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Ź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Ź는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며, 주로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ʑ]) 또는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d͡ʑ])을 나타낸다. 폴란드어, 몬테네그로어, 벨라루스어(라틴 문자), 우크라이나어(라틴 문자), 하부 소르브어, 파슈토어, 에밀리아-로마냐 방언, 베네딕어 등에서 사용되며, 각 언어에 따라 발음과 표기 방식에 차이가 있다. 유니코드에서는 대문자 Ź는 U+0179, 소문자 ź는 U+017A로, HTML에서는 각각 Ź와 ź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자 낱자 - H
    H는 영어 알파벳의 여덟 번째 문자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 /h/를 나타내며, 수소의 원소 기호이자, 인덕턴스 단위, 고기압, 음악의 음이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그 기원은 셈족 그림 문자에 있다.
  • 로마자 낱자 - S
    S는 활에서 유래한 라틴 문자로, 여러 단계를 거쳐 현재 형태가 되었으며, 다양한 언어에서 치찰음을 나타내고, 화학 원소, 야구 용어, 약어 등 여러 분야에서 기호로 활용되며, 역사적으로는 긴 s가 사용되기도 했다.
Ź
기본 정보
글자Ź, ź
유니코드U+0179, U+017A
종류글자
문자라틴 문자
언어 정보
언어폴란드어
음성[]
[]
[]
[ðz]
[]
문자 체계
관련 문자Z z

2. 사용

Ź 문자는 주로 슬라브어파 언어들의 로마자 표기법에서 특정 음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폴란드어, 몬테네그로어, 벨라루스어의 Łacinka, 우크라이나어의 Latynka, 하부 소르브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외에도 파슈토어의 로마자 표기, 에밀리아-로마냐어, 그리고 인공어인 베네딕어에서도 사용된다. 각 언어에서의 구체적인 발음과 역할은 해당 언어별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폴란드어

폴란드어에서 이 문자는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ʑ]) 소리를 나타낸다. 폴란드어 알파벳의 31번째 문자이며, 폴란드어에서는 "ziet" 또는 "z z kreską"라고 부른다. 또한, 이중자 dź의 일부로 사용되어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d͡ʑ]) 소리를 내기도 한다.

2. 2. 몬테네그로어

몬테네그로어의 라틴 알파벳에서, 이 문자는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ʑ]) 소리를 나타내며, 키릴 문자의 문자 zje (대문자: З́, 소문자: з́)에 해당한다. 몬테네그로 라틴 알파벳의 32번째이자 마지막 문자이다.

2. 3.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의 Łacinka와 우크라이나어의 Latynka 라틴 알파벳에서, 이 문자는 /zʲ/ 소리를 나타내며 키릴 문자의 "зь"에 해당한다.

2. 4. 소르브어

하부 소르브어에서 Ź 문자는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ʑ]) 소리를 나타낸다. 하부 소르브어와 상부 소르브어 모두에서 이중자 dź 형태로도 사용되는데, 이는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d͡ʑ]) 소리로 발음된다. 다만, 상부 소르브어에서는 Ź 문자가 단독으로 쓰이지 않고 이중자 dź 형태로만 나타난다.

2. 5. 파슈토어

파슈토어 로마자 표기에서, 이 문자는 dz 이중자와 함께 문자 źim (ځ)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는 유성 치경 파찰음 ([d͡z]) 소리를 나타낸다.

2. 6. 에밀리아-로마냐어

에밀리아-로마냐 방언 알파벳에서는 유성 치 마찰음 ([ð])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방언에 따라 발음은 [ðz] 또는 이탈리아어의 영향으로 [dz]가 되기도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발음은 [ð]이다.

2. 7. 베네딕어

얀 판 스테인베르겐이 대체 역사 프로젝트 일 베시사드를 위해 만든 베네딕어에서도 사용된다. 이 언어에서 이 문자는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 ([ʑ]) 소리를 나타낸다. 이 문자는 또한 이중자 dź에도 나타나며, 이는 유성 치경구개 파찰음 ([d͡ʑ]) 소리로 발음된다.

3. 컴퓨터 부호

HTML에서 사용하는 문자 참조 코드는 '''Ź'''는 `Ź`, '''ź'''는 `ź`이다. 유니코드에서는 '''Ź'''는 U+0179, '''ź'''는 U+017A에 해당한다.

3. 1. 유니코드

HTML 엔티티 코드는 다음과 같다.

  • Ź : Ź (대문자)
  • ź : ź (소문자)


유니코드에서 Ź는 U+0179, ź는 U+017A에 해당한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
ŹU+01791-10-9ŹźU+017A1-10-21ź


3. 2. HTML

HTML에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한 문자 참조 코드는 다음과 같다.

  • '''Ź''' (대문자): `Ź`
  • '''ź''' (소문자): `ź`


유니코드에서 각 문자에 할당된 코드 포인트는 다음과 같다.

  • '''Ź''' (대문자): U+0179
  • '''ź''' (소문자): U+017A


아래는 관련 코드 정보를 요약한 표이다.

대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소문자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
ŹU+01791-10-9`Ź`źU+017A1-10-21`ź`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