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세가와 데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세가와 데루는 일본의 에스페란티스트이자 작가로, 중국에서 항일 운동에 참여했다. 야마나시현에서 태어난 그녀는 나라 여자 고등사범학교에서 에스페란토를 배우고 좌익 활동에 참여했다. 1937년 중국인 류런과 결혼하여 상하이로 이주, 중국 프롤레타리아 에스페란티스토 연합에서 활동하며 항일 라디오 방송을 했다. 스파이 혐의로 홍콩으로 추방당하기도 했으며, 1947년 사망 후 남편과 함께 자무쓰시에 안장되었다. 그녀는 일본 파시즘에 반대하며 에스페란토를 통해 반파시즘 운동을 펼쳤으며, 그녀의 삶은 TV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에스페란티스토 - 기타 잇키
    기타 잇키는 일본 제국 헌법의 천황제를 비판하고 군사혁명을 통한 국가 개조를 주장한 사상가이자 혁명가로, 그의 사상은 2·26 사건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보적인 면모와 극단적인 민족주의적 경향을 동시에 지녔다는 평가를 받으며 2·26사건 연루 혐의로 사형당했다.
  • 일본의 에스페란티스토 - 미야자와 겐지
    이와테현 출신의 일본 시인이자 소설가, 동화 작가, 농업기술 지도자인 미야자와 겐지는 불교적 신앙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헌신이 담긴 작품들을 남겼으며 사후 재평가를 통해 일본 문학사의 중요한 작가로 인정받았다.
  • 1947년 사망 - 홍사용
    홍사용은 노작, 소아, 백우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민족주의적 낭만파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하지 않았고, 휘문의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 문예지 창간, 극단 활동, 희곡 창작 등의 활동을 했다.
  • 1947년 사망 - 김만일
    김만일은 김일성과 김정숙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자 김정일의 동생으로, 소련에서 알렉산더 김으로 불렸으며, 사망 원인과 시점에 대해서는 북한과 러시아 측 기록이 다르고 김정일 책임론도 제기되나 신빙성은 낮다.
  • 1912년 출생 - 이원수 (작가)
    이원수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아동문학가로서 1926년 동시 〈고향의 봄〉으로 등단하여 동요, 동시, 동화, 소년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하고 한국아동문학가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며 아동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나, 친일 작품으로 논란이 있다.
  • 1912년 출생 - 이병주 (1912년)
    이병주(1912년)는 대구사범학교 졸업 후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대한민국의 의학박사이자 정치인으로, 대한결핵협회 이사, 민주공화당 창당준비위원, 재단법인 성균관 이사장을 역임하고 제7·8·9대 국회의원 및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위원, 그리고 민주공화당 주요 직책과 국회 예산결산위원장을 지냈다.
하세가와 데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하세가와 데루
하세가와 데루
본명하세가와 데루코 (長谷川照子)
별칭베르다 마요 (Verda Majo, 초록 5월)
출생일1912년 3월 7일
출생지일본
사망일1947년 1월 14일
직업해당 정보 없음
알려진 이유해당 정보 없음
인물 정보
원어 이름長谷川テル (Hasegawa Teru)
다른 이름녹천영자 (绿川 英子, Lǜchuān Yīngzĭ)
베르다 마요 (Verda Majo)

2. 생애

하세가와와 남편 류런


하세가와 데루는 1912년 야마나시현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하세가와 데루코(長谷川照子)이며, 필명은 미도리카와 에이코(緑川英子), 에스페란토 이름은 베르다 마요(Verda Majo: 녹색의 5월)이다. 1932년 에스페란토를 배웠고, 1936년 봄 에스페란토 운동을 통해 중국에서 온 유학생 류런을 알게 되어 같은 해 가을에 결혼하였다. 1937년 4월 19일 상하이로 이주하였다.

당시 일본 사회는 중국인과의 결혼을 부정적으로 여겼다. 심지어 스스로를 '혁명가'라고 칭했던 가지 와타루(鹿地 亘일본어)조차 하세가와를 조롱했을 정도였다. 하세가와는 조국에서 아무런 지지도 받지 못했다.[3]

상하이에서 하세가와는 에스페란토 관련 활동을 계속했으며, 중국 프롤레타리아 에스페란티스토 연합 및 상하이 에스페란티스토 협회에 참여하였다. 1937년 12월 광둥, 1938년 7월 우한을 거쳐 1940년 여름부터 중국 국민당 국제 홍보부에서 활동하였다. 1938년 겨울에는 충칭으로 피난하여 《Heroldo de Ĉinio》에 기고하기 시작하였다. 1945년에는 하얼빈을 거쳐 자무쓰 시로 이사하였다.

하세가와는 일본의 중국 침략에 반대하는 라디오 방송을 유창한 일본어로 진행하여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분노하게 했다. 당시 도쿄의 신문은 하세가와를 "달콤한 목소리의 매국노"라고 비난했고, 하세가와의 아버지는 목숨을 위협하는 편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충칭에서 저우언라이는 직접 하세가와를 칭찬하기도 했다.[1]

1947년 1월 10일 낙태로 인한 감염으로 사망하였다. 같은 해 4월 22일 남편 류런도 병사하였다. 하세가와와 류런은 자무쓰시 순교자 묘지에 매장되어 있다.[8]

그녀의 파란만장한 삶은 1980년 중일 합작 드라마 '망향의 별'로 제작되기도 했다.

2. 1. 초기 생애 (1912-1936)

야마나시현에서 3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본명은 하세가와 테루코(長谷川照子)이며, 필명은 미도리카와 에이코(緑川英子), 에스페란토 이름은 베르다 마요(Verda Majo: 녹색의 5월)이다. 1929년 나라현에 있는 여자 사범학교에 입학하여 좌익 문학 서클 및 에스페란토 서클과 교류했다.

1932년 좌익 조직 혐의로 체포되어 며칠간 구류된 후, 대학을 자퇴했다. 1933년 일본 에스페란토 학회에서 무급 타이피스트로 일하며 에스페란토 문학 연구회 회원이 되었다. 1936년 만주국 출신 유학생 류런(劉仁)과 결혼했다.[3]

2. 2. 중국에서의 항일 운동 (1937-1945)

1937년 남편 류런과 함께 상하이로 이주하여, 중국 프롤레타리아 에스페란티스토 연합 및 상하이 에스페란티스토 협회에서 활동했다.[3] 중일 전쟁 발발 이후, 1937년 12월 광둥, 1938년 7월 우한, 1938년 겨울 충칭 등지로 이동하며 중국 국민당 국제 홍보부에서 항일 선전 활동에 참여했다.[3]

하세가와는 일본의 중국 침략에 반대하는 라디오 방송을 유창한 일본어로 진행하여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분노하게 만들었다.[1] 이로 인해 일본 도쿄의 신문에서는 "달콤한 목소리의 매국노"로 비난받았고, 하세가와의 아버지는 목숨을 위협하는 편지를 받기도 했다.[1] 그러나 충칭에서 저우언라이는 직접 하세가와를 칭송하기도 하였다.[1] 1941년에는 이시카와 다쓰조의 저서 '살아있는 병사'를 에스페란토로 번역하기도 했다.

2. 3. 해방 이후와 죽음 (1945-1947)

1945년 하얼빈을 거쳐 자무쓰 시로 이사했다.[8] 1946년 장녀 류샤오란(리우 샤오란, 하세가와 아키코)을 출산했다.[8] 1947년 1월 10일 셋째 아이를 낙태한 후 감염으로 사망했다.[8] 같은 해 4월 22일 남편 류런도 병사했다.[8] 하세가와와 류런은 자무쓰시 순교자 묘지에 안장되었으며, 묘비에는 "국제주의 전사 미도리카와 에이코와 류 인 동지 묘"라고 새겨져 있다.[8]

2. 4. 사후

하세가와와 류런 사이에는 장남 류싱과 장녀 류샤오란 두 자녀가 있었다. 이들은 중국 정부의 보호 아래 성장했다.[8] 류싱은 궁주링에 사는 류런의 동생 집에서, 류샤오란은 하얼빈의 고아원에서 자랐다.[8] 류싱은 베이징 대학을 졸업하고 베이징공업학원 물리학부 강사가 되었으나, 1996년 으로 사망했다.[8] 류샤오란은 탕산 철도학원을 졸업하고 철도성 베이징 27기공창 직공대학 수학 강사를 거쳐, 1993년 일본 국적을 취득하여 하세가와 아키코로 개명했다.[8][9]

1980년 하세가와의 생애를 다룬 중일 합작 드라마 '망향의 별'(텔레팩, TBS, 중화인민공화국 중앙방송사업국)이 제작되었다. 이 드라마에서는 구리하라 고마키가 하세가와를, 중국 배우 가오페이(高飛)가 류런을 연기했다.[8]

3. 사상

하세가와 데루는 일본의 파시즘을 증오했으며, 일본군 또한 파시즘의 희생자라고 생각했다.[3] 중국의 승리가 중국 민족뿐만 아니라 일본을 포함한 극동의 모든 피압박 민족의 해방을 의미한다고 믿었다.[1] 에스페란토를 국제적인 무기로, 에스페란티스트를 평화의 전위로 믿고, 에스페란토를 통한 반파시즘 국제 통일 전선을 추구했다.[1]

4. 저서


  • 《늦봄에서의 이별》(Adiaŭo en malfrua printempoeo)
  • 《일본 문학사 소사전》(Historieto de japana literaturoeo, 오사카, 1952년)
  • 《중국에서 싸우며》(En Ĉinio batalantaeo, 오사카, 1954년)
  • 《폭풍 속에서 흘러나오는 속삭임》(Flustr’ el uraganoeo, 중국, 1941년, 재판 Librejo Pirato, 오사카 1975년)
  • 《베르다 마요 전집》(Verkoj de Verda Majoeo, 베이징, 1982년)
  • 미야모토 마사오 편 『하세가와 테루 작품집』(1979년 출판, 에스페란토 저작의 일본어 번역 수록)

참조

[1] 웹사이트 Verda Majo – A Sincere Friend Dedicated to China http://www.china.org[...] 2005-11-18
[2] 웹사이트 Hasegawa Teru http://kotobank.jp/w[...] Kōdansha 2014-06-11
[3] 웹사이트 Hasegawa Teru Alias Verda Majo (1912-1947): A Japanese woman esperantist in the Chinese anti-Japanese war of resistance http://archiv.ub.uni[...] University of Heidelberg 2013
[4] 서적 宮本正男編『長谷川テル作品集』 1979
[5] 서적 龔佩康編、友常一雄日本語訳「みどりの五月:緑川英子記念」 中国旅遊出版社 1983
[6] 웹사이트 長谷川テル https://kotobank.jp/[...]
[7] 서적 高杉一郎「中国の緑の星 長谷川テル反戦の生涯」 1980-11
[8] 뉴스 エスペラントの長谷川テルさんの遺児 劉さん日本留学 「科学を学び日中友好」 朝日新聞 1985-01-21
[9] 서적 長谷川暁子「二つの祖国の狭間に生きる 長谷川テルの遺児暁子の半生」 (株)同時代社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