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히로시마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로시마번은 가마쿠라 시대에 모리 씨가 아키국에 정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센고쿠 시대에는 주고쿠 지방을 지배하는 유력한 세력이 되었다. 1589년 모리 테루모토가 히로시마 성을 건설하며 정치, 경제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영토를 잃고 하지 성으로 옮겨갔다. 이후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히로시마번을 다스렸지만, 오사카 전투 이후 무단으로 성을 개축한 죄로 시나노국으로 전봉되었다. 1619년부터 아사노 씨가 히로시마 번을 통치하며 번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막말의 혼란 속에서 메이지 유신을 맞이하여 1871년 폐번치현으로 히로시마 현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하라시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센고쿠 시대부터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활약한 무장으로, 모리 모토나리의 아들이자 고바야카와 가문의 양자로서 모리 가문의 세력 확장에 기여했으며 도요토미 정권의 고다이로를 역임하고 임진왜란에도 참전했다.
  • 빈고국의 번 - 나카쓰번
    나카쓰번은 에도 시대 부젠국 나카쓰 지역을 다스린 번으로, 구로다 씨가 처음 다스렸으나 이후 호소카와 씨, 오가사와라 씨를 거쳐 오쿠다이라 씨가 155년간 통치하며 후쿠자와 유키치와 같은 인재를 배출하여 일본 근대화에 기여했다.
  • 빈고국의 번 - 후쿠야마번 (빈고국)
    후쿠야마번은 1619년 미즈노 가쓰시게에게 하사되어 시작되었으며, 미즈노 가문과 아베 가문을 거쳐 메이지 유신까지 존속하다가 폐번치현으로 후쿠야마 현이 되었다.
히로시마번
지도 정보
재건된 히로시마의 히로시마성
기본 정보
일본어 명칭広島藩
로마자 표기Hiroshima-han
일반 명칭히로시마 번
속성
국가일본
영주다이묘
초대 영주모리 데루모토
초대 영주 재임 기간1591–1600
마지막 영주아사노 나가코토
마지막 영주 재임 기간1869–1871
수도히로시마성
좌표34
소속 지역아키국, 빈고국
현재 지역히로시마현
역사
설치1601년
폐지1871년
폐지 사건폐번치현
시대에도 시대
상징
히로시마 번의 깃발
아사노 가문의 문장
문양 유형가몬
문양 가문아사노 씨
기타 정보
번의 등급국주격
번주 직함아키노카미

2. 역사

가마쿠라 시대에 모리 씨의 분가 중 하나가 아키국 요시다쇼(吉田庄)에 정착하면서 히로시마 지역과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센고쿠 시대에 이르러 모리 모토나리와 그의 후손들은 주변 세력을 제압하고 주고쿠 지방의 패자로 성장하였다. 1589년, 모리 데루모토는 히로시마 성 축성을 시작하여 이곳을 광대한 영지의 중심으로 삼고자 했으나,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의 총대장으로 참전했다가 패배하면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히로시마 영지를 몰수당하고 하기 성으로 거처를 옮겼다.[9]

모리 씨가 떠난 히로시마에는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새로운 번주로 임명되어 아키국빈고국 일부를 다스리는 히로시마번이 성립되었다. 마사노리는 검지(検地)를 통해 고쿠다카를 높이고 번 통치 기반을 다지려 했으나, 1619년 홍수 피해를 입은 히로시마 성을 도쿠가와 막부의 허가 없이 수리했다는 이유(무가 쇼하토 위반)로 영지를 몰수당하고 가와나카지마 번으로 이봉되었다.

후쿠시마 씨의 뒤를 이어 기슈 번에서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히로시마 번주로 부임하였다. 아사노 가문은 이후 에도 시대가 끝날 때까지 약 250년간 히로시마번을 통치했다. 히로시마번의 고쿠다카는 42만 6,500석[4]으로, 도쿠가와-마쓰다이라 가문을 제외하면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큰 규모였다. 아사노 가문은 세토 내해의 해상 교통 이점을 활용하고 목재, 철, 종이 등 특산물의 전매 제도를 통해 번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경제적으로 번영하였다.

에도 시대 말기(막말)에 히로시마번은 제2차 조슈 정벌 이후 점차 조슈 번과 가까워지며 사쓰마 번 등과 함께 막부 타도 움직임에 가담하였다. 그러나 대정봉환을 건의하는 등 양면적인 태도를 보여 메이지 유신의 주도 세력에서는 밀려났다는 평가를 받는다.[17] 그럼에도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에 가담하여 싸웠다.

1869년 판적봉환으로 마지막 번주 아사노 나가코토가 번지사로 임명되었고, 1871년 폐번치현 정책에 따라 히로시마번은 폐지되어 히로시마현으로 편입되었다. 당시 번의 부채는 상당했으며, 폐번 이후 미회수된 번찰(藩札)은 메이지 정부가 처리하게 되었다.[18][19]

2. 1. 초기 (가마쿠라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가마쿠라 시대 말기, 에치고국 가리와군(刈羽郡) 사하시노쇼(佐橋荘)를 지배하던 모리 쓰네미쓰(毛利経光)는 넷째 아들 모리 도키치카(毛利時親)에게 아키국 다카타군의 요시다쇼(吉田庄, 현재 히로시마현 아키타카타시 요시다정)를 나누어 주어 분가를 세우게 했다. 도키치카의 아들 모리 사다치카(毛利貞親)와 손자 친코(親衡)는 에치고에 머물며 아키의 영지를 간접적으로 다스렸다.[7]

그러나 남북조 시대에 이르러 도키치카의 증손자인 모리 모토하루(毛利元春)가 아키로 내려와 고리야마성(吉田郡山城)에 자리를 잡고 영지를 직접 통치하기 시작했다.[8] 요시다쇼로 이주한 모리 씨무로마치 시대 동안 아키국의 유력한 고쿠진 영주(国人領主)로 성장하였다.

센고쿠 시대에 들어 모리 씨는 아키국의 다케다 씨를 몰아내고 아키를 평정했으며, 오우치 요시나가를 멸망시키고 아마고 요시히사를 항복시켜 주고쿠 지방 대부분(한때는 규슈 일부까지 포함)을 지배하는 강력한 다이묘로 부상했다. 덴쇼 17년(1589년), 당시 모리 씨의 수장이자 도요토미 히데요시 정권 하에서 오봉행(五奉行) 중 한 명이었던 모리 데루모토(毛利輝元)는 히로시마성 건설을 시작했다. 덴쇼 19년(1591년), 데루모토는 아직 건설 중이던 히로시마성으로 거처를 옮겨 이곳을 주고쿠 지방 대부분을 다스리는 정치·경제의 중심지로 삼았다.

하지만 게이초 5년(1600년) 벌어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西軍)의 총대장으로 참전했다가 패배하면서 모리 씨의 운명은 바뀌었다. 전투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데루모토를 히로시마에서 추방하고 영지를 대폭 축소시켰다. 기존 산인·산요 지방 120만 5천 석에 달했던 영지는 스오나가토 두 국(조슈번, 현재의 야마구치현)의 29만 8천 석으로 줄어들었으며, 거점도 하기성으로 옮겨야 했다.[9]

2. 2. 번의 성립과 발전 (에도 시대)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 총대장이었던 모리 테루모토가 패배한 후, 모리 씨는 히로시마 성을 포함한 영지 대부분을 잃고 하기 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모리 씨 대신 후쿠시마 마사노리를 히로시마 번의 초대 번주로 임명하여 히로시마번이 성립되었다.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아키국빈고국 일부를 다스렸으나, 1619년 홍수로 손상된 히로시마 성을 도쿠가와 막부의 허가 없이 수리한 것이 무가 쇼하토 위반으로 간주되어 영지를 몰수당하고 가와나카지마 번으로 옮겨졌다.

후쿠시마 가문이 떠난 자리에는 기슈 번 번주였던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새로운 번주로 부임하여 아키국 전역과 빈고국 8개 군(郡)을 다스리게 되었다. 아사노 씨는 이후 1871년 폐번치현까지 약 250년간 히로시마번을 통치했다. 번의 고쿠다카는 42만 6,500석[4]으로, 도쿠가와-마쓰다이라 가문을 제외하면 전국에서 여섯 번째로 큰 규모였다. 아사노 가문은 세토 내해의 해상 교통 이점을 활용하고 목재, 철, 종이 등 주요 산물의 전매제를 통해 번의 경제적 기반을 강화했다.

에도 시대 말기(막말)에는 조슈 번과 점차 가까워지며 도쿠가와 막부 타도 움직임에 가담하기도 했으나, 메이지 유신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는 평가도 있다.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 측에 가담하여 싸웠으며, 1871년 폐번치현 정책에 따라 히로시마 번은 폐지되고 히로시마현이 설치되었다.

2. 2. 1. 후쿠시마 가문 시대 (1600년 ~ 1619년)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패배한 모리 테루모토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기존의 영지 대부분을 잃고 히로시마 성에서 하기 성으로 거처를 옮겨야 했다. 모리 가문이 떠난 히로시마에는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새로운 번주로 들어왔다. 그는 오와리국 기요스 성 출신으로, 아키국 전체와 빈고국 일부를 포함하는 40만 2,150석[10] 규모의 영지를 다스리게 되었다.

마사노리는 1601년부터 영지 내 토지를 다시 측량하는 검지를 실시하여, 실제 생산량을 기준으로 고쿠다카를 49만 8,000석으로 높였다.[11] 그는 모리 가문 시대에 미흡했던 병농분리와 석고제를 강력하게 추진하여 번의 통치 기반을 다졌다. 하지만 아키 지역 토착 세력인 토호(土豪)들의 영향력이 강했기 때문에, 이들과 일부 타협하여 향사 제도를 유지하기도 했다. 또한, 성하마을을 정비하고 지역 산업을 육성하는 등 히로시마번 발전의 기틀을 마련했다.

1615년 에도 막부가 일국일성령을 발표하자, 히로시마번은 규정에 따라 아키국에서는 히로시마 성만, 빈고국에서는 간베 성만 남기고 나머지 성들을 파괴해야 했다. 빈고국의 미하라 성은 일국일성령 이전에 이미 폐성된 상태였으나, 후쿠시마 가문이 파괴된 도모 성의 누각을 몰래 옮겨왔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간베 성은 이후 후쿠야마 성을 축조하고 이주한 미즈노 씨에 의해 파괴되었다.

그러나 1619년, 오사카 전투가 끝난 후 발생한 홍수로 손상된 히로시마 성을 막부의 허가 없이 수리한 것이 문제가 되었다. 이는 성의 신축 및 개축을 엄격히 제한한 무가 쇼하토 위반에 해당했다. 결국 마사노리는 이 책임을 물어 영지를 대폭 삭감당하고 시나노국의 가와나카지마 번으로 전봉되었다. 이로써 후쿠시마 가문의 히로시마 통치는 19년 만에 막을 내렸다.

2. 2. 2. 아사노 가문 시대 (1619년 ~ 1871년)

1619년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히로시마 성 무단 개수 혐의로 영지를 몰수당하고 가와나카지마 번으로 이봉된 후, 기슈 번 번주였던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아키(安芸)국 전역과 빈고(備後)국 8개 군(郡)을 포함하는 42만 6,500석[4]의 영지를 받아 히로시마 번의 새로운 번주가 되었다. 나가아키라는 도요토미 정권 하에서 오봉행 중 한 명이었던 아사노 나가마사의 둘째 아들이다. 나가아키라가 다스린 영지는 후쿠시마 마사노리 시절보다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고쿠다카는 42만 6,500석에 달했다. 이는 도쿠가와-마쓰다이라 가문을 제외하면 일본에서 여섯 번째로 큰 규모였다.

아사노 가문은 세토 내해 항로를 이용한 오사카와의 해상 운송 이점을 살려 번의 재정을 확충했다. 초기부터 목재, 철, 종이 등 주요 산물의 전매제를 실시하고, 쌀 시세를 조절하여 다른 번의 쌀을 싼값에 사들였다가 비싸게 되파는 방식으로 막대한 이익을 얻었다. 이러한 상업적 수완 때문에 에도 시대 학자 가이호 세이료는 "게이슈(芸州, 히로시마 번주)는 장사꾼과 같다"고 평하기도 했다. 나가아키라는 후쿠시마 가문 시대의 정책을 계승하면서도, 지역 토호 세력에 대해서는 엄격한 태도를 취하며 통치 기구를 근대화하려 노력했다.[12]

=== 주요 번주와 사건 ===

  • '''초대 번주 아사노 나가아키라''' (재임 1619년 ~ 1632년): 히로시마 번 아사노 가문의 시조. 번의 통치 기반을 다졌다.
  • '''2대 번주 아사노 미쓰아키라''' (재임 1632년 ~ 1672년): 나가아키라의 차남이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손자. 막부의 허가를 받아 서형(庶兄)인 아사노 나가하루에게 5만 석을 나누어 주어 지번(支藩)인 미요시 번을 세웠다. 도로 정비에 힘썼으며, 마쓰다이라 성씨 사용을 허락받았다.
  • '''3대 번주 아사노 쓰나아키라''' (재임 1672년 ~ 1673년): 미쓰아키라의 장남. 구죠 미치후사의 딸과 혼인하여, 이후 아사노 본가는 여계를 통해 도요토미 가문의 혈통을 잇게 되었다.
  • '''4대 번주 아사노 쓰나나가''' (재임 1673년 ~ 1708년): 쓰나아키라의 장남. 1701년 분가인 아코 번 번주 아사노 나가노리가 에도 성 내에서 칼부림 사건(아코 사건)을 일으키자, 본가에 연좌 책임이 미치는 것을 막기 위해 아코 번 가신들에게 성을 넘기도록 압력을 가하고, 오이시 요시오 등 아코 로시(浪士)들의 복수 계획을 와해시키려 시도했다. 복수 사건 이후에는 의사(義士)들의 유족을 사면하고 오이시 요시오의 삼남 다이자부로(大三郎) 등 아코 번 구신들을 등용했다. 그러나 이 시기 상품 경제 발달로 번 재정이 어려워져 가신들의 녹봉을 삭감하고 번찰을 남발했다.
  • '''5대 번주 아사노 요시나가''' (재임 1708년 ~ 1752년): 쓰나나가의 장남. 가로(家老) 세력을 누르고 직접 통치하며 번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농민들의 반발로 일어난 1718년 대규모 잇키(一揆)로 실패했다. 1720년 미요시 번이 후사 없이 단절되자, 1730년 동생 아사노 나가카타에게 3만 석을 주어 히로시마 신덴 번을 세워 본가 상속에 대비했다. 1725년 번교(藩校)인 '강학소(講学所)'를 설립하여 주자학을 장려했다.
  • '''6대 번주 아사노 무네쓰네''' (재임 1752년 ~ 1763년): 요시나가의 장남. '호레키(宝暦) 개혁'을 추진하여 재정 건전화에 성공했다.
  • '''7대 번주 아사노 시게아키라''' (재임 1763년 ~ 1799년): 무네쓰네의 장남. 긴축 재정을 통해 재정을 안정시켰으나, 덴메이 연간(天明年間)의 연이은 재해로 다시 재정이 악화되었다. 1786년에는 백성들의 우치코와시(打ちこわし, 상점 파괴 등 폭동)가 발생하기도 했다.
  • '''8대 번주 아사노 나리카타''' (재임 1799년 ~ 1830년): 시게아키라의 장남.
  • '''9대 번주 아사노 나리타카''' (재임 1831년 ~ 1858년): 나리카타의 장남. 11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딸과 혼인하고, 나기쓰 신사(饒津神社) 건립, 막부의 부역 동원, 연이은 흉작 등으로 번 재정이 극도로 악화되었다. 식산흥업 정책과 전매제 강화를 추진했으나, 번찰 남발로 인한 물가 폭등과 전매제 반대 잇키, 가신단 내부 갈등으로 개혁은 실패했다.
  • '''10대 번주 아사노 요시테루''' (재임 1858년): 나리타카의 장남. 재임 기간이 짧았다.
  • '''11대 번주 아사노 나가미치''' (재임 1858년 ~ 1869년): 시게아키라의 손자. 1862년 쓰지 마사카(辻将曹)를 가로로 등용하여 '분큐(文久) 개혁'을 단행, 번의 행정 및 재정 강화, 군비 근대화에 성공했다. 조슈 정벌 당시 히로시마는 막부군의 최전선 기지가 되었으나, 나가미치는 전쟁에 부정적 입장을 취하며 막부와 조슈 번 사이의 중재를 시도했고, 막부가 명령한 선봉 역할도 거부했다.
  • '''12대 번주 아사노 나가코토''' (재임 1869년): 시게아키라의 증손자이자 나가미치의 양자. 마지막 번주.


=== 막말과 메이지 유신 ===

1866년 제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사망하고 제2차 조슈 정벌이 사실상 막부군의 패배로 끝나면서, 히로시마 번은 점차 조슈 번과 가까워졌다. 1867년에는 사쓰마 번, 조슈 번과 동맹을 맺고 막부 타도 움직임에 가담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제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대정봉환을 건의하는 등 양면적인 태도를 보여, 당시 정세를 관망하는 기회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으며 메이지 유신의 주도 세력에서는 밀려났다.[17] 그럼에도 보신 전쟁에서는 천황 측 군대(관군)에 가담하여 싸웠다.

1869년 6월, 판적봉환에 따라 마지막 번주 아사노 나가코토가 히로시마 번지사(藩知事)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메이지 정부에 보고된 번의 부채 총액은 374만 2,290량에 달했다.[18]

1871년 7월, 폐번치현 정책에 따라 히로시마 번은 폐지되고 히로시마현이 설치되었다. 폐번치현 이후, 회수되지 않은 번찰 잔액이 83만 량이 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은찰(銀札) 기준으로는 17만 9,482관 이상), 이는 메이지 정부가 교환해주었다. 또한 번의 중신들이 위조 화폐를 제조한 사실이 드러나 관련자들이 처벌받는 사건도 있었다.[19]

1884년 화족령에 따라 옛 번주 아사노 가문은 후작 작위를 받았고, 주요 가로 가문들도 남작 작위를 받았다. 마지막 번주였던 아사노 나가코토는 1937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할 때까지 장수하여, 당시 언론으로부터 "마지막 다이묘(殿様)"로 불리기도 했다.

아사노 가문 시대 히로시마 번의 지번(支藩)으로는 미요시 번과 히로시마 신덴 번이 있었다. 아코 번 역시 아사노 가문이 다스렸으나, 본가와는 별개의 가계(別家)로 분류된다.[20]

2. 3. 막말과 메이지 유신

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사망하고 막부군이 제2차 조슈 정벌에서 패배하자, 히로시마번은 점차 조슈번과 가까워지는 모습을 보였다. 1867년에는 조슈번, 사쓰마번과 동맹을 맺고 막부 타도를 목표로 삼았다.

그러나 히로시마번이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대정봉환을 요구한 것은 당시 상황을 저울질하는 기회주의적인 행동으로 비춰져 다른 번들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 이로 인해 히로시마번은 메이지 유신을 이끄는 중심 세력에서는 제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히로시마번은 메이지 정부 편에 서서 보신 전쟁에 참전하였다.

메이지 유신 이후인 1869년, 판적봉환이 이루어지자 마지막 번주였던 아사노 나가코토가 히로시마 번지사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히로시마번은 메이지 정부에 총 374만 2,290량에 이르는 막대한 부채를 보고하였다. 1871년 폐번치현이 전국적으로 실시되면서 히로시마번은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히로시마현으로 개편되었다. 폐번치현 이후, 히로시마번이 미처 거두지 못한 83만 량이 넘는 빚(번채)은 메이지 정부가 대신 처리해 줄 것이라는 보고가 있었다.

3. 역대 번주

히로시마 번의 번주는 크게 세 가문이 계승하였다.


  • 모리 씨: 1591년 모리 테루모토가 히로시마 성을 축성하고 거점으로 삼았으나,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 패배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의해 히로시마에서 쫓겨났다. 당시 모리 가문의 고쿠다카는 1,120,000석에 달했다.
  • 후쿠시마 씨: 1600년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모리 씨를 대신하여 아키국빈고국 일부를 포함하는 498,223석의 영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1619년 히로시마 성 무단 수리를 이유로 무가 쇼하토 위반 혐의를 받아 영지가 몰수되고 가와나카지마 번으로 이봉되었다.
  • 아사노 씨: 1619년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기슈 번에서 옮겨와 426,550석의 영주가 되었다. 이후 아사노 가문은 에도 시대가 끝나는 1871년 폐번치현 때까지 총 12대에 걸쳐 히로시마 번을 통치하였다. 아사노 가문 통치하의 히로시마 번은 도쿠가와-마쓰다이라 가문을 제외하면 일본에서 여섯 번째로 큰 번이었다.


각 가문별 상세한 번주 목록과 재임 기간, 주요 활동 등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후쿠시마 가문 (1600년 ~ 1619년)

후쿠시마 마사노리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모리 테루모토가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패배하면서, 모리 씨는 히로시마 성에서 물러나고 영지가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야스는 후쿠시마 마사노리를 새로운 번주로 임명하여 아키국빈고국 일부를 다스리는 히로시마 번을 세웠다.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계열의 다이묘였으며, 당시 히로시마 번의 고쿠다카는 498,223석에 달했다.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토지 재평가를 통해 영지를 확보하고 군사 및 교육 제도를 개혁하려 했으나, 아키국에서는 기존 세력과의 타협이 이루어지기도 했다. 그는 1600년부터 1619년까지 히로시마 번을 다스렸다.

그러나 1619년, 대규모 홍수로 히로시마 성이 피해를 입자 후쿠시마 마사노리는 성을 수리했다. 이 행위는 성의 신축 및 개축을 제한하는 도쿠가와 막부의 법령인 무가 쇼하토를 위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결국 막부는 후쿠시마 마사노리에게 책임을 물어 영지를 몰수하고, 그를 시나노국의 가와나카지마 번으로 이봉(영지를 옮기는 처벌)시켰다. 이후 히로시마 번은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이끄는 아사노 씨에게 넘어갔다.

3. 2. 아사노 가문 (1619년 ~ 1871년)

1619년 후쿠시마 마사노리가 히로시마 성 무단 개수 혐의로 영지를 몰수당하고 가와나카지마 번으로 이봉된 후, 기슈 번에 있던 아사노 나가마사의 차남 아사노 나가아키라가 아키 1국과 빈고 8군의 새로운 번주로 들어왔다. 고쿠다카는 후쿠시마 영지보다 줄어든 42만 6,500석이었으나, 막부의 승인을 받은 큰 규모였다.[12] 나가아키라는 히로시마가 가진 세토 내해 항로의 이점을 활용하여 목재, 철, 종이 등의 전매를 실시하고, 쌀 시세 조작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어 '게이슈(芸州)의 장사꾼 영주'라는 평을 받기도 했다.[13][14] 그는 후쿠시마 시대의 정책을 일부 계승하면서도 토호 세력에 대해서는 엄격한 태도를 취하며 통치 기구의 근대화를 추진했다.[12]

2대 번주 아사노 미쓰아키라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손으로, 막부의 허가를 받아 서형(庶兄)인 아사노 나가하루에게 5만 석을 나누어 주어 지번인 미요시 번을 세웠다. 또한 도로 정비에 힘쓰고 마쓰다이라(松平) 성씨 사용을 허가받았다.

3대 번주 아사노 쓰나아키라는 구죠 미치후사의 딸들을 정실과 계실로 맞이하였는데, 미치후사의 어머니가 도요토미 가문의 도요토미 칸시였기에 아사노 종가는 여계를 통해 도요토미 가문의 피를 잇게 되었다.

4대 번주 아사노 쓰나나가 시대인 1701년(겐로쿠 14년)에는 분가인 아카호 번주 아사노 나가노리가 에도 성 내에서 칼부림 사건(아카호 사건)을 일으켰다. 히로시마 번은 이 사건이 아사노 본가에 연좌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아카호 번 중신의 친족인 번사들을 파견하여 성을 열도록 압력을 가하고, 이후 오이시 요시오를 중심으로 한 낭사들의 복수 맹약을 와해시키려 시도했다. 그러나 결국 복수 거사 자체를 막지는 못했다. 사건 이후 1706년(호에이 3년) 의사(義士) 유족들이 사면되자, 오이시 요시오의 삼남 오이시 요시야스 등 구 아카호 번사들을 등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아카호 번의 번찰 회수를 위해 본번과 미요시 번에서 막대한 지원을 하면서 번 재정은 더욱 악화되었고, 쓰나나가 시대에는 가신들의 녹봉 삭감과 번찰의 대량 발행이 이루어졌다.[14][15][16]

5대 번주 아사노 요시나가는 가로들로부터 실권을 되찾아 친정을 시도하고 번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농민들의 반발을 사 1718년(교호 3년) 대규모 잇키(일규)가 발생하여 실패로 돌아갔다. 1720년(교호 5년) 미요시 번 아사노 가문이 후사 없이 단절되자, 1730년(교호 15년) 동생 나가카타에게 3만 석을 주어 히로시마 신덴 번을 세워 본가의 후계 단절에 대비했다. 또한 1725년(교호 10년)에는 번교(藩校)인 '강학소(講学所)'를 창설하여 주자학을 번의 공식 학문으로 삼았다.

6대 번주 아사노 무네쓰네는 '호레키(宝暦) 개혁'이라 불리는 번정 개혁을 성공시켜 재정을 일시적으로 호전시켰다.

7대 번주 아사노 시게아키라는 긴축 재정 정책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나, 덴메이 연간(1781년~1789년)에 연이은 자연재해와 기근으로 재정은 다시 악화되었고, 1786년(덴메이 6년)에는 우치코와시(민중 봉기)까지 발생했다.

8대 번주 아사노 나리카타와 9대 번주 아사노 나리타카 시대에는 도쿠가와 이에나리 쇼군의 딸과의 혼인, 요쓰시마 신사 건립, 막부의 부역 동원, 연이은 흉작 등으로 번 재정은 극도로 궁핍해졌다. 식산흥업과 전매제 강화를 시도했으나, 번찰 남발로 인한 물가 폭등과 전매제 반대 잇키가 잇따랐고, 개혁 방식을 둘러싼 가신단 내부의 대립까지 겹쳐 개혁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10대 번주 아사노 요시테루는 재위 기간이 짧았다.

11대 번주 아사노 나가미치(나가노리)는 쓰지 마사카를 가로로 등용하여 '분큐(文久) 개혁'을 단행했다. 번 통치 기구의 중앙 집권화, 재정 강화, 군비 근대화를 추진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제1차 조슈 정벌 당시 히로시마는 최전선 기지가 되었으나, 나가미치는 전쟁 자체에 부정적이어서 막부와 조슈 번 사이의 중재를 시도하는 한편, 막부가 명령한 선봉 역할을 거부했다.

1866년(게이오 2년) 도쿠가와 이에모치 쇼군이 사망하고 제2차 조슈 정벌이 사실상 막부군의 패배로 끝나자, 히로시마 번은 점차 조슈 번 쪽으로 기울었다. 1867년(게이오 3년)에는 사쓰마 번, 조슈 번과 동맹을 맺고 막부 타도에 나섰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도쿠가와 요시노부 쇼군에게 대정봉환을 건의하는 등 양다리를 걸치는 듯한 행보로 인해 다른 번들의 불신을 사 메이지 유신의 주류에서는 다소 벗어나게 되었다.[17] 그럼에도 보신 전쟁에서는 신정부군 측에 가담하여 싸웠다.

1869년(메이지 2년) 판적봉환에 따라 12대 번주 아사노 나가코토(나가이사)는 히로시마 번지사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메이지 정부에 보고된 번의 부채 총액은 374만 2,290량에 달했다.[18] 1871년(메이지 4년) 폐번치현으로 히로시마 번은 폐지되고 히로시마현이 되었다. 폐번치현 후 보고에 따르면 회수되지 않은 번찰 잔액이 83만 량 이상 남아 메이지 정부가 교환해주게 되었다. 또한 번의 중신들에 의한 위조 화폐 제조 사실이 발각되어 나가코토는 관련 보고서를 제출했고 관계자들이 처벌받았다.[19]

1884년(메이지 17년) 구 번주 아사노 가문은 후작에 서임되었고, 가로 3가는 남작이 되었다. 나가코토는 1937년(쇼와 12년) 96세까지 장수하여 당시 언론으로부터 '마지막 다이묘(殿様)'로 불렸다.

아사노 가문의 지번(支藩)으로는 미요시 번과 히로시마 신덴 번이 있었다. 아카호 번 역시 아사노 가문이 번주를 지냈으나, 히로시마 번의 분가라기보다는 별가(別家)로 분류된다.[20]

대수번주초상화재임 기간비고
1아사노 나가아키라
浅野長晟
아사노 나가아키라 초상화
1619년 ~ 1632년초대 번주. 기슈 번에서 입봉.
2아사노 미쓰아키라
浅野光晟
1632년 ~ 1672년나가아키라의 차남.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손. 미요시 번 분번.
3아사노 쓰나아키라
浅野綱晟
1672년 ~ 1673년미쓰아키라의 장남. 여계를 통해 도요토미 씨 혈통 계승.
4아사노 쓰나나가
浅野綱長
1673년 ~ 1708년쓰나아키라의 장남. 아카호 사건 발생. 재정 악화.
5아사노 요시나가
浅野吉長
1708년 ~ 1752년쓰나나가의 장남. 번정 개혁 실패. 히로시마 신덴 번 분번. 번교 강학소 창설.
6아사노 무네쓰네
浅野宗恒
1752년 ~ 1763년요시나가의 장남. 호레키 개혁 성공.
7아사노 시게아키라
浅野重晟
아사노 시게아키라 초상화
1763년 ~ 1799년무네쓰네의 장남. 긴축 재정 성공 후 재정 악화. 우치코와시 발생.
8아사노 나리카타
浅野斉賢
1799년 ~ 1830년시게아키라의 장남. 재정 궁핍 심화.
9아사노 나리타카
浅野斉粛
1831년 ~ 1858년나리카타의 장남. 도쿠가와 이에나리의 사위. 재정 궁핍 심화 및 개혁 실패.
10아사노 요시테루
浅野慶熾
1858년나리타카의 장남. 재위 기간 짧음.
11아사노 나가미치(나가노리)
浅野長訓
1858년 ~ 1869년시게아키라의 손자. 분큐 개혁 성공. 장주 정벌 시 중재 시도.
12아사노 나가코토
浅野長勲
1869년 ~ 1871년나가미치의 양자 (시게아키라의 현손). 판적봉환 후 번지사. 폐번치현. 마지막 다이묘.



'''히로시마 신덴 번 (広島新田藩)'''

1730년 5대 번주 아사노 요시나가가 동생 나가카타에게 3만 석을 나누어 주어 성립된 지번이다. 본가의 후계가 끊겼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 세워졌다.

#이름(원문)재임 기간칭호궁중 계급고쿠다카
-- 아사노 가문, 1730년 ~ 1869년 (후다이 다이묘)
1아사노 나가카타 (浅野長賢)1730년 ~ 1744년효부쇼스케, 미야우치 쇼스케 (兵部少輔、宮内少輔)종오위하 (従五位下)30,000석
2아사노 나가타카 (浅野長喬)1744년 ~ 1769년효부쇼스케 (兵部少輔)종오위하 (従五位下)30,000석
3아사노 나가카즈 (浅野長員)1769년 ~ 1800년오미노카미 (近江守)종오위하 (従五位下)30,000석
4아사노 나가히로 (浅野長容)1800년 ~ 1824년오미노카미 (近江守)종오위하 (従五位下)30,000석
5아사노 나가미치 (浅野長訓)1824년 ~ 1858년미마사카노카미, 오미노카미 (美作守、近江守)종오위하 (従五位下)30,000석
6아사노 나가코토 (浅野長勲)1858년 ~ 1862년키이노카미 (紀伊守)종오위하 (従五位下)30,000석
7아사노 나가아쓰 (浅野長厚)1862년 ~ 1869년오미노카미 (近江守)종오위하 (従五位下)30,000석


4. 지번(支藩)


  • 미요시 번三次藩|미요시 한일본어
  • 히로시마 신덴 번広島新田藩|히로시마 신덴 한일본어: 아사노 가문의 일원인 아사노 나가카타浅野長方|아사노 나가카타일본어가 1730년대에 세운 지번이다. 3만 석(石|고쿠일본어)의 고쿠다카를 받았으며, 에도에 상주하는 다이묘(에도 조후 다이묘, 江戸定扶|에도 조후일본어)가 통치했다. 1864년에는 현재의 아키타카타시安芸高田市|아키타카타시일본어 요시다吉田|요시다일본어에 요시다 진야(吉田陣屋|요시다 진야일본어)를 세웠다. 1869년 폐번치현 이전에 본번인 히로시마번에 병합되어 폐지되었다.

5. 가신단(家臣団)

히로시마번은 에도 시대외양(外様) 대번(大藩)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방 지행 제도를 채택했다. 번 전체의 석고(石高) 약 42만 석 중 가신들의 지행(知行)은 29만 3천 석을 넘었다.[22][23]

간에이 18년(1641년) 이후로는 세 가문(三家老)이 가로직을 세습하며 고정되었다. 가로들은 각자 자신의 지행지를 소유했지만, 그들의 배신(陪臣)(1만 석당 약 150명 규모)은 직접 땅을 받는 대신 쌀을 현물로 지급받는 봉록 형태였다.[24] 예를 들어, 미하라 아사노가의 경우 약 500명의 배신을 거느렸다고 전해진다.[25]

5. 1. 가로(家老)

가문영지 (석고)특징메이지 유신 후 작위주요 인물 계보
미하라 아사노가미하라시 미하라 영지 (미하라성) (3만 석)번주 일족, 수석 가로남작아사노 다다요시 (아사노 나가마사의 사촌) → 아사노 다다나가 → 아사노 다다마사 → 아사노 다다요시 → 아사노 다다스케 → 아사노 다다아키 → 아사노 다다마사 → 아사노 다다아이 → 아사노 다다준 → 아사노 다다타카 → 아사노 다다시 → 아사노 다다히데
히가시조 아사노가쇼바라시 히가시조정 히가시조 영지 (1만 석)번주 일족남작아사노 타카카츠 (호리타 타카카츠) → 아사노 타카히데 → 타카츠구 → 타카아키 → 타카마사 → 슌호 → 타카아키 → 미치네이 → 타카카게 → 타카미치 → 타카히라 → 미치히로 → 미치오키 → 미치토시 → 아사노 모리오
우에다가아키 오가타 영지 (2만 석)가신남작우에다 시게야스 → 시게마사 → 시게츠구 → 시게하네 → 요시유키 → 요시즈네 → 요시지키 → 요시킨 → 야스토라 → 야스세이 → 야스세츠 → 시게요시 → 카메지로


6. 거성(居城)

히로시마 성과 미하라 요새가 주요 거성이었다. 미하라 요새는 미하라 아사노 가문이 관리했으며, 일국일성령에 따라 '성'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전 후쿠시마 가문 시대에는 히로시마 성 외에도 미하라 성, 칸베 성, 토모 성, 오세키야마 성, 고힌다케 성 등 5개의 지성을 두었다. 그러나 일국일성령이 내려지면서 막부는 아키 국에서는 히로시마 성, 빈고 국에서는 칸베 성만을 남기고 나머지 성들의 파괴를 명령했다.[27] 다만, 아사노 가문의 영지는 후쿠시마 가문 때보다 축소되었기 때문에 칸베 성은 히로시마 번의 영지 내에 포함되지 않았다.

7. 번저(藩邸)


  • 아사노 가문(浅野家)의 에도 번저 중 상야식(上屋敷)은 사쿠라다몬 근처(현재 총무성 부근)에 있었다.[28] 『에도즈병풍(江戸図屏風)』에는 모리 가문(毛利家)(조슈번)와 우에스기 가문(上杉家)(요네자와번)의 서쪽 이웃, 이이 가문(井伊家)(히코네번)의 동쪽 이웃으로 나란히 그려져 있으며, 호시나 마사유키, 사카이 다다쓰구와는 히비야 고몬(日比谷御門) 밖의 다이묘코지(大名小路)를 사이에 두고 대각선 맞은편에 위치한 것으로 묘사된다. 사쿠라다몬 밖의 변은 마쓰다이라 이치마사(松平市正, 지카요시(親良))[29] 저택과 히로시마번 저택 뒷문 사이에서 발생했다.
  • 중야식(中屋敷)은 아카사카에, 하야식(下屋敷)은 아오야마(青山)에 있었다.
  • 와카야마번 아사노 가문 시절에는 상야식이 마루노우치에 있었으나, 이후 앞서 언급한 사쿠라다몬 근처로 이전했다. 또한, 당시 받은 오사카 저택은 몰수되었으며, 히로시마로 이봉(移封)된 후에는 구라야시키를 스스로 마련했다.[30]

8. 번교(藩校)

교호 10년(1725년)에 히로시마 번(広島藩)의 번교로서 시로시마 게이코야시키(白島稽古屋敷)의 일부를 할애하여 “강학소”(講学所) (현재의 슈도 중학교·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 주자학이 번학으로 채택되었고, 그것을 비판하는 산카류(山鹿流) 등의 고학(古学)(성학)은 배척되었다.

9. 막말의 영지

1869년(메이지 2년)에 편입된 히로시마 신덴번 영지도 포함한다.

'''히로시마번 막말 영지'''
율령국마을 수
아키국 일원누마다군42개 마을
아키군48개 마을
사에키군85개 마을
야마가타군74개 마을
다카타군59개 마을
다카미야군36개 마을
가모군90개 마을
도요타군88개 마을
빈고국미쓰기군100개 마을
세라군50개 마을
미타니군(三谿郡)38개 마을
누카군40개 마을
미카미군18개 마을
미요시군(三次郡)52개 마을
에소군(恵蘇郡)45개 마을
고누군 중8개 마을 (나머지는 나카쓰번 영지, 구라시키 다이칸쇼 관할의 막부령)



상기 영지 외에, 메이지 유신 이후 기타미국 도코로군, 구시로국 아바시리군을 관할했다.

참조

[1] 서적 Mercantilism in a Japanese Domain: The Merchant Origins of Economic Nationalism in 18th-Century Tos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5-02
[2] 서적 Japan's Protoindustrial Elite: The Economic Foundations of the Gōnō https://books.google[...] BRILL 2020-03-23
[3] 서적 じっくり読む歴史読本24 江戸三百藩・藩主一覧・歴代藩主がたどる藩政の歴史 新芸術往来社 1997
[4] 웹사이트 Genealogy http://reichsarchiv.[...]
[5] 서적 大名の日本地図 New book label 2003
[6] 문서 浅野家時代は備後国の南西部が福山藩。
[7] 문서 毛利貞親・親衡は越後の毛利領を拠点に南朝に味方し活動した。
[8] 문서 吉田郡山城の築城者といわれる時親が曾孫の元春を後見した。
[9] 문서 慶長12年(1607年)、再検地で36万9千石に高直しされ、これが長州藩の表高となる。
[10] 문서 『広嶋御時代分限帳』より「兼重蔵田検知高」
[11] 문서 徳川秀忠『福島正則宛領地判物』元和3年(1617年)九月五日付
[12] 문서 光永氏や木戸氏ら、越後以来の譜代は毛利家と共に萩に移り、長州藩の上士となったが、元就時代からの家臣である芸備の土豪は、所領や俸禄の削減や年貢の増加が予想できること(実際に長州藩では検地に反対する一揆が起きた)、主筋だった大内領への移住よりは父祖代々の土地に残りたいこと、福島家は加増による入部のため人材の登用が期待できることなどで安芸・備後の両国に残る者が少なからずいた。
[13] 문서 大石大三郎は大身の浅野一門を2度も離縁した。大石るりも浅野一門を迎えるが、藩主に連なる血脈を残せなかった。
[14] 문서 浅野家文書「広島藩御覚書帳」
[15] 문서 五匁札・一匁札・三分札・二分札の銀札があり、額面上部に大黒天と銀分銅の絵柄が確認できる。
[16] 문서 「写真スライド・延宝赤穂藩札」広島市立中央図書館「おカネでみる広島藩」高木久史(2019年)
[17] 웹사이트 藩名・旧国名がわかる事典 広島藩(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18] 문서 「広島県の歴史」より『芸備志』巻九十四
[19] 문서 同『芸備志』巻九十五
[20] 문서 宇和島伊達家や鳥取池田家などと同様、本家が既に持っていた自領を割いて立藩した大名ではない。
[21] 문서 古代の賀茂郡(加茂郡)が加東郡・加西郡に分割して発足。
[22] 문서 「知行割判物発給禄」ほか
[23] 문서 それでも3支藩・龍造寺四家などを抱える佐賀藩、たびたび独立を企てる吉川領や分家の多い隣国の長州藩などの西国大名に比べると藩主蔵入地は多いほうであり、直轄領は10万石を超えている。
[24] 문서 『顕妙公清美鵠 巻二』より「延宝二年広島藩軍役」
[25] 문서 『御家中目印之図 老衆侍帖目印共 八』 (学習院大学所所蔵)
[26] 문서 大名である無城の支藩と幕府を憚り、小早川時代の呼称「要害」と称す
[27] 문서 「一国一城令」慶長20年閏6月13日(1615年8月7日)
[28] 문서 『慶長江戸図』・『寛政二十年江戸全図』(国会図書館)
[29] 서적 日本史諸家系図人名辞典 講談社 2003
[30] 문서 「浅野家文書」では事実の記載のみで理由は不明(真田信繁の大坂入城との関連も見当たらない)。
[31] 문서 綱晟の法名・天心院殿徹性日通大居士に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