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신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신선은 1944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65년 시 '그리스인의 파이프'로 등단했으며, 1980년대 안동으로 이주하여 다양한 사람들의 삶을 시에 담아냈다. 그는 문예지 《문학선》을 창간하고, 사람 중심의 시와 불교적 관점을 담은 연작시 《마음경》 등을 통해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녹원문학상, 현대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등을 수상했으며, 시집, 전집, 평론집 등 다양한 저서를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 출신 - 박래군
    박래군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생 박래전의 죽음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참여하여 전국민주화운동유가족협의회 사무국장, 인권운동사랑방 사무국장 및 정책실장,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조사3국 국장, 다산인권재단 상임이사, 인권재단 사람 상임이사 및 소장, 서울특별시 인권위원회 전문위원 및 부위원장, 2014년 세월호참사 국민대책회의 공동운영위원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인권 운동가이다.
  • 화성시 출신 - 홍사용
    홍사용은 노작, 소아, 백우라는 호를 사용한 한국의 시인이자 극작가로, 민족주의적 낭만파 시인으로 평가받으며 일제강점기 친일 활동을 하지 않았고, 휘문의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 문예지 창간, 극단 활동, 희곡 창작 등의 활동을 했다.
  • 동국대학교 교수 - 추미애
    추미애는 대한민국의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권유로 정계에 입문하여 다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대표, 법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 동국대학교 교수 - 박노자
    박노자는 러시아 태생으로 대한민국에 귀화한 한국학 연구자이자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며, 오슬로 대학교 한국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사회와 역사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저술 및 강연 활동을 하는 진보적 지식인이다.
  • 대한민국의 시인 - 한승헌
    한승헌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인권 변호사, 사회운동가, 수필가로, 군사정권 시절 시국 사건 변론을 맡아 인권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감사원장과 사법제도개혁추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시인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홍신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홍신선
출생일1944년 2월 13일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화성군
국적대한민국
직업
직업시인
학력
출신 학교동국대학교
창작 활동
등단 시기1965년
등단 작품《시문학》
장르
주요 작품《논》
《만천집(滿天集)》
《서른 나이에》
《산꿩소리》

2. 생애

홍신선은 1944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나 학창 시절 문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1] 대학교 재학 중이던 1965년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1980년대에는 경상북도 안동으로 이주하여 작품 활동에 변화를 맞았다. 2003년부터는 문예지 『문학선』을 창간하여 현재까지 발행하고 있다.[2]

2. 1. 유년 시절과 문학적 성장

홍신선은 1944년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증조부의 지도 아래 한문 고전을 공부했으며, 특히 『삼국지』와 같은 고전을 읽고 자랐다.[1] 중학교 시절에는 김내성의 인기 추리 소설 『마인』(마인)을 읽고 소설가가 되려는 꿈을 꾸기 시작했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문예지 『자유문학』과 『학원』을 탐독하며 직접 소설을 쓰기도 했다. 홍신선은 이 시기가 어휘력을 키우고 묘사 기법을 훈련함으로써 그의 글쓰기를 향상시키고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1]

2. 2. 대학 시절과 등단

대학교에 진학한 후 홍신선의 관심은 산문 소설에서 시로 옮겨갔다. 3년간의 습작 끝에 1965년 대학교 4학년 때 시 "그리스인의 파이프"가 문예지 『신문학』에 당선되면서 시인으로 공식 데뷔했다. 이 시는 그가 대학 시절 읽었던 그리스 신화의 영향을 받았다. 1968년에는 오규원 등과 함께 동인지 『한국시』를 창간했다. 1970년에는 동인지 동료였던 시인 노향림과 결혼했다.

2. 3. 안동 이주와 문학적 변화

1980년대에 서울을 떠나 경상북도 안동에 정착했다. 그곳에서 그는 문학 서클이라는 좁은 틀에서 벗어나, 주변의 다양한 삶과 더 가까이 접하게 되었다. 이는 그의 시 세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2003년에는 문예지 『문학선』(禪)을 창간하여 현재까지 발행인 겸 편집인으로 활동하고 있다.[2]

3. 작품 세계

홍신선 시인의 작품 세계는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현실과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이고 지적인 관심을 보였으나, 1980년대 안동으로 이주한 이후 평범한 사람들의 삶에 주목하기 시작했다.[3] 이 시기 발표된 ''우리 이웃 사람들''(1984)과 ''다시 고향에서''(1990) 등의 시집에서는 주변 인물들의 삶과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되는 농촌 공동체의 현실을 서사시적 기법을 통해 진솔하게 그려냈다.[4][5][6] 이러한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은 이후 ''삶의 옹이''(2014)까지 이어진다.[7]

1990년대에 들어서는 불교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내면 성찰의 경향이 깊어진다. 특히 1991년부터 2009년 시집 우연을 점 찍다에 이르기까지 이어진 연작시 〈마음경〉은 삶과 죽음, 인간 존재의 근원적 고독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를 담고 있다.[8] 이는 당시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과 같은 시대적 변화 속에서 현실 묘사 위주의 시에 대한 반감을 느끼고 인간 내면의 탐구를 중시하게 된 시인의 고민을 반영한다.[9] 시인 김달진의 시와 그가 번역한 선시[10] 역시 이러한 경향에 영향을 미쳤다.[11][12] 이러한 작품 경향의 변화는 현실 참여적인 시각에서 출발하여 점차 인간 존재와 삶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으로 나아가는 홍신선 시 세계의 특징을 보여준다.

3. 1. 사람 중심의 시

1980년대 안동으로 이주하여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 매일 접촉하면서, 이전까지 동료 문인들과 자주 이야기했던 현실이나 이데올로기의 허구성을 깨닫게 되었다고 회고한다. 홍신선은 안동에서 만난 사람들이 "현대 사회를 관찰할 수 있게 해주는 열쇠 구멍, 암호, 상징"이라고 느꼈다. 이 시기의 초기 작품집인 ''우리 이웃 사람들''(1984)에는 찻집 종업원, 이주민, 중개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등장한다.[3] 사람들의 삶을 정직하고 진실하게 묘사할 올바른 형식과 방법을 찾기 위해 홍신선은 결국 일종의 이야기 시, 즉 서사시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4] 이 시집은 홍신선이 비판적이고 지적인 시인에서 이웃의 삶에 관심을 갖는 시인으로 전환하는 것을 보여준다.[5]

이러한 경향은 다음 시집인 ''다시 고향에서''(1990)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배경은 안동이 아닌 시인의 고향인 화성이다. 이 시집에 수록된 시들은 산업화와 전통적인 삶의 방식 상실로 인해 황폐해지고 파멸 직전에 놓인 농촌 공동체의 모습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6] 홍신선의 소외된 '이웃'에 대한 관심은 ''삶의 옹이''(2014)에서도 계속된다.[7]

3. 2. 《마음경》 연작시

홍신선은 1991년 연작시 〈마음경〉의 첫 편을 발표했으며, 마지막 편은 2009년 시집 우연을 점 찍다에 수록되었다.[8] 이 연작시는 불교적 관점에서 삶과 죽음을 깊이 있게 성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홍신선은 이 시를 쓰게 된 배경에 대해, 당시 문단에 퍼져 있던 현실 묘사 위주의 시에 대한 강한 반감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의 몰락이 가져온 충격 때문이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그는 더욱 성찰적이고 인간 내면의 삶을 탐구하는 작품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한다.[9]

특히 불교에 대한 관심이 깊어진 계기로 시인 김달진의 시와 그가 번역한 불교 선시[10]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했다.[11] 〈마음경〉 연작시는 삶의 본질적인 고독과 무의미함을 피하지 않고 직면할 때 오히려 삶이 더욱 명확하게 보인다는 시인의 깨달음을 담고 있다.[12]

4. 저서

(내용 없음)

4. 1. 시집

제목출판사출판 연도
겨울섬평민사1979
삶 거듭 살아도문학예술사1982
우리 이웃 사람들문학과지성사1984
다시 고향에서문학아카데미1990
황사 바람 속에서문학과지성사1996
서벽당집문학동네2001
자화상을 위하여세계사2002
우연을 점 찍다문학과지성사2009
마음경문학선2012
삶의 옹이문학선2014
사람이 사람에게파란2015
직박구리의 봄노래파란2018


4. 2. 전집


  • 홍신선 시전집(The Complete Works of Hong Shin-seon|eng), 산맥, 2004.
  • 홍신선 시전집 2. 폐허와 전율: 홍신선 시읽기(The Complete Works of Hong Shin-seon Vol.2 Ruin and Frisson: Reading Hong Shin-seon's Poetry|eng), 국학, 2008.[13]

4. 3. 학술 저서 및 에세이


  • ''우리 문학의 논쟁사'', 어문각, 1985.
  • ''상상력과 현실'', 인문당, 1990.
  • ''품안으로 날아드는 새는 잡지 않는다'', 청한, 1990.
  • ''한국근대문학이론의 연구'', 문학아카데미, 1991.
  • ''한국시의 논리'', 동학사, 1994.
  • ''사랑이란 이름의 느티나무'', 와우, 2002.
  • ''한국시와 불교적 상상력'', 유크랙북스, 2004.
  • ''말의 결 삶의 결'', 산맥, 2005.
  • ''장광설과 후박나무 가족'', 천년의 시작, 2014.

4. 4. 동인지


  • 『이별은 두별』, 문학아카데미, 1989.

4. 5. 공저 및 편저

제목역할출판사연도
실과 바늘의 악장공저학원1979
낮은 목소리로편집어문각1985
우리가 물이 되어편집어문각1985
시여 영혼의 노래여공저혜원1986
영원한 고향 어머니공저민예사1987
행복의 모래성공저1989
시창작 이론과 실제공저시와 시학사1998
한국현대문학사공저시문학사2000
지식 기반 사회와 불교 생태학공저아카넷2006
육주 홍기삼과 나공저생각의 나무2010


5. 수상 내역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profile on aladin.co.kr https://www.aladin.c[...]
[2] 간행물 In Search of the Poet Hong Shin-seon Yeolinsihak 2010-03
[3] 간행물 In Search of the Poet Hong Shin-seon Yeolinsihak 2010-03
[4] 뉴스 Putting one's soul into the writing of poetry is a process rife with adventure http://m.chosun.com/[...] Chosun Ilbo 2004-03-07
[5] 서적 book synopsis http://moonji.com/bo[...] moonji
[6] 간행물 In Search of the Poet Hong Shin-seon Yeolinsihak 2010-03
[7] 뉴스 "Salmui ongi'' asks unending questions about life and death" http://www.asiae.co.[...] The Asia Business Daily 2014-05-26
[8] 뉴스 Hong Shin-seon's new collection ''Uyeoneul jeom jjikda'' offers deep contemplations on life and death https://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2009-06-08
[9] 간행물 In Search of the Poet Hong Shin-seon Yeolinsihak 2010-03
[10] 문서 Seon poems refer to poetry that reflects Seon Buddhist thought (선사상 禪思想) and the process by which one attains or strives for awakening.
[11] 뉴스 The 21st Kim Daljin Literature Prize: 'I will eradicate rather than  compromise my poetry' https://www.seoul.co[...] Seoul Shinmun 2010-05-26
[12] 간행물 The Poetics of Hong Shin-seon's ''Maeungyung'' http://www.buddhismj[...] Buddhism Journal 2011-10-15
[13] 문서 These ''Complete Works'' was presented to Honh Shin-seon upon his retirement.
[14] 웹사이트 The Digital Library of Korean Literature https://library.ltik[...] LTI Korea Library
[15] 위키 Hyeondae Munhak Prize
[16] 웹사이트 Society of Korean Poets Prize http://www.koreapoet[...]
[17] 뉴스 The 10th Peasant Literature Award announced https://news.joins.c[...] JoongAng Ilbo 2003-01-16
[18] 뉴스 Hong Shin-seon, Jo Jung-rae, Kim Inhwan awarded the Contemporary Buddhist Literature Award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06-02-22
[19] 뉴스 The 2006 Cheon Sang-byeong Poetry Prize awarded to winning poet Hong Shin-seon... in ceremony on June 4 https://www.newswire[...] Newswire 2006-05-23
[20] 뉴스 Poet Hong Shin-seon, Professor Hong Yonghee awarded the 21st Kim Daljin Literature Prize http://www.knnews.co[...] The Gyeongnam Shinmun 2010-06-07
[21] 뉴스 Hong Shin-seon's ''Salmui'' ongi is recipient of the Kim Satgat Literature Award https://www.mk.co.kr[...] Yeonhap News 2014-10-02
[22] 뉴스 The 17th Nojak Munhak Award to poet Hong Shin-seon https://www.yna.co.k[...] Yeonhap News 2017-09-20
[23] 뉴스 The Moon Deoksoo Literature Prize to Hong Shin-seon, the Poetry Prize to Cho Myung-je http://www.newsis.co[...] Newsis 2018-11-07
[24] 웹사이트 Society of Korean Poets Prize http://www.koreapoet[...]
[25] 뉴스 The 10th Peasant Literature Award announced https://news.joins.c[...] JoongAng Ilbo 2003-01-16
[26] 뉴스 Hong Shin-seon, Jo Jung-rae, Kim Inhwan awarded the Contemporary Buddhist Literature Award http://www.hani.co.k[...] The Hankyoreh 2006-02-22
[27] 뉴스 Poet Hong Shin-seon, Professor Hong Yonghee awarded the 21st Kim Daljin Literature Prize http://www.knnews.co[...] The Gyeongnam Shinmun 2010-06-07
[28] 뉴스 Hong Shin-seon's ''Salmui'' ongi is recipient of the Kim Satgat Literature Award https://www.mk.co.kr[...] Yeonhap News 2014-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