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과학신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현대과학신서는 1973년부터 1978년까지 출간된 과학 서적 시리즈를 의미한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서지 사항을 참고하여 책 이름, 저자, 역자, 출간 연도 순으로 목록이 정리되어 있으며, 물리학, 천문학, 화학, 생물학, 과학사, 과학 일반, 수학 등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다. 각 연도별로 출간된 서적 목록과 함께 관련 분야가 제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고 - 대하소설
대하소설은 20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된 소설 형식으로, 로맹 롤랑의 《장 크리스토프》에서 유래되었으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토지》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 문고 - 장 크리스토프
독일 라인 강가에서 태어난 궁정 음악가의 아들인 장 크리스토프는 음악적 재능을 타고난 주인공이 작곡가로서 성장하며 겪는 고뇌, 프랑스 망명 후 친구를 만나 예술적 영감을 얻는 과정, 그리고 성공, 사랑, 우정,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로맹 롤랑의 장편 소설이다. - 총서 - 대하소설
대하소설은 20세기 프랑스에서 시작된 소설 형식으로, 로맹 롤랑의 《장 크리스토프》에서 유래되었으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토지》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 총서 - 스페이스 오디세이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아서 C. 클라크의 소설과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영화를 시작으로, 인류의 기원과 진화, 인공지능, 우주 탐험을 형이상학적으로 다루는 과학 소설 시리즈이다.
| 현대과학신서 | |
|---|---|
| 기본 정보 | |
| 분류 | 과학 교양 도서 |
| 언어 | 한국어 |
| 출판 | 박문출판사 을유문화사 |
| 최초 출판일 | 1973년 6월 18일 |
| 상세 정보 | |
| 특징 | 국내 최초 과학 교양서 시리즈 |
| 내용 | 현대 과학의 다양한 분야를 다룸 일반 대중을 위한 과학 지식 보급 |
| 시리즈 종류 | 전문 시리즈 문고 |
| 시리즈 권수 | 100권 돌파 (1985년 기준) |
2. 1973년
1973년은 과학 분야에서 다양한 서적들이 출간된 해이다. 물리학, 천문학, 생물학, 화학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발견과 이론을 다룬 책들이 출판되어 대중들에게 과학 지식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 제목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宇宙·物質·生命》 | 권영대·이길상·이민재·정창희·송상용 외 | 1973년 | |
| 《現代科學과 現代人》 | 코넌트 | 이민영 외 | 1973년 |
| 《수학의 弱点》 | 김용운 | 1973년 | |
| 《科學史의 뒷얘기 Ⅰ》 | 썻클리프 | 박택규 | 1973년 |
| 《二重螺旋》 | 왓슨 | 하두봉 | 1973년 |
| 《뀌리부인》 | 마쯔오까 | 권동숙 | 1973년 |
| 《중력》 | 조지 가모브 | 1973년 | |
| 《아이적 뉴튼》 | 앤드레이드 | 고윤석 | 1973년 |
| 《태양은 갈수록 뜨거워진다》 | 박동현 | 1973년 | |
| 《우주의 創造》 | 조지 가모브 | 현정준 | 1973년 |
| 《아폴로博士의 科學遍歷》 | 조경철 | 1973년 | |
| 《물리학이란 무엇인가?》 | 바이츠재커 외 | 문인형 | 1973년 |
| 《라더퍼드와 원자의 본질》 | 앤드레이드 | 안운선 | 1973년 |
| 《現代물리학入門》 | 이노끼 | 한명수 | 1973년 |
| 《未知의 世界로의 旅行》 | 조지 가모브 | 정문규 | 1973년 |
| 《과학자의 어록》 | 오소백 | 1973년 | |
| 《과학사의 뒷얘기 Ⅱ》 | 썻클리프 | 정연태 | 1973년 |
| 《창조공학》 | 유가외 | 강신후 | 1973년 |
| 《과학자의 길》 | 현원복 | 1973년 | |
| 《과학사의 뒷얘기 Ⅲ》 | 썻클리프 | 이병훈 | 1973년 |
| 《과학사의 뒷얘기 Ⅳ》 | 썻클리프 | 신효선 | 1973년 |
| 《韓國植物의 生態》 | 김준민 | 1973년 | |
| Pasteur and Modern Science영어 | 튜보스 | 주충노 | 1973년 |
2. 1. 물리학 및 천문학
| 제목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중력》 | 조지 가모브 | 1973년 | |
| 《아이적 뉴튼》 | 앤드레이드 | 고윤석 | 1973년 |
| 《태양은 갈수록 뜨거워진다》 | 박동현 | 1973년 | |
| 《우주의 創造》 | 조지 가모브 | 현정준 | 1973년 |
| 《아폴로博士의 科學遍歷》 | 조경철 | 1973년 | |
| 《물리학이란 무엇인가?》 | 바이츠재커 외 | 문인형 | 1973년 |
| 《라더퍼드와 원자의 본질》 | 앤드레이드 | 안운선 | 1973년 |
| 《現代물리학入門》 | 이노끼 | 한명수 | 1973년 |
| 《未知의 世界로의 旅行》 | 조지 가모브 | 정문규 | 1973년 |
2. 2. 화학 및 생물학
- The Double Helix영어, 제임스 왓슨 저, 하두봉 역, 1973년
- キュリー夫人일본어, 마쯔오까 저, 권동숙 역, 1973년
- 《韓國植物의 生態》, 김준민 저, 1973년
- Pasteur and Modern Science영어, 튜보스 저, 주충노 역, 1973년
- 《우주,물질,生命》, 권영대·이길상·이민재·정창희·송상용 외저, 1973년
2. 3. 과학사 및 과학 일반
| 제목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과학자의 어록》 | 오소백 | 1973년 | |
| 《과학사의 뒷얘기 Ⅱ》 | 썻클리프 | 정연태 | 1973년 |
| 《창조공학》 | 유가외 | 강신후 | 1973년 |
| 《과학자의 길》 | 현원복 | 1973년 | |
| 《과학사의 뒷얘기 Ⅲ》 | 썻클리프 | 이병훈 | 1973년 |
| 《과학사의 뒷얘기 Ⅳ》 | 썻클리프 | 신효선 | 1973년 |
2. 4. 수학
김용운 저, 《數學의 弱点》, 1973년3. 1974년
1974년은 현대과학신서에서 다양한 분야의 과학 서적이 출간된 해이다.
| 제목 | 저자 | 역자 | 분야 |
|---|---|---|---|
| 바다의 科學 | 이종화 | 지구과학 | |
| 생물학사 | 떼오도리데스 | 이병훈 | 화학, 생물학 |
| 잃어버린 章 | 전상운 | 과학사 | |
| 중성자 이야기 | 휴즈 | 김영덕 | 기타 |
| 中國의 科學文明 | 야부우찌 기요시 | 전상운 | 과학사 |
| 近代科學의 起源 | 허버트 버터필드 | 차하순 | 과학사 |
| 화학에의 초대 | 사끼가와 | 박면용 | 화학, 생물학 |
| 생명의 기원 | 오글 | 소현수 | 화학, 생물학 |
| 天才의 정신병理 | 이이다 외 | 김현수 | 기타 |
| 세계를 바꾸는 현대 물리학 | 후루다 외 | 윤세영 | 기타 |
| 자석 이야기 | 비터 | 지창열 | 물리학, 천문학 |
| 地球의 科學 Ⅰ | 다께우찌 외 | 원종관 | 지구과학 |
| 레이저와 홀러그러피 | 칵 | 이상수 | 물리학, 천문학 |
| 물리학을 뒤흔든 30년 | 조지 가모브 | 김정흠 | 물리학, 천문학 |
| 環境汚染과 植物 | 차종환 | 지구과학 | |
| 量子力學的 世界像 | 도모나가 | 권용래 | 물리학, 천문학 |
- 물리학 및 천문학: 레이저와 홀러그래피, 자석 이야기 등
- 화학 및 생물학: 생물학사, 화학에의 초대 등
- 지구과학: 바다의 科學, 지구의 과학, 환경오염과 식물
- 과학사: 전상운의 《잃어버린 章》, 야부우찌 기요시의 《中國의 科學文明》, 허버트 버터필드의 《近代科學의 起源》
- 기타: 중성자 이야기, 천재의 정신병리, 세계를 바꾸는 현대 물리학
3. 1. 물리학 및 천문학
- 《레이저와 홀러그러피》 (칵 저, 이상수 역, 1974년)
- 《물리학을 뒤흔든 30년》 (조지 가모브 저, 김정흠 역, 1974년)
- 《양자역학적 세계상》 (도모나가 저, 권용래 역, 1974년)
- 《자석 이야기》 (비터 저, 지창열 역, 1974년)
3. 2. 지구과학
- 《바다의 科學》 (이종화 저, 1974년)
- 《地球의 科學 Ⅰ》 (다께우찌 외저, 원종관 역, 1974년)
- 《環境汚染과 植物》 (차종환 저, 1974년)
3. 3. 화학 및 생물학
- 《생물학사》, 떼오도리데스 저, 이병훈 역, 1974년
- 《화학에의 초대》, 사끼가와 저, 박면용 역, 1974년
- 《생명의 기원》, 오글 저, 소현수 역, 1974년
3. 4. 과학사
전상운의 《잃어버린 章》, 야부우찌 기요시의 《中國의 科學文明》, 허버트 버터필드의 《近代科學의 起源》이 있다.3. 5. 기타
4. 1975년
1975년에는 과학 분야의 다양한 서적들이 출간되었다. 신응균의 《연구개발관리(硏究開發管理)》, 심봉섭의 《과학논문작성법(科學論文作成法)》, 김용운의 《셈과 사람과 컴퓨터》, 《공간의 역사》가 출간되었다. 요시다 미쓰쿠니(吉田光邦)의 《연금술(鍊金術)》, 나카야마 시게루(中山茂)의 《점성술(占星術)》이 번역되어 출간되었다.[1]
| 제목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연구개발관리(硏究開發管理)》 | 신응균 | 1975년 | |
| 《방사선과 농업》 | 김길환 외 | 1975년 | |
| 《셈과 사람과 컴퓨터》 | 김용운 | 1975년 | |
| 《근대물리학의 탄생》 | 코언 | 이철주 | 1975년 |
| 《점성술(占星術)》 | 나카야마 시게루(中山茂) | 이은성 | 1975년 |
| 《연금술(鍊金術)》 | 요시다 미쓰쿠니(吉田光邦) | 오진곤 | 1975년 |
| 《미국문명과 기계》 | 벌링게임 | 홍영백 | 1975년 |
| 《분자생물학입문 Ⅰ》 | 김은수 | 1975년 | |
| 《양자생물학》 | 오오끼 | 강만식 | 1975년 |
| 《동물의 형태형성》 | 김창환 | 1975년 | |
| 《인류와 자원》 | 이시미쯔 | 심상칠 | 1975년 |
| 《공간의 역사》 | 김용운 | 1975년 | |
| 《과학논문작성법(科學論文作成法)》 | 심봉섭 | 1975년 | |
| 《생태학이란 무엇인가?》 | 뀌쟁 | 이병훈 | 1975년 |
4. 1. 물리학
| 제목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重力》 | 조지 가모브 | 1973년 | |
| 《아이적 뉴튼》 | 앤드레이드 | 고윤석 | 1973년 |
| 《물리학이란 무엇인가?》 | 바이츠재커 외 | 문인형 | 1973년 |
| 《라더퍼드와 원자의 본질》 | 앤드레이드 | 안운선 | 1973년 |
| 《현대물리학입문》 | 이노끼 | 한명수 | 1973년 |
| 《미지의 세계로의 여행》 | 조지 가모브 | 정문규 | 1973년 |
| 《세계를 바꾸는 현대물리학》 | 후루다 외 | 윤세영 | 1974년 |
| 《자석 이야기》 | 비터 | 지창열 | 1974년 |
| 《레이저와 홀러그러피》 | 칵 | 이상수 | 1974년 |
| 《물리학을 뒤흔든 30년》 | 조지 가모브 | 김정흠 | 1974년 |
| 《양자역학적 세계상》 | 도모나가 | 권용래 | 1974년 |
| 《근대물리학의 탄생》 | 코언 | 이철주 | 1975년 |
| 《레이저 이야기》 | 캐럴 | 이상수 | 1976년 |
| 《아인슈타인 Ⅰ》, 《아인슈타인 Ⅱ》 | 번스틴 | 장회익 | 1976년 |
| 《4차원의 세계》 | 쯔즈끼 | 김명수 | 1976년 |
| 《음파와 광파》 | 칵 | 이상수 | 1977년 |
|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 조지 가모브 | 윤홍식 | 1978년 |
| 《재미있는 물리학 Ⅰ》, 《재미있는 물리학 Ⅱ》 | 후지가와 | 송인명 외 | 1978년 |
4. 2. 화학 및 생물학
- 《분자생물학입문 Ⅰ》 (김은수 저, 1975년)
- 《동물의 형태형성》 (김창환 저, 1975년)
- 《생태학이란 무엇인가?》 (뀌쟁 저, 이병훈 역, 1975년)
4. 3. 과학사 및 과학 일반
요시다 미쓰쿠니(吉田光邦)의 《연금술(鍊金術)》, 신응균의 《연구개발관리(硏究開發管理)》, 심봉섭의 《과학논문작성법(科學論文作成法)》이 1975년에 출간되었다.[1]4. 4. 수학
김용운의 《공간의 역사》(1975년)가 있다.4. 5. 기타
| 제목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인류와 자원》 | 이시미쯔 | 심상칠 | 1975년 |
| 《라디오·텔레비전의 사회학》 | 까즈뇌브 | 심상필 외 | 1976년 |
| 《방사선과 농업》 | 김길환 외 | 1975년 |
5. 1976년
1976년에 출간된 과학 서적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분야 | 제목 | 저자 | 역자 | 출판 연도 |
|---|---|---|---|---|
| 물리학 | 《라디오·텔레비전의 社會學》 | 까즈뇌브 | 심상필 외 | 1976년 |
| 물리학 | 《레이저 이야기》[2] | 캐럴 | 이상수 | 1976년 |
| 생물학 | 《바이러스의 世界》 | 김우호 | 1976년 | |
| 물리학 | 《아인슈타인 Ⅰ》 | 번스틴 | 장회익 | 1976년 |
| 물리학 | 《아인슈타인 Ⅱ》 | 번스틴 | 장회익 | 1976년 |
| 생태학 | 《生存을 위한 自然保存》 | 커리·린달 | 엄규백 | 1976년 |
| 심리학 | 《人間의 行動은 고쳐질 수 있는가?》 | 비취 | 이현수 | 1976년 |
| 동물학 | 《박쥐 Ⅰ》 | 앨른 | 오영근 | 1976년 |
| 유전학 | 《유전의 本質》 | 정용재 | 1976년 | |
| 물리학 | 《4차원의 世界》 | 쯔즈끼 | 김명수 | 1976년 |
| 생물학 | 《생물전기》 | 조동현 | 1976년 | |
| 화학, 환경 | 《우리가 먹는 化學物質》[1] | 비나드 | 박택규 | 1976년 |
| 수리학 | 《물》 | 데이비스 외 | 소현수 | 1976년 |
| 해양학 | 《潮汐》 | 클랜시 | 정종율 | 1976년 |
| 과학철학 | 《科學하는 心像》 | 권영대 | 1976년 | |
| 수학사 | 《중국의 數學》 | 야부우찌 | 박세희 | 1976년 |
5. 1. 물리학
- 《아인슈타인 Ⅰ》 (번스틴 저, 장회익 역, 1976년)
- 《아인슈타인 Ⅱ》 (번스틴 저, 장회익 역, 1976년)
- 《4次元의 世界》 (쯔즈끼 저, 김명수 역, 1976년)
5. 2. 생물학
| 제목 | 저자 | 출판 연도 |
|---|---|---|
| 바이러스의 세계 | 김우호 | 1976년 |
| 유전의 본질 | 정용재 | 1976년 |
| 박쥐 Ⅰ | 앨른 | 1976년 |
| 생물전기 | 조동현 | 1976년 |
5. 3. 기타
6. 1977년
1977년에 출간된 과학 서적들은 다음과 같다.
| 분야 | 제목 | 저자 | 역자 | 비고 |
|---|---|---|---|---|
| 과학 일반 | 《종교와 과학》 | Russell, B.|러셀영어 | 송상용 외 | |
| 과학 일반 | 《과학과 매스 미디어》 | 현원복 | ||
| 과학 일반 | 《내일의 과학》 | 古田|후루다일본어 | 박동준 | |
| 과학 일반 | 《과학상위시대》 | 박익수 | ||
| 지구과학 | 《대륙은 살아 있다》 | 다께우찌 | 원종관 | |
| 지구과학 | 《운석과 행성의 기원》 | 우드 | 이대성 외 | |
| 의학 | 《비타민 C와 감기》 | 폴링 | 조학래 | |
| 의학 | 《약의 효용》 | 사꾸마 | 손동헌 | |
| 의학 | 《한국병리학사》 | 김영제 | ||
| 기타 | 《지도의 역사》 | 홍시환 | ||
| 기타 | 《원자가족(上)》 | 페르미 | 양희선 | |
| 기타 | 《에너지와 動力》 | 스타 외 | 이일구 | |
| 기타 | 《우리가 처음은 아니다》 | 토머스 | 이길상 | |
| 기타 | 《제3의 산업혁명》 | 스타인 | 소현수 | |
| 기타 | 《박쥐 Ⅱ》 | 앨른 | 오영근 | |
| 기타 | 《살아 남기 위한 자연보호》 | 손치무 외 | ||
| 기타 | 《원자가족(下)》 | 페르미 | 양희선 | |
| 기타 | 《바이오닉스》 | 윤실 | ||
| 기타 | 《現代産業工學 Ⅰ》 | 후루다 | 성환태 | |
| 기타 | 《現代産業工學 Ⅱ》 | 후루다 | 성환태 | |
| 기타 | 《음파와 광파》 | 칵 | 이상수 |
6. 1. 과학 일반
Russell, B.|러셀영어의 《종교와 과학》, 현원복의 《과학과 매스 미디어》, 박익수의 《과학상위시대》, 古田|후루다일본어의 《내일의 과학》 등이 있다.6. 2. 지구과학
| 제목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지구의 과학 Ⅰ》 | 다께우찌 외 | 원종관 | 1974년 |
| 《바다의 과학》 | 이종화 | 1974년 | |
| 《대륙은 살아 있다》 | 다께우찌 | 원종관 | 1977년 |
| 《운석과 행성의 기원》 | 우드 | 이대성 외 | 1977년 |
6. 3. 의학
- 《비타민 C와 감기》(폴링 저, 조학래 역, 1977년)
- 《약의 효용》(사꾸마 저, 손동헌 역, 1977년)
- 《한국병리학사》(김영제 저, 1977년)
6. 4. 기타
- 《지도의 역사》 (홍시환 편저, 1977년)
- 《원자가족(上)》 (페르미 저, 양희선 역, 1977년)
- 《에너지와 動力》 (스타 외저, 이일구 역, 1977년)
- 《우리가 처음은 아니다》 (토머스 저, 이길상 역, 1977년)
- 《제3의 산업혁명》 (스타인 저, 소현수 역, 1977년)
- 《박쥐 Ⅱ》 (앨른 저, 오영근 역, 1977년)
- 《살아 남기 위한 자연보호》 (손치무 외저, 1977년)
- 《원자가족(下)》 (페르미 저, 양희선 역, 1977년)
- 《隕石과 行星의 起源》 (우드 저, 이대성 외저)
- 《바이오닉스》 (윤실 저, 1977년)
- 《現代産業工學 Ⅰ》 (후루다 저, 성환태 역, 1977년)
- 《現代産業工學 Ⅱ》 (후루다 저, 성환태 역, 1977년)
- 《음파와 광파》 (칵 저, 이상수 역, 1977년)
7. 1978년
1978년은 현대과학신서에서 여러 과학 서적이 출간된 해이다. 주요 서적은 다음과 같다.
- 조지 가모브의 《태양이라는 이름의 별》 (윤홍식 역)
- 현정준의 《별·은하·우주》
- 오진곤의 《서양과학사》
- 이은성의 《한국의 책력(상)》, 《한국의 책력(하)》
- 강석영의 《위의 탐험가》, 《불가사리의 수수께끼》
- 후지가와의 《재미 있는 물리학》 Ⅰ,Ⅱ (송인명 외 역)
- 최무장의 《중국의 고고학》[1]
7. 1. 천문학
조지 가모브의 《George Gamow|조지 가모브|영어》(윤홍식 역, 1978년)과 현정준의 《별·銀河·宇宙》(1978년)가 있다.[1]7. 2. 과학사
| 책 이름 | 저자 | 역자 | 출간 연도 |
|---|---|---|---|
| 《과학사의 뒷얘기 Ⅰ》 | 썻클리프 | 박택규 | 1973년 |
| 《과학사의 뒷얘기 Ⅱ》 | 썻클리프 | 정연태 | 1973년 |
| 《과학사의 뒷얘기 Ⅲ》 | 썻클리프 | 이병훈 외 | 1973년 |
| 《과학사의 뒷얘기 Ⅳ》 | 썻클리프 | 신효선 | 1973년 |
| 《생물학사》 | 떼오도리데스 | 이병훈 | 1974년 |
| 《잃어버린 章》 | 전상운 | 1974년 | |
| 《중국의 과학문명》 | 야부우찌 | 전상운 | 1974년 |
| 《근대과학의 기원》 | 바터필드 | 차하순 | 1974년 |
| 《점성술》 | 나까야마 | 이은성 | 1975년 |
| 《연금술》 | 요시다 | 오진곤 | 1975년 |
| 《미국문명과 기계》 | 벌링게임 | 홍영백 | 1975년 |
| 《공간의 역사》 | 김용운 | 1975년 | |
| 《생태학이란 무엇인가?》 | 뀌쟁 | 이병훈 | 1975년 |
| 《지도의 역사》 | 홍시환 | 1977년 | |
| 《종교와 과학》 | 라쓸 | 송상용 외 | 1977년 |
| 《중국의 수학》 | 야부우찌 | 박세희 | 1976년 |
| 《한국병리학사》 | 김영제 | 1977년 | |
| 《서양과학사》 | 오진곤 | 1978년 | |
| 《한국의 책력(상)》 | 이은성 | 1978년 | |
| 《한국의 책력(하)》 | 이은성 | 1978년 | |
| 《중국의 고고학》 | 최무장 | 1978년 |
7. 3. 기타
- 《한국의 책력 (상)》, 이은성 저, 1978년
- 《한국의 책력 (하)》, 이은성 저, 1978년
- 《위의 탐험가》, 강석영 저, 1978년
- 《불가사리의 수수께끼》, 강석영 저, 1978년
- 《재미 있는 물리학 Ⅰ》, 후지가와 저, 송인명 외역, 1978년
- 《재미 있는 물리학 Ⅱ》, 후지가와 저, 송인명 외역, 1978년
참조
[1]
뉴스
국내 처음 科學敎養書 「現代科學新書」 출간
동아일보
1973-06-18
[2]
뉴스
專門시리즈 文庫 100券 돌파도
동아일보
1985-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