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밀은 벼과에 속하는 곡물로, 주로 씨앗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빵, 술 등의 재료로 활용된다. 소아시아가 원산지로 추정되며, 밀과 유사한 환경에서 재배된다. 호밀은 추운 기후와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과거에는 유럽에서 중요한 식량이었으나, 밀 생산량 증가로 중요성이 감소했다. 최근에는 건강식품으로 재평가되어 재배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주요 생산국은 독일, 폴란드, 러시아 등이다. 호밀은 식용 외에도 사료, 녹비, 위스키, 보드카 등의 제조에 사용되며, 한국에서는 주로 사료나 녹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리족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보리족 - 개밀
개밀은 벼과 에조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며 보랏빛 꽃이 피고, 푸른개밀과 유사하나 흰색을 띠며 건조 시 까끄라기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곡류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 곡류 - 수수
수수는 아프리카 원산의 벼과 한해살이 식물로,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식량 및 사료 작물로 재배되며, 건조에 강하고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일부 종에는 유해 성분이 함유될 수 있다. - 화본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화본식물 - 벼
벼는 벼과에 속하는 중요한 식량 작물로, 자포니카, 인디카, 자바니카의 세 가지 아종으로 분류되며, 볍씨 선별, 비료 사용, 수확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호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학명 | Secale cereale L. |
속 | 라이무기속 Secale |
종 | 라이무기 S. cereale |
영어 이름 | rye |
독일어 이름 | 로겐볼프 |
독일어 이름 2 | 펠트가이스트 |
동의어 | Secale fragile M.Bieb. |
분류 | |
계 | 식물계 Plantae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미분류 목 | 닭의장풀군 |
목 | 벼목 Poales |
과 | 벼과 Poaceae |
영양 정보 (100g 당) | |
열량 | 1414 kJ |
단백질 | 10.34 g |
물 | 10.6 g |
지방 | 1.63 g |
탄수화물 | 75.86 g |
섬유질 | 15.1 g |
당류 | 0.98 g |
칼슘 | 24 mg |
철분 | 3 mg |
마그네슘 | 110 mg |
인 | 332 mg |
칼륨 | 510 mg |
나트륨 | 2 mg |
아연 | 3 mg |
망간 | 3 mg |
티아민 | 0.3 mg |
리보플라빈 | 0.3 mg |
니아신 | 4 mg |
판토텐산 | 1 mg |
비타민 B6 | 0.3 mg |
엽산 | 38 µg |
콜린 | 30 mg |
비타민 E | 1 mg |
비타민 K | 6 µg |
셀레늄 | 14 µg |
참고 | USDA 데이터베이스 항목 링크 |
영양 정보 (전립분, 100g 당) | |
열량 | 1397 kJ |
물 | 12.5 g |
단백질 | 12.7 g |
지방 | 2.7 g |
포화 지방 | 0.40 g |
단일 불포화 지방 | 0.31 g |
다중 불포화 지방 | 1.19 g |
탄수화물 | 70.7 g |
전분 | 61.2 g |
수용성 식이 섬유 | 3.2 g |
불용성 식이 섬유 | 10.1 g |
총 섬유질 | 13.3 g |
나트륨 | 1 mg |
칼륨 | 400 mg |
칼슘 | 31 mg |
마그네슘 | 100 mg |
인 | 290 mg |
철 | 3.5 mg |
아연 | 3.5 mg |
구리 | 0.44 mg |
망간 | 2.15 mg |
셀레늄 | 2 µg |
비타민 E | 1.0 mg |
티아민 | 0.47 mg |
리보플라빈 | 0.20 mg |
니아신 | 1.7 mg |
비타민 B6 | 0.22 mg |
엽산 | 65 µg |
판토텐산 | 0.87 mg |
비오틴 (B₇) | 9.5 µg |
참고 | 비타민 E는 α-토코페롤만 표시 일본인의 식사 섭취 기준(2015년판) |
참고 2 | 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 2015년판(7차 개정) |
이미지 | |
![]() | |
![]() |
2. 역사
호밀은 밀족(Triticeae)에 속하며, 보리 및 밀과 같은 곡물들을 포함한다.[1] 속명 'Secale'은 "호밀"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segale' 및 프랑스어 'seigle'과 관련이 있으며 유래는 알 수 없지만 발칸 언어에서 파생되었을 수 있다. 영어 이름 'rye'는 네덜란드어 'rogge', 독일어 'Roggen', 러시아어 'rozh'와 관련된 고대 영어 'ryge'에서 유래되었으며 모두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호밀은 레반트, 터키 중부 및 동부와 인근 지역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여러 곡물 중 하나이다. 시리아 북부 유프라테스강 계곡의 텔 아부 후레이라 상석기 시대 유적지에서 발견된 증거에 따르면 호밀은 약 13,000년 전에 체계적으로 재배된 최초의 곡물 중 하나였으나, 이 주장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비평가들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의 불일치와 왕겨가 아닌 곡물만을 기준으로 식별하는 점을 지적한다.
호밀은 소아시아에서 서쪽으로 2차 작물로 가져왔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호밀이 바빌로프 의태의 결과로 밀에 약간 섞여 있다가 나중에 자체적으로 재배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곡물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는 라인강과 도나우강을 따라 있는 로마 시대와 아일랜드와 영국에서 발견되었다. 로마의 박물학자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는 호밀에 대해 "매우 형편없는 음식이며 기아를 예방하는 데만 도움이 될 뿐이다"라고 썼으며, "쓴 맛을 완화하기 위해 철자를 섞었고, 심지어 위장에 가장 불쾌하다"고 덧붙였다.
2. 1. 기원 및 재배화
호밀은 레반트, 터키 중부 및 동부와 인근 지역에서 야생으로 자라는 여러 곡물 중 하나이다. 벼과 밀속(Triticeae)에 속하며, 보리(Hordeum) 및 밀(Triticum)과 같은 다른 곡물들을 포함한다.[1] 원산지는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코카서스 지역으로 추정되며,[70] 밀이나 보리의 원산지보다 약간 더 북쪽 지역이다.
북부 시리아의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 있는 에피팔레올리틱 유적지 텔 아부 후레이라에서 발견된 증거는 호밀이 약 1만 3천 년 전에 체계적으로 재배된 최초의 곡물 작물 중 하나였음을 시사한다.[4] 그러나 이 주장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비판자들은 방사성탄소 연대 측정의 불일치와 겨가 아닌 곡물만을 기반으로 한 식별에 주목한다.[5]
재배된 호밀은 소아시아(현재 터키)의 여러 신석기 시대 유적지, 예를 들어 차탈회유크 근처의 선토기 신석기 시대 B기 칸 하산 III에서 소량 발견되었지만,[6][7] 기원전 1800~1500년경 중부 유럽의 청동기 시대까지는 고고학적 기록에서 나타나지 않는다.[8]
호밀은 소아시아에서 2차 작물로 서쪽으로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는 바빌로프 모방의 결과로 밀에 소량 혼합되어 있었고, 나중에 독자적으로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9] 원래 밀밭의 잡초였던 것이, 밀과 비슷한 모습의 개체가 제초를 면하고 번식하면서, 더 밀과 비슷한 모습으로 진화(인위선택에 의한 바빌로프형 의태)했다.[71] 더욱이 환경이 열악한 밭에서는 밀이 사라지고 호밀이 남아 곡물로 이용되게 되었다.[71]
귀리와 함께, 원래 작물의 재배 과정에서 재배화된 식물로서 "이차 작물"이라고 불린다.[71][72] 밀밭에서는 강세 잡초이며, 밀의 생육 조건이 나쁜 밭에서는 밀을 제치고 호밀이 주가 되는 밭이 보인다.
원래 야생종 호밀은 종자가 탈락하는 유형만 있었지만, 밀밭에서 잡초화된 시점에서 반탈락성화하고, 더 나아가 재배화 과정에서 다른 곡물과 마찬가지로 비탈락성을 얻게 되었고, 이로 인해 곡물로서의 유용성은 급상승했다. 호밀이 재배화된 것은 기원전 3000년경 코카서스에서 투르키스탄에 걸쳐서로 생각된다.[73]
2. 2. 주요 곡물로의 발전
로마 제국에서는 빈민들이 먹는 작물이었기 때문에 한때 호밀 재배가 급감했다. 하지만 로마 제국의 북부에서는 밀의 생육 조건이 나빠 밀밭을 호밀이 덮어버리는 경우가 빈번했고, 2세기 무렵에는 호밀을 주목적으로 재배하게 되었다.[74] 밀보다 산성 토양에 강하고 건조하거나 추운 기후에도 견디기 때문에 스칸디나비아반도, 독일, 동유럽 등에서는 주요 곡물로 재배되었다. 중세에는 보리를 대신하여 밀 다음으로 제2의 곡물로서 지위를 확립했다.[75] 16세기 말부터는 해운의 개선과 도시 인구 증가에 따라 발트해 연안의 호밀이 수출용 작물로서 활발하게 재배되기 시작했고, 특히 폴란드 왕국의 대곡창 지대를 배후지로 하는 단치히의 호밀 거래가 급증했다. 총 수출의 약 70%를 차지한 단치히를 비롯하여 리가, 쾨니히스베르크 등의 발트해 여러 항구에서 호밀이 활발하게 수출되었고, 1562년부터 1657년까지 106년간의 연평균 수출량은 8.6만ton에 달했다.[76] 이 호밀 거래의 활황은 폴란드 왕국의 경제를 활성화시켜 폴란드의 황금기를 경제적으로 뒷받침했다. 한편, 맥각균 중독(아래에서 자세히 설명)이 중세에 대유행하여 591년부터 1789년 사이에 132회의 유행을 보였다.2. 3. 수요 감소와 재평가
18세기부터 농업혁명과 토지 둘러싸기 운동으로 밀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호밀의 중요성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영국의 밀 수출이 급증하면서 맛이 덜한 호밀의 수출은 급감했다. 발트해에서 호밀 수출량은 17세기 전반 50년 평균 13.2만 톤, 후반 50년 평균 11.2만 톤이었으나, 18세기 전반 50년에는 6.4만 톤으로 절반 미만으로 줄었다.[79]19세기까지 빵용 곡물로 밀보다 많이 사용되었지만, 밀빵이 맛 등에서 고급으로 여겨졌고, 밀 수확량 증가와 함께 호밀의 중요성은 더욱 낮아졌다. 독일에서는 1850년 이후 호밀 공급량이 연간 1인당 60~80kg 정도로 정체되었고, 1900년경에는 60kg 정도였으나, 밀 공급량과 거의 같아졌다. 1850년 밀 공급량은 호밀의 절반인 약 30kg에 불과했으나, 경제 성장과 생산 확대로 밀 공급량이 급증하면서 호밀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졌다. 1940년경까지 밀과 호밀 공급량이 거의 같았지만, 1950년에 역전되어 호밀 공급량은 1인당 약 30kg으로 밀의 절반이 되었다. 이후에도 호밀 공급량은 계속 급감했다.[80]
최근에는 호밀가루가 밀가루보다 비타민 B군과 식이섬유가 많아 건강식품으로 재평가되어 유럽 전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그러나 19세기 이후 밀 재배 면적이 확대되면서 호밀 재배 면적과 재배량은 모두 크게 감소했고, 현대에도 여전히 감소 추세이다. 생산량이 적어 흉작 시 가격이 급등하기도 하며, 밀빵보다 호밀빵이 더 비싸게 거래되는 경우도 있다. 과거 서민의 주식이었으나 맛과 식감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생산이 감소했지만, 현재는 영양가가 높다는 점이 재평가되어 현미와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다.
3. 형태
호밀은 씨앗을 얻기 위해 재배하는 키 큰 풀이며, 일년생 또는 이년생일 수 있다. 환경 조건과 품종에 따라 높이가 1~3m에 이른다. 잎은 청록색이며 길고 뾰족하다. 씨앗은 약 7~15cm 길이의 굽은 이삭에 들어 있다. 이삭은 여러 개의 소수(작은 이삭)로 구성되며, 각 소수에는 두 개의 작은 꽃이 들어 있다. 소수는 이삭을 따라 좌우로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13]
뿌리가 잘 발달하며, 지상부 높이는 1.5m~1.8m이고, 3m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풍매화이다. 호밀은 밀이나 보리와 달리 타가수정 식물이며, 자가수정하는 경우 수확량이 현저히 떨어진다.[83]
밀과는 근연종이며, 교배도 가능하다. 하지만 호밀의 꽃가루를 밀의 암술에 수분시키는 경우에만 가능하며, 반대의 경우는 열매가 맺히지 않는다.[83] 밀과의 인위적인 교배종을 라이밀(트리티케일)이라고 한다.
4. 재배
호밀은 주로 가을에 파종하여 여름에 수확하는 겨울 작물이지만, 봄 파종 품종도 있다. 발아 온도가 1℃~2℃로 낮고 내한성이 강하여 밀이 생육할 수 없는 한랭지에서도 재배 가능하다. 사질토, 이탄지, 강산성 및 알칼리성 토양 등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85] 그러나 뿌리가 깊게 뻗어 지력을 소모하기 쉽고 흡비성이 높기 때문에 점토질 토양에서는 생육하기 어렵다.
호밀은 원래 밀밭의 잡초였으며, 생육 조건이 거의 같아 밀의 생육 조건이 나쁜 밭에서는 의도적으로 밀과 호밀을 섞어 재배하기도 했다. 이렇게 하면 밀 수확량이 적을 때에도 호밀 수확으로 손해를 어느 정도 줄일 수 있다.
호밀은 연작 장해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감자나 강낭콩 등과 윤작하는 것이 좋다.
4. 1. 병해
호밀은 맥각균에 매우 취약하다.[24][25] 맥각균에 감염된 호밀을 사람이나 동물이 섭취하면 맥각 중독증이 발생하여 경련, 유산, 손가락 괴사, 환각 및 사망을 초래한다.[26] 자낭균의 일종인 맥각균이 씨방에 기생하면 균핵을 형성하고[86], 다양한 생리 활성을 보이는 알칼로이드를 포함하는 맥각알칼로이드라 불리는 여러 가지 마이코톡신이 발생한다. 맥각균에 기생된 호밀은 씨앗 사이에서 검고 뿔 모양의 것을 내밀기 때문에 이것이 맥각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맥각이 발생한 밭에서 수확한 곡물에는 맥각이 씨앗에 섞여 들어가고, 이것을 갈아서 빵 등에 요리하면 맥각알칼로이드의 독성으로 인해 유산이나 말초 혈관의 수축으로 인한 사지 조직의 괴사, 환각 등의 중독 증상을 일으키므로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다. 이 맥각균 중독은 중세에 유행하여 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앗아갔다. 역사적으로 호밀을 주식으로 삼았던 북부의 습한 국가들은 주기적인 유행병에 시달렸다.[26] 현대적인 곡물 세척 및 제분 방법은 맥각 중독증을 사실상 근절했지만, 식품 안전 감시가 허술해지면 여전히 위험이 남아 있다.[27]
60년 만에 줄기녹병(Puccinia graminis f. sp. tritici)이 2020년대에 유럽으로 돌아왔다.[28] 영향을 받은 지역에는 독일, 러시아(서시베리아), 스페인 및 스웨덴이 포함된다.[28]
선충류 ''Ditylenchus dipsaci''와 다양한 초식성 곤충을 포함한 해충은 식물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
5. 생산
호밀은 주로 동유럽, 중앙유럽, 북유럽에서 재배된다. 주요 재배 지역은 독일 북부에서 폴란드, 우크라이나를 거쳐 러시아 중부 및 북부까지 이어진다.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 포함), 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포함), 튀르키예, 중국 북부에서도 재배된다.[30][31]
1992년 이후 대부분 생산국에서 호밀 생산량이 감소했다. 예를 들어 러시아의 호밀 생산량은 1992년 1390만 톤에서 2022년 220만 톤으로 감소했다.[30][31] 그러나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호밀 생산량이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생산국 | 2022[31] | 2020[31] | 2018[31] | 2016[31] | 2014[31] |
---|---|---|---|---|---|
EU | 7,450,920 | 8,939,510 | 6,141,040 | 7,400,686 | 8,890,726 |
독일 | 3,132,300 | 3,513,400 | 2,201,400 | 3,173,800 | 3,854,400 |
폴란드 | 2,337,130 | 2,929,930 | 2,126,570 | 2,199,578 | 2,792,593 |
러시아 | 2,178,808 | 2,377,629 | 1,916,056 | 2,547,878 | 3,280,759 |
벨라루스 | 750,000 | 1,050,702 | 502,505 | 650,908 | 867,075 |
덴마크 | 691,470 | 699,370 | 476,590 | 577,200 | 677,800 |
캐나다 | 520,177 | 487,800 | 236,400 | 436,000 | 217,500 |
중국 | 500,767 | 512,591 | 504,698 | 545,657 | 520,000 |
우크라이나 | 314,030 | 456,780 | 393,780 | 391,560 | 478,000 |
미국 | 312,460 | 292,930 | 214,180 | 290,379 | 182,610 |
터키 | 242,207 | 72,450 | 95,366 | 48,563 | 55,899 |
아르헨티나 | 225,510 | 221,201 | 86,098 | 60,676 | 52,130 |
스페인 | 188,880 | 407,620 | 404,280 | 377,355 | 290,970 |
세계 총계 | 13,143,055 | 15,036,812 | 10,702,482 | 12,999,144 | 15,204,158 |
밀 등 다른 곡물에 비해 호밀의 세계 무역량은 적다. 2016년 호밀 총수출액은 1.86억달러[32]였던 반면, 밀은 301억달러였다.[33]
6. 이용
호밀은 추운 기후와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기 때문에 유럽 동부, 중부, 북부와 러시아 등 고위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된다. 주요 생산지는 독일에서 폴란드,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러시아 북부로 이어지는 지역이다. 이 외에도 캐나다, 미국, 아르헨티나, 브라질, 중국 북부에서도 재배된다.[88]
2005년 기준 최대 생산국은 러시아였으며, 폴란드, 독일, 벨라루스, 우크라이나가 그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전반적인 수요 감소로 인해 호밀 생산량은 감소하는 추세이다. 일례로 러시아의 호밀 생산량은 1992년 1390만 톤에서 2005년 360만 톤으로 크게 감소했다.[88] 하지만 2010년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와 수요 증가,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생산량 자체는 다시 증가하고 있다.
호밀은 생산국 내에서 대부분 소비되며, 인근 국가로 수출되기도 하지만 세계적인 시장은 형성되지 않았다. 수요가 적어 현대적인 품종 개량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국가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독일 | 3.9 | 3.5 | 3.5 | 3.8 | 4.7 |
폴란드 | 4.3 | 3.4 | 2.9 | 3.4 | 4.9 |
러시아 | 3.9 | 2.5 | 1.9 | 2.3 | 4.7 |
중국 | 0.7 | 0.7 | 0.7 | 0.6 | 0.6 |
벨라루스 | 0.6 | 1.1 | 0.8 | 0.7 | 1.2 |
우크라이나 | 0.6 | 0.7 | 0.6 | 0.5 | 1.1 |
덴마크 | 0.5 | 0.4 | 0.3 | 0.3 | 0.1 |
스페인 | 0.4 | 0.3 | 0.4 | 0.3 | 0.1 |
튀르키예 | 0.4 | 0.4 | 0.4 | 0.4 | 0.3 |
오스트리아 | 0.2 | 0.2 | 0.2 | 0.2 | 0.2 |
캐나다 | 0.2 | 0.3 | 0.2 | 0.2 | 0.3 |
미국 | 0.2 | 0.2 | 0.2 | 0.2 | 0.2 |
체코 | 0.2 | 0.1 | 0.1 | 0.1 | 0.2 |
프랑스 | 0.1 | 0.2 | 0.1 | 0.2 | 0.1 |
스웨덴 | 0.1 | 0.1 | 0.1 | 0.1 | 0.1 |
세계 총계 | 16.7 | 14.6 | 13.0 | 12.0 | 15.2 |
칼슘 | 33 mg |
철 | 2.67 mg |
망간 | 121 mg |
인 | 374 mg |
칼륨 | 264 mg |
나트륨 | 6 mg |
아연 | 3.73 mg |
구리 | 0.450 mg |
마그네슘 | 2.680 mg |
셀레늄 | 0.035 mg |
호밀은 위스키(라이 위스키)나 보드카의 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러시아에서는 양질의 보드카를 만들 때 호밀을 주원료로 사용한다.[98] 북아메리카의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라이 위스키를 주로 생산한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서는 호밀과 맥아를 발효시켜 만든 크바스라는 음료를 청량음료처럼 마신다.[99]
가축의 사료로도 사용되는데, 봄철 초기에 많은 양의 풀을 얻을 수 있어 청예취하여 사료나 녹비로 사용하지만, 가축이 다소 꺼리는 경향이 있다.
6. 1. 식용
생호밀은 수분 11%, 탄수화물 76%, 단백질 10%, 지방 2%를 함유하고 있으며, 100g당 338kcal의 식품 에너지를 제공한다. 호밀은 식이섬유, 티아민, 나이아신 등 비타민 B군과 망간, 인 등 다양한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필수 영양소의 좋은 공급원이다(표 참고).[35][36]성분 | 함량 | 성분 | 함량 |
---|---|---|---|
수분 | 10.6g | 칼슘 | 24mg |
탄수화물 | 75.86g | 철 | 3mg |
단백질 | 10.34g | 마그네슘 | 110mg |
지방 | 1.63g | 인 | 332mg |
식이섬유 | 15.1g | 칼륨 | 510mg |
당류 | 0.98g | 나트륨 | 2mg |
망간 | 3mg | 아연 | 3mg |
티아민 | 0.3mg | 리보플라빈 | 0.3mg |
나이아신 | 4mg | 판토텐산 | 1mg |
비타민B6 | 0.3mg | 엽산 | 38µg |
콜린 | 30mg | 비타민E | 1mg |
비타민K | 6µg | 셀레늄 | 14µg |
캐나다 보건부와 미국 식품의약국에 따르면, 하루에 4g 이상의 호밀 β-글루칸 또는 1회 제공량당 0.65g 이상의 수용성 섬유질을 섭취하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37] 통곡물 호밀과 기타 고섬유질 곡물을 섭취하면 혈당 조절에도 도움이 된다.
호밀은 주로 빵의 원료로 사용되며, 글리아딘 함량은 높지만 글루테닌 함량은 낮고 수용성 섬유질이 풍부하다. 알킬레조르시놀은 밀과 호밀의 겨에 다량 함유된 페놀성 지질이다.[41] 호밀빵은 색깔이 검은색을 띠어 검은빵이라고도 불리며, 펌퍼니켈을 포함하여 북유럽과 동유럽에서 널리 먹는다.[42][43]
호밀은 글루텐이 없어 반죽의 신장성이 나쁘지만, 글루텐을 구성하는 글리아딘을 가지고 있어 어느 정도 부풀기 때문에 다른 곡물 빵보다 맛있다.[89] 빵의 발효에는 이스트균이 아닌 사워종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젖산을 이용한 발효로 인해 호밀가루 반죽은 산성화되면 부풀기가 좋아져 특유의 신맛을 낸다.[91] 호밀만으로는 반죽이 부풀기 어렵기 때문에 밀과 섞어 빵을 만드는 경우도 많다.[92] 호밀가루는 식이섬유와 미네랄이 풍부하여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거칠게 간 가루나 통밀가루 형태로도 많이 사용된다.[93]
호밀은 호밀 위스키나 호밀 맥주와 같은 알코올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13] 전통적인 저알코올 음료인 크바스는 호밀빵이나 호밀가루와 맥아를 발효시켜 만든다.[45]
6. 1. 1. 각국의 호밀빵 문화
독일에서는 호밀과 밀을 섞은 빵이 일반적이지만, 혼합 비율과 호밀을 빻는 정도에 따라 종류가 달라진다.[94] 독일의 호밀빵은 로겐브로트(Roggenbrot)라고 불리는데, 호밀 배합 비율이 90% 이상인 빵을 말한다. 호밀 배합 비율이 51~89%인 빵은 로겐미슈브로트라고 불린다. 바이첸브로트는 밀 배합 비율이 90% 이상인 빵이다. 거칠게 빻은 호밀가루와 호밀 알갱이로 만드는 푼퍼니켈도 독일의 호밀빵이다.[95]러시아에서는 호밀로 만든 검은 빵이 인기가 많다. 러시아의 검은 빵은 전통적으로 호밀만으로 만든다. 러시아어로 빵을 뜻하는 ‘흐렙(хлеб)’은 빵 전체 또는 곡물 전체를 가리키기도 하고, 검은 빵을 가리키기도 한다. "빵과 소금"(Хлеб да Соль:흐렙 다 솔)은 "환대"를 의미하는데, 손님을 환대할 때 큰 둥근 검은 빵과 소금을 내놓았기 때문이다.[97]
폴란드도 검은 빵을 먹는 지역이며, 독일보다 러시아식에 가깝다. 핀란드에서는 호밀빵을 루이스레이패(Ruisleipä), 에스토니아에서는 레이브(Leib)라고 부른다. 북유럽 국가에서는 납작하고 마른 크래커 모양의 크리스프브레드를 많이 먹는데, 전통적으로 호밀로 만든다. 크리스프브레드는 스웨덴어로는 크네케브뢰드(knäckebröd), 노르웨이어로는 크네케브뢰(Knekkebrød), 덴마크어로는 크넥브레드(Knækbrød), 아이슬란드어로는 흐뢰크브라우즈(Hrökkbrauð), 핀란드어로는 네키레이패(näkkileipä)라고 불린다.

호밀빵에 콤비프 또는 파스트라미, 사우어크라우트, 치즈, 러시안 드레싱 또는 사우전 아일랜드 드레싱을 넣고 그릴한 핫샌드위치인 루벤 샌드위치는 뉴욕의 대표적인 샌드위치 중 하나이다.
6. 2. 기타 용도
호밀은 위스키(라이 위스키)나 보드카의 원료로 사용된다. 특히 러시아에서는 호밀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것이 양질의 보드카의 특징 중 하나로 여겨진다.[98] 라이 위스키는 주로 북아메리카 대륙의 미국과 캐나다에서 생산된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에서는 호밀과 맥아를 발효시킨 크바스라는 음료를 만들어 마시는데, 알코올 함량이 거의 없어 청량음료로 인기가 있다.[99]호밀은 가축의 사료로도 사용된다. 얻을 수 있는 풀의 양이 많고, 봄철 초기에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청예취하여 사료나 녹비로 사용되지만, 가축은 다소 꺼리는 경향이 있다.
7. 한국에서의 현황
한국에 호밀이 도입된 것은 메이지 시대이며, 홋카이도와 도호쿠 북부 등 한랭지에서 재배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재배 면적은 수백 헥타르에 불과했고, 1950년에는 6,500 헥타르까지 재배 면적이 늘어났으나, 곧 급감했다. 현재는 녹비나 사료용 생산을 제외하고는 거의 재배되지 않는다. 녹비로는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100] 일본해 쪽의 바람이 강한 지방이나 사구 지역에서는 방풍·방사용 식물로 밭 주변에서 재배되기도 한다.[69] 식용으로는 홋카이도에서 소량 재배되고 있지만,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101]
일본에 도입된 호밀 품종 중 가장 오래된 것은 19세기에 전래된 독일 품종인 "페트쿠자"이며, 현재도 대표적인 품종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춘일번" 등 몇몇 품종이 각종 종묘회사에 의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는 호밀은 거의 전량 수입이며, 2008년에는 59,281톤이 수입되었다. 주요 수입국과 수입량은 다음과 같다.[102]
8. 민속
유럽 민속에서 로겐볼프(Roggenwolf, "호밀 늑대")는 육식성 곡물 악마 또는 펠트가이스터(Feldgeist, 들의 악령)로, 늑대 모습을 한 들의 정령이다.[62] 로겐볼프는 아이들을 납치하여 먹는다.[63]
로겐무메(Roggenmuhme) 또는 로겐무터(Roggenmutter, "호밀 이모" 또는 "호밀 어머니")는 불타는 손가락을 가진 의인화된 여성 곡물 악마이다. 그녀의 가슴은 타르로 가득 차 있으며 쇠 끝으로 끝날 수도 있다. 그녀의 가슴은 길기 때문에 달릴 때는 어깨 너머로 던져야 한다. 로겐무메는 완전히 검거나 희며, 손에는 번개가 튀는 자작나무 가지나 채찍을 들고 있다. 그녀는 뱀, 거북이, 개구리와 같은 다양한 동물로 변신할 수 있다.[65]
고전 학자 칼 A. P. 루크(Carl A. P. Ruck)는 로겐무터가 바람처럼 사락거리며 들판을 지나다니며, 뒤에는 호밀 늑대 떼가 따라다닌다고 썼다. 그들은 수확한 호밀 단에 맥각병을 퍼뜨린다. 루크에 따르면, 그들은 그 후 아이들을 들판으로 유인하여 감염된 곡물을 "로겐무터의 쇠젖처럼" 빨게 했다.[66] 커진 붉은색의 맥각병에 감염된 곡물은 울프차네(Wulfzähne, 늑대 이빨)로 알려져 있었다.[66]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2017
[2]
사전
Latein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Carl Winter
[3]
웹사이트
rye (n.)
https://www.etymonli[...]
Online Etymology Dictionary
2024-05-04
[4]
논문
New evidence of Lateglacial cereal cultivation at Abu Hureyra on the Euphrates
https://www.research[...]
2016-07-12
[5]
논문
Reassessing the evidence for the cultivation of wild crops during the Younger Dryas at Tell Abu Hureyra, Syria
2010
[6]
논문
On the Origins of Domestic rye: Secale Cereale: The Finds from Aceramic Can Hasan III in Turkey
1978
[7]
논문
Assessing the genetic diversity and characterizing genomic regions conferring Tan Spot resistance in cultivated rye
2019
[8]
서적
Domestication of Plants in the Old World: The Origin and Spread of Domesticated Plants in Southwest Asia,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Basi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0-05
[9]
논문
Vavilovian Mimicry: Nikolai Vavilov and His Little-Known Impact on Weed Science
[10]
논문
Archaeobotanical overview of rye (''Secale Cereale'' L.) in the Carpathian-basin I. from the beginning until the Roman age
http://docplayer.net[...]
2016-07-14
[11]
서적
Wheat Science: Today and Tomorrow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11-15
[12]
서적
The Natural History
https://www.perseus.[...]
Taylor and Francis (T&F)
2016-07-12
[13]
웹사이트
Rye
https://plantvillage[...]
2024-05-04
[14]
논문
The history of rye cultivation in Europe
https://www.academia[...]
2022-02-17
[15]
웹사이트
Growing Winter Rye in Scotland
https://www.fas.scot[...]
Farm Advisory Service Scotland
2023-05-10
[16]
논문
Physical Properties of Whole Rye Seed (''Secale cereal'')
2012
[17]
서적
Loosening the Bonds: Mid-Atlantic Farm Women, 1750–185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YUP)
2016-07-17
[18]
서적
Agricultural Enlightenment: Knowledge, Technology, and Nature, 1750–184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OUP)
[19]
서적
Handbook of Sustainable Weed Management
Haworth Press
2016-10-05
[20]
서적
Soils, Plant Growth and Crop Production Volume II
https://www.eolss.ne[...]
EOLSS Publishers
2020-12-04
[21]
논문
Extraction and Isolation of Antifreeze Proteins from Winter Rye (''Secale cereale'' L.) Leaves
1994-03-01
[22]
웹사이트
Rye Control in Winter Wheat
https://web.archive.[...]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University of Nebraska, Lincoln Extension
2016-07-12
[23]
서적
Chemistry and Technology of Cereals as Food and Feed
https://books.google[...]
Van Nostrand Reinhold/AVI
2016-07-14
[24]
웹사이트
ergot
https://web.archive.[...]
online medical dictionary
[25]
사전
ergot
https://web.archive.[...]
Dorland's Medical Dictionary
[26]
웹사이트
Ergot of Rye: History
http://www.botany.ha[...]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Botany Department
2016-07-12
[27]
논문
Human and cattle ergotism since 1900: Symptoms, outbreaks, and regulations
2013
[28]
논문
Addressing biohazards to food security in primary production
Springer Nature
[29]
웹사이트
Harvard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http://atlas.cid.har[...]
[30]
웹사이트
Crops and livestock products
https://www.fao.or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31]
웹사이트
FAOSTAT
https://www.fao.org/[...]
2024-03-01
[32]
웹사이트
OEC – Countries that export Rye (2016)
http://atlas.media.m[...]
2017-10-22
[33]
웹사이트
OEC – Countries that export Wheat except durum wheat, and meslin (2016)
http://atlas.media.m[...]
2017-10-22
[34]
웹사이트
Statistics and Usage – www.ryeandhealth.org
https://web.archive.[...]
2017-10-22
[35]
웹사이트
21 CFR Part 101 [Docket No. 2004P-0512], Food Labeling: Health Claims; Soluble Dietary Fiber From Certain Foo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http://www.accessda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12-02
[36]
웹사이트
Summary of Health Canada's Assessment of a Health Claim about Barley Products and Blood Cholesterol Lowering
https://www.canada.c[...]
Health Canada
2012-07-12
[37]
논문
Effects of Whole Grains on Coronary Heart Disease Risk
2010
[38]
논문
The benefits of breakfast cereal consumption: a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base
2014-09
[39]
논문
Clinical and diagnostic aspects of gluten related disorders
2015-03-16
[40]
논문
Celiac Disease, Wheat Allergy, and Gluten Sensitivity
2012-01
[41]
논문
Structures of 5-alkylresorcinol-related analogues in rye
1999
[42]
웹사이트
Grains: Rye
http://www.bakkerijm[...]
[43]
논문
The consumption of rye bread and white bread as dimensions of health lifestyles in Finland
2000
[44]
뉴스
Tough to chew
https://www.dn.se/ma[...]
2016-05-03
[45]
서적
Alcohol and its Role in the Evolution of Human Society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2
[46]
웹사이트
Forage Identification: Rye
http://www.uwyo.edu/[...]
2017-09-26
[47]
웹사이트
Winter Rye: A Reliable Cover Crop
https://www.uvm.edu/[...]
University of Vermont
[48]
웹사이트
Use caution when using rye straw for bedding
https://news.ca.uky.[...]
Martin-Gatton College of Agriculture, Food and Environment
2016-06-07
[49]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 Straw
https://www.strawcra[...]
[50]
서적
Food Bioconversion
Elsevier
2017
[51]
웹사이트
Swedish Red Paint – Falu Röd
https://www.coloured[...]
[52]
웹사이트
Triticale
https://dhcrop.bsmra[...]
Digital Herbarium of Crop Plants Establishment of Digital Herbarium and Herbal museum for Crop plant by Department of Crop Botany, BSMRAU
[53]
논문
Triticale in Italy
2023-10-04
[54]
논문
Polymorphism of the storage proteins in Portuguese rye (''Secale cereale'' L.) populations
2012-04-01
[55]
논문
Towards a whole-genome sequence for rye (''Secale cereale'' L.)
2017-03-01
[56]
서적
A high-quality genome assembly highlights rye genomic characteristics and agronomically important genes
Nature Portfolio
[57]
논문
Addition of rye chromosome 4R to wheat increases anther length and pollen grain number
2015-02-26
[58]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rye (''Secale cereale'' L.) as a source of resistance to pathogens and pests in wheat (''Triticum aestivum'' L.)
BioMed Central
[59]
웹사이트
AC Hazlet
https://www.secan.co[...]
SeCAN
[60]
논문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breeding rust resistant wheat
2014-11-24
[61]
논문
The role of perennial rye (''Secale cereale'' × ''S. montanum'') in sustainable agriculture
2007-04-25
[62]
서적
Germanic Mythology
Marix-Verlag
[63]
서적
Forest and Field Cults: Volume II
Elibron Classics
[64]
서적
Germanic God- and Hero-tales
Marix-Verlag
[65]
서적
The Corn Spirits: Contribution to Germanic Moral Studies
Bremen University Press
[66]
논문
Persia, Haoma and the Greek Mysteries
https://open.bu.edu/[...]
[67]
간행물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68]
간행물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69]
서적
麦の自然史 : 人と自然が育んだムギ農耕
北海道大学出版会
[70]
서적
栽培植物と農耕の起源
岩波書店
1966-01-25
[71]
서적
2010
[72]
서적
2010
[73]
서적
新訂 食用作物
養賢堂
2010-08-10
[74]
서적
ケンブリッジ世界の食物史大百科事典2 主要食物:栽培作物と飼養動物
朝倉書店
2004-09-10
[75]
서적
中世ヨーロッパ 食の生活史
原書房
2003-10-04
[76]
서적
商業史
有斐閣
1980-11-20
[77]
서적
新訂 食用作物
養賢堂
2010-08-10
[78]
서적
麦の自然史 : 人と自然が育んだムギ農耕
北海道大学出版会
2010
[79]
서적
商業史
有斐閣
1980-11-20
[80]
서적
世界の食文化 18 ドイツ
農山漁村文化協会
2003
[81]
서적
1996
[82]
서적
2010
[83]
서적
新訂 食用作物
養賢堂
2010-08-10
[84]
서적
地域食材大百科〈第1巻〉穀類・いも・豆類・種実
農山漁村文化協会
2010-03
[85]
서적
新訂 食用作物
養賢堂
2010-08-10
[86]
기타
[87]
웹사이트
Major Food And Agricultural Commodities And Producers - Countries By Commodity
http://faostat.fao.o[...]
Fao.org
2015-03-03
[88]
서적
新編 食用作物
養賢堂
1985-05-10
[89]
서적
パンの文化史
講談社学術文庫
2013-12-10
[90]
서적
BREAD
[91]
서적
地域食材大百科第1巻 穀類・いも・豆類・種実
社団法人 農山漁村文化協会
2010-03-10
[92]
서적
パンの事典
成美堂出版
2006-10-20
[93]
서적
パンシェルジュ検定3級公式テキスト
実業之日本社
2009-08-20
[94]
서적
世界の食文化 18 ドイツ
農山漁村文化協会
2003
[95]
웹사이트
【独逸見聞録】ブロートの定義 〜大型パン(其の壱)〜
http://www.tsujicho.[...]
2015-04-11
[96]
서적
パンの文化史
講談社学術文庫
2013-12-10
[97]
서적
ロシア
農山漁村文化協会
2006-03
[98]
서적
ロシア
農山漁村文化協会
2006-03
[99]
서적
ロシア
農山漁村文化協会
2006-03
[100]
서적
新編 食用作物
養賢堂
1985-05-10
[101]
논문
北海道産ライ麦を使用したパンの性状と嗜好性 : 第1報 ライ麦全粒粉の配合割合がライ麦パンの性状と嗜好性に及ぼす影響
https://hdl.handle.n[...]
酪農学園大学
2012
[102]
웹사이트
ライ麦の輸入量とその用途について教えてください。
http://www.maff.go.j[...]
[103]
서적
角川新字源
角川書店
1994-11-10
[104]
서적
麦の自然史 : 人と自然が育んだムギ農耕
北海道大学出版会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