandi오언1874의문명Rhamphocephalus depressirostris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daviesii오언1874의문명
Pterodactylus duncani오언1874의문명Rhamphocephalus bucklandi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kiddii오언1874의문명Rhamphocephalus bucklandi의 가능한 동의어
Pterodactylus manseli오언1874의문명
Pterodactylus marderi오언1874Dimorphodon macronyx의 동의어
Pterodactylus pleydelli오언1874의문명
Pterodactylus sagittirostris오언1874Serradraco sagittirostris로 재분류
Pterodactylus umbrosus코프1874의문명Ornithochirus umbrosus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validus오언1875Doratorhynchus valid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montanus마시1878Dermodactylus montan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suevicus프라스 non 퀠슈테트1878 non 1855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
Pterodactylus fraasi(실리)(1901)Ardeadactylus longicollum의 동의어Cycnorhamphus fraasi에서 재분류
Pterodactylus cristatus비만1925Germanodactylus cristatus로 재분류
Pterodactylus westmani비만1925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cormoranus되데라인1929Pterodactylus antiquus의 동의어
Pterodactylus arningi레크1931의문명
Pterodactylus brancai레크1931의문명Dsungaripterus brancai로 재분류
Pterodactylus maximus레크1931의문명
Pterodactylus raptor오언 vide 잉글리스 & 소여1979무명



''P. spectabilis'' 종의 모식 표본 (현재는 ''P. antiquus''의 어린 개체)


프테로닥틸루스에 대한 최초의 분류는 고생물학자 헤르만 폰 마이어가 프테로닥틸루스속과 당시 알려진 다른 익룡을 포함하는 그룹에 "Pterodactyli"라는 이름을 부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는 1838년에 샤를 뤼시앙 보나파르트에 의해 과 분류군 "Pterodactylidae"로 수정되었다.[109][110]

3. 특징

''프테로닥틸루스''(Pterodactylus)는 비교적 작은 익룡으로, 알려진 성체의 날개 길이는 약 1.04m였다.[22] 한때 다른 "종"은 더 작다고 생각되었으나,[20] 이러한 더 작은 표본들은 ''프테로닥틸루스''뿐만 아니라, ''크테노카스마''(Ctenochasma), ''게르마노닥틸루스'', ''아우로라즈다르코'', ''그나토사우루스'' 및 ''에어로닥틸루스''의 어린 개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21]

성체 ''프테로닥틸루스''의 두개골은 길고 가늘었으며, 약 90개의 좁고 원뿔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있었다. 이빨은 두 턱의 끝에서 뒤쪽으로 뻗어 나갔으며, 턱 끝에서 멀어질수록 작아졌다. 윗턱 끝에는 이빨이 없고 크기가 비교적 균일했는데, 이는 대부분의 친척 익룡들과는 다른 특징이다. ''프테로닥틸루스''의 이빨은 가까운 친척에 비해 턱 뒤쪽으로 더 멀리 뻗어 있었으며, 두개골에서 가장 큰 구멍인 ''비강안와창'' 앞쪽 아래에도 일부 존재했다.[22] 또한 두개골과 턱이 곧다는 자폐형질을 가지는데, 이는 관련된 크테노카스마류에서 보이는 위쪽으로 굽은 턱과는 다른 특징이다.[67]

''프테로닥틸루스''는 관련된 익룡과 마찬가지로, 주로 부드러운 조직으로 구성된 두개골 볏을 가지고 있었다. 성체 ''프테로닥틸루스''에서 이 볏은 안와창의 뒷부분과 두개골 뒤쪽 사이로 뻗어 있었다. 적어도 하나의 표본에서 이 볏은 짧은 뼈대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게르마노닥틸루스''와 같은 관련된 익룡에서도 볼 수 있다. 단단한 볏은 크고 완전히 성숙한 ''프테로닥틸루스'' 표본에서만 발견되었으며, 이는 개체가 성숙함에 따라 더 커지고 더 잘 발달하는 과시 구조였음을 나타낸다.[22][23]

4. 고생물학

공막환과 ''프테로닥틸루스 안티쿠스''를 현생 조류 및 파충류와 비교했을 때 주행성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는 동시대에 살았던 야행성 익룡인 ''크테노카스마'' 및 ''람포린쿠스''와의 생태적 지위 분화를 나타낼 수 있다.[96]

환경 속의 ''프테로닥틸루스''의 가상 복원도


''프테로닥틸루스'' 표본은 주로 독일 바이에른의 졸른호펜 석회암(지질학적으로 알트뮐탈 지층)에서 발견되었다. 이 지층은 해파리와 같은 연질 생물의 매우 상세한 화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라거슈테테이다. ''프테로닥틸루스''와 유사한 익룡 표본이 풍부하게 발견되었으며, 여기에는 람포린쿠스과 ''람포린쿠스''와 ''스카포그나투스'',[27] 갈로닥틸루스과 ''에어로닥틸루스'',[19] ''아르데아닥틸루스'', ''오로라즈다르코'', ''키크노람푸스'',[4] 크테노카스마과 ''크테노카스마''[28]와 ''그나토사우루스'', 아누로그나투스과 ''아누로그나투스'', 게르마노닥틸루스과 ''게르마노닥틸루스'', 기저 유크테노카스마 ''디오페케팔루스''가 있다.[72]

''프테로닥틸루스''와 함께 발견된 화석
분류
공룡시조새, 콤프소그나투스[29]
도마뱀아르데오사우루스, 바바리사우루스, 아이히슈테티사우루스[30][31]
악어형류크리코사우루스, 다코사우루스,[32] 게오사우루스, 라케오사우루스[33]
거북유리스타넘, 팔레오메두사[35]
어룡에기로서스[36]
조기어류할레코르프 레피도테스,[39] 프로프테루스,[37] 지로두스, 메스투루스, 프로시네테스, 카투루스,[37] 오피옵시스,[38] 오피옵시에라,[39] 파키코름과 아스테노코르무스, 힙소코르무스, 오르토코르무스,[40] 아스피도린쿠스과 아스피도린쿠스, 익티오데크테스과 트리솝스[41][42]


4. 1. 생애 주기

프테로닥틸루스 표본은 연령이나 성숙도에 따라 팔다리 뼈 비율, 두개골 크기와 모양, 이빨 크기와 개수 등이 변화한다. 이러한 변화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성장 단계를 다른 종으로 오인하게 만들었다.[67]

어린 프테로닥틸루스(''Pterodactylus antiquus'') 표본은 이빨 수가 적고(15개 정도) 이빨 기저부가 넓다.[19] 성장하면서 이빨은 더 좁아지고 많아져 최대 90개에 이르기도 한다.[67]

프테로닥틸루스 표본은 크게 두 개의 연령대로 나뉜다. 첫 번째 연령대는 두개골 길이가 15~45mm이며, 두 번째 연령대는 55~95mm 길이의 두개골을 가지지만 여전히 미성숙하다. 이들은 한때 ''P. kochi'' 종의 어린 개체와 성체로 분류되었으나, 추가 연구 결과 별개의 속에 속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9] 세 번째 연령대는 "전통적인" ''P. antiquus'' 표본과 과거 ''P. kochi''로 분류되었던 큰 표본들을 포함하지만, 모두 미성숙 징후를 보인다.[19] 완전히 성숙한 프테로닥틸루스 표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거나 다른 속으로 오인 분류되었을 수 있다.[19]

프테로닥틸루스는 동시대의 람포린쿠스 뮌스테리처럼 계절에 따라 번식하고 평생 동안 꾸준히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새로운 1년생 세대가 계절마다 생성되어 다음 세대가 부화할 때쯤 2년생 크기에 도달했을 것이다.[19][24] 가장 작은 크기 분류는 1세 미만, 두 번째는 1~2세, 희귀한 세 번째는 2세 이상 표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성장 패턴은 조류보다 현대 악어류와 유사하다.[19]

공막환 비교 연구에 따르면 프테로닥틸루스는 주행성이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야행성 익룡인 크테노카스마 및 람포린쿠스와의 생태적 지위 분화를 나타낼 수 있다.

''P. grandipelvis'' 화석 골반

4. 2. 활동 주기

공막환을 통해 ''프테로닥틸루스 안티쿠스''는 주행성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야행성으로 추정되는 ''크테노카스마''나 ''람포린쿠스''와 같은 동시대 익룡들과의 생태적 지위 분화를 시사한다.[96]

4. 3. 식성

Pterodactylus|프테로닥틸루스de의 이빨 형태와 마모도 연구를 통해 주로 무척추동물을 잡아먹는 육식 동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학자들은 가늘고 긴 부리를 핀셋처럼 이용하여 도요류처럼 둑에서 갯지렁이와 같은 동물을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한다.[95] 또한, 체내에 소화 중인 물고기의 일부가 남겨진 화석이 발견되었고[94] 인두에 인두낭이 있다는 점[93]에서 어류를 섭취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갯벌에서 갯지렁이를 잡는 상상도


이 동물이 수생 동물이 아니라 비행 동물이었다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만, 먹이를 잡을 때 헤엄쳤는지에 대해서는 발의 물갈퀴 등을 근거로 한 주장이 제기된 이후에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으며, 뚜렷한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94]

5. 분포 및 서식 환경

프테로닥틸루스 표본은 주로 독일 바이에른의 졸른호펜 석회암(지질학적으로 알트뮐탈 지층으로 알려짐)에서 발견되었다.[3] 이 지층은 졸른호펜과 아이히슈테트 인근에서 주로 발견되는 세립질 석회암으로, 진흙 실트 퇴적물로 형성된다.[3] 졸른호펜 석회암은 해파리와 같은 연질 생물의 매우 상세한 화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라거슈테테이다.

종전에 ''Pterodactylus münsteri'' 종으로 분류되었던 ''Rhamphorhynchus muensteri'' 종의 화석 표본.


이곳에서는 ''프테로닥틸루스''와 유사한 익룡 화석이 풍부하게 발견되었는데, 여기에는 람포린쿠스과에 속하는 ''람포린쿠스''와 ''스카포그나투스'',[27] ''에어로닥틸루스''를 비롯한 여러 갈로닥틸루스과 종,[19] ''아르데아닥틸루스'', ''오로라즈다르코'', ''키크노람푸스'',[4] 크테노카스마과의 ''크테노카스마''[28]와 ''그나토사우루스'', 아누로그나투스과의 ''아누로그나투스'', 게르마노닥틸루스과의 ''게르마노닥틸루스'', 그리고 기저 유크테노카스마인 ''디오페케팔루스''가 있다.[72]

공룡 ''시조새''와 ''콤프소그나투스'' 화석도 발견되었는데,[29] 이들은 쥐라기 시대에 깃털을 가진 유일한 종 중 일부였기 때문에 깃털의 초기 진화와 관련이 있다.[29] 다양한 도마뱀 잔해도 ''프테로닥틸루스''와 함께 발견되었으며, ''아르데오사우루스'', ''바바리사우루스'', ''아이히슈테티사우루스'' 등이 속했다.[30][31]

악어형류 표본은 화석 지역 내에서 널리 분포되었으며, 대부분 메트리오린쿠스과에 속하는 ''크리코사우루스'', ''다코사우루스'',[32] ''게오사우루스'', ''라케오사우루스'' 등이었다.[33] 이들은 생김새가 유사하여 해양 악어라고도 불린다.[34] 거북이 속인 ''유리스타넘''과 ''팔레오메두사''도 발견되었다.[35] 어룡 ''에기로서스'' 화석도 발견되었으며,[36] 물고기 잔해도 존재한다. 여기에는 조기어류에 속하는 할레코르프 ''레피도테스'',[39] ''프로프테루스'',[37] ''지로두스'', ''메스투루스'', ''프로시네테스'', ''카투루스'',[37] ''오피옵시스'',[38] ''오피옵시에라'',[39] 파키코름과 ''아스테노코르무스'', ''힙소코르무스'', ''오르토코르무스'',[40] 아스피도린쿠스과 ''아스피도린쿠스'', 익티오데크테스과 ''트리솝스'' 등이 있다.[41][42]

19세기 초에는 많은 익룡 화석이 ''프테로닥틸루스'' 속으로 분류되어 분포가 넓어 보였지만, 이후 대부분 디모르포돈,[79] 스카포그나투스,[80] 게르마노닥틸루스,[81] 람포린쿠스,[82][83] 프테라노돈[84] 등으로 재분류되었다.

현재 프테로닥틸루스 속 화석은 주로 독일 졸른호펜과 그 주변에서 산출된다.[85] 그 외 영국, 프랑스유럽동아프리카에서도 보고되었다.[86]

6. 분류

헤르만 폰 마이어가 프테로닥틸루스속과 당시 알려진 다른 익룡을 포함하는 그룹에 "Pterodactyli"라는 이름을 부여하면서 프테로닥틸루스에 대한 최초의 분류가 시작되었다. 이는 1838년에 샤를 뤼시앙 보나파르트에 의해 과 분류군인 Pterodactylidae로 수정되었다. 그러나 이 그룹에는 최근에 몇 가지 상충되는 정의가 주어졌다.[109][110]

2014년 초, 스티븐 비도비치와 데이비드 마틸은 전통적으로 Ctenochasmatoidea에 근연한 Archaeopterodactyloidea로 여겨졌던 일부 익룡이 더 진화된 Dsungaripteroidea에 더 가깝거나, 경우에 따라 그 둘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다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17년에 발표된 내용에서 그들은 프테로닥틸루스속을 익지룡아목의 기저 위치에 두었다.[111]

2018년 Longrich, Martill, Andres의 분지 분석에 따르면, 프테로닥틸루스속은 Euctenochasmatia 안에 분류되어 더 파생적인 위치에 놓였다.[112]

7. 대중 문화

프테로닥틸루스는 프테라노돈과 함께 가장 잘 알려진 익룡 중 하나이며, "프테로닥틸"이라는 용어는 종종 익룡 전체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76] 책, 영화, TV 프로그램, 비디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 등장한다.

대중 매체에서는 주로 길쭉한 머리 볏과 큰 날개를 가진 모습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프테로닥틸루스는 뼈로 된 두개골 볏이 없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연조직으로 이루어진 볏을 가졌을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22]

J. R. 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서는 나즈굴이 타고 다니는 비행 생물로 묘사되었다. 톨킨의 아들 크리스토퍼 톨킨은 이 생물을 "나즈굴-새"라고 묘사했고, J. R. R. 톨킨은 "프테로닥틸루스형" 외모를 가졌다고 언급하며, 이것이 "새로운 신화"임을 인정했다.[77][78]

참조

[1] 서적 Zoognosia tabulis synopticis illustrata : in usum praelectionum mperalis Medico-Chirurgicae Mosquenis edita https://www.biodiver[...] Typis Nicolai S. Vsevolozsky 1813
[2] 논문 The Earliest Winged Fish-Catchers 1944
[3] 논문 Ammonite biostratigraphy as a tool for dating Upper Jurassic lithographic limestones from South Germany – first results and open questions http://doc.rero.ch/r[...]
[4] 서적 The Pterosaurs: From Deep Time Pi Press
[5] 논문 Dialogues on instinct; with analytical view of the researches on fossil osteology https://www.biodiver[...] 1844
[6] 논문 The history of Late Jurassic pterosaurs housed in Hungarian collections and the revision of the holotype of ''Pterodactylus micronyx'' Meyer 1856 (a 'Pester Exemplar') https://www.research[...]
[7] 논문 Sur quelques Zoolithes du Cabinet d'Histoire naturelle de S. A. S. E. Palatine & de Bavière, à Mannheim http://www.rhinoreso[...] 1784
[8] 논문 The earliest known restoration of a pterosaur and the philosophical origins of Cuvier's ''Ossemens Fossiles''
[9] 서적 Natürliches System der Amphibien : mit vorangehender Classification der Säugethiere und Vögel : ein Beitrag zur vergleichenden Zoologie https://www.biodiver[...] 1830
[10] 논문 Extrait d'un ouvrage sur les espèces de quadrupèdes dont on a trouvé les ossemens dans l'intérieur de la terre https://gallica.bnf.[...]
[11] 논문 Mémoire sur le squelette fossile d'un reptile volant des environs d'Aichstedt, que quelques naturalistes ont pris pour un oiseau, et dont nous formons un genre de Sauriens, sous le nom de Petro-Dactyle https://archive.org/[...]
[12] 문서 Cuvier, G. (1809), p. 436 : "II n'est guère possible de douter que ce long doigt n'ait servi à supporter une membrane qui formoit ''[sic]'' à l'animal, d'après la longueur de l'extrémité antérieure, une aile bien plus puissante que celle du dragon, et au moins égale en force à celle de la chauve-souris."
[13] 논문 Über einen ''Ornithocephalus'' oder über das unbekannten Thier der Vorwelt, dessen Fossiles Gerippe Collini im 5. Bande der Actorum Academiae Theodoro-Palatinae nebst einer Abbildung in natürlicher Grösse im Jahre 1784 beschrieb, und welches Gerippe sich gegenwärtig in der Naturalien-Sammlung der königlichen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München befindet: vorgelesen in der mathematisch-physikalischen Classe am 27. Dec. 1810 und Nachtrag vorgelesen am 8. April 1811 http://publikationen[...]
[14] 서적 Recherches sur les ossemens fossiles de quadrupèdes : où l'on rétablit les caractères de plusieurs espèces d'animaux que les révolutions du globe paroissent avoir détruites https://www.biodiver[...] Deterville 1812
[15] 논문 Ueber einen Ornithocephalus brevirostris der Vorwelt http://publikationen[...] 1817
[16] 서적 Dinosaurs past and present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Seattle and London
[17] 서적 Analyse de la nature, ou tableau de l'univers et des corps organisés https://www.biodiver[...]
[18] 서적 Isis (oder Encyclopädische Zeitung) von Oken https://archive.org/[...] Jena : Expedition der Isis 1819
[19] 논문 Year-classes of pterosaurs from the Solnhofen Limestone of Germany: Taxonomic and Systematic Implications
[20] 서적 Catalogue of Fossil Reptilia and Amphibia in the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Part I. Containing the Orders Ornithosauria, Crocodilia, Dinosauria, Squamata, Rhynchocephalia and Pterosauria https://www.biodiver[...] Taylor and Francis
[21] 논문 Soft tissue preservation of the cranial crest of the pterosaur ''Germanodactylus'' from Solnhofen
[22] 논문 New information on body size and cranial display structures of ''Pterodactylus antiquus'', with a revision of the genus
[23] 논문 Soft tissue preservation in a specimen of ''Pterodactylus kochi'' (Wagner) from the Upper Jurassic of Germany
[24] 서적 Die Pterodactyloidea (Pterosauria) der Oberjura-Plattenkalke Süddeutschlands https://www.zobodat.[...] Bayer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Mathematisch-Wissenschaftlichen Klasse, Abhandlungen
[25] 논문 Nocturnality in Dinosaurs Inferred from Scleral Ring and Orbit Morphology http://pdfs.semantic[...]
[26] 문서 Bestwick, J., Unwin, D.M., Butler, R.J. et al. Dietary diversity and evolution of the earliest flying vertebrates revealed by dental microwear texture analysis. Nat Commun 11, 5293 (2020). https://doi.org/10.1038/s41467-020-19022-2
[27] 논문 New information on the pterosaur ''Scaphognathus crassirostris'' and the pterosaurian cervical series 2004
[28] 논문 A review of the pterosaur ''Ctenochasma'': taxonomy and ontogeny
[29] 서적 The Evolution and Extinction of the Dinosau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논문 A propos des genres ''Ardeosaurus'' et ''Eichstaettisaurus'' (Reptilia, Sauria, Gekkonoidea) du Jurassique Supèrieur de Franconie https://pubs.geoscie[...]
[31] 논문 The Solnhofen (Jurassic: Tithonian) lizard genus ''Bavarisaurus'': new skull material and a reinterpretation
[32] 논문 The evolution of extreme hypercarnivory in Metriorhynchidae (Mesoeucrocodylia: Thalattosuchia) based on evidence from microscopic denticle morphology 2010
[33] 논문 High diversity of thalattosuchian crocodylians and the niche partition in the Solnhofen Sea http://www.svpca.org[...]
[34] 논문 The Cranial Osteology and Feeding Ecology of the Metriorhynchid Crocodylomorph Genera Dakosaurus and Plesiosuchus from the Late Jurassic of Europe 2012-09-18
[35] 논문 A new Late Jurassic turtle specimen and the taxonomy of ''Palaeomedusa testa'' and ''Eurysternum wagleri'' http://www.geo.uni-t[...]
[36] 논문 A new ichthyosaur from the Upper Jurassic lithographic limestones of Bavaria https://www.research[...] 2000
[37] 논문 A compendium of fossil marine animal genera http://strata.ummp.l[...] 2009-02-27
[38] 논문 A taxonomic reassessment of Ophiopsis (Halecomorphi, Ionoscopiformes), with a revision of Upper Jurassic species from the Solnhofen Archipelago, and a new genus of Ophiopsidae 2015
[39] 논문 The actinopterygian fish fauna of the Late Kimmeridgian and Early Tithonian 'Plattenkalke' near Solnhofen (Bavaria, Germany): state of the art 1999
[40] 서적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41] 논문 The Late Jurassic pterosaur ''Rhamphorhynchus'', a frequent victim of the ganoid fish ''Aspidorhynchus''?
[42] 서적 Versuch einer taxonomischen Revision der jurassischen Fischgattung Thrissops Agassiz. Wettergren and Kerber 1964
[43] 논문 Pterosaur phylogeny and comments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roup 2003
[44] 논문 Late Maastrichtian pterosaurs from North Africa and mass extinction of Pterosauria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45] 서적 Pterosaurs: Natural History, Evolution, Anat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46] 서적 Nachtrag zu der Abhandlung des professor Goldfuss ueber den Ornithocephalus Münsteri (Goldf.) https://books.google[...] F. C. Birner
[47] 서적 Neues Jahrbuch für Mineralogie, Geognosie, Geologie und Petrefaktenkunde E. Schweizerbart's Verlagshandlung 1839
[48] 논문 System der fossilen Saurier https://www.biodiver[...] E. Schweizerbart's Verlagshandlung
[49] 논문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gemmingi aus dem Kalkschiefer von Solenhofen https://www.biodiver[...] 1846
[50] 서적 Homoeosaurus maximiliani und Rhamphorhynchus (Pterodactylus) longicaudus: Zwei fossile Reptilien aus dem Kalkschiefer von Solenhofen http://data.onb.ac.a[...] S. Schmerber'schen buchhandlung
[51] 논문 On a new species of pterodactyl found in the Upper Chalk of Kent (''Pterodactylus giganteus'') https://zenodo.org/r[...]
[52] 논문 On the pterodactyles of the Chalk Formation https://zenodo.org/r[...]
[53] 간행물 Monograph on the fossil Reptilia of the Cretaceous Formations. The Palaeontographical Society 1851
[54] 논문 On the Ornithosaurian genus ''Ornithocheirus'', with a review of the specimens from the Cambridge Greensand in the Sedgwick Museum, Cambridge https://zenodo.org/r[...] 1914
[55] 논문 Taxonomic review of the ''Ornithocheirus'' complex (Pterosauria) from the Cretaceous of England
[56] 간행물 'Monograph on the fossil Reptilia of the Cretaceous formations. Supplement no. I' Palaeontographical Society, London 1859
[57]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pterosaur discovery in Great Britain 2010
[58] 논문 Index to the fossil remains of Aves, Ornithosauria, and Reptilia, from the Secondary System of Strata, arranged in the Woodwardian Museum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https://www.biodiver[...] 1869
[59] 논문 The Ornithosauria: an Elementary Study of the Bones of Pterodactyles https://books.google[...]
[60] 간행물 A Monograph on the Fossil Reptilia of the Mesozoic Formations. 1. Pterosauria.
[61] 논문 A new pterosaur specimen from the Upper Tunbridge Wells Sand Formation (Cretaceous, Valanginian) of southern England and a review of ''Lonchodectes sagittirostris'' (Owen 1874) https://www.research[...] 2017
[62] 논문 Note on a new and gigantic species of Pterodactyle http://oceansofkansa[...]
[63] 논문 "''Pteranodon'' and beyond: The history of giant pterosaurs from 1870 onwards.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Special Publications" https://www.research[...]
[64] 논문 On two new Ornithosaurians from Kansas
[65] 논문 The Vertebrata of the Cretaceous formations of the West. https://www.biodiver[...]
[66] 논문 Notice of a new sub-order of Pterosauria https://zenodo.org/r[...]
[67] 논문 Description of the skull of a ''Ctenochasma'' (Pterosauria) from the latest Jurassic of eastern France, with a taxonomic revision of European Tithonian Pterodactyloidea
[68] 논문 Juvenile specimens of the pterosaur ''Germanodactylus cristatus'', with a review of the genus
[69] 논문 On the phylogen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pterosaurs
[70] 논문 Lone Star Pterosaurs
[71] 논문 "''Pterodactylus scolopaciceps'' Meyer, 1860 (Pterosauria, Pterodactyloidea) from the Upper Jurassic of Bavaria, Germany: The Problem of Cryptic Pterosaur Taxa in Early Ontogeny"
[72] 논문 The taxonomy and phylogeny of ''Diopecephalus kochi'' (Wagner, 1837) and ''"Germanodactylus rhamphastinus"'' (Wagner, 1851) https://eprints.soto[...] 2017
[73] 논문 New smallest specimen of the pterosaur ''Pteranodon'' and ontogenetic niches in pterosaurs
[74] 서적 Pterosaurs: Rulers of the Skies in the Dinosaur Age StarWalk Kids Media
[75] 서적 Okens Lehrbuch der Naturgeschichte https://www.biodiver[...] August Schmid und Comp. 1816
[76] 웹사이트 Pterosaurs: Myths and Misconceptions http://www.pterosaur[...] Pterosaur.net 2011-06-18
[77] 문서 Letters of J. R. R. Tolkien
[78] 문서 Letters of J. R. R. Tolkien
[79]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0]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1]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2]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3] 논문 "''Pterodactylus (Rhamphorhynchus) gemmingi'' aus dem Kalkschiefer von Solenhofen"
[84]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5]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6]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7]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88] 논문 New information on body size and cranial display structures of ''Pterodactylus antiquus'', with a revision of the genus
[89]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90] 논문 Description of the skull of a ''Ctenochasma'' (Pterosauria) from the latest Jurassic of eastern France, with a taxonomic revision of European Tithonian Pterodactyloidea
[91] 논문 Year-classes of pterosaurs from the Solnhofen Limestone of Germany: Taxonomic and Systematic Implications
[92] 서적 Die Pterodactyloidea (Pterosauria) der Oberjura-Plattenkalke Süddeutschlands https://www.zobodat.[...] Bayeri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Mathematisch-Wissenschaftlichen Klasse, Abhandlungen
[93]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94]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95]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96] 논문 Nocturnality in Dinosaurs Inferred from Scleral Ring and Orbit Morphology
[97]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98] 서적 『動物大百科別巻 恐竜』
[99]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100]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101]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102]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103]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104] 논문 A popular account of chamaeleons
[105] 서적 Dragons of the Air: an Account of Extinct Flying Reptiles D. Appleton & Co.
[106]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107] 서적 動物大百科別巻 恐竜
[108] 서적 動物大百科別巻2 翼竜
[109] 논문 On the phylogeny and evolutionary history of pterosaurs
[110] 논문 Pterosaur phylogeny and comments on the evolutionary history of the group 2003
[111] 논문 The taxonomy and phylogeny of ''Diopecephalus kochi'' (Wagner, 1837) and ''"Germanodactylus rhamphastinus"'' (Wagner, 1851) https://eprints.soto[...] 2017
[112] 논문 Late Maastrichtian pterosaurs from North Africa and mass extinction of Pterosauria at the Cretaceous-Paleogene boundary
[113] 서적 Analyse de la nature, ou tableau de l'univers et des corps organisés https://www.biodiver[...]
[114] 웹사이트 Pterosaurs: Myths and Misconceptions http://www.pterosaur[...] Pterosaur.net 2011-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