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치조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치조어는 쿠로시오 해류로 인해 본토와 교류가 적어 독자적인 특징을 갖게 된 일본어 방언으로, 고대 동부 일본어의 특징을 많이 보존하고 있다. 하치조섬과 하치조코지마, 아오가시마 등에서 사용되며, 섬 내에서도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표준어 교육과 텔레비전 보급으로 쇠퇴했지만, 유네스코의 소멸 위기 언어 지정 이후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즈 제도의 문화 - 구사야
    구사야는 이즈 제도에서 유래한 전통 식품으로, 생선을 절여 건조하는 과정에서 독특한 발효 과정을 거쳐 강한 냄새와 감칠맛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 아오가시마촌 - 아오가섬
    아오가섬은 제4기 화산섬으로, 일본 기상청은 C급 활화산으로 분류하며, 섬 북단부와 칼데라 내에 지열 증기 분기공이 있고, 주요 조류 지역으로 지정되어 헬리콥터와 연락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아오가시마촌 - 아오가시마촌립 아오가시마 소중학교
    아오가시마촌립 아오가시마 소중학교는 도쿄도 아오가시마 섬에 있는 초·중학교 통합 공립학교로, 자연 친화적 환경에서 자주적인 학습 능력, 사회성 함양, 향토 문화 이해, 건강한 심신 발달을 목표로 교육한다.
  • 일본어족 - 반도 일본어
    반도 일본어는 《삼국사기》 지명에 나타난 일본어족 유사 어휘를 지칭하며, 한반도 내 일본어족 근연 언어 사용 가설의 증거로 제시되지만, 어휘 차용 여부와 음운 재구 정확성 등 비판적 시각과 함께 다양한 학설 및 논쟁이 존재한다.
  • 일본어족 - 가야어
    가야어는 고대 가야 지역에서 사용된 언어로, 삼국지 동이전에 변한의 언어로 기록되었으며, 일본어족과의 연관성이 추정되지만, 자료 부족으로 정확한 계통과 특징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하치조어
개요
언어 이름하치조어 (섬 말)
로마자 표기Hachijo-go (Sima Kotoba)
사용 국가일본
사용 지역이즈 제도 남부 및 다이토 제도
사용자 수1,000명 미만 (2011년 기준)
소멸 위기소멸 위기
언어 분류
어족일본어족
어파일본어?
조상 언어원시 일본어
조상 언어 2고대 일본어?
조상 언어 3동부 고대 일본어
언어 코드
ISO 639-6hhjm
Glottologhach1239
Glottolog 명칭Hachijo
문자 체계
문자일본 문자 (가타카나, 히라가나, 로마자)
지도 정보
이즈 제도 지도
이즈 제도 위치

2. 역사적 배경

하치조어는 일본어족 내에서 독자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존 쿠프칙(John Kupchik)과 국립국어연구소(NINJAL) 등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원시 일본어족'''
  • * '''원시 일본어'''
  • **'''동부 고대 일본어'''

'''하치조어'''
* 오카고 & 미츠네 방언 (내리막 방언)
* 나카노고 & 카시타테 방언 (오르막 방언)
* 스에요시 방언
* 아오가시마 방언

  • **중앙 고대 일본어 (서부 고대 일본어 포함)

일본어

  • * 원시 류큐어
  • **류큐어


하치조어는 하치조 지청 내 여러 섬과 마을의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하치조지마에서는 오카고(大賀郷), 미츠네(三根), 나카노고(中之郷), 카시타테(樫立), 스에요시(末吉) 방언이 있으며, 과거 하치조코지마에는 우츠키(宇津木)와 토리우치(鳥打) 방언이 있었다. 아오가시마 마을의 방언은 별개 그룹을 형성한다.

  • 하치조섬 방언 그룹:
  • 오카고, 미츠네 방언: 매우 유사하며, 지리적 위치에 따라 '내리막 방언'(坂下|sakashita일본어)으로 불린다.
  • 나카노고, 카시타테 방언: 매우 유사하며, '오르막 방언'(坂上|sakaue일본어)으로 불린다.
  • 스에요시 방언: 지리적으로는 오르막 지역에 속하지만, 언어적으로는 다른 오르막 방언과 구별되어 종종 '오르막 방언' 분류에서 제외된다.
  • 하치조코지마 방언 (현재는 하치조섬에서 일부 사용):
  • 우츠키 방언: /s/와 /ɾ/ 음소 탈락과 같은 독특한 음운 변화를 겪었다. 이 특징 때문에 다른 마을 사람들에게 '시타기레차차'(sitagirecjaQcja, "혀 잘린 말씨"라는 의미)라고 불리기도 했다. 우츠키에서는 '시타기제'(citagije)라고 불렸다.
  • 토리우치 방언: 음운론적으로 오카고 방언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오가시마 방언:
  • 다른 방언들과 문법 및 어휘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1969년 하치조코지마가 무인도가 되면서 우츠키와 토리우치 방언 화자 일부가 하치조섬으로 이주했으나, 이들의 언어는 점차 하치조섬의 내리막 방언과 융합되는 경향을 보였다. 각 방언의 정확한 화자 수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2009년 기준으로 토리우치 방언은 적어도 한 명, 우츠키 방언은 적어도 다섯 명의 화자가 남아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3] 또한 오키나와현다이토 제도에는 하치조섬 출신 개척민들이 정착하면서 형성된 다이토 제도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2. 1. 고대

하치조섬과 북부 이즈 제도 사이에는 쿠로시오 해류가 흘러 예로부터 해상 교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 때문에 일본 본토와의 교류가 적었고, 본토의 다른 방언들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하치조어에는 만엽집에 기록된 상대 동국 방언의 특징이 많이 남아 있으며, 고대 일본어의 부정형 '~ず'의 더 오래된 형태인 'にす'에서 유래한 부정 표현이나 동사의 연용형을 문장 끝에 사용하는 용법 등 상대(上代) 이전 시기의 문법적 요소도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2. 2. 중세-근대

하치조섬과 북부 이즈 제도 사이에는 쿠로시오 해류가 흘러 예로부터 해상 교통에 어려움이 있었다.[1][2] 이로 인해 본토와의 교류가 제한되었고, 결과적으로 본토의 다른 방언들과는 눈에 띄는 차이를 보이는 독자적인 언어 특징이 발달하고 유지되었다.[1][2]

하치조어는 만엽집에 기록된 상대 동국 방언의 특징을 상당 부분 간직하고 있다.[1][2] 또한, 현대 일본어의 부정형 ~ない|나이일본어에 해당하는 고어 ~ず|즈일본어의 더 오래된 형태인 にす|니스일본어에서 유래한 부정 표현이나, 동사의 연용형을 문장 끝에 사용하는 용법 등 상대 이전 시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고대 문법 요소들도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2]

2. 3. 현대

태평양 전쟁 이후, 섬 주민들이 섬 밖으로 나가 취업할 때 겪는 어려움을 줄인다는 이유로 표준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또한 텔레비전 보급이 확대되면서 표준어 및 수도권 방언의 영향력이 커져, 하치조어는 점차 쇠퇴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네스코가 하치조어를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로 지정하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현재는 하치조어를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덧붙여 오키나와현 다이토 제도에는 하치조도에서 이주한 개척민들에 의해 하치조어에 속하는 방언(다이토 제도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3. 음운

하치조어의 억양은 무억양이며, 모음의 융합이 두드러진다.

특기할 만한 특징으로 어두의 [p]음의 존재를 들 수 있다[7][8][9]

방언학자 시바타 다케시는 『방언론』에서 하치조 방언에 대해 "음성 인상으로 보건대 어딘가, 오키나와의 슈리 방언을 연상시키는 점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3. 1. 모음

하치조어의 모든 방언에는 다섯 개의 단모음 /i/, /u/, /e/, /o/, /a/가 존재한다.[1]

하치조어의 단모음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폐모음/i//u/
중모음/e//o/
개모음/a/



하치조어의 장모음 중 다수는 실제로는 이중 모음이다. 대부분의 모음은 지역 방언에 따라 음질이 다르며, 어떤 방언에서는 긴 단모음이지만 다른 방언에서는 이중 모음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문서에서는 "장모음"이라는 용어를 이중 모음까지 포함하여 사용한다. 방언 간 장모음 대응은 비교적 규칙적이다.[2][3]

장모음 대응
이 문서iiuuaaeeeiooou
카시타테/iː//uː//aː//ia~jaː//iː~ɪː~e̝ː//oɐ//ʊː~oː//ai//ui//oi/
나카노고/iː//uː//aː//ea~jaː//ɪː~e̝ː~eː//oɐ//ʊː~oː//ai//ui//oi/
스에요시/iː//uː//aː//eː//iː//aː//oː//ai//ui//oi/
미츠네/iː//uː//aː//eː~ei//ei//oː~ou//ou//ai//ui//oi/
오카고/iː//uː//aː//eː//eː//oː//oː//ai//ui//oi/
토리우치/iː//uː//aː//eː//eː//oː//oː//ai//ui//oi/
우츠키/iː//uː//aː//eː//ɐi//oː//ɐu//ɐi//ui//oi/
아오가시마/iː//uː//aː//eː//ei~eː//oː//ɔu//ai//ui//oi/
미나미 다이토[4]/iː//uː//aː//eː//(eː?)//(oː?)//oː//ai//ui//oi/



장모음 ''aĭ'', ''uĭ'', ''oĭ''는 비교적 드물며 주로 축약 과정에서 나타난다.

소수이지만 비모음을 포함하는 담화 표지도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 이런!"을 뜻하는 ''oĩ''나 "어?" 또는 "아!"를 뜻하는 ''hõõ''가 있다.

하치조어는 일반적으로 위에 나열된 장모음을 제외하고는 모음이 연속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단어 합성, 접사 부착, 자음 탈락 등으로 모음 연쇄가 발생할 경우, 보통 모음 축약이 일어난다. 두 모음 조합의 일반적인 축약 결과는 다음과 같다.

-e-i-o-u-wa
a-eeooeeooawa, oo
e-eieieieiewa, ja
i-jeiijojuiwa, ja
o-eieiououowa, oo
u-iiiiuuuuuwa, uu



주목할 만한 불규칙성 또는 예외는 다음과 같다.


  • ''a-wo'' → ''ou'': 어간이 ''...aw-''로 끝나는 1.1A' 동사 활용에서 나타난다. 예: ''utaw-'' "노래하다" → 속성형 ''utaw-o'' → ''utou''.
  • ''e-wa'' → ''a'': 일부 방언에서 주제 표지 ''-wa''가 붙은 인칭 대명사에서 나타난다 (''ware-wa'' → ''wara'').
  • ''o-wa'' → ''a'': 상태 동사 ''-ar-'' (''-arowa'' → ''-ara''), 연결사 ''dara'' (''darowa'' → ''dara''), 신형 부정 ''-Nn(ak)-'' (''-Nnakowa'' → ''-Nnaka'') 등의 동사 활용에서 나타난다.


그리고 이러한 규칙은 일반적으로 어원적으로도 따르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 ''uwa'' → ''a'': ''kuwa'' → ''ka'' "괭이"와 같은 단어에서 볼 수 있다(표준 일본어 鍬 ''kuwa''와 관련됨).
  • ''ie'' → ''ei'': ''kierowa'' → ''keirowa'' "사라지다"와 같은 여러 2류 동사에서 볼 수 있다(고대 일본어 消ゆ ''ki₁yu'', ''ki₁ye-''와 관련됨).
  • ''ue'' → ''ei'': ''suerowa'' → ''seirowa'' "설치하다"와 같은 단어에서 볼 수 있다(표준 일본어 据える ''sueru''와 관련됨).
  • ''ui'' → ''ei'': ''uttui'' → ''uQcei'' "그저께"와 같은 단어에서 볼 수 있다(표준 일본어 一昨日 ''ototoi''와 관련됨).
  • ''ei'' → ''ee'': 단일 단어에서 볼 수 있다: ''tame(s)ite'' → ''tameete'' "시도하는 중"(''tamesowa'' "시도하다"의 분사 형태, 일본어 試す ''tamesu''와 관련됨).[6]
  • ''owa'' → ''ou'': 단일 단어에서 볼 수 있다: ''kowasowa'' → ''kousowa'' "파괴하다"(일본어 壊す ''kowasu''와 관련됨).


모음 축약은 형태적 평준화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다른 방언이나 본토 일본어의 영향으로 인해 역전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억양은 무억양이며, 모음의 융합이 현저하다.

특기할 만한 특징으로 어두의 [p]음의 존재를 들 수 있다[7][8][9].

방언학자 시바타 다케시는 『방언론』에서 하치조 방언에 대해 "음성 인상으로 보건대 어딘가, 오키나와의 슈리 방언을 연상시키는 점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3. 2. 자음

하치조어는 표준 일본어와 거의 동일한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자음은 모든 모음뿐만 아니라 매개 활음 /j/ 뒤에 올 수 있다.

하치조어의 자음 음소
colspan="2" |양순음치경음연구개음후두음
비음mn
파열음 /
파찰음
무성음ptt͡s (c)k
유성음bdd͡z (z)g
마찰음sh
탄음ɾ (r)
접근음wj
특수 음절/N/, /Q/



고모음 /u/ 또는 /i/ (단모음 또는 장모음) 뒤에 위치할 경우, 파열 자음 /t/와 /d/는 치찰 파찰음이 되어 각각 /t͡s/ ('c')와 /d͡z/ ('z')로 합쳐지며, 이는 표기법에도 반영된다. 이러한 변화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설단 자음의 구개음화와 함께 일어난다.

모음 /i/ (단모음 또는 장모음) 뒤에 오거나, 중설 활음 /j/와 결합될 때, 치경 비음 'n' 뿐만 아니라 모든 치경 파열음, 즉 't', 'd', 'c', 'z', 's'는 치경음에서 구개음으로 발음 위치가 바뀐다. 이러한 변화는 앞서 언급된 't'와 'd'의 파찰음화 외에도 발생한다. 따라서 't-j'와 'c-j'는 'cj' /t͡ɕ/가 되고, 'd-j'와 'z-j'는 'zj' /d͡ʑ/가 되며, 's-j'는 'sj' /ɕ/, 'n-j'는 'nj' /ɲ/가 된다.

자음 /j/는 이미 구개음이기 때문에, /jj/와 같은 연쇄는 간단히 /j/로 축약된다.

마지막으로, 치경 파찰음 'c'와 'z'는 불규칙적으로 'cj'와 'zj'로 구개음화되는 경향이 있다. 우츠키의 ''mizoma'' /mʲid͡zoma/와 카시타테의 ''mizjoma'' /mʲid͡ʑoma/ "하수구, 배수 시설"을 비교해 볼 수 있다. 이는 일본어 溝 ''mizo'' "도랑"과 동계어이다.

대부분의 자음은 중복되어도(즉, /Q/ 뒤에 올 때) 특별한 변화 없이 단지 더 길어질 뿐이다. 예를 들어 /t/ → /tt/ ('Qt')와 같다. 그러나 몇 가지 주요 예외가 있으며, 이는 주로 /Q/-로 끝나는 접미사가 단어에 붙을 때 발생한다.


  • '''h의 중복''': 'h'가 중복되면 /pp/ ('Qp')가 된다. 예를 들어, ''oQ-'' (강조 접두사) + ''hesowa'' "밀다" → ''oQpesowa'' "밀다."
  • '''n과 m의 중복''': 'n' 또는 'm'이 중복되면 각각 /nn/ ('Nn') 또는 /mm/ ('Nm')이 된다. 예를 들어, ''hiQ-'' (강조 접두사) + ''magarowa'' "구부리다" → ''hiNmagarowa'' "구부리다."
  • '''s의 중복''': 's' 또는 'sj'가 중복되면 부가음 /t/가 발생하여 각각 /tt͡s/ ('Qc') 또는 /tt͡ɕ/ ('Qcj')가 된다. 예를 들어, ''hiQ-'' (강조 접두사) + ''simerowa'' "묶다" → ''hiQcimerowa'' "묶다." 이 특징은 스에요시(Sueyoshi) 방언을 제외한 모든 방언에서 나타나는데, 스에요시 방언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ss/ ('Qs')와 /ɕɕ/ ('Qsj')를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Uphill 방언(그리고 때때로 다른 방언 사용자에게서도)에서는 /N/이 유성 파열음 앞에 올 때 /Q/로 바뀌는 음운 변화가 발생했다.

  • '''b, d, g, z의 특별한 중복''': Uphill 방언에서, 어원적으로 /Nb/, /Nd/, /Ng/, 및 /Nz/는 종종 중복된 /bb/ ('Qb'), /dd/ ('Qd'), /gg/ ('Qg'), 및 /zz/ ('Qz')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카시타테(Kashitate) 방언에서 "읽다"의 분사형은 대부분의 다른 방언의 ''joNde'' /jonde/와 대조적으로 ''joQde'' /jodde/이다.


하치조어는 다른 모든 일본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첫머리에 있는 무성 파열음이 일부 합성어에서 유성음으로 바뀌는 현상인 ''연탁''(連濁, "순차적 유성화")을 보인다. 하치조어에서 이 변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연탁 없이phtcsk
연탁과 함께bdzg



다른 모든 자음은 연탁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억양은 무억양이며, 모음의 융합이 두드러진다.

특기할 만한 특징으로 어두의 [p]음의 존재를 들 수 있다[7][8][9]

방언학자 시바타 다케시는 『방언론』에서 하치조 방언에 대해 "음성 인상으로 보건대 어딘가, 오키나와의 슈리 방언을 연상시키는 점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3. 3. 음소 배열

하치조어의 음절은 표준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C)(j)V(C)''' 형태를 띤다. 즉, 선택적인 음절 초 자음(C), 선택적인 중간 활음 /j/, 필수적인 음절 핵 모음(V), 선택적인 종성 /N/ 또는 /Q/로 구성된다. 종성 /Q/는 단어 중간에만 나타날 수 있으며, 음절 핵은 단모음 또는 장모음일 수 있다.

중간 활음 /j/는 뒤따르는 자음의 구개음화를 나타내며, 이는 특정 자음의 조음 위치 또는 조음 방법의 변화를 수반한다.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변화는 구개음화된 자음과 구개음화되지 않은 자음의 별도 세트를 사용하여 음소론적으로 분석할 수도 있다.[1] 그러나 형태론적 및 방언 간의 관점에서 볼 때, 구개음화된 자음을 자음과 /j/의 연속으로 취급하는 것이 더 간단하다. 이는 본 문서에서 Kaneda (2001)의 음소론적 분석을 따라 수행한다.[2] 또한, 모음이 전설 비원순 고모음 /i/로 시작하는 경우, 앞선 자음(존재하는 경우)은 중간 /j/가 존재하는 것처럼 구개음화된다.

하치조어는 음절 중량에 따라 세 가지 유형을 대조한다.

  • '''경음절'''은 종성이 없는 단모음으로 끝난다(예: ''ko'').
  • '''중음절'''은 종성이 있는 단모음(예: ''koN'') 또는 종성이 없는 장모음(예: ''koo'')을 갖는다.
  • '''중중음절'''은 장모음과 종성을 모두 갖는다(예: ''kooN'').


경음절 및 중음절과 달리, 하치조어에서는 중중음절의 사용을 피하며, 대부분의 동사 굴절에서 완전히 금지된다. 중중음절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종성을 삭제하거나 장모음을 단축하여 해결한다. 후자의 경우, 타이 또는 단모음으로 표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kogo͡oN⟩ 또는 ⟨kogoN⟩ "이런 식으로"; 여기에서는 전자의 표기법을 따른다. 이러한 단축된 모음은 단모음과 동일한 길이로 발음되지만, 여전히 장모음에 대한 방언 대응 규칙을 따른다.

마지막으로, ''N''이 모음 대신 음절 자음으로 사용되는 소수의 단어가 있다. 예를 들어, ''NNmakja'' "맛있는" /m̩ː.ma.kʲa/ (어간 ''NNma-'', 일본어 美味い|우마이일본어 ''uma-i''와 동족어).

하치조어는 일반적으로 위에 나열된 장모음을 제외하고 모음 연쇄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모음 연쇄가 나타날 경우(합성, 접사 부착, 자음 탈락 등), 일반적으로 모음 축약이 발생한다. 두 모음의 조합에 대한 일반적인 개요는 다음과 같다.

-e-i-o-u-wa
a-eeooeeooawa, oo
e-eieieieiewa, ja
i-jeiijojuiwa, ja
o-eieiououowa, oo
u-iiiiuuuuuwa, uu



'''참고:'''


  • ''e-e''와 ''o-o''의 조합은 ''ee''와 ''oo''가 아닌 ''ei''와 ''ou''를 생성한다.
  • 아오가시마 방언과 스에요시 방언에서, 현재의 ''i-o'' 조합은 이제 ''ii''를 생성한다. 그러나 어원적인 *io는 낡은 일본어 潮 ''sipo'' ← ''sjo'' "조류"와 같이 규칙적으로 ''jo''를 생성했다.
  • 의미 표지 입자 ''wa''와 모음의 동시적 조합은 일반적으로 형태소 경계에 의해 차단된다.


주목할 만한 불규칙성 또는 예외는 다음과 같다.

  • ''a-wo'' → ''ou'', 줄기 ''...aw-''로 끝나는 1.1A' 동사 활용에서 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taw-'' "노래하다" → 속성 *''utaw-o'' → ''utou''.
  • ''e-wa'' → ''a'', 일부 방언에서 주제 표지 ''-wa''가 있는 인칭 대명사에서 볼 수 있다 (''ware-wa'' → ''wara'').
  • ''o-wa'' → ''a'', 상태 동사 ''-ar-'' (*''-arowa'' → ''-ara''), 연결사 ''dara'' (*''darowa'' → ''dara''), 신형 부정 ''-Nn(ak)-'' (*''-Nnakowa'' → ''-Nnaka'') 등의 동사 활용에서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규칙은 일반적으로 어원적으로도 적용되지만, 몇 가지 예외가 있다.

  • *''uwa'' → ''a'', *''kuwa'' → ''ka'' "괭이"와 같은 단어에서 볼 수 있다(표준 일본어 鍬 ''kuwa''와 관련됨).
  • *''ie'' → ''ei'', *''kierowa'' → ''keirowa'' "사라지다"와 같은 여러 2류 동사에서 볼 수 있다(낡은 일본어 消ゆ ''ki₁yu'', ''ki₁ye-''와 관련됨).
  • *''ue'' → ''ei'', *''suerowa'' → ''seirowa'' "설치하다"와 같은 단어에서 볼 수 있다(표준 일본어 据える ''sueru''와 관련됨).
  • *''ui'' → ''ei'', *''uttui'' → ''uQcei'' "그저께"와 같은 단어에서 볼 수 있다(표준 일본어 一昨日 ''ototoi''와 관련됨).
  • *''ei'' → ''ee'', 단일 단어에서 볼 수 있다: *''tame(s)ite'' → ''tameete'' "시도하는 중"(''tamesowa'' "시도하다"의 분사 형태, 일본어 試す ''tamesu''와 관련됨).[3]
  • *''owa'' → ''ou'', 단일 단어에서 볼 수 있다: *''kowasowa'' → ''kousowa'' "파괴하다"(일본어 壊す ''kowasu''와 관련됨).


모음 축약은 형태적 평준화에 의해 차단될 수 있으며, 다른 방언이나 본토 일본어의 영향으로 인해 역전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대부분의 자음은 중복되어도 특별한 변화 없이 단지 더 길어질 뿐이다. 예를 들어 ''t'' /t/ → ''Qt'' /tt/와 같다. 그러나 몇 가지 주요 예외가 있다. 이 첫 번째 예외는 일반적으로 /Q/-종결 접미사가 단어에 접두사로 붙으면서 발생한다.

  • '''h의 중복:''' ''h''가 중복되면 ''Qp'' /pp/가 된다. 예를 들어, ''oQ-'' (강조어) + ''hesowa'' "밀다" → ''oQpesowa'' "밀다."[4]
  • '''n과 m의 중복:''' ''n'' 또는 ''m''이 중복되면 각각 ''Nn'' /nn/ 또는 ''Nm'' /mm/이 된다. 예를 들어, ''hiQ-'' (강조어) + ''magarowa'' "구부리다" → ''hiNmagarowa'' "구부리다."
  • '''s의 중복:''' ''s'' 또는 ''sj''가 중복되면 부가음 /t/가 발생하여 각각 ''Qc'' /tt͡s/ 또는 ''Qcj'' /tt͡ɕ/가 된다. 예를 들어, ''hiQ-'' (강조어) + ''simerowa'' "묶다" → ''hiQcimerowa'' "묶다." 이 특징은 Sueyoshi를 제외한 모든 방언에서 나타나는데, Sueyoshi에서는 이러한 경우에 ''Qs'' /ss/와 ''Qsj'' /ɕɕ/를 사용한다.[5]


마지막으로, Uphill 방언에서는 (그리고 때때로 다른 방언 사용자에게서도) /N/이 유성 파열음 앞에 올 때 /Q/로 바뀌는 음운 변화가 발생했다.

  • '''b, d, g, z의 특별한 중복:''' Uphill 방언에서, 어원적인 ''Nb, Nd, Ng, Nz''가 종종 중복음 ''Qb, Qd, Qg, Qz''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Kashitate 방언에서 "읽다"의 분사는 대부분의 다른 방언의 ''joNde'' /jonde/와 대조적으로 ''joQde'' /jodde/이다.


억양은 무억양이다. 모음의 융합이 현저하다.

특기할 만한 특징으로 어두의 [p]음의 존재를 들 수 있다[7][8][9]

방언학자 시바타 다케시는 『방언론』에서 하치조 방언에 대해 "음성 인상으로 보건대 어딘가, 오키나와의 슈리 방언을 연상시키는 점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4. 문법

하치조어의 문법은 고대 동부 고대 일본어의 특징을 다수 보존하고 있어 현대 표준 일본어와는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특히 동사 및 형용사의 활용 형태, 생명성 구분 없는 존재 동사의 사용, 조사 체계, 그리고 고대 일본어 문법 현상인 가카리무스비의 잔존 등에서 고유한 특징이 나타난다.[13][14] 또한 표준 일본어에는 없는 독자적인 문법 변화도 확인된다. 자세한 문법적 특징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4. 1. 주요 특징

하치조어는 머리-종결 언어이며, 좌측 분기 언어이고, 주어 중심 언어이다. 기본적인 주어-목적어-동사(SOV) 어순을 따르며, 문맥상 이해할 수 있는 명사는 생략하는 경우가 많다. 명사는 문법적 성이나 문법적 수를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다.

하치조어는 고대 일본어, 특히 동부 고대 일본어(EOJ)에서 유래한 여러 문법적 특징을 보존하고 있는데, 이는 현대 표준 일본어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점들이다. 본토 방언에서 거의 사라진 동사형용사의 종지형과 연체형의 구별이 대표적이다. 특히 연체형은 만요슈에 기록된 것처럼 '行こ時'(가코토키, 갈 때), '高け山'(타케야마, 높은 산)와 같이 사용된다. 동사의 종지형은 '書く'(카쿠)처럼 우단(ウ단)으로 끝나고, 연체형은 '書こ'(카코)처럼 오단(オ단)으로 끝난다. 다만 단정적으로 말할 때는 '書く' 형태보다는 '書こわ'(카코와) 형태가 자주 쓰인다.[13][10] 형용사의 경우, 종지형은 'たかきゃ'(타카캬)처럼 '-캬'로 끝나고, 연체형은 'たかけ'(타카케)처럼 '-け'로 끝난다.[14][11] 이는 서부 고대 일본어의 형용사 속성 어미 '-ki₁'나 현대 일본어의 '-い'(-i)와 구별되는 특징이다. 동사의 속성 어미 역시 EOJ에서 유래한 '-o ~ -ro'를 사용하여, 서부 고대 일본어 및 현대 일본어의 '-u ~ -ru'와 차이를 보인다.

또한, 존재 동사 'ある'(아루) 또는 'arowa'는 생물과 무생물 구분 없이 모든 대상에 사용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표준 일본어가 'いる'(이루, 생물)와 'ある'(아루, 무생물)를 구분하는 것과 다르다. 관련하여, 동사 'irowa'(이로와, 일본어 'iru'와 동계어)는 "앉다"라는 원래 의미로만 사용된다.

그 외에도 고대 일본어의 특징을 다수 간직하고 있다:

  • 동사의 상태를 나타내는 파생 형태 '-ar-'을 사용한다 (서부 고대 일본어의 '-e₁r-'과 비교됨).
  • 고대 일본어의 '-si' ('-ki₁'의 속성 형태)에서 유래한 과거 시제 '-ci ~ -zi'를 사용한다. 이 형태는 현대 일본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 EOJ의 '-nam-'에서 파생된 추측 표현 확장 '-naw-'를 사용한다 (서부 고대 일본어 '-ram-', 현대 일본어 '-rō'와 비교됨). 추측을 나타낼 때는 '書くのーわ'(카쿠노-와)처럼 'のー'(노-) 등을 사용하며, 지역에 따라 'のー', 'のう'(노우), 'ぬー'(누-), 'なう'(나우)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상대 도고쿠 방언에서 추측을 나타내던 'なむ・なも'(나무·나모)의 흔적으로 여겨진다.[13][10]
  • 조사 'が'(ga)와 'の'(no)가 모두 주격과 소유격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많은 의문사 조사가 'an-'을 기반으로 한다 (예: 'ani' "무엇", 'aNde' "왜"). 이는 'nan-' 기반인 일본어 의문사('nani' "무엇", 'nande' "왜")와 대조된다.
  • 일본어 문법 현상인 가카리무스비('카카리무스비', 걸림맺음)가 의문 조사 'ka'와 강조 조사 'ka', 'koo' 등과 함께 여전히 나타난다. 이 현상은 중세 후기 일본어 시기에 사라지기 시작하여 에도 시대 무렵 표준 일본어에서는 완전히 없어졌다.
  • 고대 일본어의 모음 *e와 *o가 EOJ에서처럼 하치조어의 'e'와 'o'로 반영된 사례가 많다. 이는 해당 모음들을 'i₁'와 'u'로 합친 서부 고대 일본어와 비교된다.


동시에 하치조어는 현대 표준 일본어에서는 볼 수 없는 독자적인 발전과 변화도 겪었다.

  • 동사의 부정은 연용형에 'んなか'(은나카)를 붙여 표현한다. 예를 들어 '書かない'(카카나이, 쓰지 않아)는 'かきんなか'(카킨나카)가 된다.[14][11]
  • 과거 표현으로는 'かから'(카카라, 썼다), 'たかからら'(타카카라라, 높았다), '静かだらら'(시즈카다라라, 조용했다)와 같은 형태가 사용되는데, 이는 고어에서 완료를 나타내던 조사 'り'(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13][10] 상대 동국 방언에서는 아단(a단)에 'り'가 붙었으나, 하치조 방언에서는 아단에 'ら'(라)가 붙는 형태로 변화했다.
  • 동사의 종지형 어미 '-u ~ -ru'는 많은 경우 새로운 선언적 어미 '-owa ~ -rowa'로 대체되었다.
  • 'k' 및 'g'로 끝나는 어간을 가진 동사의 분사(-te 형)는 '-Qte' 및 '-Nde'로 끝난다. 이는 대부분의 일본어 방언에서 '-ite' 및 '-ide'로 나타나는 것과 대조적이다.
  • 몇몇 동사 접사는 희망형과 유사한 접미사 '-oosi'를 중심으로 발달했는데, 이는 중세 일본어의 희망형 어미 '-(a)maosi'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하치조어가 상대 도고쿠 방언의 특징을 이어받았음을 보여준다.

5. 어휘

하치조어는 일본어 본토의 다른 지역에서는 사라진 고어(古語)들을 보존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절하다'(気絶する)라는 뜻의 '마구레루'(まぐれる) 등이 있다. 몇몇 어휘는 일본어와 발음은 같으나 뜻이 다른 경우도 있다.[15] 하치조어 어휘는 크게 고어의 보존, 표준 일본어와의 의미 차이, 그리고 일본어와의 관련성이 불분명한 독자적인 어휘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5. 1. 고어의 보존

하치조섬과 북부 열도 사이에는 쿠로시오 해류가 흘러 오래전부터 해양 교통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에, 일본 본토와의 교류가 적었다. 이로 인해 본토의 다른 방언과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난다. 만요슈에 기록된 상대 동국 방언의 특징이 많이 남아 있으며, '~ず'의 고어 형태인 'にす'에서 유래한 부정형이나 연용형 종지 용법 등 상대 시대 이전의 문법 요소도 보존되어 있다.

하치조어에는 일본어 동족어와 비교했을 때 음성 형태를 예측하기 어려운 어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하치조어가 (서부-중앙 고대 일본어의 조상인 본토 일본어가 아닌) 동부 고대 일본어에서 유래했거나, 양쪽 언어에서 불규칙한 음운 변화가 일어났음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하치조어동부 고대 일본어동족어
nubur- "오르다"上る nobor- (현대 일본어)
no2bor- (고대 서부 일본어)
nubuyuɴ (오키나와어)
horow- "줍다"pirop-拾う hirow- (현대 일본어)
拾ふ firof- (초기 중세 일본어)
pi1rip- (고대 서부 일본어)
firiɴ ~ firiyuɴ (오키나와어)
pʰurūruɴ (나키진 쿠니가미어)
houm- "입에 물다"popom-含む fukum- "포함하다" (현대 일본어)
pupum- (고대 서부 일본어)
nogow- "닦다"nogop-拭う nuguw- (현대 일본어)
拭ふ nogof- (초기 중세 일본어)
nuguyuɴ (오키나와어)
ote- "떨어지다"落ちる ochi- (현대 일본어)
oti- (고대 서부 일본어)
*ote- (원시 류큐어)
ʔutiyuɴ (오키나와어)
ore- "내려가다, 내리다"降りる ori- (현대 일본어)
ori- (고대 서부 일본어)
*ore- (원시 류큐어)
ʔuriyuɴ (오키나와어)
memezume "지렁이"蚯蚓 mimizu (현대 일본어)
mimidu (초기 중세 일본어)
*memezu (원시 류큐어)
mimiji (오키나와어)
asub- "놀다"遊ぶ asob- (현대 일본어)
aso1b- (고대 서부 일본어)
*asub- (원시 류큐어)
asibuɴ ~ ashibuɴ (오키나와어)
igok- "일하다"動く ugok- "움직이다" (현대 일본어)
ugo1k- (고대 서부 일본어)
*igok- (원시 류큐어)
ʔɴjuchuɴ, ʔɴjuk- (오키나와어)
kasjag- "기울다, 비스듬하다"傾ぐ kashig- (현대 일본어)
kashig-, katag- (초기 근대 일본어)
kasik- "찌거나 삶아서 요리하다"炊ぐ kashig- (현대 일본어)
kasik- (초기 중세 일본어)
kashichii "오코와" (오키나와어)
katog- "지탱하다"担ぐ katsug- (현대 일본어)
katug- (초기 근대 일본어)
jo "물고기"uo (현대 일본어)
uwo ~ iwo (초기 중세 일본어)
*iyo (원시 류큐어)
ʔiyu (오키나와어)
ɿɿu (미야코어)
hito, tecu ~ teQcu "하나, 한 개"hito, 一つ hitotsu (현대 일본어)
pi1to2, pi1to2tu (고대 서부 일본어)
*pito, *pitetu (원시 류큐어)
chu, tiitsi (오키나와어)
pɿtu, pɿtiitsɿ (미야코어)



또한 하치조어는 대부분의 일본어 방언에서는 더 이상 쓰이지 않는 오래된 어휘를 보존하고 있다.

하치조어동족어
magure- "기절하다"眩る magure- "어지럽다" (후기 중세 일본어)
heirak- "아프다, 쏘다"疼らく fifirak- "따끔거리다, 쏘다" (초기 중세 일본어)
hotour- "뜨겁다"熱る fotofor- ~ fotobor- "열을 내다" (초기 중세 일본어)
sjo-ke "알려진"著き siru-ki1 ~ (iti)siro1-ki1 "알려진, 명백한" (고대 서부 일본어)
nabure- "숨다"隠る nabar- ~ namar- "숨다" (초기 중세 일본어)
njow- "신음하다"呻吟ふ niyof- ~ niyob- "신음하다" (초기 중세 일본어)
kour- "사랑하다"恋ふ kofi- (초기 중세 일본어)
ko1pi2- (고대 서부 일본어)



표준 일본어에도 존재하지만 의미가 달라진 단어들도 있다.

하치조어일본어 동족어
jama "밭"yama "산"
gomi "장작"ゴミ gomi "쓰레기"
oyako "친척, 혈족"親子 oyako "부모와 자식"
kowakja "피곤한, 지친"怖い kowai "무서운"
nikukja "못생긴"憎い nikui "밉다, 어렵다"
kamowa "먹다"噛む kamu "씹다, 물다"
izimerowa "꾸짖다"苛める ijimeru "놀리다, 괴롭히다"
heirowa "외치다, 소리치다"吠える hoeru "(개의) 짖다, 울부짖다"
jadorowa "자다 (존칭)"宿る yadoru "하룻밤을 묵다"
marubowa "죽다"転ぶ marobu "넘어지다, 쓰러지다"



마지막으로, 일본어와의 관련성이 불분명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하치조어 고유의 어휘도 존재한다.

하치조어의미
togirowa초대하다, 부르다
kasurowa잊다
deecikja예쁜, 깨끗한, 깔끔한
kucukawasime매미
keebjoome도마뱀
hjoura점심, 정오 식사
cube지붕
zokume황소
abi딸기, 라즈베리



이 외에도 이른 아침을 뜻하는 '츠토메테(つとめて)'에서 유래한 '톤메테(トンメテ)', 머리를 뜻하는 '츠부리(つぶり)' 등 고어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이바라키 방언 등과 같이 동물 이름 뒤에 '~메(め)'를 붙이는 경우가 있는데(예: 이누메(犬め), 키츠네메(狐め)), 하치조 방언에서는 이바라키 방언보다 '~메'의 사용 범위가 더 넓다.

5. 2. 독자적인 어휘

하치조 방언에는 일본어 본토의 다른 지역에서는 사라진 고어(古語)들이 보존되어 있다. 예를 들어 '기절하다'라는 뜻의 '마구레루'(まぐれる) 등이 있다. 일부 어휘는 표준 일본어와 발음은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도 있다.[15]

하치조어에는 표준 일본어 동족어(同族語)로부터 음운 형태를 예측하기 어려운 독자적인 어휘가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차이는 하치조어가 동부 고대 일본어(본토 일본어의 조상인 서부-중앙 고대 일본어와 구별됨)에서 유래했거나, 하치조어 또는 일본어 본토 방언(혹은 둘 다)에서 불규칙적인 음운 변화를 겪었음을 보여준다.

하치조어동부 고대 일본어동족어
nubur- "오르다"上る nobor- (현대 일본어)
no2bor- (서부 고대 일본어)
nubuyuɴ (오키나와어)
horow- "줍다"pirop-拾う hirow- (현대 일본어)
拾ふ firof- (초기 중세 일본어)
pi1rip- (서부 고대 일본어)
firiɴ ~ firiyuɴ (오키나와어)
pʰurūruɴ (쿠니가미어)
houm- "입에 물다"popom-含む fukum- "포함하다" (현대 일본어)
pupum- (서부 고대 일본어)
nogow- "닦다"nogop-拭う nuguw- (현대 일본어)
拭ふ nogof- (초기 중세 일본어)
nuguyuɴ (오키나와어)
ote- "떨어지다"落ちる ochi- (현대 일본어)
oti- (서부 고대 일본어)
*ote- (원시 류큐어)
ʔutiyuɴ (오키나와어)
ore- "내려가다, 내리다"降りる ori- (현대 일본어)
ori- (서부 고대 일본어)
*ore- (원시 류큐어)
ʔuriyuɴ (오키나와어)
memezume "지렁이"蚯蚓 mimizu (현대 일본어)
mimidu (초기 중세 일본어)
*memezu (원시 류큐어)
mimiji (오키나와어)
asub- "놀다"遊ぶ asob- (현대 일본어)
aso1b- (서부 고대 일본어)
*asub- (원시 류큐어)
asibuɴ ~ ashibuɴ (오키나와어)
igok- "일하다"動く ugok- "움직이다" (현대 일본어)
ugo1k- (서부 고대 일본어)
*igok- (원시 류큐어)
ʔɴjuchuɴ, ʔɴjuk- (오키나와어)
kasjag- "기울다, 비스듬하다"傾ぐ kashig- (현대 일본어)
kashig-, katag- (초기 근대 일본어)
kasik- "찌거나 삶아서 요리하다"炊ぐ kashig- (현대 일본어)
kasik- (초기 중세 일본어)
kashichii "오코와" (오키나와어)
katog- "지탱하다"担ぐ katsug- (현대 일본어)
katug- (초기 근대 일본어)
jo "물고기"uo (현대 일본어)
uwo ~ iwo (초기 중세 일본어)
*iyo (원시 류큐어)
ʔiyu (오키나와어)
ɿɿu (미야코어)
hito, tecu ~ teQcu "하나, 한 개"hito, 一つ hitotsu (현대 일본어)
pi1to2, pi1to2tu (서부 고대 일본어)
*pito, *pitetu (원시 류큐어)
chu, tiitsi (오키나와어)
pɿtu, pɿtiitsɿ (미야코어)



또한 하치조어는 대부분의 현대 일본어 방언에서는 더 이상 쓰이지 않게 된 고어 어휘들을 보존하고 있다.

하치조어동족어
magure- "기절하다"眩る magure- "어지럽다" (후기 중세 일본어)
heirak- "아프다, 쏘다"疼らく fifirak- "따끔거리다, 쏘다" (초기 중세 일본어)
hotour- "뜨겁다"熱る fotofor- ~ fotobor- "열을 내다" (초기 중세 일본어)
sjo-ke "알려진"著き siru-ki1 ~ (iti)siro1-ki1 "알려진, 명백한" (서부 고대 일본어)
nabure- "숨다"隠る nabar- ~ namar- "숨다" (초기 중세 일본어)
njow- "신음하다"呻吟ふ niyof- ~ niyob- "신음하다" (초기 중세 일본어)
kour- "사랑하다"恋ふ kofi- (초기 중세 일본어)
ko1pi2- (서부 고대 일본어)



표준 일본어에도 같은 형태의 단어가 존재하지만, 하치조어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어휘들도 있다.

하치조어일본어 동족어
jama "밭"yama "산"
gomi "장작"ゴミ gomi "쓰레기"
oyako "친척, 혈족"親子 oyako "부모와 자식"
kowakja "피곤한, 지친"怖い kowai "무서운"
nikukja "못생긴"憎い nikui "밉다, 어렵다"
kamowa "먹다"噛む kamu "씹다, 물다"
izimerowa "꾸짖다"苛める ijimeru "놀리다, 괴롭히다"
heirowa "외치다, 소리치다"吠える hoeru "(개의) 짖다, 울부짖다"
jadorowa "자다 (존칭)"宿る yadoru "하룻밤을 묵다"
marubowa "죽다"転ぶ marobu "넘어지다, 쓰러지다"



마지막으로, 표준 일본어와의 관련성이 불분명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하치조어 고유의 어휘들도 존재한다.

하치조어의미
togirowa초대하다, 부르다
kasurowa잊다
deecikja예쁜, 깨끗한, 깔끔한
kucukawasime매미
keebjoome도마뱀
hjoura점심, 정오 식사
cube지붕
zokume황소
abi딸기, 라즈베리



이 외에도 이른 아침을 뜻하는 고어 '츠토메테'(つとめて)에서 유래한 '톤메테'(トンメテ), 머리를 뜻하는 고어 '츠부리'(つぶり) 등이 남아있다. 또한 이바라키현 방언 등과 같이 동물 이름 뒤에 '메'(め)를 붙이는 경향(예: 이누메(犬め), 키츠네메(狐め))이 있는데, 하치조 방언에서는 이바라키현 방언보다 '메'의 사용 범위가 더 넓다.

5. 3. 기타

하치조어는 일본어 동족어로부터 음성 형태를 예측하기 어려운 어휘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하치조어가 본토 일본어의 조상인 서부-중앙 고대 일본어가 아닌 동부 고대 일본어에서 형태를 물려받았거나, 한 언어 또는 양쪽 언어 모두에서 불규칙한 음운 변화가 일어났음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하치조어동부 고대 일본어(OJ)동족어
nubur- "오르다"上る nobor- (현대 일본어)
no2bor- (서부 고대 일본어(WOJ))
nubuyuɴ (오키나와어)
horow- "줍다"pirop-拾う hirow- (현대 일본어)
拾ふ firof- (초기 중세 일본어(EMJ))
pi1rip- (WOJ)
firiɴ ~ firiyuɴ (오키나와어)
pʰurūruɴ (나키진 쿠니가미어)
houm- "입에 물다"popom-含む fukum- "포함하다" (현대 일본어)
pupum- (WOJ)
nogow- "닦다"nogop-拭う nuguw- (현대 일본어)
拭ふ nogof- (EMJ)
nuguyuɴ (오키나와어)
ote- "떨어지다"落ちる ochi- (현대 일본어)
oti- (WOJ)
*ote- (원시 류큐어(PR))
ʔutiyuɴ (오키나와어)
ore- "내려가다, 내리다"降りる ori- (현대 일본어)
ori- (WOJ)
*ore- (PR)
ʔuriyuɴ (오키나와어)
memezume "지렁이"蚯蚓 mimizu (현대 일본어)
mimidu (EMJ)
*memezu (PR)
mimiji (오키나와어)
asub- "놀다"遊ぶ asob- (현대 일본어)
aso1b- (WOJ)
*asub- (PR)
asibuɴ ~ ashibuɴ (오키나와어)
igok- "일하다"動く ugok- "움직이다" (현대 일본어)
ugo1k- (WOJ)
*igok- (PR)
ʔɴjuchuɴ, ʔɴjuk- (오키나와어)
kasjag- "기울다, 비스듬하다"傾ぐ kashig- (현대 일본어)
kashig-, katag- (초기 근대 일본어)
kasik- "찌거나 삶아서 요리하다"炊ぐ kashig- (현대 일본어)
kasik- (EMJ)
kashichii "오코와" (오키나와어)
katog- "지탱하다"担ぐ katsug- (현대 일본어)
katug- (초기 근대 일본어)
jo "물고기"uo (현대 일본어)
uwo ~ iwo (EMJ)
*iyo (PR)
ʔiyu (오키나와어)
ɿɿu (미야코어)
hito, tecu ~ teQcu "하나, 한 개"hito, 一つ hitotsu (현대 일본어)
pi1to2, pi1to2tu (WOJ)
*pito, *pitetu (PR)
chu, tiitsi (오키나와어)
pɿtu, pɿtiitsɿ (미야코어)



또한 하치조어는 대부분의 일본어 방언에서 사용되지 않게 된 고어(古語)를 보존하고 있다.

하치조어동족어
magure- "기절하다"眩る magure- "어지럽다" (후기 중세 일본어(LMJ))
heirak- "아프다, 쏘다"疼らく fifirak- "따끔거리다, 쏘다" (EMJ)
hotour- "뜨겁다"熱る fotofor- ~ fotobor- "열을 내다" (EMJ)
sjo-ke "알려진"著き siru-ki1 ~ (iti)siro1-ki1 "알려진, 명백한" (WOJ)
nabure- "숨다"隠る nabar- ~ namar- "숨다" (EMJ)
njow- "신음하다"呻吟ふ niyof- ~ niyob- "신음하다" (EMJ)
kour- "사랑하다"恋ふ kofi- (EMJ)
ko1pi2- (WOJ)



표준 일본어에도 존재하지만 의미가 다른 단어들도 있다.

하치조어일본어 동족어
jama "밭"yama "산"
gomi "장작"ゴミ gomi "쓰레기"
oyako "친척, 혈족"親子 oyako "부모와 자식"
kowakja "피곤한, 지친"怖い kowai "무서운"
nikukja "못생긴"憎い nikui "밉다, 어렵다"
kamowa "먹다"噛む kamu "씹다, 물다"
izimerowa "꾸짖다"苛める ijimeru "놀리다, 괴롭히다"
heirowa "외치다, 소리치다"吠える hoeru "(개의) 짖다, 울부짖다"
jadorowa "자다 (존칭)"宿る yadoru "하룻밤을 묵다"
marubowa "죽다"転ぶ marobu "넘어지다, 쓰러지다"



마지막으로, 하치조어는 일본어와의 관련성이 불분명하거나 알려지지 않은 고유한 어휘를 가지고 있다.

하치조어의미
togirowa초대하다, 부르다
kasurowa잊다
deecikja예쁜, 깨끗한, 깔끔한
kucukawasime매미
keebjoome도마뱀
hjoura점심, 정오 식사
cube지붕
zokume황소
abi딸기, 라즈베리



이 외에도 이른 아침을 뜻하는 고어 '츠토메테(つとめて)'에서 유래한 '톤메테(とんめて)', 머리를 뜻하는 '츠부리(つぶり)' 등 고어를 유지하고 있는 사례가 있다. 또한, 이바라키 방언 등과 같이 동물 이름 뒤에 '~메(め)'를 붙이는 경향(예: 이누메(いぬめ, 개), 키츠네메(きつねめ, 여우))이 있으나, 하치조 방언에서는 이바라키 방언보다 '~메'의 사용 범위가 더 넓다.

6. 방언 분파

하치조어는 이즈 제도하치조 지청 내 여러 섬과 역사적 마을에 따라 다양한 방언으로 나뉜다. 크게 하치조섬, 아오가섬, 하치조코지마, 다이토 제도의 방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아누치(2019)는 하치조어의 방언을 다음과 같이 8개로 식별했다.[12] 그 외에 근대 이후 이민으로 형성된 다이토 제도 방언이 있다.

지역방언
하치조섬미네 방언, 오카고 방언, 카시타테 방언, 나카노고 방언, 스에요시 방언
하치조코지마우츠키 방언, 토리우치 방언
아오가섬아오가시마 방언
다이토 제도다이토 제도 방언 (근대 이후 하치조섬에서 이주한 이민자 사용)



일본어족 내에서 하치조어는 '''원시 일본어족'''에서 갈라져 나온 '''원시 일본어'''의 한 갈래인 '''동부 고대 일본어'''에서 직접 분기된 것으로 본다. 이는 일본어 본토 방언이 속하는 중앙 고대 일본어와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위치이다. 하치조어는 만엽집에 기록된 상대 동국 방언의 특징을 많이 유지하고 있으며, 부정형 '니수(にす)'와 같은 상대 이전의 문법 요소도 보존하고 있는 점에서 그 계통을 알 수 있다. 하치조어와 북부 이즈 제도 사이에는 쿠로시오 해류가 흘러 예로부터 해상 교통이 어려웠고, 이러한 지리적 고립은 본토 방언과의 현저한 차이를 만들고 독자성을 유지하게 했다.

하치조섬 내의 방언은 지형에 따라 '오르막(坂上, 사카우에)'과 '내리막(坂下, 사카시타)'으로 불리기도 한다. 북서쪽의 오카고 방언과 미츠네 방언은 '내리막 방언'으로 서로 매우 유사하다. 남쪽의 나카노고 방언과 카시타테 방언은 '오르막 방언'으로 묶인다. 그러나 같은 남쪽에 위치한 스에요시 방언은 다른 '오르막 방언'과는 구별되는 특징을 지녀 독립적으로 분류되기도 하며, '오르막 방언'이라는 용어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아오가시마 방언은 다른 방언들과 문법 및 어휘 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하치조코지마의 우츠키 방언은 /s/와 /ɾ/ 발음이 탈락하는 독특한 음운 변화를 겪었으며, 이 때문에 다른 마을 사람들에게 '혀 잘린 말씨(舌切れ, 시타기레)'라고 불리기도 했다. 토리우치 방언은 음운론적으로 오카고 방언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69년 하치조코지마가 무인도가 되면서 우츠키와 토리우치 방언 화자 일부가 하치조섬으로 이주했지만, 이들의 언어는 점차 하치조섬의 '내리막 방언'과 융합되고 있다. 2009년 조사 당시 토리우치 방언 화자는 적어도 한 명, 우츠키 방언 화자는 적어도 다섯 명이 남아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3]

태평양 전쟁 이후, 섬 외부로의 취업 등에 어려움이 없도록 표준어 교육이 강화되고 텔레비전 보급으로 수도권 방언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하치조어 전체가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 유네스코가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하면서 하치조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이를 보존하고 계승하려는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7. 보존 노력과 과제

태평양 전쟁 이후, 섬 밖으로 취업할 때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표준어 교육이 진행된 것과, 텔레비전의 보급에 따른 표준어 및 수도권 방언의 침투로 인해, 하치조어의 쇠퇴가 진행되고 있다. 유네스코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라고 발표한 것으로 하치조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하치조어 계승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덧붙여 오키나와현 다이토 제도는 하치조도에서 온 개척민에 의해 하치조어에 속하는 방언이 사용되고 있다. (다이토 제도 방언)

참조

[1] 논문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Japonic languages. Approaches to endangered languages in Japan and Northeast Asia: Description, documentation and revitalization National Institute for Japanese Language and Linguistics 2018-08
[2] 서적 The Languages of Japan 1990
[3] 서적 消えていく島言葉~八丈語の継承と存続を願って~ (A Disappearing Island Language ~Wishing for the Inheritance and Survival of the Hachijō Language~) 2010
[4] 논문 南洋プランテーション社会における方言—南大東島のフィールドワークをもとに— (Dialect in a South Seas Plantation Society: From Fieldwork on Minami Daito-jima) 地域言語研究会 (Regional Language Research Group) 2003-10-26
[5] 웹사이트 消滅の危機にある方言・言語 (Dialects and Languages in Danger of Extinction) http://www.bunka.go.[...]
[6] 웹사이트 八丈語? 世界2500言語、消滅危機 日本は8語対象、方言も独立言語 ユネスコ (Hachijō language? 2500 languages in the world, extinction crisis. Japan targets 8 languages, dialects are also independent languages. UNESCO)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Asahi Shimbun) 2009-02-20
[7] 서적 講座方言学 (Lectures on Dialectology) 国書刊行会 (Kokusho Kankōkai) 1982-1986
[8] 서적 方言学講座 (Dialectology Lectures) 東京堂 (Tōkyōdō) 1961
[9] 서적 方言論 (Dialectology) 平凡社 (Heibonsha) 1988
[10] 문서 1984
[11] 문서 1986
[12] 논문 THE HACHIJO LANGUAGE OF JAPAN PHONOLOGY AND HISTORICAL DEVELOPMENT (日本の八丈語の音韻と歴史的発展) http://ling.hawaii.e[...] 2019
[13] 문서 1984
[14] 문서 1986
[15] 웹인용 보관된 사본 (Archived Copy) http://www008.upp.so[...] 2012-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