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현대 에어로시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 에어로시티는 현대자동차가 생산한 버스 모델로, 1991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여러 차례의 페이스리프트와 파생 모델을 거쳤다. 초기에는 미쓰비시 후소의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현대자동차의 자체 섀시를 사용했다. 에어로시티는 자가용, 시외 직행, 시내 좌석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저상형 모델도 출시되었다. 2000년에는 슈퍼 에어로시티, 2004년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출시되었고, 2018년에는 2차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현재까지 생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버스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대한민국의 버스 - 자일대우 FX
    자일대우 FX는 자일대우버스에서 2004년부터 생산한 BH 시리즈의 후속 버스 차종으로, 스탠더드 데크 모델인 FX115 크루저, FX116 크루징 애로우, FX120 크루징 스타와 하이데크 모델인 FX212 슈퍼 크루저, FX212 슈퍼스타 등으로 구성되어 현대 유니버스, 기아 그랜버드 등과 경쟁하며 다양한 엔진 라인업과 모델 체계를 갖추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일렉시티
    현대 일렉시티는 현대자동차에서 출시한 플러그인 방식의 순수 전기버스와 수소연료전지버스로, 다양한 모델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디자인에 일부 변경이 있었다.
  • 현대자동차의 버스 차종 -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버스는 현대자동차가 2006년부터 생산한 대형 버스로, 현대 에어로의 후속 모델이며 고속버스, 시외버스, 관광버스 등으로 사용되고, 일본에서는 우측 핸들 사양으로도 판매되었고 2019년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 저상버스 - 에디슨 화이버드
    에디슨 화이버드는 한국화이바에서 2014년에 출시한 탄소섬유 강화 복합소재를 사용한 버스 모델이며, 전기버스 모델은 ZF제 휠인 전기모터와 병렬연결 방식의 배터리 팩을 적용했고, 1세대 모델은 단종되었으며 일본에도 수출되었다.
  • 저상버스 - 하이거 하이퍼스
    하이거 하이퍼스는 하이거 버스에서 생산하는 버스 모델로, 대한민국 여러 지역의 운송 업체에서 자일대우 BS110 EV, 현대 일렉시티 등과 경쟁하며 운행된다.
현대 에어로시티 - [자동차]에 관한 문서
개요
청주 버스 747번 급행
청주 버스 747번 급행
제조사현대자동차
미쓰비시 후소
생산 기간1991년–현재
조립 공장완주, 대한민국
산타로사, 필리핀 (HARI)
비냔, 필리핀 (JK Motors Corporation)
케손 시티, 필리핀 (Del Monte Motor Works)
닌빈, 베트남 (Hyundai Thanh Cong Vietnam)
이전 모델현대 RB
이후 모델현대 일렉 시티
차종완성 버스
버스 차대
플랫폼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스타 (1991–1994)
현대 버스 차대 (1994–현재)
차체 형태단층 버스
문 개수2개
바닥 종류저상
계단식 입구
구동 방식후방 중앙 엔진, 후륜 구동
엔진현대 C6AF, D6AE, C6AC, D6HA, D6AV, D6AB-d
변속기5단 수동
6단 수동 (1991–2000)
5단 자동 (앨리슨 (–2014), ZF (–2009))
6단 자동
전장10.955 m
전폭2.490 m
전고3.180 m (에어컨 장착 시 3.200 m)
다른 이름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TC Motor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CNG (베트남)
관련 차종현대 글로벌 900
현대 일렉 시티
디자이너미쓰비시 후소 (1991–1994)
현대자동차 디자인 센터 (1994–현재)

2. 역사

에어로시티는 1994년까지 미쓰비시 후소의 버스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이후 현대자동차가 자체 개발한 섀시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에어로시티는 여러 이름으로 생산되었다.

2. 1. 에어로시티 (1991년 2월~2000년 5월)

현대 RB의 후속 모델로, 1994년까지 미쓰비시 후소 에어로 스타 섀시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1991년부터 2000년까지 다양한 모델이 시외/시내 버스로 출시되었다.

모델명생산 기간특징비고
에어로시티 5201991년 2월~1999년540보다 휠베이스가 20cm 짧음, 저출력형, 전후륜휠 8핀자가용, 시외직행/일반형
에어로시티 520L1991년 2월~1994년540보다 휠베이스가 20cm 짧음, 저출력형, 전후륜휠 8핀도시표준형
에어로시티 520SL1991년 2월~1995년 3월540보다 휠베이스가 20cm 짧음, 저출력형, 520/520L보다 지상고 낮음, 전후륜휠 8핀도시저상형
에어로시티 5401991년 2월~2000년 5월1997년 말 280마력 D6AB 엔진 적용, 전후륜휠 8핀자가용, 시외직행/일반형, 시내좌석형
에어로시티 540L1991년~2000년D6AB 엔진, 8핀 전/후륜 설계, 1997년 후반 승객석 창틀 변경(2/3 하부 개폐창)도시표준형
에어로시티 540SL1991년~2000년540/540L보다 지상고 낮음, 1997년 후반 승객석 창틀 변경(2/3 하부 개폐창), 전후륜휠 8핀도시저상형



1994년 말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대시보드와 후면 램프(가로형→세로형)가 변경되고 현대 엠블렘이 사용되기 시작했다.[3] 1995년 중반에는 '타는 문', '내리는 문', '도시형버스 540' 글꼴이 굵은 안상수체로, 냉방 버스 스티커가 타원형으로 변경되었고 대시보드 형태도 유선형으로 바뀌었다.

1997년 후반에는 540에 280마력/110토크 터보 인터쿨러 엔진(D6AB)이 장착된 모델이 추가되었는데, 후미등 위치가 더 높고 후면 유리창 우측 하단 노선번호판 쪽창 대신 철판과 주유구가 있었다. 같은 시기 540L과 540SL은 승객석 창틀이 2/3 하부 개폐창으로 변경되었다.

1998년 말 540 전중문형 전문 유리창 형태가 둥근 형태에서 직각형으로 변경되었고, 1999년 중반에는 후면 그릴이 타원형에서 사각형으로, '타는 문'과 '내리는 문' 글꼴이 가는헤드라인체로, 냉방 버스 스티커가 둥근 직사각형으로 변경됐다.

2000년 초 540 사이드 미러가 하부상승형에서 상부하강형으로 변경되었다.

1997년 서울 모터쇼에 3도어 디젤 초저상 버스인 에어로시티 NF가 출품되었으나, 실제 시판되지는 않았다.

2. 1. 1. 에어로시티 520

RB520의 후속으로 1991년 2월부터 1999년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에어로시티 540보다 휠베이스가 약 20cm 짧은 저출력형 모델이다. 외관은 540과 동일하다. 자가용, 시외직행/일반형이 520에 해당된다.

1994년 말, 540 시리즈와 함께 페이스리프트되어 자가용으로 소수 판매됐다. 국방부와 치안본부(현 경찰청)에 공식 납품되어 병력/경력 수송버스로도 많이 이용됐다. 현대 에어로시티 520은 전후륜휠 8핀 형식이다. 금호상사에서 1대를 소장하고 있다. 총 13,411량이다.

520L은 에어로시티 540보다 휠베이스가 20cm 짧은 형태로 1991년부터 1994년까지 생산되었다.

2. 1. 2. 에어로시티 520L

1991년 2월부터 1994년 말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에어로시티 540보다 휠베이스가 약 20cm 짧은 저출력형 모델이다. 외관은 540L과 거의 동일하며 1994년 말 세로형 후면 램프로 변경되었으며 1995년 초에 단종되었다. 도시표준형이 520L에 해당된다. 참고로 세로형 후면 램프로 변경된 1995년식 차량은 충청남도 부여군 서부교통[3]과 전라남도 순천시 순천교통에서 소수 출고하여 운행했다. 현대 에어로시티 520L은 전후륜휠 8핀 형식이다.

2. 1. 3. 에어로시티 520SL

1991년 2월부터 1995년 3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에어로시티 540보다 휠베이스가 약 20cm 짧은 저출력형 모델이다. 외관은 540SL과 거의 동일하다. 520과 520L보다 지상고가 낮은 도시저상형이 520SL에 해당된다. 현대 에어로시티 520SL은 전후륜휠 8핀 형식이다.

서울특별시 관악구에서 경기도 구리시를 기반으로 운영하던 부흥교통은 KD운송그룹 산하 대원여객으로 매각되기 전, 냉방도시형버스 반입 직전인 1995년 3월에 기존 1991년 2월~1994년 생산된 구형과 달리 세로배열 후미등을 채택한 현대 에어로시티 540SL과 같은 세로배열 후미등을 채택한 현대 에어로시티 520SL 최후기형을 일부 반입하여 자사 55번과 55-3번에 투입했다. 이후 냉방버스 만들기 운동에 따라 먼저 출고된 현대 에어로시티 520SL 구형 모델과 함께 루프온에어컨을 장착하는 개조사업을 진행했다.[4]

냉방개조 이후 부흥교통은 진화운수로 합병되었으나 별 탈 없이 운행했고, 2001년 9월 1994년 반입분 차량 일부가 슈퍼에어로시티 L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되며 824번에 투입되었다. 2002년 4월 1일 824번(유성운수 지선버스 구 7716번)이 도원교통으로 매각되었고, 같은 시기에 구 부흥교통[4] 노선이 대원여객으로 매각되면서 부흥교통(구 창진상운) 인수분은 물론 극소수 남아있던 진화운수 자체 반입 현대 에어로시티 520SL은 구형, 최후기형 모두 대우자동차 버스[5]대폐차되어 1995년 4월 제작된 현대 에어로시티 520SL 최후기형 모델과 냉방개조를 진행한 현대 에어로시티 520SL 모델은 모두 전멸했다.

하지만 에어로시티 520SL 가로배열 후미등을 채택한 구형 모델은 서울특별시 신흥기업(현 신흥운수)에 극소수 남아있었으나, 이후 인천선진교통(현 미추홀교통)의 전신인 인천광역시 소재 제물포버스 부도처리에 따른 잉여차량으로 나온 2001년식 현대 슈퍼에어로시티 L 디젤로 대폐차되었다. 520SL은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생산되었으며, 520 및 520L보다 차고가 낮다.

2. 1. 4. 에어로시티 540

에어로시티 540


1991년 2월부터 2000년 5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자가용, 시외직행/일반형, 시내좌석형이 540에 해당된다. 형식은 자가용/시외직행용/시내좌석형의 전문형과 시외일반형/시내좌석형의 전중문형이 있다.

1994년 말, 페이스리프트되어 대시보드가 바뀌었고(2007년 슈퍼 에어로시티까지 적용), 현대 엠블렘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가로형 후면 램프에서 세로형 후면 램프로 변경되었다. 세로형 후면 램프는 모양만 바뀐 채 2004년 11월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2005년식이 선보이기 직전까지 적용됐다.

1995년 중반 '타는 문', '내리는 문'과 '도시형버스 540' 글꼴이 굵은안상수체이고 냉방 버스 스티커가 타원형꼴로 부착되면서 대시보드 형태도 유선형으로 변경됐다.

1997년 후반에 280마력/110토크 터보 인터쿨러 엔진(D6AB)이 장착된 모델이 병행 판매되었는데, 일반형과는 달리 후면부의 후미등이 더 위에 위치했고 일반형에 있던 후면 유리창 우측 밑에 있던 노선번호판 기능을 하는 쪽창이 없고 철판으로 되어 있었으며, 거기에 주유구 같은 것이 있었다.

1998년 말 전중문형식의 전문 유리창 형태가 약간 둥근형태(1991년부터 적용)에서 완전 직각형태(현재까지 적용)로 변경된 후, 1999년 중반에 후면 그릴이 타원형에서 사각형으로 변경됐고 '타는 문'과 '내리는 문' 글꼴이 가는헤드라인체로 바뀌었으며 냉방 버스 스티커도 타원형에서 둥근 직사각형으로 변경됐다.

2000년 초 사이드 미러가 하부상승형에서 상부하강형으로 변경됐다. 이러한 형태는 운전석측은 2004년 모델 체인지 직전까지 적용됐으며 출입문측은 지금까지 적용되고 있다. 현대 에어로시티 540은 전후륜휠 8핀 형식이다. 총 7,678량이다.

2. 1. 5. 에어로시티 540L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도시표준형이 540L에 해당된다. 1995년 3월 냉방 시내버스가 출시되었으며, 같은 해 중반 '타는 문', '내리는 문'과 '도시형버스 540' 글꼴이 굵은 안상수체이고 냉방 버스 스티커가 타원형으로 부착되면서 대시보드 형태도 유선형으로 변경되었다. 1997년 후반에 기본 승객석 창틀이 2/3 하부 개폐창으로 변경되었으며, 전면 개폐창은 옵션 사양이 되었다.

에어로시티 540L은 D6AB 엔진과 8핀 전/후륜 설계를 적용한 에어로시티 540과 동일하다. 냉방형은 경기도 수원시 남양여객에, 무냉방형은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 최후까지 생존했으며, 2011년 12월 전라북도 남원시 남원여객에 있던 해당 차량을 끝으로 영업용 차량은 모두 대폐차되었다.

2. 1. 6. 에어로시티 540SL

에어로시티 540SL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540 및 540L보다 지상고가 낮은 도시저상형 모델이다. 1997년 후반부터 승객석 창틀이 2/3 하부 개폐창으로 변경되었다. 전후륜휠 8핀 형식이다.

2. 1. 7. 에어로시티 초저상

1997년 서울 모터쇼에서 에어로시티 NF라는 모델명으로 3도어 디젤 초저상 버스를 출품하였다. 실제 시판되지는 않았으며, 이후 2003년에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가 시제차로 생산되었다.

2. 2. 슈퍼 에어로시티 (2000년 5월~2004년 10월)

슈퍼 에어로시티는 2000년 5월에어로시티 540/540L/540SL의 후속 모델로 출시되었다. 디젤 모델은 280마력의 D6AB 엔진 또는 235마력의 D6AV 엔진을 탑재했으며, 압축천연가스(CNG) 모델은 290마력의 C6AB 엔진을 탑재했다.

엔진최고 출력연료
C6AB290 마력압축천연가스(CNG)
D6AB280 마력디젤
D6AV235 마력디젤


2. 2. 1. 슈퍼 에어로시티

슈퍼 에어로시티


2000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SAC'''라는 약칭으로도 불린다. 에어로시티 540에서 외형과 내장재를 일부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자가용, 시외직행/일반형, 시내좌석형이 슈퍼 에어로시티에 해당된다. 슈퍼 에어로시티는 전후륜휠 8홀 8핀 형식이다.

2000년 6월부터 시내좌석형에 한하여 CNG를 연료로 하는 CNG버스가 판매되었다. 2000년식은 무인터쿨러도 존재했으며, 과거 RB520 시절부터 적용된 운전석 좌측 창문 위에 "위험물 적재엄금"이라는 안내문이 붙어 있었다. 2002년식까지 승객석 시트는 노란색이었다.

  • 2002년 상반기 출고 차량은 뒷창문에 FIFA 한일 월드컵 스티커가 부착되었다. (현대자동차가 한일 월드컵 공식 후원사였기 때문)
  • 2002년 상반기부터 기존 호박색 시그널 램프가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 2002년 말 출시된 2003년형부터 승객석 시트는 다크블루색으로 변경되었다. 버스 년식 패찰은 2000년식부터 2003년 초기형까지는 전문 위에, 2003년 중반기부터는 전문 계단에 부착되었다.
  • 2002년 하반기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헤드라이트가 사각형 4등식에서 원형 4등식으로 변경, 디젤 차량 후면부 그릴 추가, 콜부저 및 중문 개폐음 변경, 시내버스 차량 중문 봉벨 삭제 등이 이루어진 2003년식이 선보였다. 차량 재도색으로 구분이 어려울 경우, 후미등이 분리형이면 후기형이다.

2. 2. 2. 슈퍼 에어로시티 L

2000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기존 에어로시티 540L에서 외형과 내장재를 일부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도시표준형이 슈퍼 에어로시티 L에 해당된다. 슈퍼 에어로시티 L도 전후륜휠 8홀 8핀 형식이다.

2000년 5월부터 CNG를 연료로 하는 CNG 버스가 판매되었다. 2002년 후기형 천연가스버스는 승객석 시트 색상이 노란색에서 다크블루색으로 변경되었고, 뒷면 그릴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 2002년 하반기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헤드라이트가 4등식 사각형 타입에서 4등식 원형 타입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콜부저 모양이 변경되었고, 중문 개폐음 및 중문 기둥벨이 삭제되었다. 디젤차량도 승객석 시트 색상이 기존 노란색에서 다크블루색으로 변경된 후 뒷면에 그릴이 추가된 2003년식이 선보였다.

슈퍼 에어로 시티 L은 에어로 시티 540L의 실내 요소를 가지고 있다.

2000-2001 현대 슈퍼 에어로 시티 버스

2. 2. 3. 슈퍼 에어로시티 SL

슈퍼 에어로시티 SL


2000년 5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기존 에어로시티 540SL에서 외형과 내장재를 일부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슈퍼 에어로시티 SL은 전후륜 휠이 8홀 8핀 형식이다.

슈퍼 에어로시티 SL은 슈퍼 에어로시티 및 슈퍼 에어로시티 L보다 지상고가 낮은 도시 저상형 차량으로, CNG 모델 없이 경유 차량만 생산되었다. 2002년 하반기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헤드라이트가 4등식 사각형에서 4등식 원형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콜부저 및 중문 개폐음이 변경되었다. 또한 중문에 기둥벨이 삭제되었으며, 디젤 차량의 승객석 시트 색상이 노란색에서 다크블루색으로 변경된 후 뒷면에 그릴이 추가된 2003년식이 선보였다.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AC540SL 버스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AC540SL


슈퍼 에어로시티 L과 마찬가지로, 슈퍼 에어로시티 SL은 에어로시티 540SL의 내부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디젤 [동력계/파워트레인]만 제공된다.

2. 2. 4.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

2002년부터 시제차를 소수 생산 및 판매했다가 다시 회수했으며, 2003년부터 2004년 10월까지 대우 BS120CN 로얄논스텝과 함께 국내 최초로 대량 양산된 초저상버스이다. 차량 후두부는 슈퍼 에어로시티와 동일하다. 디젤 엔진은 원천적으로 선택이 불가능하고, 모든 차량이 CNG 엔진으로만 출고됐다. 차체 구조 특성상 기어핸들 링크 설치가 곤란하여 ZF 또는 앨리슨의 버튼식 자동변속기가 기본 적용됐고, 앞바퀴 위 휠하우스에는 좌석을 설치하지 않고 대신에 짐칸으로 처리됐다.[6] 대우의 초저상버스BS110CN 로얄논스텝BS120CN 로얄논스텝보다 길이가 짧다는 특징이 있다.[7]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는 전후륜휠 10홀 10핀 형식이다.

2. 3.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04년 11월~2008년 1월)

2004년 11월에 출시된 뉴 슈퍼 에어로시티는 기존 슈퍼 에어로시티에서 바닥재와 사이드미러를 변경하였다. 디젤 또는 CNG 모델로 제공되었다.

2004년 11월~2008년 1월형 뉴 슈퍼 에어로시티

2. 3. 1.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04년 11월부터 생산되고 있는 차종으로, '''NSAC'''라는 약칭으로도 불린다. 기존 에어로시티에서 후면 램프를 분리형에서 일체형으로, 내장재 일부와 운전석측 사이드 미러를 하강형에서 고정형으로 각각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자가용과 시외직행/일반형, 시내좌석형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에 해당된다. 전 모델이 경유CNG를 연료로 한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는 전후륜휠 8홀 8핀 형식이다.

슈퍼 에어로시티

2. 3. 2.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2004년 11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기존 에어로시티에서 내장재 일부와 후면 램프를 분리형에서 일체형으로 변경하고, 운전석측 사이드미러를 하강형에서 고정형으로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도시표준형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 L에 해당된다. 전 차량이 경유 또는 CNG를 연료로 사용한다. 2004년 11월 제작분 차량은 인천광역시 영풍운수(출시 이전 시제차량)를 최초로 출고하였고, 대구광역시 경북교통, 서울특별시 태진운수, 한성여객 등지에서 운행했다. 2005년부터는 둥근 미러커버가 제거됐다. 2006년 상반기에 출고된 차량에는 앞문 옆에 2006년 FIFA 월드컵의 엠블럼이 부착되었는데, 이는 제작사인 현대자동차2002년에 이어 FIFA 월드컵 공식 스폰서로 선정되었기 때문이다.

2006년 5월부터 생산된 차량에는 운전석에 보호 칸막이(격벽)가 설치됐다. 이는 버스 운행 중 간혹 발생된 일부 취객 등이 운전자를 폭행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됐으며 운전석 출입문에 설치된 창문은 승용차의 파워 윈도우와 같이 위 아래로 여닫을 수 있다. 운전자 보호 칸막이에 있는 투명 칸막이는 특수 강화 아크릴로 만들었다. 또한 입석시트의 색깔이 청회색에서 펄 빛을 띠고 있는 파란색으로 변경됐고, 일반버스용 모델에서도 에어컨 송풍구를 조절할 수 있게 됐으며, 바닥 매트가 펄 빛을 띠고 있는 파란색으로 변경됐다. 2007년 중반은 방향지시등 형태가 변경됐다. 경상남도 김해시 김해BUS 2008년식 원형 고상 차량은 2019년 10월 2일 수요일에 전멸했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CNG 천연가스 버스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CNG (2004년 11월 ~ 2008년 1월)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04년 ~ 2008년)

2. 3. 3. 뉴 슈퍼 에어로시티 SL

2004년 11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기존 슈퍼 에어로시티에서 내장 일부와 후면 램프를 분리형에서 일체형으로 변경하고, 운전석측 사이드 미러를 하강형에서 고정형으로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보다 지상고가 낮은 도시저상형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 SL에 해당된다. 2006년 2월 초 격벽 의무화 및 차 내부 개량과 동시에 서울특별시의 CNG차량 도입 정책으로 인해 수요가 급감하여 SL은 단종되었다. 이후 서울특별시에서 모조리 대폐차 처리해서 서울 이외 타 지역 회사에서 중고로 투입한 경우가 많다.[1]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SL

2. 3. 4.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04년 11월~2008년 5월)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004년 1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기존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 초기형에서 내장재 일부와 후면 램프를 분리형에서 일체형으로 변경하고, 운전석측 사이드 미러를 하강형에서 고정형으로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차량 후두부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같다. 천연가스 연료 및 버튼식 자동변속기가 기본 적용된다. 대우버스의 BS와 달리 일반형과 차량 길이가 같다는 특징이 있다. 차량 후면에는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라고 쓰여 있다. 2005년식까진 저상 모델도 동일하게 스판지 시트를 채용했고 후륜 쪽의 시트가 마주보기식 배열로 되어있지만, 2006년식부터는 플라스틱 시트만 적용된다. 2008년식은 페이스리프트 직전에 두원공조의 슬림형 에어컨이 들어가기도 했다.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는 고상 모델과 달리 전후륜 휠이 10홀 10핀 형식이다. 서울특별시 신인운수 571번에 남아있던 2008년식 원형 저상 차량은 2019년 10월 4일까지 운행 후 모두 교체되었다.[1]

2. 4. 뉴 슈퍼 에어로시티 1차 페이스리프트 (2008년 2월~2018년 6월)

2008년 2월에 기존 뉴 슈퍼 에어로시티에서 대시보드, 엔진, 바닥재, 디자인을 변경하고, 파워 안테나 형태를 폴 안테나에서 루프 안테나로 변경하여 출시되었다. 2008년 2월부터 2018년 6월까지 생산되었다.

  • 2003년~2007년식과 달리 기둥 손잡이 벨이 다시 생겼으나, 2016년식까지는 기본 사양이 아니어서 없는 차량도 있었다.
  • 손잡이 색상은 파란색에서 주황색으로 변경되었다.
  • 2008년 생산분은 햇빛에 스텐션 파이프가 바래는 현상이 있었으나, 2009년식부터는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 엔진음은 이전보다 더욱 우렁차고 경쾌해졌다.
  • 경찰청은 전경 버스 납품 회사를 자일대우버스에서 현대자동차로 변경하면서, 표준 전경 버스 사양에 맞춘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전경 버스를 납품받고 있다. 양산형과 다른 점은 에어컨 대신 선풍기 3개가 적용되었고, 중문은 수동 폴딩형이며, 시위대의 침입에 대비한 비상문이 있다는 것이다.


연식 변경에 따른 변화는 다음과 같다.

  • 2008년 말: 스텐션 파이프 바램 현상 해결.
  • 2009년 11월: 뒷면 '''뉴 슈퍼 에어로시티''' 글자 제거.
  • 2010년 10월: 오디오가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 MP3 플레이어 추가.
  • 2012년식: 에어서스펜션 옵션 추가, 현대 그린시티와 함께 전/후륜 휠이 8홀 8핀에서 10홀 10핀으로 변경.
  • 2013년식: 측면 방향지시등 모양 변경, 지시등 커버 두께 증가. 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우측면 왼쪽에서 3번째 승객석 창틀 '''CNG''' 글자 바탕이 무색/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사각형/흰색 로고로 변경.
  • 2013년 11월: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 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글자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다른 서체로 변경[8], '''CNG 천연가스버스''' 글자 크기 축소, 후방 차폭등 추가.
  • 2014년 상반기: CNG 차량의 우측면 왼쪽에서 3번째 승객석 창틀과 오른쪽에서 2번째 창틀에 CNG 글자 2개 추가.
  • 2015년: 유로 6 기준 통과 H310 디젤 엔진, 우레아 탱크, 요소수 촉매제 탱크, 사이드 마커램프, 후방 차폭등, 셉 쿨러 추가. 천연가스 모델 변속기 단수 배열 변경 (R-2-4-5-3-1 형태).
  • 2016년식: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 증가,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각각 연료명과 요소수 표기.
  • 2017년식: 출입문 측 사이드미러에 LED 보조방향지시등 추가, 앞문/격벽 바로 뒤와 맨 뒷좌석 에어컨 루버에 하차벨 추가, 에어컨 루버 색상 변경 (검은색→아이보리색), 출입문 끼임방지 센서 장착, 운전석 대시보드 안개등 자리에 스톱램프 장착 및 안개등 위치 변경, 콜부저음 변경 (띵동~),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 옵션 부활.

2. 4. 1.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

뉴 슈퍼 에어로시티 페이스리프트


이전 모델과 달리 2003년~2007년식에는 없던 기둥 손잡이 벨이 다시 생겼다. 다만, 2016년식까지는 기본 사양이 아니어서 기둥 손잡이 벨이 없는 차량도 함께 생산되었다. 현대 유니버스와 비슷한 디자인으로 페이스리프트되었으며, 콜부저 소리가 약간 다르다. 손잡이 색상은 파란색에서 주황색으로 변경되었다. 2008년 생산분은 햇빛에 스텐션 파이프가 바래는 현상이 있었으나, 2009년식부터는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엔진음은 슈퍼에어로시티, 뉴 슈퍼에어로시티(2007년식까지)보다 더욱 우렁차고 경쾌해졌다. 2008년 이전의 슈퍼에어로시티는 엔진음이 조용했고, 차령이 노후될수록 엔진음이 거의 나지 않았다. 디젤 모델의 변속기 단수 배열은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R-2-4-5-3-1 형태로 바뀌었으나, 천연가스 모델은 2013년식까지 기존의 1-3-5-4-2-R 형태를 유지했다.

경찰청은 전경 버스 납품 회사를 자일대우버스에서 현대자동차로 변경하면서, 표준 전경 버스 사양에 맞춘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전경 버스를 납품받고 있다. 양산형과 다른 점은 에어컨 대신 선풍기 3개가 적용되었고, 중문은 수동 폴딩형이며, 시위대의 침입에 대비한 비상문이 있다는 것이다. BS106 로얄시티 전경 버스와 비교하면 중문 폭이 조금 더 넓다.

  • 2008년 말, 스텐션 파이프가 바래지는 현상을 해결한 2009년식이 나왔다.
  • 2009년 11월, 뒷면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글자가 제거된 2010년식이 나왔다.
  • 2010년 10월, 오디오가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MP3 플레이어가 추가된 2011년식이 나왔다.
  • 2012년식부터 에어서스펜션 옵션이 추가되어, 현대 그린시티와 함께 전/후륜 휠이 8홀 8핀에서 10홀 10핀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식부터 측면 방향지시등 모양이 바뀌었고, 지시등 커버 두께도 두꺼워졌다.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3번째 승객석 창틀의 '''CNG''' 글자 바탕이 무색/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사각형/흰색 로고로 변경되었다.
  • 2013년 11월에 출시된 2014년식부터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천연가스버스''' 글자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다른 서체로 변경[8]되었고, '''CNG 천연가스버스''' 글자 크기도 약간 작아졌으며, 후방 차폭등이 추가되었다.
  • 2014년 상반기부터 제조된 CNG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3번째 승객석 창틀과 오른쪽에서 2번째 창틀에 CNG 글자가 2개 새겨졌다.
  • 엔진은 유로6 기준에 맞춰 생산되며, 라디에이터 위치가 엔진룸 기준 정면이 아닌 측면으로 설치되어 냉각 효율을 높였다.
  • 2015년에는 유로 6 기준을 통과한 H310 디젤 엔진, 우레아 탱크, 요소수 촉매제 탱크, 사이드 마커램프, 후방 차폭등, 셉 쿨러가 추가되었다. 천연가스 모델의 변속기 단수 배열도 디젤 모델처럼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R-2-4-5-3-1 형태로 바뀌었다.
  • 2016년식부터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가 변경되고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각각 연료명과 요소수를 표기했다.
  • 2017년식부터 출입문 측 사이드미러에 LED 보조방향지시등이 추가되었고, 앞문/격벽 바로 뒤와 맨 뒷좌석 에어컨 루버에 하차벨이 추가되었다. 에어컨 루버 색상은 검은색에서 아이보리색으로 변경되었고, 출입문 끼임방지 센서가 장착되었다. 운전석 대시보드의 안개등 자리에 스톱램프가 장착되었고 안개등은 우측으로 이동했다. 콜부저음이 띵동~으로 변경되었으며,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 옵션이 부활했다.

2. 4. 2.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페이스리프트

뉴 슈퍼 에어로시티 L 페이스리프트 CNG 천연가스버스


이전 모델과 비교해 2/3 개폐창 선택 시 열리는 창문 크기가 커졌고, 2003년~2009년식에는 없던 기둥 손잡이 벨이 다시 생겼으며, 현대 유니버스, 현대 유니시티와 같은 모양으로 페이스리프트되었다. 콜부저의 소리도 약간 변경되었다. 경기도 고양시 고양교통에서 2007년 후반식 페이스리프트 차량(시제차량)을, 서울특별시 보광교통에서 2008년 초반식 페이스리프트 차량을 최초로 출고했다. 봉 색상은 파란색에서 주황색으로 변경되었으며, 2008년식 생산분은 햇빛에 봉이 바래는 현상이 있었다. 전중비형 도시형버스로, CNG 또는 디젤을 연료로 사용한다.

  • 2009년식은 이전 연식의 스텐션 파이프 바램 현상을 해결했고, 2009년 11월에는 뒷면의 '''뉴 슈퍼 에어로시티''' 폰트가 삭제된 2010년식이 출시되었다.
  • 2010년 10월부터 오디오가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었고, MP3 플레이어가 추가된 2011년식이 출시되었다. 부산광역시의 도시형버스는 2011년식부터 차폭등을 장착하여 출고한다.
  • 2012년식부터 에어서스펜션 옵션이 추가되었고, 현대 그린시티와 함께 전/후륜 휠이 8홀 8핀에서 10홀 10핀으로 변경되었다.
  • 2013년식부터 측면 방향지시등 모양이 변경됨과 동시에 지시등 커버 두께가 두꺼워졌고, 경유 차량에도 승객 안전봉이 기본 사양으로 적용되었다.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우측면 왼쪽에서 3번째 승객석 창틀의 '''CNG''' 폰트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흰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사각형 바탕/흰색 로고로 변경되었다.
  • 2013년 11월부터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되었고, 천연가스버스 차량의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다른 서체로 변경되었으며[8], '''CNG 천연가스버스''' 폰트 크기도 약간 작아진 2014년식이 출시되었다. 인천광역시 동화운수와 영풍운수에서 국내 최초로 유로6 엔진 장착 차량을 도입했으며, 도영운수에서는 국내 최초로 마을버스에 유로6 엔진 장착 차량을 도입하여 운행 중이다. 청주시내버스 일부 운송업체에서는 강제환풍기가 설치된 유로6 엔진 장착 차량을 도입하여 운행하기도 한다.
  • 2015년식부터 측면부에 마커램프가 추가되었고, 디젤 모델은 유로 6 기준에 맞춰 H엔진 출력이 300마력에서 310마력으로 향상되었으며, 요소수 주입구가 추가되었다. 천연가스 모델의 변속기 단수 배열은 디젤 모델과 동일하게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R-2-4-5-3-1 형태로 변경되었다.
  • 2016년식부터 출입구 글라스 도트 컬러가 변경되고 두께가 두꺼워졌으며, 연료 주입구와 요소수 주입구에 각각 연료명과 요소수를 표기했다. 디젤 모델의 머플러는 돌출형에서 땅을 바라보는 숨김형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식부터 출입문 측 사이드미러에 LED 보조방향지시등이 추가되었고, 앞문/격벽 바로 뒤와 맨 뒷좌석 에어컨 루버 옆에 하차벨이 추가되었다. 에어컨 루버 색상은 검은색에서 아이보리색으로 변경되었고, 출입문 끼임 센서가 장착되었으며, 천연가스버스도 플라스틱 시트 옵션을 디젤버스와 동일하게 맨 뒷자리 5열로 통일했다. 로우백 플라스틱 시트가 기본 사양이 되었고, 노란색 노약자석과 분홍색 임산부석 시트가 추가되었다. 2017년 11월에는 도시형 차량 중 일반시트(일명 '''스폰지시트''')의 맨 뒷자리가 5열인 차량도 양 끝에 팔걸이가 추가된 2018년식이 출시되었고, 2018년 3월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개선형''' 모델이 출시된 이후에도 한동안 병행 생산되었다.[9]

2. 4. 3.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페이스리프트 / SE (2008년 7월~2018년 6월)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페이스리프트 (CNG)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페이스리프트 (디젤)


2008년 7월부터 2024년까지 생산된 차종으로, 기존 글로벌 900과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현대 유니버스의 앞모습처럼 페이스리프트되면서 이와 함께 기존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의 외형과 내장이 대폭 변경되었다. 기존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달리 루프 안테나가 적용됐으며, 앞바퀴 위 휠하우스에 좌석이 추가됐다. 2008년 3월 부산 국제 모터쇼에서 첫 선을 보였다. 차체는 [https://web.archive.org/web/20140517052557/http://djgmotors.com/ 대진정공]에서 제작, 현대자동차 전주공장으로 가져와 조립된다.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SE는 전후륜휠 10홀 10핀 형식이다. 전 차량에 CNG, 디젤 및 ZF/앨리슨제 버튼식 자동변속기가 기본으로 적용된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과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는 후륜쪽의 하체에서 차이가 있는데, 초저상 SE의 후륜쪽 하체는 일반 2계단 버스 기반의 제품을 사용했다.[10] 표준형은 25석이고 SE는 29석이었으나 SE 모델은 2010년 8월을 마지막으로 단종되었다.

  • 2009년 11월: 뒷면에 '''뉴 슈퍼 에어로시티''' 폰트가 생략되고, 좌측면 방열구가 추가된 2010년식이 선보였다.
  • 2010년 8월: SE 모델이 단종되었다.
  • 2010년 10월: 오디오는 테이프 타입에서 CD 타입으로 변경되면서 MP3 플레이어가 추가됐고, 콜부저 '''딩동''' 음향이 기본사양이 된 2011년식이 선보였다.
  • 2013년식: 우측면 오른쪽에서 2번째 승객석 창틀에 '''CNG''' 폰트가 무색 바탕/주황색 로고에서 백색 테두리를 두른 연두색 사각형 바탕/백색 로고로 변경됐다.
  • 2013년 11월: 콜부저 색상이 검은색에서 흰색으로 변경됐고, 천연가스버스 차량은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에서 다른 서체로 변경과 동시에 '''CNG 천연가스버스''' 폰트 크기도 약간 작아진 2014년식이 선보였다.
  • 2014년 1월: 출하된 차량부터 중문 이후의 바닥재가 완전한 저상버스의 형태로 개선됐으며, 외관상으로는 방열구 형태가 왼쪽은 분리형으로, 오른쪽은 후방 방열구 크기가 커졌다. 또한, 상부 가스통 커버 뒤쪽에 방열구가 추가됐다. Q-290 엔진은 유로6 규제에 대응한 엔진으로 세팅됐다.
  • 2015년식: 양쪽 측면에 차폭등이 대거 추가되었다.
  • 2016년식: 글라스 도트 컬러 변경 및 두께가 두꺼워졌다.
  • 2017년 2월: 생산분부터 중문에 장애인.임산부 픽토그램이 들어가며 플라스틱 시트 디자인도 로우백 형태가 기본 사양이 됐다. 또한 2017년 현대 트럭.버스 메가페어에서 디젤엔진과 수동변속기가 탑재된 저상버스가 공개됐고, 자동변속기 모델은 대천여객에서, 수동변속기 모델은 김천버스에서 최초로 출고했다. 운전석 대시보드의 경우 기존 안개등 자리에 스톱램프가 장착됐고 안개등은 우측으로 이동했다.

2. 5.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페이스리프트 고상형 (2018년 7월~2024년 1월) / 저상형(2018년 7월~현재)

2018년 7월부터 생산된 뉴 슈퍼 에어로시티의 2차 페이스리프트 모델이다. 흔히 F/L이라고 줄여 부른다.

2018년 3월 서울 소재 마을버스 업체에 시제차가 출고된 후, 2018년 7월부터 본격적으로 출고되었다. 전면부에 검은색 가니시가 추가되었고, 계기판 조명이 연두색에서 흰색으로, 내부 창틀은 검은색에서 베이지색으로 변경되었다. 전면부 로고는 ㅡㅇㅡ 모양에서 검은색 디자인으로 변경되었고, 후면부 'HYUNDAI' 마크 바탕에 검은 줄이 추가되었다. 저상버스 모델에는 측면 센서와 스포일러 옵션이 추가되었다. 하차벨 모양은 일렉시티와 같은 원형으로, 봉 색상은 회색으로 변경되었다. 단, 고상버스는 2018년 11월 출고분부터 밝은 회색 봉이 적용되었다. 외부 승/하차 감지센서 밑에는 노란색 비상밸브가, 저상버스 타는 문 바로 뒤 창문 구석에는 비상 밸브가 추가되었고, 이로 인해 저상버스 타는 문 바로 뒤 창문이 통유리로 변경되었다.[11]

2020년형은 블루투스 지원 2-Din 오디오로 변경되었고, 2020년 1월부터 중문 "손 대지 마시오" 회색 명판이 "손 대면 위험합니다." 흰색 종이로 변경되었다. 자가용/시외 직행형은 측면에 비상문이 추가되었다. 같은 해부터 저상 모델은 중문 뒤 유리 칸막이 높이가 다시 낮아졌고, 맨 앞자리 우측에 휠체어 고정장치 보관함이 생겼다. 휠체어 고정 장치는 수동형만 선택 가능하다.

2020년 2월부터 패찰에 제작월이 추가되었고, 하차벨 소리가 변경되었다. 2020년 5월부터 파워쉬프트와 숏 기어 레버가 기본 적용되었고, 롱 기어 레버는 마이너스 옵션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10월부터 저상 모델 중문 뒤 유리 칸막이 색이 검은색으로 변경되고 높이도 다시 높아졌다. 연말부터 하차벨 내부 램프가 7개에서 6개로 변경되었다.

2020년 DNKR 사(구 덴소풍성) 한정으로 저상형도 슬림형 에어컨 옵션이 추가되었다.

2021년 1월 저상 차량 리프트 제조사가 오텍에서 황성공업으로 바뀌었다. 2021년 2월 운전석 대쉬보드 출입문 스위치 사이 글씨와 화살표가 흰색으로 변경되었다. 고상 모델 CS시트(스펀지시트) 한정 왼쪽 6번째 자리 봉 위치가 오른쪽으로 변경되고 팔걸이가 생겼다.

2021년 12월 2022년식은 기본 손잡이가 연회색으로 변경되었고, 차량 정차 2초 후 중문이 열리도록 변경되었다. 저상 모델 한정 USB 포트가 탑재되었고, 디젤 사양이 단종됐다.

2023년 6월 이후 제작 버스부터 비상등, 방향 지시등 켤 때 사이드 마커 램프 점멸 기능이 추가되었다.

2023년 1월 19일 저상버스 출고 의무화 시행으로 2024년 1월부터 저상형을 제외한 고상버스는 단종되었고, 2024년 1월 3일 홈페이지에서 완전히 폐지되었다.[2]

3. 라인업


  • 에어로시티 / 슈퍼 에어로시티 / 뉴 슈퍼 에어로시티 ('''LF-B''')
  • * 시내버스 ('''LF-CB''')
  • ** '''LF-ECB''' : 도시표준형
  • ** '''LF-FCB''' : 시내좌석형
  • * 시외직행/자가용 ('''LF-AB''')
  • ** '''LF-GAB''' : 시외직행
  • ** '''LF-AAB''' : 자가용
  • 저상 슈퍼 에어로시티 /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SE ('''LF-E''')
  • * 시내버스 ('''LF-CE''')
  • ** '''LF-ECE''' : 표준형 (24석)

4. 엔진


  • C6AF: 기존 C6AC/E 모델에서 개량되어 유로6 환경규제에 대응하도록 설계된 엔진이다.
  • C6AE: 유니버스 CNG 모델에 장착되는 340마력 엔진을 290마력으로 개량한 엔진으로써 기존 C6AC 엔진을 대체한다. Q-290 엔진으로 알려져 있다.
  • C6AC: CNG 엔진으로 에어로 스페이스에 310마력으로 탑재되는 것을 290마력으로 개량한 엔진이다. 기존 C6AB (C-290) 엔진을 대체한다.
  • D6HA: H-300 엔진으로도 일컬어지는 현대자동차 최초의 독자 개발 상용 디젤 엔진 중 하나이다. 기존 D6AB (Q-280) 엔진을 대체하는 10리터급 300마력 엔진이다. 유로5 환경규제에 대응한다.
  • D6HC: D6HA 모델에서 개량되어 유로6 환경규제에 대응한다. H-310 엔진으로 알려져 있으며, 해당 엔진이 장착된 차량은 요소수 주입구가 추가되었다.

5. 미디어에서의 등장

참조

[1] 웹사이트 JK MOTORS PHILS. CORPORATION https://www.companie[...] 2023-05-06
[2] 뉴스 현대차, 내연기관 시내버스 안 만든다 https://v.daum.net/v[...] ET News 2024-01-02
[3] 문서 현 부여여객
[4] 문서 구 창진상운
[5] 문서 현재의 자일대우버스를 의미한다.
[6] 문서 그러나 대우 저상버스는 초기형부터 휠하우스 위에 좌석을 설치했다.
[7] 문서 BS106 Royal City보다 조금 긴 대우 초저상에 비해 현대 초저상은 일반 슈퍼 에어로시티와 길이가 동일하다.
[8] 문서 인천에서는 천연가스버스 폰트가 굵은 센츄리고딕으로 출고한 경우가 있다.
[9] 문서 자세히 설명하자면 2017년 11월에 선보인 2018년식은 '개선형 이전 2018년식'이고, 2018년 3월에 선보인 2018년식은 '개선형 이후 2018년식'이다. 참고로 '개선형 이전 2018년식'은 2018년 3월 페이스리프트 모델인 '개선형 이후 2018년식'이 선보인 이후에도 한동안 병행생산되다가 같은 해 6월을 끝으로 단종됐다.
[10] 문서 자사에서 생산하는 현대 유니버스의 차축을 사용했다고 한다.
[11] 문서 좌측 지시등 켤 때는 좌측면만, 우측 지시등은 우측면의 마커 램프만 점멸되며 비상등은 양방향으로 동시에 점멸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