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카타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카타역은 후쿠오카시의 주요 철도역으로, 1889년 규슈철도에 의해 개업했다. 이후 여러 차례 이전을 거쳐 1963년 현재 위치에 고가역으로 재건축되었으며, 산요 신칸센, 규슈 신칸센, 후쿠오카시 지하철 노선이 연결되어 있다. JR 재래선, 신칸센,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과 나나쿠마선이 운행되며, 하카타 출입구와 지쿠시 출입구로 구분된다. 2011년 JR 하카타 시티가 개업하며 주변 상업 시설이 확장되었고, 2023년 나나쿠마선 연장으로 이용객 수가 증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카타구 - 하카타항
    하카타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에 있는 항만으로, 고대부터 국제 교류의 중심지이자 방어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국제 무역항으로서 국제 여객 수 기준으로 일본 내 1위를 기록하고 있다.
  • 하카타구 - 기온역 (후쿠오카현)
    기온역은 1983년에 개업한 후쿠오카 시 지하철 1호선(공항선)의 역으로, 하카타역과 지하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주변은 상업 지역이다.
  • 철도 노선 - 나고야역
    나고야역은 JR 도카이, 나고야 임해고속철도, 나고야시 교통국 노선이 접속하고, 메이테쓰 및 긴테쓰와 환승이 가능하며, 도카이도 신칸센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나고야 지역 교통의 중심지이자 '메이에키'라 불리는 번화가이다.
  • 철도 노선 - 에비스초역
    에비스초역은 오사카부 나니와구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한카이 전기 궤도 한카이 선과 오사카 메트로 사카이스지 선이 지나며, 덴덴타운, 신세카이 등의 시설과 인접해 있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 - 기온역 (후쿠오카현)
    기온역은 1983년에 개업한 후쿠오카 시 지하철 1호선(공항선)의 역으로, 하카타역과 지하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추고, 주변은 상업 지역이다.
  • 후쿠오카시 교통국 - 니시진역
    니시진역은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사와라구 니시진에 위치한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의 역으로, 메이지도리 아래에 있으며, 1981년 개업 후 아시아 태평양 박람회 당시 임시역으로 운영되었고, 현재는 후쿠오카역에서 원격 관리되며 니시진 상점가 등 상업 시설과 교육 기관이 주변에 위치한다.
하카타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하카타역
원어 이름博多駅
로마자 표기Hakata-eki
역 종류철도역
지하철역
위치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하카타구 하카타역중앙길 1-1
운영 주체규슈 여객철도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오카시 교통국
개업일1889년 12월 11일
노선 정보
철도 노선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본선
후쿠호쿠유타카선
산요 신칸센
하카타미나미선
지하철 노선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역 번호JA00
JK00
K11
N18
통계
일일 승객 수121,370명
승객 수 기준 순위JR 규슈 역 중 1위
기준 연도2016년 회계연도
역 구조
이미지
JR 하카타 시티 건물
JR 하카타 시티 건물
서비스
산요 신칸센'노조미': 고쿠라역
'히카리': 고쿠라역 (일부 정차)
'미즈호': 규슈 신칸센 연결, 고쿠라역
'사쿠라': 규슈 신칸센 연결, 고쿠라역
'고다마': 하카타미나미선 연결, 고쿠라역
하카타미나미선'고다마': 하카타미나미역
규슈 신칸센'미즈호': 구마모토역, 산요 신칸센 연결
'사쿠라': 신토스역, 산요 신칸센 연결
'쓰바메': 신토스역
가고시마 본선'쾌속': 미나미후쿠오카역, 요시즈카역
'준쾌속': 미나미후쿠오카역, 요시즈카역
'보통': 다케시타역, 요시즈카역
사사구리선'쾌속/보통': 요시즈카역
후쿠오카시 지하철 공항선기온역, 히가시히에역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쿠시다 신사역, 하시모토역

2. 역사

규슈후쿠오카시를 대표하는 터미널 역이자 규슈 최대의 역인 하카타역은, 1889년 12월 11일 규슈 철도에 의해 처음 개업했다.[23] 당시 역은 현재 위치에서 약 600m 북쪽에 있었으나, 1890년 9월 28일 현재의 기온 역 부근으로 이전했다. 1909년 3월 3일에는 르네상스 양식의 벽돌 건물로 신축되었다.[188]

1963년 12월 1일에는 현재 위치에 고가 역사로 재건축되었다.[31]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이 개통되었고,[32] 1983년 3월 22일에는 후쿠오카 시 지하철 임시역이,[45] 1985년 3월 3일에는 정식 지하철역이 개통되었다.[34][45]

2011년 3월 3일에는 한큐 백화점, 도큐 핸즈 등이 입주한 새 역 건물(JR 하카타 시티)이 개업했으며,[174] 같은 해 3월 12일에는 큐슈신칸센 전 노선이 개통되어 산요 신칸센과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58] 2013년 10월 15일에는 JR큐슈의 호화 침대 열차인 나나쓰보시 in 규슈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3년 3월 27일에는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이 하카타역까지 연장되었다.[175]

하카타 역의 이전 및 신축/개축 역사는 아래 표와 같다.

연도내용
메이지 22년
(1889년) 12월 11일
규슈 철도 하카타-지토세 천 임시정거장 간 개업. 초대 역은 현 지점으로부터 북서쪽으로 약 650m 떨어진 데키마치 공원 부근.[23]
메이지 23년
(1890년) 9월 28일
아카마-하카타 역 간 개통과 동시에 현재의 지하철 기온 역 부근으로 이전.
메이지 36년
(1903년) 1월 10일
하카타 역 개축 계획 인가.
메이지 38년
(1905년) 2월 16일
사사구리 선 요시즈카-하카타 역 간 단선 병렬화.
메이지 39년
(1906년)
1월 13일 임시 역사 완성.
8월 신 역사 착공.
메이지 40년
(1907년) 7월 1일
규슈 철도 국유화, 관립 철도에 이관.
메이지 42년
(1909년) 3월 3일
신 역사 완성.
메이지 44년
(1911년) 5월 17일
요시즈카-하카타 역 간 복선화.
다이쇼 3년
(1914년)
화물 홈 증설.
다이쇼 8년
(1919년) 10월 15일
하카타-후쓰카이치역 간 복선화.
다이쇼 15년
(1926년) 10월 15일
기타큐슈 철도, 하카타 역까지 노선 연장.
쇼와 12년
(1937년) 10월 1일
지쿠히 선 성립.
쇼와 17년
(1942년)
1월 역 이전 도시계획 신청.
4월 도시계획 인가.
11월 이전 계획 중지.
쇼와 20년
(1945년) 6월 20일
후쿠오카 대공습 피해.
쇼와 21년
(1946년) 1월
RTO(철도 사령부) 사무소 설치.
쇼와 23년
(1948년) 10월
서쪽 과선교 설치.
쇼와 33년
(1958년) 12월
하카타 역 이전・고가화 결정.
쇼와 34년
(1959년) 12월 15일
소량 혼재 화물, 요시즈카역에 집약.
쇼와 35년
(1960년) 7월
이전 공사 기공.
쇼와 36년
(1961년) 6월 1일
모지 항-구루메역 간 전철화, 요시즈카 역에 화물 취급 이전.
쇼와 38년
(1963년) 12월 1일
현재 위치로 재이전, 고가화.
쇼와 39년
(1964년) 11월
하카타 역 지하가 준공, 오픈.
쇼와 41년
(1966년)
하카타 이즈쓰야, 하카타 스테이션 빌딩 내 오픈.
쇼와 43년
(1968년) 1월 16일
하카타 역 사건 발생.
쇼와 50년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 개업, 지쿠시 출입구 역사 완공.
쇼와 58년
(1983년) 3월 22일
후쿠오카 시 교통국 임시역 개업, 지쿠히 선 하카타-메이노하마역 간 폐지.
쇼와 60년
(1985년) 3월 3일
후쿠오카 시 지하철 정식 개업.
쇼와 62년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 JR 큐슈와 JR 서일본으로 승계.
헤세이 2년
(1990년) 4월 1일
하카타미나미 선 개업.
헤세이 3년
(1991년) 3월 16일
9번 승강장 신설.
헤세이 5년
(1993년) 3월 3일
후쿠오카 시 지하철 공항선 연장.
헤세이 11년
(1999년)
6월 29일 6.29 호우 재해로 역 구내 침수, 전면 정전.
12월 4일 JR 큐슈 자동 개찰기 도입.
헤세이 15년
(2003년) 7월 19일
호우로 인한 미카사 강 범람, 역 구내 침수 및 전면 정전.
헤세이 17년
(2005년) 2월 27일
JR 서일본 자동 개찰기 도입.
헤세이 19년
(2007년) 6월 10일
신칸센 승강장 증설 공사.
헤세이 21년
(2009년)
3월 1일 JR 큐슈, SUGOCA 이용 개시.
3월 7일 후쿠오카 시 교통국, 하야카켄 이용 개시.
11월 신칸센 승강장 자동 방송 음성 갱신.
헤세이 22년
(2010년)
3월 13일 SUGOCA, 하야카켄, nimoca, suica 상호 이용 개시.
12월 신칸센 개찰구 행선 안내기 풀 컬러 LED화.
헤세이 23년
(2011년)
2월 5일 재래선 중앙 개찰구 행선 안내기 LCD 갱신.
3월 3일 JR 하카타 시티 개업.
헤세이 23년
(2011년) 3월 12일
큐슈 신칸센 전면 개통, 산요 신칸센과 상호 직결 운행.
헤세이 24년
(2012년) 3월 17일
재래선 승강장 발착 방송에 역 멜로디 도입.
레이와 5년
(2023년) 3월 27일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 연장.[175]


2. 1. 지명의 유래

역명은 소재지의 옛 지명인 하카타에서 유래되었다.

"하카타"는 고대 일본, 늦어도 릿코쿠시가 성립된 때부터의 지명이었으며,[179][180][181] 당나라 시대에는 하카타가 하케다이(覇家臺), 핫카쿠시마(八角島) 등의 이름의 무역항으로 알려져 있었다.[182] 명나라의 병법서 우베이지에는 당시 일본에 있던 3개의 항구 중 하나인 "하나아사히토우쓰"로 소개되었고,[182] 에도 시대에는 쿠로다(일본의 씨족 중 하나)가 나카가와 강 건너편에 세워진 후쿠오카성 조카마치와 함께 번성했다.[183]

하카타다자이후의 외항으로써 고대부터 번성한 도시였으나, 후쿠오카는 에도 시대 구로다가 영주가 되어 후쿠오카 성을 중심으로 번성한 무가 마을이며, 하카타와 후쿠오카는 나카가와 강을 두고 서로 별개의 도시로 취급되었다.

1889년 4월, "시 제도 및 정(쵸•마치)촌(손•무라)제"(市制および町村制)의 공포에 따라 헌령에 의해 하카타와 후쿠오카가 통합되어 후쿠오카시(福岡市)가 되었다. 그때 규슈 철도의 역명이 하카타가 됨으로써 시 이름 논의의 정착을 도모했다. 이로 인하여 도시 이름을 하카타 시(博多市)로 바꾸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한 표 차이로 부결되어 현재에 이른다.

그 후, 신칸센의 개통 등으로 '후쿠오카'보다는 '하카타'의 인지도가 더 높아졌다. 그래서 "'하카타 시'라는 도시가 존재하기 이전에는 후쿠오카 시와 하카타 시로 별개의 도시였고 그 자취로 하카타 역이 남아있다" 같은 오해도 존재한다. 과거에 '하카타 시'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철도역 이름이 도시 전체의 대외적 인상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예이다.

소재지의 도시 이름과 중심 역명에 차이가 있는 경우는 일본 전국 각지에 있지만, 대부분은 합병 등으로 자치체 이름이 변경되었거나 표기 변경이 있었던 경우이다.[186] 1889년의 시제 • 정촌제 시행 이후 시정촌 합병에도 불구하고 소재지 도시 이름과 중심 역명이 일치하지 않았던 최초의 경우가 도쿄도 무사시노시 소재의 기치조지역이다. 도도부현 현청 소재지의 중심 역인데 역명에 도시 이름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는 하카타 역 이외에는 없다.[187]

시내에 또 다른 터미널 역으로 서일본 철도 덴진오무타선의 시발역인 니시테쓰 후쿠오카(덴진) 역(2001년에 니시테쓰후쿠오카 역에서 개칭)이 있다. 이는 니시테쓰후쿠오카(덴진) 역이 후쿠오카의 덴진 지역에 개설되었고, JR 역이 '하카타 역'이었기 때문에 후에 개업한 니시테쓰가 시명을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덧붙여 후쿠오카역도야마현 다카오카시 후쿠오카 정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역이다.

2. 2. 이전(移轉) 역사

초대 하카타 역 터(데키마치 공원) 기념비


메이지 시대 말기의 하카타 역


하카타 역은 지금까지 2번 이전했다(데키마치 공원 부근 → 기온 역 부근 → 현재). 또한 역사의 대규모 신축 및 개축은 5번 이루어졌다.

메이지 22년
(1889년)
12월 11일하카타-지토세 천 임시정거장 간 개업에 맞추어 규슈 철도의 역으로서 개업. 초대 역은 현 지점으로부터 북서쪽으로 약 650m 떨어진 데키마치 공원 부근에 있었다.[23]
메이지 23년
(1890년)
9월 28일아카마-하카타 역 간 개통과 동시에 역을 현재의 지하철 기온 역 부근으로 이전.
메이지 36년
(1903년)
1월 10일하카타 역 개축 계획 인가.
메이지 38년
(1905년)
2월 16일큐슈 철도(현 사사구리 선) 요시즈카-하카타 역 간 연장에 의해 동 구간 단선 병렬화.
메이지 39년
(1906년)
1월 13일임시 역사 완성.
8월신 역사 착공.
메이지 40년
(1907년)
7월 1일규슈 철도가 국유화, 관립 철도에 이관.
메이지 42년
(1909년)
3월 3일신 역사 완성.
메이지 44년
(1911년)
5월 17일사사구리 선 1선 부분을 활용해 요시즈카-하카타 역 간 복선화.
다이쇼 3년
(1914년)
구내 확장 공사를 실시, 화물 홈을 증설.
다이쇼 8년
(1919년)
10월 15일하카타-후쓰카이치역 간 복선화.
다이쇼 15년
(1926년)
10월 15일기타큐슈 철도가 남 하카타 분기점-하카타 역 간 연장에 의해 노선 연장.
쇼와 12년
(1937년)
10월 1일기타큐슈 철도가 국유화, 일본국유철도 지쿠히 선이 됨.
쇼와 17년
(1942년)
1월역 이전을 위한 도시계획 신청.
4월도시계획 인가.
11월전쟁 격화에 의해 이전 계획 중지.
쇼와 20년
(1945년)
6월 20일후쿠오카 대공습에 의해 피해를 입음.
쇼와 21년
(1946년)
1월RTO(철도 사령부) 사무소 설치.
쇼와 23년
(1948년)
10월서쪽 과선교 설치.
쇼와 33년
(1958년)
12월하카타 역의 이전・고가화 결정.
쇼와 34년
(1959년)
12월 15일소량 혼재 화물의 하카타 역에서의 취급을 폐지해 요시즈카역에 집약.
쇼와 35년
(1960년)
7월이전 공사 기공.
쇼와 36년
(1961년)
6월 1일모지 항-구루메역 간 전철화. 요시즈카 역에 화물 취급을 이전해 폐지.
쇼와 38년
(1963년)
12월 1일요시즈카-하카타-다케시타・지쿠젠미노시마 역 간 경로 변경에 수반해 현재의 자리에 재이전해 고가화.
쇼와 39년
(1964년)
11월하카타 역 지하가가 준공, 오픈.
쇼와 41년
(1966년)
하카타 이즈쓰야가 하카타 스테이션 빌딩 내에 오픈.
쇼와 43년
(1968년)
1월 16일미국 해군 원자력 항공 모함 「USS 엔터프라이즈 (CVN-65)」 기항 반대 운동을 위해 야행 급행열차로부터 하차한 과격파 학생이 구내에서 기동대와 충돌(하카타 역 사건).
쇼와 50년
(1975년)
3월 10일산요 신칸센 오카야마-하카타 역 간 개업. 지쿠시 출입구 역사(신칸센 하카타 빌딩) 완공.
쇼와 58년
(1983년)
3월 22일후쿠오카 시 교통국(후쿠오카 시 지하철, 임시역) 개업과 동시에 지쿠히 선 하카타-메이노하마역 간 폐지.
쇼와 60년
(1985년)
3월 3일후쿠오카 시 지하철 정식 개업.
쇼와 62년
(1987년)
4월 1일국철 분할 민영화, 재래선 부분을 JR 큐슈, 신칸센 부분을 JR 서일본이 승계.
헤세이 2년
(1990년)
4월 1일산요 신칸센의 회송선을 여객선화한 하카타미나미 선이 개업.
헤세이 3년
(1991년)
3월 16일요시즈카-하카타 간이 가고시마 본선과 사사구리 선의 별선화에 수반해 9번 승강장을 신설.
헤세이 5년
(1993년)
3월 3일후쿠오카 시 지하철이 후쿠오카 공항역까지 연장, 공항선이라는 애칭이 설정된다.
헤세이 11년
(1999년)
6월 29일6.29 호우 재해. 근처를 흐르는 미카사 강의 호우에 의한 범람으로 역 구내가 침수해 전면 정전이 된다.
12월 4일JR 큐슈가 자동 개찰기를 도입.
헤세이 15년
(2003년)
7월 19일1999년에 이어 호우에 의한 미카사 강의 범람으로 역 구내가 또 다시 침수해 JR 큐슈 측이 전면 정전이 된다.
헤세이 17년
(2005년)
2월 27일JR 서일본이 자동 개찰기를 도입.
헤세이 19년
(2007년)
6월 10일신칸센 승강장 증설 공사에 수반해 7・8번 승강장의 남반과 9번 승강장이 사용 정지.
헤세이 21년
(2009년)
3월 1일JR 큐슈가 IC 카드 SUGOCA의 이용을 개시(JR 큐슈 재래선 이용만).
3월 7일후쿠오카 시 교통국이 IC 카드 하야카켄의 이용을 개시(지하철 이용만).
11월규슈 신칸센 전면 개통에 대비해 신칸센 승강장 내 자동 방송의 음성이 갱신된다.
헤세이 22년
(2010년)
3월 13일SUGOCA, 하야카켄, nimoca, suica 상호 이용 개시(산요 신칸센, 하카타미나미 선 제외).
12월신칸센 개찰구의 행선 안내기가 풀 컬러 LED화. 또, 13, 14번 승강장의 승강장 상에 풀 컬러 LED의 승차 위치 안내기가 설치된다.
헤세이 23년
(2011년)
2월 5일재래선 중앙 개찰구의 행선 안내기가 LCD로 갱신된다(동쪽 출입구는 다음 날부터 사용 개시).
3월 3일신 역 건물(JR 하카타 시티) 개업.
헤세이 23년
(2011년)
3월 12일큐슈 신칸센 하카타 역- 신야시로 간 전면 개통 및 산요 신칸센과 상호 직결 운행 개시.
헤세이 24년
(2012년)
3월 17일재래선 승강장 발착 방송에 역 멜로디를 도입.
레이와 5년
(2023년)
3월 27일후쿠오카 시 지하철 나나쿠마 선이 하카타 역까지 연장되었다.[175]


2. 3. 메이지 시대

1889년 12월 11일, 규슈 철도(초대)가 하카타-지토세 강 임시정거장(구루메역 북측) 간 개통에 맞춰 현재의 데키마치 공원 부근에 초대 하카타역을 개업했다.[188] 1890년 9월 28일, 하카타역에서 동쪽으로의 노선 개통에 맞춰 현재의 지하철 기온 역 부근으로 이전했다.

경제 발전에 따라 철도 수송량이 급증하면서 역의 개축이 계획되었다. 1906년 1월 13일에 임시 역사가 완성되었고, 8월부터 신역사에 착공했지만, 1907년 7월 1일에 규슈 철도가 국유화되면서 역 공사는 국철에 인계되었다.

1909년 3월 3일에 신역사가 완성되었다. 신역사는 벽돌을 쌓아 만든 2층 건물로,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이었다. 총 면적 3,160 평방 미터로, 당시 비용으로 11만 8000엔을 투자해 화장실에도 대리석을 사용하는 등 호화로운 건물이었다.[188]

2. 4. 다이쇼 ~ 쇼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1925년 11월 20일 기타큐슈 철도는 신야나기초 역(후의 지쿠젠타카미야 역) - 남하카타 역 구간을 개통했다.[29] 1926년 10월 15일에는 신야나기초-남하카타 간에 남하카타 분기점(후의 스미요시 신호소)을 설치하고, 거기에서 선로를 연장하는 형태로 기타큐슈 철도가 하카타 역까지 노선을 연장했다.[29] 이 때 남하카타 역은 여객 영업을 폐지하고 화물 전용이 되었다. 하카타 역의 화물 수요는 계속 증가하여 남하카타 역(통칭 스미요시 화물적사장)에 일부를 전가했고, 요시즈카역, 지쿠젠타카미야 역, 하카타 항역에도 화물 처리를 분산시켰다. 1937년 10월 1일 기타큐슈 철도는 국유화되어 국철 지쿠히 선이 되었다.[30]

이로 인해 역사가 곧 비좁아져, 1939년에는 이미 이전 및 확장 계획이 부상했다. 1942년 1월에는 실제로 도시계획 결정이 신청되었고 1943년 4월에 인가를 받았지만, 전쟁이 격화되면서 11월에 중지되었다.

2. 5. 쇼와 시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6월 20일 후쿠오카 대공습으로 역사가 피해를 입었다.[29]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패전한 후에도 하카타역의 혼잡은 계속되었다. 1947년에는 화물 열차를 요시즈카역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변경하고, 여객용 제3 승강장을 증설하여 혼잡을 완화하려 했다.

1958년 12월, 하카타역을 이전하고 고가화하기로 결정했다.[31] 1960년 7월 이전 공사를 시작하여, 1961년 6월 1일에는 화물 취급을 요시즈카역으로 이전했다.

1963년 12월 1일, 현재 위치에 3번째 역사(쇼와 역사)가 개업했다. 이 역사는 2010년까지 사용되었다.[31] 이전에는 하카타역 부근에서 시가지 접근을 위해 크게 굽어져 있던 선로를 직선화하여 남동쪽으로 이전했다. 이로 인해 가고시마 본선의 요시즈카역과의 거리는 1.6km에서 1.8km로, 다케시타역과의 거리는 3.4km에서 2.7km로 변경되어 총 0.5km 단축되었고, 지쿠히 선의 지쿠젠미노시마 역과의 거리는 2.3km에서 1.6km로 0.7km 단축되었다. 신 역은 4면 8선으로 완성되었으며, 산요 신칸센에 활용될 수 있도록 2면 4선분을 추가로 증설할 수 있게 배려했다.

1975년 3월 10일, 산요 신칸센이 하카타역까지 개업했다.[32] 1983년 3월 22일에는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지하철이 하카타역까지 개업했다(임시역).[45] 1985년 3월 3일에는 후쿠오카 시 지하철의 본역이 개업했다.[45][34] 1987년 4월 1일, 국철 분할 민영화로 재래선 부분은 JR 큐슈에, 신칸센 부분은 JR 서일본에 승계되었다.[35]

2. 6. 헤이세이 시대

1990년 4월 1일, 신칸센 차량 기지(하카타 종합차량사업소)까지의 회송용 선로를 여객선으로 바꾼 하카타미나미 선이 개업했다.[36] 1993년 3월 3일에는 후쿠오카 시 교통국 지하철이 후쿠오카 공항까지 연장되어, 하카타 역에서 바로 공항으로 갈 수 있게 되었다.[39][40]

2005년부터 큐슈 신칸센 개업에 대비해 승강장을 재편하고 역사를 대규모로 증·개축하는 공사를 시작했다. 승강장 부분은 재래선 공간을 일부 깎아 산요 신칸센·큐슈 신칸센용 증설 승강장을 건설하는 등의 공사를 했다. 또한, 이때까지 사용하던 하카타 스테이션 빌딩을 철거하고 새 역 건물(JR 하카타 시티)을 건설하는 공사를 하여 2011년 3월 3일에 개업했다.[9]

2011년 3월 12일, 큐슈 신칸센 하카타 역- 신야시로 간 전면 개통 및 산요 신칸센과 상호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58]

2. 7. 레이와 시대

2023년 3월 27일, 후쿠오카시 지하철 나나쿠마선이 하카타역까지 연장되었다.[175]

3. 역 구조

하카타역은 JR 재래선, JR 신칸센, 후쿠오카 시 지하철 승강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JR 재래선, 신칸센 승강장은 남북 방향으로 고가화되어 있고, 후쿠오카 시 지하철은 동서 방향의 지하에 있다. 역 서쪽을 '''하카타 출입구'''(博多口), 역 동쪽을 '''지쿠시 출입구'''(筑紫口)라고 한다.

역사는 JR큐슈와 JR 서일본으로 나뉘어 있으며, 역장실도 각각 따로 있다.[200] 승강장은 재래선과 신칸센 11・12번 타는 곳은 JR큐슈, 신칸센 13 ~ 16번 승강장은 JR 서일본의 관할이다. 단, 신칸센 11・12번 타는 곳의 운전 취급 등은 JR 서일본이 담당한다. 역 건물도 하카타 출입구 ・ JR큐슈 측은 "JR 하카타 시티"가, 지쿠시 출입구 ・ JR 서일본 측은 산요 신칸센 승강장 바로 윗쪽에 오피스 빌딩인 "신칸센 하카타 빌딩"이 있으며, 후자의 하부에 상업 시설인 하카타 데이토스가 입주하고 있다. 또, 중앙 콘코스 북쪽의 재래선 승강장 바로 아래에는 마잉 하카타역 상점가가 입주하고 있다.

하카타 출입구와 지쿠시 출입구는 동서로 되어 있는 역 중앙의 콘코스로 연결되어 있다. 하카타 출입구는 JR큐슈의 재래선 승강장에 가깝고, 지쿠시 출입구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승강장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또한 새 역 건물인 JR 하카타 시티의 완공에 따라, 중앙 콘코스에서 남쪽으로 가까운 건물 1층 부분과 3층[201]에 동서로 되어 있는 새 연결 통로가 설치되었다. 3층 새 통로의 개찰구 밖에는 나나쓰보시 in 규슈의 여행 설명 및 이용객 전용 라운지인 긴세이가 있다.[202]

3. 1. JR 큐슈 · JR 서일본

JR 큐슈와 JR 서일본은 하카타역을 공동으로 관리하며, 각각 재래선과 신칸센을 담당한다. 재래선은 가고시마 본선과 후쿠호쿠유타카 선(사사구리 선 직결)이 운행되고, 신칸센은 산요 신칸센, 큐슈 신칸센, 하카타미나미 선이 운행된다.

재래선 승강장과 신칸센 승강장 사이는 승강장 하부 2층에 있는 "주오도리로"와 "히가시도리로"를 통해 연결되며, 각 통로에는 신칸센 환승 개찰구가 있다. JR 하카타 시티 개업과 함께 역 건물 3층에 "하카타 시티 3층 개찰구"가 신설되었다. 또한, JR 하카타 시티 개업에 맞춰 여러 개찰구가 신설되었다.

3. 1. 1. 승강장

JR 하카타역의 승강장은 재래선, 신칸센, 후쿠오카 시 지하철로 총 3곳이다. JR 재래선과 신칸센 승강장은 남북 방향으로 고가화되어 있고, 후쿠오카 시 지하철은 동서 방향의 지하에 있다.[189]

2005년 10월 1일 가을 다이어그램 개정으로 큐슈 신칸센 개통 준비 공사(신칸센 승강장 신설 공사 등)가 시작되어, 재래선 승강장 변경이 실시되었다.[189]

신칸센 승강장 신설에 따라, 신칸센 고가 하부에 있던 재래선의 9번 타는 곳(단식 승강장)이 철거되었으며, 7, 8번 타는 곳도 남쪽 절반 부분의 사용이 중지되었다.[189] 이로 인해 생긴 공간에 신칸센 승강장(섬식 1면 2선)이 신설되었다.[189] 공간이 협소하여, 신설된 신칸센 승강장 서쪽 면(11번 타는 곳)을 8량 편성에 대응시키고 선로를 이 승강장에서 끝나게 하여 당역 시발 열차만 발착하게 설정하고, 재래선 8번 타는 곳과 맞붙임(승강장 높이는 다름)으로 하는 등의 구조로 되어 있다.[189]

하카타 역 부분의 공사는 큐슈 신칸센 전체 건설을 담당한 일본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로부터 역을 관할하는 JR 큐슈와 JR 서일본에 수탁되어 두 회사가 분담하였다. 전체 길이 약 1km 구간이 4개의 공구로 분할되어 중앙의 2개 공구를 JR 큐슈가, 양단의 2개 공구를 JR 서일본이 담당했다. 전기 설비와 레일 부설은 JR 서일본이 담당했다. 영업 중인 재래선과 신칸센 선로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건설에 어려움이 있었다.[190]

건설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위해, 신칸센 고가는 기존 재래선 고가 위에 겹쳐 건설하는 "고가의 중층화"가 검토되었다. 전문가에 의한 내진성과 내구성 검토 결과, 기초 보강을 실시하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170] 승강장 및 선로 본체 공사는 2010년 9월 23일에 완료되었다.[191]

역사는 JR 큐슈와 JR 서일본으로 나뉘어 있으며, 역장실도 각각 따로 있다.[200] 승강장은 재래선과 신칸센 11・12번 타는 곳이 JR 큐슈, 신칸센 13 ~ 16번 승강장이 JR 서일본의 관할이다. 단, 신칸센 11・12번 타는 곳의 운전 취급 등은 JR 서일본이 담당한다.

하카타역 전경, 2011년 3월


하카타역과 JR 하카타 시티


하카타역 LCD 발차 안내판


재래선 승강장은 2층에 있으며, 섬식 승강장 4면 8선 형식이다.[189] 본 역 시발・종착 열차가 다수 존재하며, 신칸센 관련으로 5면 9선 구조에서 축소된 적도 있으며, 1, 2번 타는 곳이 확폭되었다.[189] 요시즈카역 ~ 하카타 역 간 3선 구간의 후쿠호쿠유타카 선을 주행하는 열차는 7・8번 타는 곳에만 입선 가능하며, 8번 타는 곳은 다케시타 방면으로 선로가 끊기기 때문에 후쿠호쿠유타카 선 열차 전용 승강장이다.[189] 이전에는 7・8번 타는 곳 동쪽(신칸센 고가 하부)에 9번 타는 곳이 있어, 이 승강장이 후쿠호쿠유타카 선 전용이었지만, 신칸센 승강장 증설로 인해 폐지되었다.[189]

신칸센 승강장은 3층에 있으며 섬식 승강장 3면 6선이다. 1975년 산요 신칸센 개업 시에는 2면 4선이었지만, 2011년 큐슈 신칸센 전면 개통에 따라 기존 11 - 14번 승강장을 13 - 16번 승강장으로 변경(개번)하고, 서쪽으로 1면 2선을 증설하였다. 증설된 승강장 중 1선(11번 승강장)은 8량 편성 대응의 짧은 승강장으로, 오구라 방면으로 통행 금지가 있어 큐슈 신칸센・하카타미나미 선 전용이다.

재래선 승강장
승강장노선방향행선지비고
1 - 4가고시마 본선상행후쿠마・아카마・오리오・고쿠라・몬지항・시모노세키 방면특급은 2・4번 승강장
5 - 7가고시마 본선하행후타카이치・토리스・쿠루메・오무타 방면특급은 3・4・5번 승강장
8후쿠호쿠유타카 선-쵸자하라・케이가와・신이이즈카・나오카타 방면일부 7번 승강장



신칸센 승강장
승강장노선방향행선지비고
11
큐슈 신칸센
하행쿠마모토・가고시마추오 방면당역 출발
하카타미나미 선-하카타미나미행
12 - 16
하행쿠마모토・가고시마추오 방면
하카타미나미 선-하카타미나미행
산요 신칸센
상행고쿠라・히로시마・신오사카・나고야・도쿄 방면


3. 2. 후쿠오카 시 지하철

후쿠오카 시 교통국의 지하철역은 공항선과 나나쿠마선 두 노선이 지난다. 두 노선 모두 섬식 1면 2선 구조이며, 공항선 승강장은 지하 3층, 나나쿠마선 승강장은 지하 5층에 있다. 공항선에는 인상선이 있으며, 정기 열차에서는 종착 열차에만 사용한다.[175]

공항선 개찰구는 지하 1층에 하카타 출입구 방면의 "하카타 출입구"와 지쿠시 출입구 방면의 "지쿠시 출입구", 지하 2층에 "중앙 출입구"가 있다. 하카타 출입구 개찰구와 중앙 출입구 개찰구는 지하에서 바로 연결되지만, 지쿠시 출입구 개찰구에서 나오면 지상으로 나와야 한다.

1983년 3월 22일, 공항선 임시역이 현재의 기온 역 근처에 개업했고, 1985년 3월 3일에 현재의 역이 문을 열었다. 기온 역과는 다이하쿠도오리 지하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2023년 3월 27일, 나나쿠마선이 하카타 역까지 연장되었다.[175] 나나쿠마선 승강장은 하카타에키마에도오리와 스미요시도오리의 교차점 부근 지하 26m 지점에 있으며, 후쿠오카 시영 지하철에서 가장 깊은 역이다. 지하 4층에 개찰구가 있고, 각 지하상가 및 JR 역과 연결되어 있다.[109] 공항선 승강장과는 지하에서 바로 연결되어 지상으로 나올 필요가 없다.

역의 심볼 마크는 후쿠오카 출신 그래픽 디자이너 니시지마 이사오가 디자인한 하카타오리 켄죠 무늬이다.

3. 2. 1. 승강장

1 공항선후쿠오카 공항 방면
2 공항선덴진, 메이노하마, 지쿠젠마에바루, 가라쓰 방면
34 나나쿠마선하시모토 방면



공항선 승강장

4. 이용 현황

1일 평균 승차 인원 합계는 약 18만 명으로, 규슈 지역 역 중 가장 많은 이용객 수를 기록한다. 2011년에는 JR 큐슈의 역으로서는 처음으로 승차 인원이 10만 명을 돌파했다.[220] 최근 JR 하카타 시티와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의 전 노선 개통의 영향으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 JR 큐슈: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119,562명(2023년도)로 JR 큐슈에서 가장 많다.[156]
  • JR 서일본: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22,522명(2023년도)이다.[157]
  • 후쿠오카 시 교통국: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93,330명이다. 그중 공항선이 70,011명, 나나쿠마선이 23,319명(2023년도)으로 후쿠오카 시 교통국에서 1위이다.[157] 2022년에는 덴진 역을 제치고 후쿠오카 시 교통국에서 1위가 되었다.


연도1일 평균 승차 인원
JR 큐슈JR 서일본지하철
공항선나나쿠마선합계
1987년56,608명[115]|미개통
1988년62,047명[115]
1989년68,318명[115]
1990년73,295명[116]
1991년79,682명[116]
1992년85,889명[116]
1993년88,997명[116]
1994년91,099명[116]
1995년94,034명[117]
1996년97,844명[117]
1997년96,762명[117]
1998년97,795명[117]
1999년97,595명[117]
2000년96,123명[118]
2001년97,794명[118]52,915명52,915명[119]
2002년98,199명[118]53,138명53,138명[119]
2003년97,945명[118]52,364명52,364명[119]
2004년97,530명[118]52,045명52,045명[119]
2005년97,988명[120]16,606명52,222명52,222명[121]
2006년99,019명[120]16,776명54,582명54,582명[121]
2007년98,653명[120]54,957명54,957명[121]
2008년98,353명[120]17,123명54,942명54,942명[121]
2009년96,518명[122]15,853명52,731명52,731명[121]
2010년99,006명[123]16,617명55,301명55,301명[124]
2011년107,112명[125]17,793명[126]61,496명61,496명[127]
2012년108,867명[128]18,075명63,357명63,357명[129]
2013년112,288명[130]19,018명[131]66,514명66,514명[132]
2014년113,566명[133]19,315명69,711명69,711명[134]
2015년118,082명[135]20,406명[136]73,938명73,938명[137]
2016년121,370명[138]20,700명[139]76,366명76,366명[137]
2017년124,436명[140]21,902명[141]79,046명79,046명[142]
2018년126,213명[143]22,956명[144]82,154명82,154명[145]
2019년126,627명[146]22,741명[147]82,086명82,086명[148]
2020년87,674명[149]10,777명46,101명46,101명[150]
2021년93,823명[151]13,016명[152]53,021명53,021명[153]
2022년108,383명[154]19,320명68,449명317명68,766명[155]
2023년119,562명[156]22,522명70,011명23,319명93,330명[157]


5. 역 주변

하카타역 주변은 덴진 지구와 함께 후쿠오카시의 도심이자 번화가로, 상업 시설, 오피스 빌딩, 비즈니스 호텔 등이 밀집해 있다. 특히 산요·큐슈신칸센의 주요 역이라는 입지 덕분에 각 기업의 지사나 지점이 많이 있다. 역 건물인 JR 하카타 시티에는 백화점, 쇼핑몰, 영화관, 음식점 등 다양한 시설이 입점해 있다.[224]

하지만 시내 최대 번화가는 하카타역 주변이 아니라 니시테쓰 후쿠오카(텐진)역·지하철 덴진역·지하철 텐진미나미역을 중심으로 한 텐진 지역이며, 하카타역 주변은 오피스 타운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2011년 JR 하카타 시티와 2016년 하카타 마루이 개업으로 텐진·하카타 간 상업지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후쿠오카 공항에서 4km 이내에 위치하며, 항공법에 따른 수평 표면에 의한 높이 제한(표고 54.1m)이 적용되기 때문에[158] 주변에 초고층 빌딩은 볼 수 없다.

중세부터 상업 도시로 번영한 "하카타"의 구시가지(하카타부)와 현재의 하카타역 일대는 지리적 위치가 다르다(하카타 구시가지는 기온역이나 쿠시다신사마에역 등이 가장 가깝다).

5. 1. 주요 시설

역 주변은 주오구의 텐진과 함께 후쿠오카시의 도심이자 비즈니스 타운·상업지구이다. 산요·큐슈 신칸센의 주요 역이라는 입지 조건으로 인해 여러 기업의 지사·지점이 다수 존재한다. 하카타구치·지쿠시구치를 불문하고 오피스 빌딩·상업시설·비즈니스호텔이 혼재한다. 또한, 역 빌딩인 JR 하카타 시티(하카타 헨큐·아뮤플라자 하카타 등)와 KITTE 하카타(하카타 마루이) 등의 대형 상업시설을 중심으로 한 번화가를 형성하고 있다. 하카타구치에는 하카타 지하가가 펼쳐져 있으며, 하카타구치 방향에 위치한 빌딩 지하층과 직결되어 있다.

1963년에 현재 위치로 이전한 후, 역 건물과 상업 시설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 하카타구치 측 역 건물

: 하카타 스테이션 빌딩 → '''JR 하카타 시티''' (2011년)

: 현재 위치로 이전한 후 최초의 역 건물인 하카타 스테이션 빌딩에는 1966년부터 이즈쓰야 백화점이 입점해 있었다. 규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의 하카타 역 진입에 따라 하카타 스테이션 빌딩을 철거하고, 바닥 면적을 대폭 확장한 새로운 하카타구치 역 건물 건설이 결정되었다. 2007년 3월에 하카타 이즈쓰야가 역 건물에서 철수하고, 같은 해 여름부터 철거가 시작되었다. 새로운 하카타구치 역 건물인 JR 하카타 시티2011년 3월 3일에 개업했다.[159] JR 하카타 시티는 재래선 선로 남쪽 부분을 건물 내 선로로 하고 있다. JR 큐슈가 운영하는 패션 빌딩 아뮤플라자 하카타와 백화점 하카타 헨큐 등으로 구성된 대형 상업 시설이며, 역 건물로서는 일본 국내 최대급을 자랑한다.[160]

; 재래선 선로 고가 하부 (북쪽 부분)

: 마잉 하카타역 명점가

; 지쿠시구치 측 역 건물 (신칸센 선로 직상, 직하)

: 하카타 데이토스[161]→DEITOS, AMU EST

: '''신칸센 하카타 빌딩''', '''하카타 역 옥상 주차장'''

; 주변 지하상가

: 하카타 역 지하가[162]

: 아뮤 지하, 기타 인근 빌딩의 각 지하 부분 ("바스치카" 등)

; 인접 빌딩

: 하카타 버스 터미널, 데이토스 아넥스[163], KITTE 하카타[87]

데이토스 아넥스(구 에키사이드 하카타) (지쿠시구치)


'''하카타구치(서쪽)'''와 '''지쿠시구치(동쪽)''' 주요 시설
하카타구치(서쪽)지쿠시구치(동쪽)



◎: 역과 지하상가, 보행자 데크 등으로 직결되어 있는 시설

6. 연계 교통

하카타 버스 터미널은 니시테쓰 텐진 고속버스 터미널에 이어 후쿠오카시의 고속버스 중심지이며, 규슈 각 도시와 간사이, 도쿄를 향하는 다수의 고속버스가 발착한다. 니시테쓰 버스의 후쿠오카 시내·근교 노선버스와 쇼와 버스, JR 큐슈 버스 및 이들과 공동 운행하거나 운행 지원을 하는 버스들도 이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166][167]

하카타구 쪽 대로변에는 하카타역 A~F까지의 각 승강장과 하차장이 있으며, 지쿠시구 쪽에도 승강장이 있다. 이들 승강장·하차장에는 니시테쓰 버스의 후쿠오카 시내·근교 시내버스가 발착한다. 후쿠오카 도심 150엔 지역 내라면 어느 구간의 버스든 150JPY으로 이용할 수 있다.[166][167]

2018년 12월 16일 HEARTS 버스 스테이션 하카타가 개업하면서, 지쿠시구 쪽의 일반 버스로 전환한 각 회사의 고속버스 노선은 모두 이 시설로 이전했다.

역 지역에는 역 렌터카, 닛산 렌터카 등 다양한 렌터카 업체가 있으며, 역 주변에도 여러 곳이 있다. 사무실과 실제 대여 장소가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사전에 예약 및 확인이 필요하다.

7. 큐슈 신칸센 개통을 위한 작업

2005년부터 큐슈 신칸센 개통을 위한 준비로 승강장 재편 및 역사의 대규모 증개축 공사가 시작되었다. 승강장 부분은 재래선 공간을 일부 할애하여 산요 신칸센・큐슈 신칸센용 증설 승강장을 건설하였다. 또한 기존 역사인 하카타 스테이션 빌딩을 철거하고, 새로운 역 건물(JR 하카타 시티)을 건설하는 공사를 거쳐 2011년 3월 3일에 개업했다.

해체 직전의 하카타 스테이션 시티(구 역사, 2008년 1월 촬영)


건설 중인 JR 하카타 시티 (2008년 7월)


건설 중인 JR 하카타 시티 (2009년 10월)


하카타 역은 2011년에 전 노선 개통한 큐슈 신칸센 가고시마 루트의 기점역으로, 산요 신칸센과 상호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가고시마 루트 전 구간 개통을 대비하여 2006년부터 역사 해체 및 신축, 신칸센 승강장 증설, 재래선 승강장 재편, 역 주변 환경 정비 등 종합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2005년 10월 1일 다이어그램 개정과 함께 큐슈 신칸센 개통 준비 공사(신칸센 승강장 신설 공사 등)가 시작되어 재래선 승강장이 변경되었다.

신칸센 승강장 신설에 따라, 신칸센 고가 하부에 있던 재래선 9번 승강장(단식 승강장)이 철거되었으며, 7, 8번 승강장도 남쪽 절반 부분의 사용이 중지되었다.[189] 이로 인해 생긴 공간에 신칸센 승강장(섬식 1면 2선)이 신설되었다. 협소한 공간 때문에 신설된 신칸센 승강장 서쪽 면(11번 승강장)을 8량 편성에 대응시키고 선로를 이 승강장에서 끝나게 하여 해당 역 시발 열차만 발착하게 설정하고, 재래선 8번 승강장과 맞붙임(승강장 높이는 다르다)으로 하는 등의 구조로 되어 있다.

하카타 역 부분의 공사는 큐슈 신칸센 전체 건설을 담당한 일본 철도 건설・운수 시설 정비 지원 기구로부터 역을 관할하는 JR 큐슈와 JR 서일본에 위탁되어 두 회사가 분담하였다. 전체 길이 약 1km 구간이 4개의 공구로 분할되어 중앙의 2개 공구를 JR 큐슈가, 양단의 2개 공구를 JR 서일본이 담당했다. 전기 설비와 레일 부설은 JR 서일본이 담당했다. 다만, 영업 중인 재래선과 신칸센 선로 사이의 협소한 공간으로 인해 건설에 어려운 조건이었다.[190]

건설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을 위해 신칸센 고가는 기존 재래선 고가 위에 겹쳐 건설하는 "고가의 중층화"가 검토되었다. 전문가에 의한 내진성과 내구성 검토 결과, 기초 보강을 실시하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170] 승강장 및 선로 본체 공사는 2010년 9월 23일에 완료되었다.[191] 하카타 출입구에는 큐슈 신칸센 전 구간 개통 이전인 2011년 3월 3일에 지하 3층, 지상 10층 규모의, 기존 역 건물보다 연면적이 약 7배 높은 약 200000m2인 새 역 건물인 "JR 하카타 시티"가 개업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福岡市交通局,七隈線延伸区間(天神南—博多間)の開業は2023年3月27日に https://railf.jp/new[...] 2022-09-01
[2] 웹사이트 福岡市の地下鉄七隈線が延伸開業、新駅で通勤時間短縮 - 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2023-03-27
[3]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平成28年度) http://www.jrkyushu.[...] JR Kyushu 2017-07-31
[4] 웹사이트 JR九州が博多駅ビル拡張へ 19-21年度着手 福岡市の容積率緩和活用 https://www.nishinip[...]
[5] 웹사이트 駅別時刻表/博多駅 https://www.jr-odeka[...] 2021-07-22
[6] 웹사이트
[7] 웹사이트
[8] 뉴스 九州の玄関口、41年の歴史に幕 博多の井筒屋閉店 2007-04-01
[9] 뉴스 「JR博多シティ」開業 22万人詰め掛け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1-03-04
[10] 서적 鉄道・航路旅客運賃・料金算出表 昭和59年4月20日現行 日本国有鉄道旅客局 1984
[11] 서적 旅客連絡運輸規則別表・旅客連絡運輸取扱基準規程別表 旅客鉄道株式会社 1987
[12] 웹사이트
[13] 웹사이트
[14] 웹사이트 JR九州、クレカタッチ決済改札の実証を24年3月まで延長 https://www.watch.im[...] 2023-03-24
[15] 웹사이트 Visaのタッチ決済とSuica一体の自動改札。福岡市営地下鉄で実証 https://www.watch.im[...] 2022-05-24
[16]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 https://subway.city.[...]
[17] 웹사이트 西日本鉄道でVisaのタッチ決済による実証実験 ~福岡の観光地への移動がスムーズに~ https://www.nishitet[...] 西日本鉄道
[18] 서적 続日本紀
[19] 서적 武備志
[20] 서적 三奈木黒田家文書 1812
[21] 서적
[22] 웹사이트 “博多のはずが高岡に 「福岡」違いで思わぬ交流 台湾人留学生から駅員に礼状 https://web.archive.[...] 2007-01-12
[23] 서적 JR九州のひみつ PHP研究所 2013-10-09
[24] 서적 福岡市史 第一巻 福岡市 1959-03-31
[25] 간행물 九州鉄道の面影を訪ねる(その3) 交友社
[26] 서적 宗像市史 通史編 第三巻 近現代 宗像市史編纂委員会 1999-03-01
[27] 뉴스 JR直方駅旧駅舎: 建築形式など後世に 市が記録保存調査報告書を作成 2012-08-01
[28] 서적 土木社会史年表 日刊工業新聞社 1988-11
[29] 서적 福岡市史 昭和編資料集 前編 福岡市 1983-03
[30]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 40 福岡県 角川書店 1988-03
[31] 서적 福岡市史 第六巻 昭和編後編 福岡市 1971-06
[32] 서적 福岡の歴史 市制九十周年記念 福岡市史普及版 福岡市 1979-10
[33] 서적 交通年鑑 昭和59年版 交通協力会 1984-03-15
[34] 서적 交通年鑑 昭和61年版 交通協力会 1986-03-15
[35] 서적 交通年鑑 昭和63年版 交通協力会 1988-03
[36] 서적 交通年鑑 平成3年版 交通協力会 1991-03-15
[37] 웹사이트 福岡市第6回都市景観賞 https://www.city.fuk[...] 福岡市役所住宅都市局地域まちづくり推進部都市景観室 2020-05-02
[38] PDF 福岡市都市景観賞受賞作品集 https://www.city.fuk[...]
[39] 서적 交通年鑑 平成6年版 交通協力会 1994-03-15
[40] 서적 時事年鑑 1994年版 時事通信社 1993-10-20
[41] 서적 日本鉄道史 中編 鉄道省 1921
[42] 서적 近代日本交通史 明治維新から第二次大戦まで 法政大学出版局 1987-04-15
[43] 서적 古賀町誌 古賀町 1985-11-01
[44] 서적 福岡市史 第7巻 昭和編後編 (3) 福岡市 1974-05
[45] 서적 鉄道要覧 平成28年度版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46] 뉴스 博多駅に西口改札口を新設 交通新聞社 1990-03-28
[47] 뉴스 JR西日本 博多駅の改装終了 二階コンコースが自由通路に 交通新聞社 1990-03-28
[48] 뉴스 地下一階中央通路きょう使用開始 JR博多駅 交通新聞社 1990-03-29
[49]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1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1-08-01
[50] 뉴스 博多駅大改装が終了 JR九州JR西日本オープン記念式典 交通新聞社 1992-03-31
[51] 뉴스 JR線乗り換えラクに 交通新聞社 1996-12-20
[52] 학술지 (제목 없음) 鉄道ジャーナル社 1999-02
[53]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0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0-07-01
[54]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05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2005-07-01
[55] 뉴스 「スゴカ」スタート600人列 JR九州、記念カード発売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09-03-02
[56] 보도자료 地下鉄ICカード「はやかけん」平成21年3月7日(土)デビュー!!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09-01-13
[57] 뉴스 JR博多駅:東改札、新幹線ひかり広場 2009-10-20
[58] 뉴스 「鹿児島ファン」増やせ 交流人口拡大に期待 九州新幹線全開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社 2011-03-14
[59] 기타
[60] 웹사이트 七隈線都心部区間の検討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0-11-19
[61] 뉴스 福岡市地下鉄:七隈線、キャナル経由で博多駅延伸 2新駅概要を発表/福岡 http://mainichi.jp/a[...] 2011-11-08
[62] 보도자료 地下鉄七隈線延伸(天神南〜博多)について、鉄道事業許可を取得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12-06-11
[63] 웹사이트 山陽新幹線 主要5駅の「発車予告音」に「銀河鉄道999」の音色を導入します〜3月9日以降、新神戸・岡山・広島・小倉・博多の5駅で使用開始〜 http://www.westjr.co[...]
[64] 보도자료 「7番、8番のりば」のご利用に! 博多駅に新たな改札口を設置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6-02-19
[65] 뉴스 JR九州 博多駅に改札口新設 交通新聞社 2016-02-23
[66] 보도자료 「36ぷらす3」運行開始日と旅行プラン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0-06-30
[67] 웹사이트 JR九州、博多駅地下にシェアオフィス 激戦市場に参入 https://www.nikkei.c[...] 2021-07-22
[68] 보도자료 <<七隈線延伸事業>>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を令和5年3月開業 櫛田神社前駅の駅シンボルマークも決定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1-07
[69] 보도자료 <<七隈線延伸事業>>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が令和5年3月27日に開業!! https://www.city.fuk[...] 福岡市交通局 2022-08-31
[70] 웹사이트 七隈線(天神南駅〜博多駅)の開業日が決定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8-31
[71] 웹사이트 鹿児島本線 博多駅構内の「線路切替工事」に伴う列車ダイヤ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JR九州 2023-04-02
[72] 웹사이트 博多駅 線路切換工事 実施・かもめ62・64号など 運休(2023年5月5日) https://www.tetsudo.[...] 2023-02-27
[73] 일반
[74] 뉴스 交通新聞 2009-01-28
[75] 뉴스 山陽・九州新幹線の乗り入れ工事終了 JR博多駅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0-09-23
[76] 웹사이트 博多駅再整備事業の取り組み http://www.city.fuku[...] 福岡市 住宅都市局 都市計画部 鉄軌道計画課 2010-11-19
[77] 웹사이트 http://www.city.fuku[...]
[78] 뉴스 新博多駅ビルとバスターミナル“空中回廊”で直結へ http://www.nishinipp[...] 2010-10-21
[79] 보도자료 「博多駅歩行者連絡橋」の開通および開通式典の開催について http://www.city.fuku[...] 福岡市住宅都市局 2012-11-21
[80] 보도자료 『はかた駅前通り地下通路』及び『博多駅地下送迎場』のオープンについて http://www.city.fuku[...] 福岡市住宅都市局 2011-10-04
[81] 뉴스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82] 뉴스 博多駅前広場デザイン決まる http://mytown.asahi.[...] 朝日新聞社 2010-01-28
[83] 수상 博多駅 [博多口駅前広場]
[84] 일반
[85] 뉴스 博多駅の地下通路、完成ずれ込み http://sankei.jp.msn[...] 産業経済新聞社 2010-12-30
[86] 보도자료 博多口駅前広場の地下車路・地下通路工事の進捗状況について http://www.city.fuku[...] 福岡市住宅都市局 2011-05-18
[87] 일반
[88] 웹사이트 アクセス・駐車場|KITTE博多 {{!}} JR博多駅直結のショッピングセンター「KITTE博多(キッテ ハカタ)」 https://hakata.jp-ki[...] 2023-04-02
[89] 일반
[90] 웹사이트 「博多駅空中都市プロジェクト」28年竣工。JR九州 https://www.watch.im[...] 2022-03-16
[91] 웹사이트 いよいよ「博多駅空中都市プロジェクト」始動! https://www.jrkyushu[...] JR九州 2023-04-03
[92] 웹사이트 博多駅構内図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5-08-23
[93] 일반
[94] 일반
[95] 일반
[96] 일반
[97] 일반
[98] 웹사이트 博多駅新幹線3階連絡改札口の閉鎖につい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1-31
[99] 웹사이트 博多駅・新幹線3階連絡改札口が3月1日から閉鎖 https://travel.watch[...] 2022-01-31
[100] 일반
[101] 일반
[102] 일반
[103] 일반
[104] 뉴스 JR九州 博多駅に改札口新設 交通新聞社 2016-02-23
[105] 웹사이트 訪日外国人のお客さまに、安心してご利用いただけるご案内を目指します!北部九州エリア157駅に「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ます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06] 뉴스 博多駅在来線ホームの自動放送に新しくメロディーを導入します。 http://www13.jrkyush[...] 九州旅客鉄道 2012-03-16
[107]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公式サイト内『お知らせ』ページ>≪七隈線延伸事業≫新駅の名称と新車両が決定しました!!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7-01
[108] 웹사이트 入札結果表(博多)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12-08
[109] 웹사이트 七隈線延伸事業 整備効果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5-05-26
[110] 서적 公共交通機関の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
[111] 뉴스 博多駅に変なエスカレーター 途中から階段「不便」、30年改善されず https://www.nishinip[...] 西日本新聞 2017-05-21
[112] 뉴스 博多駅筑紫口―地下鉄 エスカレーター完成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21-09-29
[113] 서적 JTB時刻表 2024年3月号 JTBパブリッシング 2024
[114] 뉴스 地下鉄博多駅:2位浮上 昨年度、九州乗降客数 活気鮮明、西鉄福岡抜く 毎日新聞 2014-10-02
[115] 간행물 福岡県統計年鑑 1985 - 1989 九州旅客鉄道駅別乗車人員 http://www.pref.fuku[...]
[116] 간행물 福岡県統計年鑑 1990 - 1994 九州旅客鉄道駅別乗車人員 http://www.pref.fuku[...]
[117] 간행물 福岡県統計年鑑 1995 - 1999 九州旅客鉄道駅別乗車人員 http://www.pref.fuku[...]
[118] 간행물 福岡県統計年鑑 2000 - 2004 九州旅客鉄道駅別乗車人員 http://www.pref.fuku[...]
[119] 웹사이트 乗車人員の推移(1日平均) - 福岡市交通局 決算 参考資料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120] 간행물 福岡県統計年鑑 2005 - 2009 九州旅客鉄道駅別乗車人員 https://www.pref.fuk[...]
[121] 웹사이트 福岡市高速鉄道事業概要 平成22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22]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位(平成21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23]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位(平成22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24] 웹사이트 福岡市高速鉄道事業概要 平成23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25]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位(平成23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26] 웹사이트 ハンディデータふくおか2013 http://www.city.fuku[...] 福岡市
[127] 웹사이트 福岡市高速鉄道事業概要 平成24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28]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位(平成24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29] 웹사이트 福岡市高速鉄道事業概要 平成25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30]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位(平成25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31] 웹사이트 ハンディデータふくおか2015 http://www.city.fuku[...] 福岡市
[132]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平成26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33]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位(平成26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34]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平成27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35]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位(平成27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36] 웹사이트 ハンディデータふくおか2017 http://www.city.fuku[...] 福岡市
[137] 웹사이트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平成29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38]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平成28年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39] 웹사이트 ハンディデータふくおか2018 http://www.city.fuku[...] 福岡市
[140] 웹사이트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17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141] PDF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8 https://www.westjr.c[...]
[142] 간행물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平成30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2-14
[143] 간행물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18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19-07-23
[144] 간행물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19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1-02-14
[145] 간행물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元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2-14
[146] 간행물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19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0-09-24
[147] 간행물 データで見るJR西日本2020 https://www.westjr.c[...] 西日本旅客鉄道 2021-02-14
[148] 간행물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2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1-02-14
[149] 간행물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0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2-07-09
[150] 간행물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3年度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2-07-09
[151] 간행물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1年度) https://www.jrkyushu[...] JR九州 2023-02-14
[152] PDF ハンディデータふくおか2023 https://www.city.fuk[...]
[153] 간행물 福岡市地下鉄事業概要 令和四年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2023-02-14
[154] 간행물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2年度) https://www.jrkyushu[...] JR九州 2023-09-14
[155] PDF 令和5年度 地下鉄概要パンフレット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56] 간행물 駅別乗車人員上位300駅(2023年度) https://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 2024-08-20
[157] PDF 令和6年度 地下鉄概要パンフレット https://subway.city.[...] 福岡市交通局
[158] 웹사이트 https://www.chisou.g[...]
[159] 보도자료 「JR博多シティ」開業について http://www.jrkyushu.[...] 九州旅客鉄道株式会社・博多ターミナルビル株式会社 2010-11-17
[160] 웹사이트 福岡市博多区 福岡よかとこ.COMテーマ『商業施設』 「博多の新たなランドマーク」 福岡市博多区 JR博多シティ http://www.fukuokayo[...]
[161] 웹사이트 博多デイトス 全面改装 変わる「九州の玄関口」 新駅ビル集客強化 来秋オープン http://www.nishinipp[...] 西日本新聞 2008-12-27
[162] 기타
[163] 기타
[164] 웹사이트 福岡市内における三菱地所初のオフィスビル開発「博多深見パークビルディング」竣工 https://www.mec.co.j[...] 三菱地所・深見興産 2021-02-21
[165] 웹사이트 「ザ・ビー博多」九州初出店-ホテルサライ福岡をリニューアル https://hakata.keiza[...] 博多経済新聞 2008-07-14
[166] 기타
[167] 웹사이트 西鉄バス「福岡都心100円エリア」150円に値上げ 新型コロナで利用減少 新サービスも - [WTM]鉄道・旅行ニュース https://ja.wtmnews.n[...] 2021-07-01
[168] 기타
[169] 기타
[170] 기타
[171] 영상 発見!探訪!博多駅24時間~日本最多の在来線特急列車が発着する駅 비콤 주식회사
[172] 웹인용 路線図ドットコム 東海道・山陽・九州新幹線路線図 http://www.rosenzu.c[...] 로센즈닷컴 2018-05-04
[173] 뉴스 九州の玄関口、41年の歴史に幕 博多の井筒屋閉店 아사히 신문사 2007-04-01
[174] 뉴스 福博 商都競争号砲 JR博多シティ オープン JR社長「愛される街に」 니시닛폰 신문사 2011-03-03
[175] 뉴스 福岡市の地下鉄七隈線、博多につながる…新路線開業で市南西部から空港へも便利に https://www.yomiuri.[...] 読売新聞社 2023-03-27
[176] 인용 鉄道・航路旅客運賃・料金算出表 昭和59年4月20日現行 일본국유철도여객국
[177] 인용 旅客連絡運輸規則別表・旅客連絡運輸取扱基準規程別表 주오 서원
[178] 일반텍스트
[179] 일반텍스트
[180] 일반텍스트
[181] 일반텍스트
[182] 일반텍스트
[183] 일반텍스트
[184] 일반텍스트
[185] 일반텍스트
[186] 일반텍스트
[187] 일반텍스트
[188] 서적 《JR九州のひみつ》(JR큐슈의 비밀) PHP 연구소 2013-10-09
[189] 일반텍스트
[190] 뉴스 교통신문 2009-01-28
[191] 뉴스 山陽・九州新幹線の乗り入れ工事終了 JR博多駅 http://www.asahi.com[...] 아사히신문사 2010-09-23
[192] 웹사이트 博多駅再整備事業の取り組み http://www.city.fuku[...] 후쿠오카 시 주택도시국 도시계획부 철궤도계획과 2018-06-10
[193] 웹인용 「KITTE博多」の開業日及び出店ラインナップが決定 2016年4月21日「KITTE博多」グランドオープン ~九州初出店を含む全50店舗からなる一大飲食ゾーンも誕生~ https://www.post.jap[...] 일본우편 2018-10-13
[194] 웹사이트 http://www.city.fuku[...]
[195] 뉴스 新博多駅ビルとバスターミナル“空中回廊”で直結へ http://www.nishinipp[...] 2010-10-21
[196] 보도자료 「博多駅歩行者連絡橋」の開通および開通式典の開催について http://www.city.fuku[...] 후쿠오카시 주택 도시국 2012-11-21
[197] 보도자료 『はかた駅前通り地下通路』及び『博多駅地下送迎場』のオープンについて http://www.city.fuku[...] 후쿠오카시 주택 도시국 2011-10-04
[198]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www.nishinipp[...] 2018-10-12
[199] 뉴스 博多駅前広場デザイン決まる http://mytown.asahi.[...] 아사히 신문사 2010-01-28
[200] 웹사이트 博多駅構内図 http://www.jrkyushu.[...] 큐슈여객철도 2018-10-08
[201] 일반텍스트
[202] 일반텍스트
[203] 웹사이트 보관된 사본 http://www.jrkyushu.[...] 2014-04-24
[204] 웹사이트 나나쿠마선도심부 구간의 검토 http://subway.city.f[...] 후쿠오카 시 교통국 2010-11-19
[205] 뉴스 후쿠오카 시 지하철:나나쿠마 선, 커넬 경유로 하카타 역 연장 2개역 신설 검토 http://mainichi.jp/a[...] 마이니치 신문 2011-11-08
[206] 뉴스 지하철 나나쿠마 선 연장(덴진 남부~하카타)에 대해서, 철도 사업 허가를 취득했습니다 http://subway.city.f[...] 후쿠오카 시 교통국 뉴스 2012-06-11
[207] 웹사이트 七隈線延伸事業 整備効果 http://subway.city.f[...] 福岡市交通局 2015-05-26
[208] 웹사이트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1985 - 1989 규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09] 웹사이트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1990 - 1994 규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10] 웹사이트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1995 - 1999 규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11] 간행물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2000 - 2004 규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12] 웹인용 승차 인원의 추이(1일 평균) - 후쿠오카 시 교통국 사업 개요 http://subway.city.f[...] 2014-04-24
[213] 간행물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2005(H17) 큐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14] 간행물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2006(H18)큐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15] 간행물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2007(H19)큐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16] 간행물 승차 인원의 추이(1일 평균) - 후쿠오카 시 교통국 사업 개요 http://subway.city.f[...]
[217] 간행물 후쿠오카 현 통계연감 2008(H20)큐슈여객철도 역별 승차 인원.xls http://www.pref.fuku[...]
[218] 웹인용 역별 승차 인원 상위 30위(헤세이 21년도) - 큐슈여객철도 http://www.jrkyushu.[...] 2014-04-24
[219] 웹인용 역별 승차 인원 상위 30위(헤세이 22년도) - 큐슈여객철도 http://www.jrkyushu.[...] 2014-04-24
[220] 웹인용 역별 승차 인원 상위 30위(헤세이 23년도) - 큐슈여객철도 http://www.jrkyushu.[...] 2014-04-24
[221] 간행물 핸디 데이터 후쿠오카 http://www.city.fuku[...]
[222] 간행물 역별 승차 인원 상위 30위(헤세이 24년도) - 큐슈여객철도 http://www.jrkyushu.[...]
[223] 웹인용 승차 인원의 추이(1일 평균) - 후쿠오카 시 교통국 사업 개요 http://subway.city.f[...] 2014-04-24
[224] 보도자료 「JR 하카타 시티」개업 http://www.jrkyushu.[...] 큐슈여객철도 2010-11-17
[225] 뉴스 하카타 데이토스 전면 개장, 바뀌는 「규슈의 현관」 신 역 건물 집객 강화 내년 가을 오픈 http://www.nishinipp[...] 2008-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