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지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강은 일본 야마나시현과 시즈오카현을 흐르는 강으로, 남알프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스루가만으로 흘러든다. 나가노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을 유역으로 하며, 가마나시강과 후지에강의 합류 지점부터 하류를 후지강으로 부른다. 후지산의 서쪽을 지나며, 과거에는 수질 오염과 벚꽃 새우 어획량 감소 등 환경 문제로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현재는 유루캠△의 성지로 알려져 관광 명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나시현의 강 - 다마강
다마강은 야마나시현에서 발원하여 도쿄만을 향해 흐르는 일본의 강으로, 식수 공급, 레저 활동, 생태계 보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야마나시현의 강 - 사가미강
사가미강은 야마나시현 야마나카 호에서 발원하여 가나가와현을 가로질러 사가미 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상류는 가쓰라강, 하류는 바뉴강으로 불리며, 은어 서식지로 아유카와라고도 불리고, 가나가와현의 주요 도시들에 용수를 공급하는 중요한 수자원이며, 댐과 호수, JR 사가미 선, 국도 제129호선,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가 강을 따라 이어진다. - 아카이시산맥 -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은 야마나시현, 나가노현, 시즈오카현에 걸쳐 있으며, 자연 환경 보호를 위해 자가용 차량 규제와 캠프 지정제를 시행하고, 정보 센터와 산악관 등의 시설을 갖춘 일본의 국립공원이다. - 아카이시산맥 - 덴류강
덴류강은 야쓰가타케 산맥에서 발원하여 스와호를 거쳐 엔슈나다로 흘러드는, "아바레덴류"라고도 불렸던 강으로, 수력 발전 중심지로 개발되어 현재는 하천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시즈오카현의 강 - 덴류강
덴류강은 야쓰가타케 산맥에서 발원하여 스와호를 거쳐 엔슈나다로 흘러드는, "아바레덴류"라고도 불렸던 강으로, 수력 발전 중심지로 개발되어 현재는 하천 개발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시즈오카현의 강 - 오이강
오이강은 일본 남알프스에서 발원하여 스루가만으로 흘러드는 강으로, 수력 발전과 오이가와 철도 관광 노선으로 유명하며, 리니어 중앙 신칸센 건설로 인한 유량 감소 문제가 제기된다.
후지강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후지카와 또는 후지가와 |
일본어 표기 | 富士川 (후지카와) |
지도 검색어 | 후지 강 |
지리 | |
발원지 위치 | 이치카와미사토, 야마나시현 |
하구 위치 | 스루가만 |
국가 | 일본 |
길이 | 128km |
발원지 고도 | 2685m |
하구 고도 | 0m |
평균 방류량 | 63.2m³/s |
유역 면적 | 3990km² |
유역 | 나가노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 |
추가 정보 | |
가마나시 강 (과거 이름) | 釜無川 (가마나시-가와) |
신겐 제방 | 信玄堤 (신겐-zutsumi) |
2. 지리
남알프스 북부, 야마나시현과 나가노현의 현 경계에 위치한 노코기리산에서 발원하여, 나가노현 후지미정에서 야츠가타케 등을 발원지로 하는 다테바강과 합류하면서 야마나시현 호쿠토시까지 나가노현과 야마나시현의 현 경계를 이룬다. 호쿠토시에서 야마나시현 영역으로 들어간 후 오시라강, 시오카와, 미코시강 등과 합류하면서 고후 분지를 남류하여, 니시야쓰시로군이치카와미사토정과 미나미코마군후지카와정의 정 경계에서 후지에강과 합류한다. 여기까지를 '''가마나시강'''이라고 부른다.
가마나시강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상류의 "가마나시산"에서 유래했다는 설, 가마와 같은 깊은 소가 없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 가마의 가장자리와 같은 제방이 없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 강의 물이 따뜻해서 가마가 필요 없기 때문이라는 설, 고마군을 관류하는 큰 강의 이유로 "고마의 형(코마노세)강"이라는 설, "수량이 풍부하고 흐름이 빨라서, 가마를 씻으려고 하면 금방 떠내려가 없어지기 때문에"라는 전승에 가까운 것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유력하게 여겨지는 것은 끊임없이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쿠마나시'''(구마 없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3][4]。
일반적으로 '''가마나시강'''과 '''후지에강'''의 합류점부터 하류를 '''후지강'''이라고 부르며, 그대로 후지산의 서쪽을 남류한다. 도중, 하야카와나 도키와강, 하키이강 등, 더 내려가 시즈오카현에 들어가 이나코강이나 시바강 등의 지류를 합쳐, 후지시의 간제방 남쪽에서 도카이도와 교차하며, 후지시와 시즈오카시시미즈구와의 경계에서 스루가만에 흘러든다.
후지강의 어원에 대해서는, 후지산에서 흘러나온 물이 모여 강이 되었다는 설이나 후지카와의 변화라는 설이 있다[5]。
2. 1. 가마나시 강
남알프스 북부, 야마나시현과 나가노현의 현 경계에 위치한 노코기리산에서 발원하여, 나가노현 후지미정에서 야츠가타케 등을 발원지로 하는 다테바강과 합류하면서 야마나시현 호쿠토시까지 나가노현과 야마나시현의 현 경계를 이룬다.[3][4] 호쿠토시에서 야마나시현 영역으로 들어간 후 오시라강, 시오카와, 미코시강 등과 합류하면서 고후 분지를 남류하여, 니시야쓰시로군이치카와미사토정과 미나미코마군후지카와정의 정 경계에서 후지에강과 합류한다. 여기까지를 '''가마나시강'''이라고 부른다.가마나시강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상류의 "가마나시산"에서 유래했다는 설, 가마와 같은 깊은 소가 없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 가마의 가장자리와 같은 제방이 없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 강의 물이 따뜻해서 가마가 필요 없기 때문이라는 설, 고마군을 관류하는 큰 강의 이유로 "고마의 형(코마노세)강"이라는 설, "수량이 풍부하고 흐름이 빨라서, 가마를 씻으려고 하면 금방 떠내려가 없어지기 때문에"라는 전승에 가까운 것 등이 있다. 그중에서도 유력하게 여겨지는 것은 끊임없이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쿠마나시'''(구마 없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2. 2. 후지 강
남알프스 북부, 야마나시현과 나가노현의 현 경계에 위치한 노코기리산에서 발원하여, 고후 분지를 남류하여, 니시야쓰시로군이치카와미사토정과 미나미코마군후지카와정의 정 경계에서 후지에강과 합류한다. 여기까지를 '''가마나시강'''이라고 부른다.
가마나시강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유력하게 여겨지는 것은 끊임없이 흐르는 모습을 나타낸 "'''쿠마나시'''(구마 없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3][4]。
일반적으로 '''가마나시강'''과 '''후지에강'''의 합류점부터 하류를 '''후지강'''이라고 부르며, 그대로 후지산의 서쪽을 남류한다. 후지시의 간제방 남쪽에서 도카이도와 교차하며, 후지시와 시즈오카시시미즈구와의 경계에서 스루가만에 흘러든다.
후지강의 어원에 대해서는, 후지산에서 흘러나온 물이 모여 강이 되었다는 설이나 후지카와의 변화라는 설이 있다[5]。
2. 3. 명칭
정식 명칭은 "후지'''카'''와"로 탁음이 없는 발음이며, 도카이도 신칸센 후지카와 다리 등 다리 근처에 걸려 있는 간판에는 영어 표기로 "FUJI'''KA'''WA"라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유역인 시즈오카현, 야마나시현에서는 "후지'''카'''와"라고 불린다.국어 사전·백과사전의 가나 표제·읽는 법은 제각각이며, 『다이지린』(산세이도)·『일본 대백과사전』(쇼가쿠칸)에서는 "후지'''카'''와"로 하고 있는 한편, 『일본 국어 대사전』이나 『다이지센』(모두 쇼가쿠칸)·『슈에이샤 국어 사전』(슈에이샤)·『세계 대백과사전』(헤이본샤)에서는 "후지'''가'''와"로 하고 있다. 『고지엔』(이와나미 쇼텐)은 2008년의 제6판까지 가나 표제를 "후지'''가'''와"로 하고 있었지만, 2018년의 제7판에서 "후지'''카'''와"로 고쳤다.
국토교통성 사이트에서 일본 전국의 1급 하천을 소개하는 "일본의 강"에서는 읽는 법을 "후지카와"로 하고 있으며, URL에는 "fujikawa"의 문자가 포함되어 있다.
『NHK 일본어 발음 억양 신사전』에서는 후지카와 발음을 "후지카와 ̄"로 나타내고 있다.
유역인 야마나시현미나미코마군후지카와정 및 2008년 (헤이세이 20년) 10월 31일까지 존재했던 시즈오카현 이하라군후지카와정(현·후지시)은, 정식으로 "후지'''카'''와초"로 발음한다.
3. 역사
3. 1. 만엽집
나라 시대에 편찬된 만엽집 제3권 319의 후지산을 칭송하는 장가(다카하시 무시마로의 작품으로도 전해짐)에 후지강의 이름이 보인다. 장가에는 "후지강과 사람들이 건너는 것도 그 산(후지산)의 물이 끓어오르기 때문이네"라는 구절이 있다.3. 2. 후지 강 전투 (1180년)
1180년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 타이라노 코레모리가 싸운 전투로, 지쇼・쥬에이의 난의 일부이다.
이시바시야마 전투에서 패배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아와 국에서 재기를 도모하며 진군하는 동안 동국 무사들이 이에 합류하여 대군으로 팽창하여 가마쿠라에 들어갔다. 요리토모는 스루가 국에서, 수도에서 파견된 타이라노 코레모리가 이끄는 추토군과 싸워 승리하여, 관동에서의 할거를 확립했다.
3. 3. 중세의 도선
전국 다이묘들은 후지강의 도선을 관리했는데, 중세에는 이미 도선 환경이 정비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스루가국 하시가미[7]의 후지강 연안에는 선박 관청이 있었고, 뱃사공들이 뗏목 역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뱃사공들은 전쟁 시 도선을 위해 동원되었으며, 하시가미의 모리 씨는 이마가와 요시모토·우지자네로부터 "주야 하천 배의 노고"의 봉공에서 제반 역 면제를 인정받았다.[8][9][10]스루가 침공으로 다케다 신겐이 스루가를 영유하자, 다케다 가신 아나야마 노부키미가 뗏목 역의 대가로 모리 씨의 제반 역 면제를 인정했다.[11][12] 이처럼 영주들은 도선을 중시했으며, 뱃사공들을 거느리는 정책을 펼쳤다.
3. 4. 수해
에도 시대 초기에는 후지시가 강을 따라 위치하여 잦은 홍수로 피해가 빈번했다. 1674년에는 고고리 시게타카, 시게마사, 시게토시 3대가 50년 이상에 걸쳐 후지강의 흐름을 현재 위치로 변경했다. 홍수 피해로부터 논을 보호하기 위해 유수지 기능을 갖춘 길이 2.7km의 대규모 제방인 간제방을 완성하여 후지역 주변에 논을 조성했다.현재는 우루이강 등으로 수량 조절을 하고, 일본경금속 가와라 제조소가 자사 수력 발전을 위해 간제방 상류에서 물을 취수하여 스루가만으로 흘려보내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수해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1982년 8월 2일 태풍 10호의 영향으로 야마나시현 후지카와정 등이 범람하고, 국도 469호의 만에이 다리와 일본국유철도 도카이도 본선 하행선 교각이 유실되었다. 이로 인해 사상자 35명, 가옥 전파 및 유실 46호, 침수 가옥 1,112호가 발생했으며, 도카이도 본선은 75일간 단선 운행되었다.
3. 5. 후지 강 수운
후지 강은 급류에 난관도 많았지만, 내륙의 가이 남부와 스루가 간의 교통로로서 슨슈 오칸과 함께 예부터 수운이 이용되었다.
에도 시대인 1602년에 스루가 국과 가이 국(현재의 후지카와정) 사이에 후지 강 도선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에도 시대에는 가이가 막부 직할의 천령이었기 때문에 1607년의 스미노쿠라 료이 등에 의한 개착 사업으로 운행의 안전이 확보되어 에도로의 회미 수송을 중심으로 수운이 발달했다. 간에이 연간에는 카지와자와 강변・쿠로사와 강변・아오야기 강변이 설치되어 야마나시・야시로・코마 3군으로부터의 회미 수송이 이루어졌고, 후에 시나노 남부의 스와・마츠모토로부터의 회송도 이루어지게 되었다. 강변에는 대관소와 미창이 설치되었고, 연안의 마을과 촌에는 많은 선착장이 있어, 현재에도 그 흔적을 남기는 상호 등을 볼 수 있다.
회송된 회미는 스루가 국 이와부치(현재의 시즈오카현 후지시)의 강변에서 육상에 하역되어 칸토쿠라고 불리는 마력에 의해 칸바라로 운반되어 그곳에서 더 시미즈항으로 모아진 후 대형선으로 에도에 회송되었다. 또한 상하에는 소금이나 해산물 등 내륙의 가이에서 생산되지 않는 상품을 중심으로 수송이 이루어졌으며, 미노부 참배 여행객도 이용했다. 후지 강을 따라 있는 누마쿠보 지구에 남아있는 에도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친 장부가 기록되어 있는 『마츠이 문서』에 따르면, 강변에서 출하되는 것은 반시나 그 재료가 되는 삼지창 외에 담배 등 다방면에 걸쳐, 도착한 것은 코슈에서 운반된 것이었다. 또한 이것들은 오미야정 등에 운반되었다.
메이지 시대(1868년)가 되자 회미 수송이 없어지고 쇠퇴하지만, 미카와 강변의 상인에 의한 창업으로 1874년에는 후지카와 운수 회사가 설립되어 발전했다. 중앙선의 부설로 육상 수송이 가능해지자 다시 수운은 쇠퇴하여, 1922년에는 후지카와 운수 회사도 해산. 1928년 후지미노부 철도(현재의 JR 도카이 미노부선)의 전선 개통과 함께 그 역할을 마쳤다.
3. 6. 수질 오염 문제
1970년대까지 하류 지역의 제지 공장으로 인해 수질 오염이 심화되었으며, 다코노우라에서 준설한 오니가 후지강 하천 부지에서 처리된[13] 탓에 하천의 수질이 매우 열악해졌다. 또한, 후지시의 분뇨 처리장도 탈수 장치가 고장난 채 방치되어 1970년까지 3년 동안 오물 일부가 매일 1톤 이상 하천 부지에 무단 방류되었다. 심각한 상황이었지만, 후지시는 현장에서 2~3차례 요구된 수리를 위한 예산을 통과시키지 않았다.[14]1970년대 초반 하구 근처의 하천 부지는 산업 폐기물의 매립지가 되었다. 인근의 제지 공장 등에서 슬러지(폐지의 용해 찌꺼기)가 운반되었는데, 슬러지 속에서 용해 처리되지 않은 낡은 지폐가 발견되기도 했다.[15]
과거에는 은어 낚시가 성행하여 2010년경까지는 구마강과 함께 "척은어"(30cm가 넘는 대형 은어)가 잡히는 강으로 전국에 알려졌다. 특히 "후지카와 은어 낚시 대회"는 후지카와정 제90주년 기념으로 1991년에 제1회가 개최된 이래 야마나시현의 관광 자원 중 하나였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에는 은어의 서식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한, 스루가만에서의 벚꽃 새우 어업도 1999년에는 2451톤의 어획량이 있었지만 2020년에는 25.8톤으로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러한 요인이 상류의 아메하타 댐의 퇴사나 오니의 불법 투기에 기인한다는 보도가 시즈오카 신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후지강의 환경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와 관련 기업의 무책임한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며, 이는 명백한 환경 파괴 행위라고 주장한다. 특히, 은어 서식 감소와 벚꽃 새우 어획량 감소는 지역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즉각적인 진상 조사와 함께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한다. 또한, 지속적인 환경 감시와 정보 공개를 통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3. 6. 1. 1970년대
1970년대까지 하류 지역의 제지 공장으로 인해 수질 오염이 심화되었으며, 다코노우라에서 준설한 오니가 후지강 하천 부지에서 처리된[13] 탓에 하천의 수질이 매우 열악해졌다. 또한, 후지시의 분뇨 처리장도 탈수 장치가 고장난 채 방치되어 1970년까지 3년 동안 오물 일부가 매일 1톤 이상 하천 부지에 무단 방류되었다. 심각한 상황이었지만, 후지시는 현장에서 2~3차례 요구된 수리를 위한 예산을 통과시키지 않았다[14].1970년대 초반 하구 근처의 하천 부지는 산업 폐기물의 매립지가 되었다. 인근의 제지 공장 등에서 슬러지(폐지의 용해 찌꺼기)가 운반되었는데, 슬러지 속에서 용해 처리되지 않은 낡은 지폐가 발견되기도 했다[15].
3. 6. 2. 2010년대
과거에는 은어 낚시가 성행하여 2010년경까지는 구마강과 함께 "척은어"(30cm가 넘는 대형 은어)가 잡히는 강으로 전국에 알려졌다. 특히 "후지카와 은어 낚시 대회"는 후지카와정 제90주년 기념으로 1991년에 제1회가 개최된 이래 야마나시현의 관광 자원 중 하나였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에는 은어의 서식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한, 스루가만에서의 벚꽃 새우 어업도 1999년에는 2451톤의 어획량이 있었지만 2020년에는 25.8톤으로 현저하게 감소했다. 이러한 요인이 상류의 아메하타 댐의 퇴사나 오니의 불법 투기에 기인한다는 보도가 시즈오카 신문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후지강의 환경 문제에 대해 일본 정부와 관련 기업의 무책임한 행태를 강하게 비판하며, 이는 명백한 환경 파괴 행위라고 주장한다. 특히, 은어 서식 감소와 벚꽃 새우 어획량 감소는 지역 경제에도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으며, 일본 정부는 즉각적인 진상 조사와 함께 실질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한다. 또한, 지속적인 환경 감시와 정보 공개를 통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4. 유역의 자치단체
후지 강 유역에는 나가노현, 야마나시현, 시즈오카현의 여러 자치단체가 위치한다.
나가노현에서는 스와군 후지미정, 스와군 하라촌, 미나미사쿠군 미나미마키촌이, 야마나시현에서는 호쿠토시, 니라사키시, 가이시, 미나미알프스시, 나카코마군 쇼와정, 주오시, 니시야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여기까지가 가마나시 강) ,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 미나미코마군 난부정이 해당된다. 시즈오카현에서는 후지노미야시, 후지시, 시즈오카시가 후지 강 유역에 속한다.
5. 관광
미노부산구온지는 니치렌종의 총본산으로, 국보 등의 문화재 외에도 수많은 숙방이 존재하며 벚꽃과 단풍 명소이다.
가마구치 협곡은 3대 급류인 후지강에서 가장 강폭이 좁아진 곳으로, 거센 탁류에 의해 독특한 암석이 만들어져 웅대한 계곡을 이루고 있다.
후지카와 락자는 도메이 고속도로 후지카와 SA와 시즈오카현도·야마나시현도 10호 후지카와 미노부선 위에 있는 미치노에키가 하나로 합쳐진 시설이다.
5. 1. 미노부산 구온지
5. 2. 가마구치 협곡
5. 3. 미치노에키 후지카와 락자
5. 4. 애니메이션 성지 (유루캠△)
2015년부터 만화 연재가 시작되어 2018년부터 애니메이션 방영이 시작된 유루캠△/ゆるキャン△일본어의 성지로 전국에 알려져 있으며, 2010년대 후반부터 유역 각지에서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아마하타 댐과 아마하타 현수교도 유루캠△/ゆるキャン△일본어 제7권에 등장하는 "성지"로 여겨진다.6. 지류
후지 강에는 수많은 지류가 있으며, 각 지류는 유역의 자치단체를 지난다.
- 나가노현
- * 호게쿠보 강(스와 군 후지미정)
- * 다테바강 (스와 군 후지미정)
- * 타케치강 (스와 군 후지미정)
- 야마나시현·나가노현
- * 코로쿠강 (호쿠토 시, 스와 군 후지미정) ※야마나시현과 나가노현의 현 경계
- 야마나시현
- * 시오자와 강(호쿠토 시)
- * 코후카사와 강(호쿠토 시)
- * 나가레카와(호쿠토 시)
- * 진구강 (호쿠토 시)
- * 오후카사와 강(호쿠토 시)
- * 오시라강 (호쿠토 시)
- * 다이무강 (호쿠토 시) - 타키미치 강, 이시소라강
- * 구로사와 강(호쿠토 시)
- * 고부강 (호쿠토 시, 니라사키시)
- * 시오카와 (니라사키 시, 호쿠토 시) - 토치자와 강, 스다마강, 코모리 강, 가마세강, 혼다니 강
- * 미코토시강 (미나미알프스시)
- * 타키자와강 (미나미알프스시)
- * 후지에강 (야마나시시, 코슈시, 후에후키시, 고후시, 주오 시, 니시야마시로 군 이치카와미사토정) - 아시카와, 아사리 강, 시치카쿠 강, 아라카와, 다쿠강, 뵤도강, 아사카와, 카네카와, 닛카와, 시게카와, 아니강, 쓰즈미강, 고토강, 토쿠와강
- * 토가와 (미나미코마 군 후지카와정)
- * 오야나기강 (미나미코마 군 후지카와정)
- * 코야나기 강 (미나미코마 군 후지카와정)
- * 미사와 강 (니시야마시로 군 이치카와미사토정, 미나미코마 군 미노부정) - 히다 강
- * 테우치자와 강 (미나미코마 군 미노부정)
- * 하야카와 (미나미코마 군 하야카와정, 미노부정) - 아케보노 강, 하루키강, 아메하타강, 호 강, 구로바시카와우치 강, 우치카와우치 강, 유가와, 아라카와, 노로 강 (하야카와 상류)
- * 토키하강 (미나미코마 군 미노부정) - 시모베강, 아메고치강, 토치다이강, 소기강
- * 미모치 강 (미나미코마 군 미노부정)
- * 하키이강 (미나미코마 군 미노부정) - 아이오이강, 오시로강, 미노부강
- * 후네야마 강 (미나미코마 군 난부정)
- * 토구리강 (미나미코마 군 난부정)
- * 사노강 (미나미코마 군 난부정)
- * 후쿠시강 (미나미코마 군 난부정)
- * 만자와강 (미나미코마 군 난부정)
- 시즈오카현
- * 이나고강 (후지노미야시)
- * 이나세강 (후지노미야시, 시즈오카시 시미즈구) - 우치보사카이강 (후지노미야시,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 군 난부정)
- * 시바카와 (후지노미야시) - 오쿠라강, 고토메키강
- * 호시야마 방수로 (후지노미야시) ※후지 강에 유입 - 우루이강 (후지노미야시, 후지시) - 칸다강, 유미자와강
- * 아리세강 (후지시)
- * 나카하라강 (후지시)
- * 게츠류강 (후지시)
- * 요시즈강 (후지시)
- * 고이케강 (시즈오카시 시미즈구)
7. 병행하는 교통
7. 1. 철도
JR 동일본의 중앙 본선과 JR 도카이의 미노부선이 이 곳을 지난다.7. 2. 도로
중앙 자동차도, 중부 횡단 자동차도, 국도 20호선, 국도 52호선이 지난다.8. 교차하는 교통
wikitext
JR 도카이의 도카이도 신칸센과 도카이도 본선이 지난다.
후지 강 유역에는 주요 도로가 지나간다. 토메이 고속도로와 신토메이 고속도로가 강을 따라 건설되어 있으며, 국도 1호선도 후지 강을 지난다.
8. 1. 철도
JR 도카이의 도카이도 신칸센과 도카이도 본선이 지난다.8. 2. 도로
후지 강 유역에는 주요 도로가 지나간다. 토메이 고속도로와 신토메이 고속도로가 강을 따라 건설되어 있으며, 국도 1호선도 후지 강을 지난다.9. 후지 강을 경계로 하는 것
9. 1. 상용 전원 주파수
시즈오카현에서는 후지강을 경계로 동쪽은 50Hz(도쿄 전력 파워 그리드), 서쪽은 60Hz(주부 전력 파워 그리드)의 상용 전원 주파수가 사용되어 주파수가 다르다.[16] 과거 시즈오카현을 3분할 또는 4분할 할 때 동부와 중부를 후지강을 경계로 분할하기도 했다.[17] 도카이도 신칸센은 이 강을 횡단하지만, 이 강 동쪽도 주파수는 60Hz로 통일되어 있다.9. 2. 식물 분포
후지 강을 경계로 동서에서 식물 분포의 차이가 나타난다. 기본적으로 후지 강 서쪽에서 렌리소 등이 보인다.[18]참조
[1]
웹사이트
富士川
http://www.ktr.mlit.[...]
2009-03-20
[2]
웹사이트
Japan's incompatible power grids
https://www.japantim[...]
The Japan Times
2018-04-25
[3]
웹사이트
釜無川の由来を知ろう!
http://yamanashi.umi[...]
2019-09-06
[4]
웹사이트
釜無川の歴史や名前の由来について書いてある本はあるか。
https://crd.ndl.go.j[...]
2019-09-06
[5]
웹사이트
富士川の由来を知ろう!
http://yamanashi.umi[...]
2019-09-06
[6]
웹사이트
日本の川 - 関東 - 富士川 - 国土交通省水管理・国土保全局
https://www.mlit.go.[...]
[7]
문서
現在の静岡県富士宮市内房橋上
[8]
문서
『戦国遺文』今川氏編 1087
[9]
문서
『戦国遺文』今川氏編 2086
[10]
서적
『山梨県史』資料編 4(中世1)187-188頁
1999
[11]
서적
山梨県立博物館『「武田二十四将―信玄を支えた家臣たちの姿―」展示図録』21・48頁
2018
[12]
문서
『戦国遺文』武田氏編 2740
[13]
웹사이트
【広報ふじ昭和46年】ヘドロ処理はじまる
https://photo.city.f[...]
富士市
1971-01-01
[14]
뉴스
し尿処理 ほおかぶり 問題の河川敷に
朝日新聞
1970-11-10
[15]
뉴스
日銀、あきれた抜け穴 降ってわいた札束ミステリー 廃棄紙幣流出事件
朝日新聞
1970-05-16
[16]
웹사이트
電源周波数地域(50Hz地域/60Hz地域)について
http://www.sharp.co.[...]
シャープ株式会社
[17]
문서
旧富士川町と富士市の合併以降は、東部と中部の境は富士川より西に移動した。
[18]
문서
レンリソウ
http://www3.city.fuj[...]
富士市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