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항만은 선박의 출입, 사람의 승하선, 화물의 하역·보관 및 처리 등을 위한 시설과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설이 갖춰진 곳을 의미한다. 무역항과 연안항으로 구분되며, 무역항은 국가관리무역항과 지방관리무역항으로, 연안항은 국가관리연안항과 지방관리연안항으로 세분된다. 항만은 용도와 입지에 따라 상항, 공업항, 어항, 연안항, 하구항, 하천항 등으로 분류된다. 항구는 배가 드나들도록 부두 등을 설비한 곳이며, 인공 항만과 천연 항만으로 나뉜다. 2017년 기준으로 화물 총톤수 기준 세계에서 가장 바쁜 항구는 닝보 저우산 항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구 - 방파제
방파제는 파도의 힘을 약화시켜 해안 지역을 보호하고 안전한 정박지를 제공하는 구조물로, 항만 강화, 해안 침식 감소, 해양 시설 보호 등의 역할을 하며 다양한 종류와 구조, 재료에 따라 분류되고 쓰나미 대비 및 환경 영향 최소화를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 항구 - 군항
군항은 해군 작전 지원과 군수 보급을 위한 핵심 시설로, 해군 기지, 해군 공창 등 군사 시설을 갖춘 항만이며 대한민국 해군은 주요 군항을 운영하여 해상 안보를 유지하고, 지역 경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도 야기한다. - 수역 - 피오르
피오르는 빙하 침식으로 만들어진 U자형 계곡에 바닷물이 들어찬 지형으로, 입구의 문턱, 깊은 수심, 급경사 절벽이 특징이며 고위도 지역에 분포, 독특한 생태계와 경관, 수산 자원으로 활용된다. - 수역 - 홍수
홍수는 과도한 강수량, 눈 녹음, 폭풍 해일, 쓰나미 등으로 발생하는 범람 현상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 환경 파괴를 일으키며, 기후변화로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제방 건설,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등 예방 대책과 취약 계층 지원이 필요하지만, 토양 비옥도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 대중 교통 - 고속철도
고속철도는 시속 200km 이상으로 운행되는 철도 시스템으로, 국가별 기술과 운영 방식의 차이가 있으며 경제 성장과 국토 개발에 기여하지만 환경 문제와 사회적 비용에 대한 논의가 있는 교통 시스템이다. - 대중 교통 - 대중교통
대중교통은 다수를 위한 유료 교통수단으로, 수상 교통과 역마차에서 시작하여 트램, 철도, 버스, 지하철, 항공 등으로 발전해 왔으며, 스마트 모빌리티 기술 발전과 과제 해결을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항만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종류 |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보호된 수역 |
역할 | 선박의 안전한 정박 및 피난처 제공 |
특징 | 자연적 또는 인공적 구조물로 둘러싸임 파도와 조류의 영향을 최소화 |
기능 | |
선박 보호 | 악천후, 파도, 조류로부터 선박 보호 |
화물 처리 | 화물 적재 및 하역 작업 |
선박 수리 | 선박 수리 및 유지보수 |
선박 보급 | 선박에 필요한 물품 및 자원 공급 |
관련 용어 | |
정박지 | 선박이 정박할 수 있는 수역 |
피항지 | 악천후 시 선박이 피난할 수 있는 안전한 장소 |
항만 | 항구 시설과 그 주변 지역 |
추가 설명 | |
지질학적 특징 | 해안선과 관련하여 형성 침식 및 퇴적 작용 영향 |
영어 명칭 | |
영어 | harbor, harbour, haven |
참고 | anchorage |
2. 용어
대한민국 항만법에서는 선박의 출입, 사람의 승선 및 하선, 화물의 하역, 보관 및 처리, 해양 친수 활동 등을 위한 시설과 화물의 조립, 가공, 포장, 제조 등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시설이 갖추어진 곳을 항만으로 정의한다.[8] 해양항만청 용어사전에 따르면 항만은 선박을 안전하게 출입, 정박, 계류시키고 수륙 교통 연결에 관한 각종 활동이 행해지는 장소로, 해상 수송을 육지와 연결시키는 운송 시설이자 해운과 내륙 운송을 연결하는 공통 접속 영역으로서 물류, 생산, 생활, 정보 생산 및 국제 교역 기능과 배후지의 경제 발전을 위한 기지 역할을 한다.[8]
항만은 크게 '''무역항'''과 '''연안항'''으로 나뉜다. 무역항은 주로 외항선이 입항·출항하며 국민 경제와 공공의 이해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항만이고, 연안항은 주로 국내 항 간을 운항하는 선박이 입항·출항하는 항만이다.
정박지는 항만시설 중 선박이 안전하게 항로를 드나들고 정박하기 위한 수역 시설이다. 안벽에 선박을 계류하여 안전하게 하역 작업을 하거나 여객이 편리하게 승하선하기 위해서는 정박지는 해상 조건이 좋은 조용한 수역에 충분한 면적과 수심을 확보해야 하며, 해저 지질은 닻이 잘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나 만에서 이러한 조건을 자연적으로 충족하는 곳은 'Port naturel|천연의 양항프랑스어'이라고도 불린다. 근대 이전에는 골든혼에 면해 있던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빅토리아 항에 면해 있던 홍콩 등 천연의 정박지를 가진 도시들이 항만도시, 상업도시로서 번영했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오사카만 등이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고베와 같은 항만도시가 발달했다.
근대 이후 토목 기술의 발전으로 대규모 방파제나 매립식 항만을 건설하여 조용한 수면을 확보하거나, 수심이 부족한 경우 준설을 함으로써 천연 지형에 유리하지 않은 곳에서도 정박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에는 영국에서 Mulberry harbour|멀베리영어라고 명명된 콘크리트제 상자를 프랑스 해안에 설치하여 임시 항만을 건설하는 작전이 실시되었다.
2. 1. 무역항 구분
국가관리무역항은 국내외 육상 및 해상 운송망의 거점으로서 광역권의 배후 화물을 처리하거나 주요 기간 산업 지원 등 국가의 이해에 중대한 관계를 가지는 항만이다. 지방관리무역항은 지역별 육상 및 해상 운송망의 거점으로서 지역 산업에 필요한 화물 처리를 주 목적으로 하는 항만이다.2. 2. 연안항 구분
국가관리연안항은 국가 안보 또는 영해 관리에 중요하거나 기상 악화 등 유사시 선박의 대피를 주 목적으로 하는 항만이다.[1] 지방관리연안항은 지역 산업에 필요한 화물 처리, 여객 수송 등 편익 도모, 관광 활성화 지원을 주 목적으로 하는 항만이다.[1]3. 분류
항만은 용도와 입지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분류 기준 | 종류 |
---|---|
용도에 따른 분류 | 상항(商港, Commercial port), 공업항(工業港, Industrial port), 어항(漁港, Fishery port) 등 |
입지에 따른 분류 | 연안항(沿岸港, Costal port), 하구항(河口港, Estuary port), 하천항(河川港, River port) 등 |
4. 항구와 관계
선박이 안전하게 드나들도록 바닷가에 부두 따위를 설비한 곳을 항구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항을 항구로 표현할 때가 많다.[8] 항구는 선박의 출입구 역할을 하며, 배의 크기, 막아야 할 파도의 크기, 조류의 속도 등에 따라 폭과 수심이 결정된다.[8]
영어로는 보통 항만은 harbor(harbour), 항구는 port라고 하며, 여러 개의 harbor가 모인 곳을 특별히 port라고도 하지만 서로 혼용되어 쓰이기도 한다.
5. 인공 항만과 천연 항만
항만은 크게 인공 항만과 천연 항만으로 나눌 수 있다. 인공 항만은 사람이 만든 항구이고, 천연 항만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항구이다.
정박지는 항만시설 중 수역시설의 하나이며, 선박이 안전하게 항로를 드나들고 정박하기 위해 설정된 수면이다. 입항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여 안전하게 하역 작업을 하거나, 여객이 편리하게 승하선하기 위해서는 정박지는 해상 조건이 좋은 조용한 수역에 충분한 면적과 수심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해저 지질은 닻이 잘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나 만에서 이러한 조건을 자연적으로 충족하는 곳은 "Port naturel|천연의 양항프랑스어"이라고도 불린다. 근대 이전에는 천연 정박지를 가진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홍콩 등이 항만도시, 상업도시로서 번영했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오사카만 등이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여 요코하마, 고베와 같은 항만도시가 발달했다.
근대 이후 토목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규모 방파제나 매립식 항만을 건설하여 조용한 수면을 확보하거나, 수심이 부족한 경우 준설을 통해 천연 지형에 유리하지 않은 곳에서도 정박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영국에서 Mulberry harbour|멀베리영어라고 명명된 콘크리트 상자를 운반하여 프랑스 해안에 설치, 임시 항만을 건설하는 작전이 실시되었다.[2]
5. 1. 인공 항만
인공항은 종종 항구로 사용하기 위해 건설된다.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인공항은 홍해 연안의 와디 알 자르프(Wadi al-Jarf)에 있는 고대 이집트 유적지로, 최소 4500년(기원전 2600~2550년경, 쿠푸(Khufu) 왕 재위 시대)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가장 큰 인공 항구는 두바이(Dubai)의 제벨 알리 항이다.[2]다른 크고 바쁜 인공 항구는 다음과 같다.
항구 이름 | 위치 |
---|---|
휴스턴 항(Port of Houston) | 미국 텍사스주 |
롱비치 항(Port of Long Beach) | 미국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항(Port of Los Angeles)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페드로 |
로테르담 항(Port of Rotterdam) | 네덜란드 |
사바나 항(Port of Savannah) | 미국 조지아주 |
고대 카르타고인들은 코톤(cothon)이라고 불리는 요새화된 인공 항구를 건설했다.
5. 2. 천연 항만
천연 항만은 수역의 일부가 보호되고 충분히 깊어서 정박이 가능한 지형이다. 많은 천연 항구는 리아스식 해안이다. 천연 항구는 오랫동안 중요한 전략적 해군 기지 및 경제적 중요성을 지녀 왔으며, 세계의 많은 대도시들이 천연 항구에 위치해 있다. 보호된 항구는 방파제의 필요성을 줄이거나 없애며, 항구 내의 파도를 더욱 잔잔하게 만든다.
다음은 천연 항만의 몇 가지 예이다.
항구명 | 위치 |
---|---|
발리 해협 | 인도네시아 |
베어헤이븐 항구 | 아일랜드 |
발리파판 만 | 동 칼리만탄, 인도네시아 |
뭄바이 | 마하라슈트라주, 인도 |
보스턴 항 | 매사추세츠주, 미국 |
버라드 인렛 | 밴쿠버, 브리티시컬럼비아주, 캐나다 |
칫타공 | 칫타공 관할구, 방글라데시 |
코크 항 | 아일랜드 |
그랜드 하버 | 몰타 |
관타나모 만 | 쿠바 |
파리아 만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하이파 만 | 하이파, 이스라엘 |
할리팩스 항 | 노바스코샤주, 캐나다 |
해밀턴 항 | 온타리오주, 캐나다 |
킬리비그스 | 도네갈주, 아일랜드 |
킹스턴 항 | 자메이카 |
마혼 항구 | 메노르카, 스페인 |
마르사멕셋 항 | 몰타 |
밀포드 헤이븐 | 웨일스, 영국 |
뉴욕 항 | 미국 |
파고파고 항 | 아메리칸사모아 |
진주만 | 하와이, 미국 |
풀 항 | 잉글랜드, 영국 |
포트 헤라클레스 | 모나코 |
시드니 항 | 뉴사우스웨일스주, 오스트레일리아 (기술적으로는 리아스식 해안) |
포트 스티븐스 | 오스트레일리아 |
탄중 페락 | 수라바야, 인도네시아 |
토브룩 항 | 토브룩, 리비아 |
프레스크 아일 만 | 펜실베이니아주, 미국 |
프린스 윌리엄 사운드 | 알래스카, 미국 |
퍼짓 사운드 | 워싱턴주, 미국 |
리아스 알타스 및 리아스 바이샤스 | 갈리시아, 스페인 |
브레스트 로드스테드 | 브르타뉴, 프랑스 |
샌프란시스코 만 | 캘리포니아주, 미국 |
스카파 플로 | 스코틀랜드, 영국 |
세프트일 | 코트노르, 퀘벡주, 캐나다 |
쉘번 | 노바스코샤주, 캐나다 |
수빅 만 | 잠발레스, 필리핀 |
탈린 만 | 탈린, 에스토니아 |
탬파 만 | 플로리다주, 미국 |
트린코말리 항 | 스리랑카 |
투티코린 | 타밀나두주, 인도 |
비사카파트남 항 | 인도 |
비진잠 | 트리반드럼, 인도 |
와이테마타 항 | 오클랜드, 뉴질랜드 |
마누카우 항 | 오클랜드, 뉴질랜드 |
웰링턴 항 | 웰링턴, 뉴질랜드 |
포스터 항 | 디셉션 섬, 남극 |
정박지는 항만시설 중 수역시설의 하나이며, 선박이 안전하게 항로를 드나들고 정박하기 위해 설정된 수면이다. 입항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여 안전하게 하역 작업을 하거나, 여객이 편리하게 승하선하기 위해서는 정박지는 해상 조건이 좋은 조용한 수역에 충분한 면적과 수심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해저 지질은 닻이 잘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나 만에서 이러한 조건을 자연적으로 충족하는 곳은 「Port naturel|천연의 양항프랑스어」이라고도 불린다. 근대 이전, 천연의 정박지를 가진 도시는 항만도시, 상업도시로서 번영했다. 골든혼에 면해 있던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빅토리아 항에 면해 있던 홍콩 등이 그 예이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오사카만 등이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고베와 같은 항만도시가 발달했다.
근대 이후 토목 기술이 발전하여 대규모 방파제나 매립식 항만을 건설하여 조용한 수면을 확보하거나, 수심이 부족한 경우 준설을 함으로써 천연 지형에 유리하지 않은 곳에서도 정박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는 영국에서 Mulberry harbour|멀베리|label=멀베리영어라고 명명된 콘크리트제 거대한 상자를 운반하여 프랑스 해안에 설치, 임시 항만을 건설하는 작전이 실시되었다.
6. 정박지
정박지는 항만시설 중 수역시설의 하나이며, 선박이 안전하게 항로를 드나들고 정박하기 위해 설정된 수면이다. 입항한 선박을 안벽에 계류하여 안전하게 하역 작업을 하거나, 여객이 편리하게 승하선하기 위해서는 정박지는 해상 조건이 좋은 조용한 수역에 충분한 면적과 수심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해저 지질은 닻이 잘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1]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나 만에서 이러한 조건을 자연적으로 충족하는 곳은 「Port naturel|천연의 양항프랑스어」이라고도 불린다. 근대 이전, 천연의 정박지를 가진 도시는 항만도시, 상업도시로서 번영했다. 골든혼에 면해 있던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빅토리아 항에 면해 있던 홍콩 등이 그 예이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오사카만 등이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고베와 같은 항만도시가 발달했다.[1]
근대 이후 토목 기술이 발전하여 대규모 방파제나 매립식 항만을 건설하여 조용한 수면을 확보하거나, 수심이 부족한 경우 준설을 함으로써 천연 지형에 유리하지 않은 곳에서도 정박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에는 영국의 항구에서 Mulberry harbour|멀베리영어라고 명명된 콘크리트 제의 거대한 상자를 운반하여 프랑스 해안에 설치하여 즉석의 임시 항만을 건설하는 작전이 실시되었다.[1]
7. 주요 항만
두바이(Dubai)의 제벨 알리 항은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 항구이다.[2] 다른 크고 분주한 인공 항구는 다음과 같다:
- 미국 텍사스주 휴스턴 항(Port of Houston)
- 미국 캘리포니아주 롱비치 항(Port of Long Beach)
-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페드로의 로스앤젤레스 항(Port of Los Angeles)
-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Port of Rotterdam)
- 미국 조지아주(Georgia (US State)) 사바나 항(Port of Savannah)
고대 카르타고인들은 코톤(cothon)이라고 불리는 요새화된 인공 항구를 건설했다.
천연 항구는 수역의 일부가 보호되고 충분히 깊어서 정박이 가능한 지형이다. 많은 천연 항구는 리아스식 해안이다. 천연 항구는 오랫동안 중요한 전략적 해군 기지 및 경제적 중요성을 지녀 왔으며, 세계의 많은 대도시들이 천연 항구에 위치해 있다. 보호된 항구는 방파제의 필요성을 줄이거나 없애며, 항구 내의 파도를 더욱 잔잔하게 만든다.
다음은 대규모 자연 항구들이다.
주요 자연 항구 |
---|
극지방(북극과 남극) 근처 항구의 경우, 특히 연중 얼음이 없는 것은 중요한 이점이다. 그 예로는 다음과 같은 곳이 있다.
- 함메르페스트, 노르웨이
- 리이나카마리(Liinakhamari), 러시아
- 무르만스크, 러시아
- 나홋카 만의 나홋카(Nakhodka), 러시아
- 페첸가, 러시아(무르만스크주)
- 프린스 루퍼트, 캐나다
- 발데즈, 미국
- 바르되, 노르웨이
- 보스토치니 항(Vostochny Port), 러시아
세계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한 항구는 남극대륙(Antarctica)의 윈터쿼터스 만(Winter Quarters Bay)(남위 77° 50′)에 있으며, 여름철 해빙(pack ice) 상황에 따라 얼음이 없는 경우도 있다.[3]





8. 나라별 항만
근대 이전에는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나 만 등 자연적으로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는 곳을 Port naturel|천연의 양항프랑스어이라고 불렀으며, 이러한 곳에 위치한 도시는 항만도시, 상업도시로서 번영했다. 골든혼에 면해 있던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빅토리아 항에 면해 있던 홍콩 등이 그 예이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오사카만 등이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고베와 같은 항만도시가 발달했다.[1]
근대 이후 토목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규모 방파제나 매립식 항만을 건설하여 조용한 수면을 확보하거나, 수심이 부족한 경우 준설을 함으로써 천연 지형에 유리하지 않은 곳에서도 정박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에는 영국의 항구에서 Mulberry harbour|멀베리영어라고 명명된 콘크리트 제의 거대한 상자를 운반하여 프랑스 해안에 설치하여 즉석의 임시 항만을 건설하는 작전이 실시되었다.[1]
8. 1. 대한민국
2011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는 무역항 31개, 연안항 26개가 있으며, 국가관리항 14개, 지방관리항 17개가 있다.[9]8. 2. 그 외 국가
근대 이전에는 육지로 둘러싸인 내해나 만 등 자연적으로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는 곳을 Port naturel|천연의 양항프랑스어이라고 불렀으며, 이러한 곳에 위치한 도시는 항만도시, 상업도시로서 번영했다. 골든혼에 면해 있던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 빅토리아 항에 면해 있던 홍콩 등이 그 예이다. 일본에서는 도쿄만, 오사카만 등이 정박지 조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요코하마, 고베와 같은 항만도시가 발달했다.[1]근대 이후 토목 기술이 발전하면서 대규모 방파제나 매립식 항만을 건설하여 조용한 수면을 확보하거나, 수심이 부족한 경우 준설을 함으로써 천연 지형에 유리하지 않은 곳에서도 정박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되었다.[1]
제2차 세계 대전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에는 영국의 항구에서 Mulberry harbour|멀베리영어라고 명명된 콘크리트 제의 거대한 상자를 운반하여 프랑스 해안에 설치하여 즉석의 임시 항만을 건설하는 작전이 실시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Geology 303 Ch 8 Los Angeles and Long Beach Harbors
http://geology.campu[...]
2014-01-21
[2]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maritime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U.S. Polar Programs
https://www.nsf.gov/[...]
National Science Foundation
[4]
웹사이트
Circuit Guide | Punta del Este, Uruguay
http://www.fiaformul[...]
FIA Formula E
2014-08-24
[5]
웹사이트
Formula E reveals circuit for Punta del Este ePrix
http://www.fiaformul[...]
FIA Formula E
2014-06-20
[6]
웹사이트
Formula E unveils Punta del Este circuit in Uruguay
http://www.autosport[...]
autosport.com
2014-06-20
[7]
웹사이트
Global Port Development Annual Report (2017)
http://en.sisi-smu.o[...]
2021-10-29
[8]
웹인용
해양수산용어
http://portbusan.go.[...]
2012-07-09
[9]
간행물
2011 항만편람
http://www.koreaport[...]
한국항만협회
2012-07-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쿠도커뮤니케이션, 인천항에 AI 기반 안티드론 통합관제 구축 – 바이라인네트워크
“통합운영 군산항·새만금 신항, 부두 기능 재배치 등 필요”
세광종합기술단, 2025년 NICE평가정보 신용평가 A+ 획득…국내 상위 1% 해양 엔지니어링 기업 입증
대우건설 컨소, 부산 신항 남컨 서측부두 민간투자사업 우선협의대상자 선정
부산항만공사, 자립준비청년 항만직업 연수 프로그램 운영
[르포] 기름 새고 불나도 손 못 대…'알박기 폐선' 몸살 앓는 부산항 | JTBC 뉴스
HMM '남유럽 관문' 스페인 터미널 넓힌다
인천경실련 "취임 3주년 유정복 시장, 경제 공약 이행 저조"
“그 좋은 바당을 메와불민 해녀는 어디로 갑니까”
대천항 간출지 준설 5년 당겨 착공…“배 걸리는 어민 고충 해소”
"항만화물 이동 한눈에 본다" 해수부, 데이터 플랫폼 구축
메이머스트, 글로벌엔씨와 생성형 AI 협력 MOU 체결 – 바이라인네트워크
5월13일 인사
‘견생 2막’ 함께···마약 탐지견 새로운 가족 찾습니다
새만금에 생길 항만은 군산항과 통합 관리…명칭은 ‘새만금항’
이재명 '해수부 부산 이전' 공약에 인천 항만업계 반발
수출입은행-해양진흥공사, 해양 공급망 안정화 업무협약
해수부, 해운물류 통상현안 비상대응반 가동…'미 관세부과 대응'
부산 감천항 항만노동자 전용 복지 공간 문 열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