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목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목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이다. 조선 숙종 때 동래 정씨 정종악이 진사시에 장원급제하고 효성이 지극하여 숙종이 그의 호를 따서 효목리라 명명한 데서 유래했다. 조선시대에는 효목동/검정동이었으며, 1895년 대구부 대구군 수북면 효목동/검정동으로 시작하여 대구부, 경상북도, 달성군, 대구부 등을 거쳐 1963년 대구시 동구 효목동이 되었다. 1979년 경부선을 기준으로 효목1동과 효목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현재 효목동에는 대구효동초등학교, 동부공업고등학교, 효목동성당, 망우당공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동구의 법정동 - 신천동 (대구)
신천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며, 신천 물줄기를 돌려 새로 생긴 하천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신천동으로 불리게 되었고, 동대구역과 주요 시설 및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대구 동구의 법정동 - 신암동
신암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동대구역과 도시철도 역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며, 다양한 교육기관이 밀집되어 있다. - 대구 동구의 행정 구역 - 신천동 (대구)
신천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며, 신천 물줄기를 돌려 새로 생긴 하천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신천동으로 불리게 되었고, 동대구역과 주요 시설 및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대구 동구의 행정 구역 - 공산동
공산동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하며 역사적으로 해북촌면과 해서촌면으로 나뉘어 있다가 공산면으로 통합, 대구시로 편입되었고, 현재 지묘동의 신숭겸 사당, 도학동의 동화사, 교육 기관, 아파트 단지, 대구 신무동 마애여래좌상 등의 문화재를 포함하는 14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1979년 폐지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 1979년 폐지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효목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효목1동 |
한자 표기 | 孝睦1洞 |
영문 표기 | Hyomok 1(il)-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동구 |
면적 | 1.38 |
세대 | 7,031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13606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통 | 21 |
반 | 130 |
법정동 | 효목동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화랑로41길 46 |
홈페이지 | 효목1동 행정복지센터 |
기본 정보 | |
이름 | 효목2동 |
한자 표기 | 孝睦2洞 |
영문 표기 | Hyomok 2(i)-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동구 |
면적 | 0.72 |
세대 | 7,169 |
세대 조사 | 2011.12.31. |
인구 | 13156 |
인구 조사 | 2022년 3월 |
통 | 20 |
반 | 120 |
법정동 | 효목동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동구 화랑로25길 45 |
홈페이지 | 효목2동 행정복지센터 |
2. 지명 유래
원래 '''소목골''' 또는 '''소목곡'''(昭穆谷)으로 불렸다. 조선 숙종 재위 시기에 동래 정씨 일가가 이곳에 정착하였다. 이후 동래 정씨 11대손인 정종악이 진사시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학문이 뛰어났을 뿐 아니라, 일가 친척 및 이웃과 늘 화목하게 지냈다. 이에 숙종은 정종악의 호(號)를 따서 지명을 고치도록 하였고, 이때부터 '''효목리'''라고 불리게 되었다.
효목동은 조선시대 대구도호부 수북면에 속했던 효목동과 검정동 지역에서 유래한다. 1895년 갑오개혁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쳤으며,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효목동과 검정동이 통합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효목동이 되었다.[3] 1938년 대구부의 행정 구역 확장에 따라 대구부에 편입되었고,[4] 광복 이후 1963년 구제 실시에 따라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게 되었다.[7] 1979년에는 경부선 철도를 경계로 효목1동과 효목2동으로 분동되었으며,[8] 이후 대구직할시 승격[9]과 대구광역시로의 명칭 변경[10]을 거쳐 현재의 행정 구역에 이르고 있다.
3. 역사
3. 1. 조선시대 ~ 일제강점기
조선시대에는 대구도호부 수북면의 효목동과 검정동 지역이었다. 1895년 갑오개혁에 따른 행정 구역 개편으로 음력 5월 1일부터 대구부 대구군 수북면 효목동/검정동이 되었다.[1] 이듬해인 1896년 8월 4일에는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 대구군 수북면 효목동/검정동으로 소속이 변경되었다.[2]
1910년 10월 1일 한일 병합 이후에는 경상북도 대구부 수북면 효목동/검정동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강점기의 부군면 통폐합 정책에 따라 효목동과 검정동이 통합되어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효목동이 되었다.[3] 1938년 10월 1일에는 대구부의 구역 확장에 따라 효목동이 경상북도 대구부에 편입되었다.[4] 같은 해 11월 2일에는 대구부에 편입된 옛 수성면 지역을 관할하기 위해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었다.[5]
3. 2. 광복 이후
날짜 | 소속 | 비고 |
---|---|---|
1949년 8월 15일 | 경상북도 대구시 동부출장소 효목동 | [6] |
1963년 1월 1일 |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효목동 | 동구 신설[7] |
1979년 5월 2일 | 경상북도 대구시 동구 효목1동, 효목2동 | 경부선을 경계로 분동[8] |
1981년 7월 1일 | 대구직할시 동구 효목1동, 효목2동 | 대구직할시 승격[9] |
1995년 1월 1일 |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1동, 효목2동 | 대구광역시 명칭 변경[10] |
4. 교육
효목동에는 대구효동초등학교, 대구효목초등학교 등 초등학교와 대구동부공업고등학교 등 교육 기관이 자리 잡고 있다. 각 동별 상세한 교육 시설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효목1동
4. 2. 효목2동
5. 명소
6. 아파트
- 동대구동원비스타 2차
- 태왕메트로시티
- 진로이스트시티 1차
- 동대구푸르지오 브리센트
- 강나루타운
참조
[1]
칙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https://ko.wikisourc[...]
1895-05-26
[2]
칙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4]
조선총독부령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5]
부조례
부조례 제22호
1938-11-02
[6]
법률
법률 제32호
1949-07-04
[7]
법률
법률 제1174호
1962-11-21
[8]
시조례
시조례 제1181호
1979-04-30
[9]
법률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10]
법률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