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안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안산선은 금정역오이도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의 지선으로, 안산스마트허브 개발과 함께 건설되었다. 1988년 개통 당시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직결 운행되었으며, 이후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했다. 2010년부터 급행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수인·분당선과 선로를 공유하여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4호선 - 진접선
    진접선은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연장 구간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서울특별시 노원구 불암산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며, 2014년 12월 착공하여 2022년 3월 개통되었고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가 운행되며 2028년 풍양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4호선 -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는 서울 4호선에서 운행되며 VVVF 인버터 제어 방식과 스테인리스 차체를 최초로 채용하고 볼스터리스 대차와 LED 전광판 형태의 차내 행선 안내 게시기를 설치한 것이 특징으로, 현재 노후 차량 교체 작업이 진행 중이며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구간에서 운행된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2000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광주선
    광주선은 호남선 열차가 경전선을 경유하여 광주역까지 운행하는 11.9km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전남선의 일부로 개통되어 노선 변경과 이설을 거쳤으며, 현재는 ITX-새마을과 무궁화호가 운행되고 있다.
  • 198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88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4호선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시흥시 오이도역을 잇는 노선으로,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으로 구성되어 남양주도시공사,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가 구간별로 운영하며, 완행과 급행이 운행되고 통행 방식 및 전철화 방식이 구간별로 다르다는 특징이 있다.
안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 이름안산선(安山線)
로마자 표기Ansan-seon
노선 종류수도권 전철
노선 체계수도권 전철 4호선
상태운영 중
지역경기도
기점금정역
종점오이도역
역 수14
노선 번호316
개통일1988년 10월 25일 (금정 ~ 안산)
2000년 7월 28일 (안산 ~ 오이도)
소유자국가철도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길이26.0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 방식가공전차선
교류 25,000 볼트 60 Hz
신호 방식ATS [수동운전]
최고 속도ATS 구간 100km/h
노선 정보
노선색#32a1c8
노선도[[File:Seoul subway linemap ko.svg|300px|청색 4호선 중 남서쪽 끝이 안산선 구간]]
노선 특징수도권 전철의 일부로, 경기도 지역의 주요 도시들을 연결함
운행 노선
운행 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
기술 정보
전력 공급교류 25,000 V 가공전차선
신호 시스템자동 열차 정지 장치 (ATS)
역 목록
역 번호443
역 이름금정역
추가 정보1호선 연결
역 번호444
역 이름산본역
추가 정보1호선과 연결
역 번호445
역 이름수리산역
역 번호446
역 이름대야미역
역 번호447
역 이름반월역
역 번호448
역 이름상록수역
역 번호449
역 이름한대앞역
추가 정보수인·분당선 연결
역 번호450
역 이름중앙
역 번호451
역 이름고잔역
역 번호452
역 이름초지역
추가 정보서해선 연결
역 번호453
역 이름안산역
추가 정보안산 차량사업소
역 번호454
역 이름신길온천역
역 번호455
역 이름정왕역
역 번호456
역 이름오이도역
추가 정보수인·분당선 연결, 달월역/시흥차량사업소
이미지
34126 편성
오이도역을 출발하는 서울교통공사 483 편성

2. 역사

안산선은 여러 차례의 변화와 확장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003년 7월 18일에는 산본역대야미역 사이에 수리산역(계획 당시 도장역)이 신설되었다.[18]

2010년 9월 1일부터 화물 취급이 중단되어 여객 전용 노선으로 바뀌었다.

2012년 6월 30일에는 공단역초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21]

2018년 1월부터 수리산역, 대야미역, 반월역, 한대앞역, 중앙역, 고잔역, 초지역, 안산역, 신길온천역, 정왕역, 오이도역 등 11개 역에 추락 방지 등을 위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을 시작했다.[2]

2. 1. 초기 역사 (1988년 ~ 1994년)

반월공단과 시흥스마트허브[4] 건설로 개발이 시작된 안산은 원래 "반월" 일대로 불리며, 화성군시흥군의 일부였다. 서해안고속도로와 안산선 개통 이전에는 수인산업도로 등을 이용한 버스로 서울 도심까지 90여 분이 소요되었다.[5]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은 안산에서 군포를 거쳐 사당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을 구상했으며,[5] 1986년 2월 안산선 공사에 착수하였다.[6]

안산선 건설에는 약 9660억이 투입되었는데, 이 비용은 한국수자원개발공사가 전액 부담하였다. 이는 수도권 전철 공사에 기업 자본이 투자된 최초의 사례였다.[9] 당시 부동산 경기 호조와 맞물려 안산선 역세권의 땅값이 크게 오르는 등, 안산선은 개통 전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7][8]

약 2년 8개월 간의 공사 끝에 1988년 10월 25일, 금정역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되었다.[9][10] 개통 당시 안산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약 12분 간격으로 운행되었으며, 서울 도심까지 이동 시간을 버스보다 약 30분 단축시켰다.[9] 안산선 개통 직후, 성남시민들 사이에서 서울 도심과 성남을 잇는 철도 노선 개통 여론이 높아지기도 했다.[11]

1991년 12월 17일, 경부선 시흥역(현 금천구청역) 고압선 사고로 안산선 운행이 전면 중단되는 등, 초기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의 영향을 받았다.[12] 그러나 산본신도시 등의 확장으로 연선 인구가 증가하면서, 1992년에는 고잔역산본역이 개통되었다.[13] 1994년에는 공단역(현 초지역)이 개통되었고,[14] 1993년 1월 15일부터 1994년 3월 31일까지는 과천선 인덕원역 착발 열차가 운행하였으며, 1994년 4월 1일부터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이 시작되었다.[15]

2. 2. 서울 지하철 4호선 직결 및 확장 (1994년 ~ 2010년)

1988년 10월 25일, 금정역안산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되었다.[9][10] 개통 당시 안산선은 출퇴근 시간대를 기준으로 약 12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안산과 서울 도심을 오가는 데에 버스보다 약 30분 정도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9]

1994년 4월 1일부터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 운행되기 시작했다.[15] 1993년 1월 14일부터 1994년 3월 31일까지는 과천선 인덕원역에서 착발한 열차가 운행하였다.[15]

2000년 7월 28일에는 안산역 - 오이도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16] 대한민국 철도청2003년 4월 30일1호선의 운행을 병점 구간 연장 개통과 동시에 중단하였으며, 진접선,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과 직결 운행하는 편수를 지속 증편했다.[17] 2010년 1월 18일부터 급행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19]

안산선 개통과 연장 역사는 다음과 같다.

개통일구간연장 길이
1988년 10월 25일금정-한대앞-안산19.5km
2000년 7월 28일안산-오이도6.5km


2. 3. 급행열차 운행 및 수인선 공유 (2010년 ~ 현재)

2010년 1월 18일부터 급행열차가 운행을 시작했고,[19] 같은 해 9월 1일부터 화물 취급이 중단되어 여객 전용 노선으로 바뀌었다.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역수인선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고,[20] 같은 날 공단역이 초지역으로 이름을 변경하였다.[21]

2020년 9월 12일 수인분당선이 한대앞역~오이도역 구간 선로를 공유하여 직결 운행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11월 27일부터 과천선과 시간표를 통합했다.[22]

3. 역 목록

행접속 노선역간
거리영업
거리소재지↑ 과천선 범계역 방면444금정Geumjeong衿井●-0.0경기도군포시445산본Sanbon山本●2.32.3446수리산Surisan修理山|1.13.4447대야미Daeyami大夜味|2.66.0448반월Banwol半月|2.08.0안산시449상록수(안산대학교)Sangnoksu常綠樹●3.711.7450한대앞Hanyang Univ. at Ansan漢大앞|수인선 | 1.513.2451중앙(서울예술대학)Jungang中央●1.614.8452고잔(고대안산병원)Gojan古棧|1.416.2453초지(신안산대학교)Choji草芝●1.517.7454안산Ansan安山●1.819.5455신길온천Singiloncheon新吉溫泉|2.221.7456정왕(한국공학대학교)Jeongwang正往●2.924.6시흥시457오이도Oido烏耳島●수인선 | 1.426.0

4. 운행

수도권 전철 4호선오이도역, 안산역에서 출발하여 과천선을 거쳐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까지 운행하거나 그 반대로 운행한다. 이 노선에는 시흥차량사업소에 소속된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창동차량사업소에 소속된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직류·교류 혼용 차량이 사용되고 있다.[25]

평일 출퇴근 시간대에는 한국철도공사 열차에 한하여 상/하행 하루 6회 당고개역, 오이도역으로 가는 급행 열차가 운행된다. 한국철도공사 소속 열차는 164회,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는 104회로 총 268회 운행한다. 대부분의 열차는 서울교통공사 4호선 당고개역 - 오이도역 구간에서 운행되지만, 안산역 종착 열차도 있고, 안산역 - 오이도역 구간만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역에서 인천광역시 방면으로 이어지는 수인선이 개통되었지만, 수인선과의 직통 운행은 하지 않고 오이도역에서 환승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4. 1. 급행 열차

2010년 1월 18일부터 평일 출근 시간대에 오이도역에서 출발하는 상행 급행열차가 하루 편도 3회 운행되고 있다.

4. 2. 차량



2020년 9월 12일부터 수인·분당선이 안산선의 오이도역 ~ 한대앞역 구간을 공유함에 따라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을 개시하였다.

5. 지선

안산선에는 총 1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번호노선 명칭기점종점연장(km)비고
31601시흥기지선오이도역시흥기지2.0


5. 1. 시흥기지선

오이도역시흥기지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 (km)영업 거리 (km)소재지
오이도안산선0.00.0경기도 시흥시
시흥기지2.02.0


참조

[1] 웹사이트 Subway Line 4(Ansan Line) https://anystory.tis[...] 2019-05-31
[2] 뉴스 지하철 4호선 안산구간 스크린도어 24일부터 가동(地下鉄4号線安山区間スクリーンドア24日から稼働)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21-02-28
[3]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5호 1989-10-27
[4] 일반
[5] 뉴스 전철 내달 착공 앞두고 반월·군포 일대 땅값 들썩…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5-11-30
[6] 뉴스 안산~금정 간 전철 착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6-02-28
[7] 뉴스 반월 전철역 주변 땅값 올라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6-02-28
[8] 뉴스 안산 택지분양신청 쇄도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86-03-17
[9] 뉴스 금정~안산 간 복선 전철 개통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88-10-26
[10] 뉴스 전철 안산선 개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8-10-25
[11] 뉴스 서울 ~ 성남 전철 설치를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8-10-27
[12] 뉴스 아수라장 전철역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1-12-17
[13] 뉴스 산본 전철 내일부터 운행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2-04-30
[14] 뉴스 고잔~안산 간 공단역 신설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94-01-07
[15] 뉴스 과천선 개통…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4-03-31
[16] 뉴스 전철 안산선 연장 개통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00-07-21
[17] 뉴스 4호선 당고개~안산역 8월부터 51편 늘려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3-05-10
[18] 뉴스 4호선 군포 수리산역사 준공 https://news.naver.c[...] YTN 2003-06-24
[19] 일반
[20] 뉴스 끊겼던 수인선, '복선전철로 재시동'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2-06-29
[21] 뉴스 공단역, ‘초지역’으로 개명 확정 http://www.naeil.com[...] 내일신문 2012-05-14
[22] 웹사이트 레츠코레일(열차운임 및 시간표) http://www.letskorai[...] 2020-11-27
[23] 일반
[24] 블로그 2020년 9월 12일 변경 https://blog.naver.c[...] 2020-09-12
[25] 뉴스 안산~금정역 급행열차 운행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0-01-18
[26]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