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32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북부, 폴란드 동부, 러시아 서부 등에서 사용되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와 상호 이해도가 높다. 19세기 루테니아어를 기반으로 재개발되었으며, 타라슈케비차와 나르카마우카 두 가지 표기법이 존재한다. 1991년 벨라루스 독립 이후, 벨라루스어 지원 정책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사용이 위축되었으며, 벨라루스어 사용에 대한 차별 문제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벨라루스어 - 벨라루스어 아랍 문자
벨라루스어 아랍 문자는 16세기부터 20세기까지 벨라루스어와 폴란드어 표기에 사용된 아랍 문자 체계로, 아랍어에 없는 벨라루스어 소리를 위해 페르시아 문자 차용 또는 새로운 글자를 추가하여 키릴 문자, 라틴 문자와 함께 사용되었다. - 벨라루스어 - 타라슈케비차
타라슈케비차는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가 제안한 벨라루스어 철자법으로, 1933년 개혁 이후 사용이 중단되었으나 서벨라루스와 해외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었고, 페레스트로이카 이후 벨라루스에서 부활하여 나르카마우카와 함께 쓰이며, 러시아어 영향을 배제하고 벨라루스어 고유 특징을 보존하려는 경향을 보이는 철자법이다. - 리투아니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리투아니아의 언어 - 리투아니아어
리투아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라트비아어와 함께 현존하는 발트어족 언어 중 하나이며, 리투아니아에서 주로 사용되고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문법과 음운의 보수성으로 인도유럽조어 재구성에 기여했고, 역사적 어려움 속에서 리투아니아 독립 후 국가의 공식 언어로 자리매김했다. - 라트비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라트비아의 언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벨라루스어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국가 | 벨라루스 |
민족 | 벨라루스인 |
사용자 수 | 약 509만 4천 명 |
L2 화자 수 | 약 128만 7천 명 |
언어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어군 | 슬라브어파 |
하위 어군 | 동슬라브어군 |
조상어 | 원시 인도유럽어 |
조상어 2 | 원시 발트-슬라브어 |
조상어 3 | 원시 슬라브어 |
조상어 4 | 고대 동슬라브어 |
조상어 5 | 루테니아어(고대 벨라루스어) |
문자 | |
문자 체계 | 키릴 문자 (벨라루스어 알파벳) |
라틴 문자 | 벨라루스어 라틴 알파벳 |
점자 | 벨라루스어 점자 |
아랍 문자 | 벨라루스어 아랍 알파벳 |
공용어 및 소수 언어 | |
공용어 국가 | ( 오를라, 나레프카, 치제, 하이나우카 및 하이나우카 마을) 연합국 집단안보조약기구 |
소수 언어 국가 | |
기타 | 베네룩스 |
기관 | |
관련 기관 | 벨라루스 국립 과학 아카데미 |
언어 코드 | |
ISO 639-1 | be |
ISO 639-2 | bel |
ISO 639-3 | bel |
글롯로그 | bela1254 |
링구아스피어 | 53-AAA-eb (변형: 53-AAA-eba~53-AAA-ebg) |
상태 | |
유네스코 위험 언어 | 취약 |
언어 사용 | |
사용 지역 | 동유럽 |
사용자 수 (2019년) | 약 509만 4천 명 |
2차 사용자 수 (2009년) | 약 128만 7천 명 |
기타 정보 | |
언어 소멸 위기 | 취약 |
2. 문자
벨라루스어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을 사용하며, 32개의 문자로 구성된다. 현대 벨라루스어 알파벳은 1918년에 정의되었다.[23]
벨라루스어 키릴 문자 표기법에는 브로니슬라프 타라시케비치(Branislaw Tarashkyevich)가 표준화한 '''타라시케비차'''와 1933년에 제정된 러시아어식 '''나르카마우카'''(наркамаўка) 두 가지가 있다. 현재 공식 표준어법은 나르카마우카를 기반으로 한다.
키릴 문자 외에도 '''와친카'''(лацінка, Łacinka)라 불리는 라틴 문자 표기가 존재하며, 과거에는 벨라루스 아랍 문자도 사용되었다.
2. 1. 키릴 문자
벨라루스어 알파벳은 키릴 문자의 변형으로, 처음에는 고대 교회 슬라브어의 알파벳으로 사용되었다. 현대 벨라루스어 알파벳은 1918년에 정의되었으며, 32개의 문자로 구성된다.[23]문자 |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Дж дж) | (Дз дз) | Е е |
---|---|---|---|---|---|---|---|---|
문자 | Ё ё | Ж ж | З з | І і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문자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Ў ў |
문자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문자 | Ю ю | Я я |
2. 2. 라틴 문자 (Łacinka)
와친카(Łacinka)라 불리는 라틴 문자 표기가 존재한다. 라틴 문자 표기법은 주로 해외 거주 벨라루스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지만, 벨라루스 국내에서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나치 독일 점령 하에 일시적으로 사용된 적이 있다.라틴 문자 |
---|
A a |
B b |
C c |
Ć ć |
Č č |
D d |
DZ dz |
DŹ dź |
DŽ dž |
E e |
F f |
G g |
H h |
CH ch |
I i |
J j |
K k |
L l |
Ł ł |
M m |
N n |
Ń ń |
O o |
P p |
R r |
S s |
Ś ś |
Š š |
T t |
U u |
Ŭ ŭ |
V v |
Y y |
Z z |
Ź ź |
Ž ž |
현대 벨라루스어의 음소는 45~54개로 구성되며, 6개의 모음과 39~48개의 자음이 있다. 9개의 겹자음을 단순한 변형으로 제외하면 자음은 39개가 된다. 다른 동슬라브어들, 특히 우크라이나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어 음운론은 여러 면에서 독특하다.
3. 음운
3. 1. 자음
벨라루스어 자음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75]
많은 자음은 구개화의 유무에 따라 경음과 연음으로 나뉘며, 일부는 조음 위치가 달라지기도 한다. 구개화되지 않는 자음도 있다.
및 의 출현은 및 의 역행동화에 의한 유성화(예: вакзалbe "역")를 제외하면 일부 차용어에만 나타난다(예: ганакbe , гузікbe ). 일반적으로 차용어에서도 고유어와 마찬가지로 마찰음으로 발음된다(예: геаграфіяbe "지리").
음절 끝의 는 또는 와 같이 발음되어 이중 모음을 형성하며 로 표기된다.[76] 는 때때로 어원적으로 에서 유래하는 경우도 있다(예: воўкbe "늑대", 슬라브 원어의 *vьlkъsla에서 유래). 우크라이나어와 마찬가지로 동사의 과거 시제에서는 와 이 교체되는 경우가 있다(예: ду́маўbe "(그는) 생각했다" - ду́малаbe "(그녀는) 생각했다").[77] 이것은 역사적으로 보면 폴란드어의 Łpl(예: dumałpl "그는 생각했다")와 마찬가지로 -лbe의 모음화에 기인한다.
장음의 표기 예는 다음과 같다.
- падарожжаbe
- ззяцьbe
- стагоддзеbe
- каханнеbe
- рассячыbe
- ліхалеццеbe
- сярэднявеччаbe
3. 2. 모음
현대 벨라루스어의 발음 체계는 5개의 모음을 포함한다. 모음은 혀의 위치에 따라 전설(앞입술), 중설(중앙), 후설(뒷입술) 모음으로 나뉜다. 또한 혀의 높이에 따라 고모음(좁은), 중모음(중간), 저모음(넓은) 모음으로 분류된다.키릴 문자 | 라틴 문자 | IPA | 비고 | 단어 예시 |
---|---|---|---|---|
i | i | style="text-align: center;" | | 무둥근 앞입술 좁은 모음 | лiст|list|잎be |
э[73] | e | style="text-align: center;" | | 중설 중모음(악센트가 없는 경우), 무둥근 앞입술 반넓은 모음 (악센트가 있는 경우) | гэты|gety|이것be |
е | ie, je | style="text-align: center;" | | 바로 앞의 자음의 구개화를 수반하는 무둥근 앞입술 중간 모음 | белы|biely|흰색be |
ы | y | style="text-align: center;" | | 무둥근 중앙 좁은 모음 | мыш|myš|쥐be |
a, я | a | style="text-align: center;" | | 무둥근 중앙 넓은 모음 | кат|kat|사형 집행인be |
у, ю | u | style="text-align: center;" | | 둥근 앞입술 좁은 모음 | шум|šum|소음be |
о, ё | o | style="text-align: center;" | | 둥근 뒷입술 반넓은 모음 | кот|kot|고양이be |
러시아어와 마찬가지로, 는 독립된 음소라기보다는, 무구개화 음 뒤에 나타나는 의 변이음이다.[74]
4. 이름
벨라루스어는 현대와 역사를 통틀어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 벨라루시안(Belarusian): 'Belarus'라는 나라 이름에서 나온 형태이다.
- 벨라루스안(Belarusan): 'Belarusian'의 변종이다.
- 비옐로루시야어(Byelorussian): 'Byelorussia' (Белоруссияru)라는 나라 이름에서 나온 형태이다. 소련 시대에 러시아어에서 사용되었고 그 후 러시아에서 사용된다.
- 벨로루시야어(Belorussian): 'Byelorussian'의 변종이다.
- 단순한(Simple) 또는 지방의(Local): 주로 벨라루스어와 벨라루스 민족의 존재가 일반적으로 인정받기 이전 시대에 사용되었다.
- 단순한 흑루테니아어(Simple Black Ruthenian): 19세기 초 러시아 연구자 바라노프스키(Baranovski)가 사용했으며, 당시 구어체 벨라루스어에 해당한다고 여겨진다.[22]
- 백러시아어
- 백러시아 루테니아어
4. 1. 공식 이름
1992년 이후 벨라루스에서 공식 영어 이름으로 'Belarusian'이 사용되고 있다.[17] 1992년부터 1995년까지는 '''벨라루스안어''' (Belarusan|벨라루스안영어)로 공식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유엔과 해외 벨라루스계 이민자 사회에서도 사용되었다.[18]4. 2. 역사적 이름
- 벨라루스어(Belarusian) — 'Belarus'라는 나라 이름에서 나온 형태. 1992년 이후 벨라루스에서 사용됨.
벨라루스어(Belarusan)** — 'Belarusian'의 변종.
- 비옐로루시야어(Byelorussian) — 'Byelorussia' (Белоруссия|벨로루시야ru)라는 나라 이름에서 나온 형태. 소련 시대에 러시아어에서 사용되었고 그 후 러시아에서 사용된다.[19]
벨로루시야어(Belorussian)** — 'Byelorussian'의 변종.
- 벨로루시안 – 러시아어 국가명 "벨로루시야"(Белоруссия|Belorussiya|백색 러시아ru)에서 유래했으며, 소련(1922–1991) 시대와 그 이후 러시아 연방에서 공식적으로(러시아어) 사용되었다.
- 백러시아어 – '벨라루스어'라는 복합어의 구성 요소를 직역한 것이다. '백러시아어'라는 용어는 적어도 1921년부터 영어 자료에 등장했다. 가장 오래된 라틴어 용어는 "Albae Russiae, Poloczk dicto"이며 1381년에 기록되었다.[20]
4. 3. 대안적 명칭
- 대리투아니아어 (вялікалітоўская (мова)|뱔리칼리토우스카야 (모바)be) – 1960년대부터 얀 스탄키예비치가 제안하고 사용한 명칭으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관청어를 지칭한다. 이 명칭은 "벨라루스 지역을 모스크바 전통에 따라 부르는 관행과 관련된 축소된 전통"과의 단절을 목표로 하며, "벨라루스 국가의 위대한 전통"에 속한다는 의도를 지닌다.[21]
- 크리비치어 또는 크리비얀어 (крывіцкая/крывічанская/крыўская (мова)|크리비츠카야/크리비찬스카야/크리우스카야 (모바)be, język krewicki|옝지크 크레비츠키pl) – 벨라루스 민족 형성의 주요 부족 중 하나인 슬라브족 부족 크리비치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19세기에 벨라루스계 폴란드어 사용 작가인 야로셰비치, 나르부트, 로갈스키, 얀 체초트가 만들어 사용했다. 바츠와프 라스토프스키가 이를 지지했다.
- 벨로루시야어 (Belorussian)
- 벨로루시안
- 백러시아어, 백로시야어 (White Russian)
- 백러시아 루테니아어
5. 특징
벨라루스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키릴 문자 표기법으로는 1918년 브로니슬라프 타라시케비치(Branislaw Tarashkyevich)가 표준화한 '''타라시케비차''' 표기법과 1933년에 제정된 러시아어식 '''나르카마우카'''(наркамаўка)라 불리는 표기법 두 가지가 있다. 현재 공식 표준어법은 나르카마우카를 기반으로 한다. 벨라루스어 키릴 문자 표기법은 형태음운론적인 러시아어 표기법에 비해 표음주의적인 경향을 보인다.
타라슈케비차는 폴란드어에서 영향을 받은 발음을 선호하는 반면 (плян|planbe, філязофія|filazofiabe), 표준 벨라루스어는 러시아어에서 영향을 받은 발음을 따른다 (план|płanbe, філасофія|fiłasofiabe).
라틴 문자 표기인 '''와친카'''(лацінка, Łacinka)도 존재한다. 그 외에도 20세기 초에는 타타르인에 의해 아랍 문자로 표기되기도 했다.[1]
벨라루스어의 키릴 문자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А а | Б б | В в | Г г | Д д | Дж дж | Дз дз | Е е | Ё ё | Ж ж | З з | І і | Й й | К к | Л л | М м | Н н | О о | П п | Р р | С с | Т т | У у | Ў ў | Ф ф | Х х | Ц ц | Ч ч | Ш ш | Ы ы | Ь ь | Э э | Ю ю | Я я |
---|
벨라루스어의 라틴 문자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
A a | B b | C c | Ć ć | Č č | D d | Dz dz | Dź dź | Dž dž | E e | F f | G g | H h | Ch ch | I i | J j | K k | L l | Ł ł | M m | N n | Ń ń | O o | P p | R r | S s | Ś ś | Š š | T t | U u | Ŭ ŭ | V v | Y y | Z z | Ź ź | Ž ž |
---|
6. 문법
현대 벨라루스어 문법은 1959년에 채택되었으며, 1985년과 2008년에 약간 수정되었다. 이는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가 1918년에 빌뉴스에서 처음으로 인쇄한 초기 형태에서 발전한 것이다. 주로 민스크-빌뉴스 지역의 벨라루스 민중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벨라루스어 문법은 대부분 종합적이며 부분적으로 분석적이고, 전반적으로 러시아어 문법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벨라루스어 표기법은 표면 음운론을 밀접하게 나타내는 음운 표기법이기 때문에 러시아어 표기법과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러시아어 표기법은 기저 형태 음운론을 나타낸다.
가장 중요한 예는 모음 축약, 특히 ''아카니예''(무강세 /a/와 /o/의 합병)에서 찾을 수 있다. 벨라루스어는 이 합쳐진 소리를 항상 a로 표기하는 반면, 러시아어는 "기저" 음소가 무엇인지에 따라 a 또는 o를 사용한다. 이는 벨라루스어 명사와 동사의 활용형이 서면 형태에서 a와 o 사이의 수많은 변화를 보이는 반면, 러시아어의 해당 서면 활용형에는 그러한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 표기법에서 ''아카니예'' 처리 방식의 차이를 보여주는 예는 "제품; 음식"이라는 단어의 철자이다.
- 우크라이나어에서: продукти (발음: "produkty", IPA: [proˈduktɪ])
- 러시아어에서: продукты (발음: "pradukty", IPA: [prɐˈduktɨ])
- 벨라루스어에서: прадукты (발음: "pradukty", IPA: [praˈduktɨ])

7. 방언
벨라루스어에는 크게 북동부 방언, 남서부 방언, 중부 방언이 있으며, 서폴레시에 방언도 존재한다.[81] 서폴레시에 방언은 폴레시에어, 폴레시에 방언이라고도 불리며, 우크라이나어 사투리의 하나이다.
방언 | 설명 |
---|---|
북동부 방언 | |
중부 방언 | |
남서부 방언 | |
폴레시에 방언 | 우크라이나어 사투리의 하나. 폴레시에어, 폴레시에 방언이라고도 불린다. |
8. 다른 언어와의 관계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우크라이나어와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26]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와 상호 이해도가 매우 높다.[25]
벨라루스어는 우크라이나어, 폴란드어, 러시아어와 비슷한 어휘가 많고,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에서 차용한 단어도 일부 있다. 벨라루스어의 단어 '언어'는 "모바"(мова)로, 우크라이나어와 유사하다.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 및 우크라이나어의 발음 체계는 매우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78]
- 아카니예(аканне|아칸네be): 강세 없는 와 가 동화되어 로 발음된다. 이는 연음이나 자음 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표준 러시아어의 아카니예는 경음 뒤에서만 발생하며, 연음 뒤의 , 는 로 동화된다. 우크라이나어에는 아카니예가 없다. 벨라루스어에서는 이러한 발음 변화가 철자에도 반영된다.
- : 예: 「머리」 галава́|할라바be, голова́|갈라바ru, голова́|홀로바uk
- 이카니예(ikanye영어) 부재: 러시아어에서 강세 없는 와 연음 뒤의 , 가 로 동화되는 현상이 없다. 대신 강세 없는 는 와 동화된다.
- : 예: 「땅」 зямля́|쟘랴be, земля́|젬랴ru, земля́|제믈랴uk
- 구개화된 , , 및 에서 음 뒤에 발음을 분리하여 강조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체카니예(цеканне|체칸네be)와 드제카니예(дзеканне|드제칸네be): 고대 동슬라브어의 , 발음은 벨라루스어에서 , 발음이 된다.
- : 예: 「열」 дзе́сяць|졔샤츠be, де́сять|졔샤트ru, де́сять|데샤티uk
- 및 는 더 강하게 구개화된다.
- 벨라루스어에는 경음 후치경음만 존재한다.
- 의 발음은 경음화되어 과 동화된다.
- 역사적으로 로 발음되었던 자음은 다른 자음 앞에서 와 동화되어 로 발음된다.
- 는 자음 약화로 로 변화한다. (우크라이나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와 공통점)
- 슬라브 원어의 발음은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에서 경음 앞에서 로 변화한다.
- : 예: 「녹색」 зялёны|젤료늬be, зелёный|젤료늬ru, зеле́ний|젤레니uk
9. 역사
현대 벨라루스어는 19세기 민족 벨라루스 지역에서 사용되던 루테니아어를 기반으로 재개발되었다. 18세기 말(폴란드 분할 시대)은 루테니아어와 현대 벨라루스어 발전 단계 사이의 일반적인 경계선이다.
18세기 말까지 (구)벨라루스어는 리투아니아 대공국 동부의 하급 귀족들 사이에서 여전히 흔하게 사용되었다. 1840년대 얀 체초트는 그의 세대의 할아버지들조차도 (구)벨라루스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했다고 언급했다.[27] 구어 형태로는 소도시 주민과 농민들의 언어였으며, 구전 민속의 언어였다. 벨라루스어 교육은 주로 바실리우스회에서 운영하는 학교에서 실시되었다.
9. 1. 19세기
19세기 벨라루스어의 발전은 전 리투아니아 대공국 영토에서 지배를 강화하려는 러시아 제국 당국과 이전 통치를 되찾으려는 폴란드 및 폴란드화된 귀족 사이의 정치적 갈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29]19세기 초 "국가 내에서 국가적 자부심의 부활이 시작되었고...외부에서 [벨라루스어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32] 1830년대 중반부터 민족지학적 연구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언어 연구에 대한 시도적인 시도가 시작되었다. 빈첸트 두닌-마르친케비치의 작품을 통해 민중 언어를 기반으로 벨라루스 문학 전통이 재건되기 시작했다. 얀 체초트, 얀 바르셰프스키도 이 시기 활동했다.[34]
1846년 민족지학자 파벨 슈필레프스키는 민스크 지역의 민중 방언을 기반으로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벨라루스어 문법을 작성했다. 그러나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는 그의 제출물이 충분히 과학적인 방식으로 준비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인쇄를 거부했다.
1860년대 초, 벨라루스 지역의 러시아와 폴란드 양측 모두 압도적으로 벨라루스인인 농민들이 다가오는 갈등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래서 농민들을 대상으로 한 많은 선전물이 벨라루스어로 나타났다.[35] 특히 반러시아, 반차르, 반동방 정교회 "선언문"과 콘스탄티 칼리노프스키의 최초 신문 ''무지츠카야 프라우다''(농민의 진실, 1862-1863)와 반폴란드, 반혁명, 친정교회 소책자와 시(1862)가 발행되었다.[36]
전 러시아 "나로드니키" 운동과 벨라루스 민족 운동(1870년대 후반-1880년대 초)의 출현으로 벨라루스어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높아졌다. 호만(1884), 프란치샤크 바후셰비치, 예핌 카르스키, 미트로판 도브나르-자폴스키, 베소노프, 피핀, 셰인, 나소비치 등이 이 시기 활동했다. 벨라루스 문학 전통 또한 새롭게 시작되었으며, 프란치샤크 바후셰비치는 벨라루스인들에게 "우리 언어를 버리지 마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사라질 것입니다."(Не пакідайце ж мовы нашай, каб не ўмёрліbe)라고 호소했다.
나소비치의 현대 벨라루스어 최초의 사전은 1870년에 출판되었다.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약 589만 명이 벨라루스어(당시 백러시아어로 알려짐) 사용자라고 밝혔다. 그러나 19세기 말에도 벨라루스 도시의 도시 언어는 폴란드어 또는 러시아어로 남아 있었고, 인구 5만 명 이상의 도시에는 벨라루스어 사용자가 10분의 1 미만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벨라루스어가 "시골"적이고 "교육받지 못한" 언어라는 인식에 크게 기여했다.
총인구 | 벨라루스어(Beloruskij) | 러시아어(Velikoruskij) | 폴란드어(Polskij) | |
---|---|---|---|---|
빌뉴스 | 1,591,207 | 891,903 | 78,623 | 130,054 |
비테프스크 | 1,489,246 | 987,020 | 198,001 | 50,377 |
그로드노 | 1,603,409 | 1,141,714 | 74,143 | 161,662 |
민스크 | 2,147,621 | 1,633,091 | 83,999 | 64,617 |
모길료프 | 1,686,764 | 1,389,782 | 58,155 | 17,526 |
스몰렌스크 | 1,525,279 | 100,757 | 1,397,875 | 7,314 |
체르니히우 | 2,297,854 | 151,465 | 495,963 | 3,302 |
프리비스린스키 크라이 | 9,402,253 | 29,347 | 335,337 | 6,755,503 |
전체 제국 | 125,640,021 | 5,885,547 | 55,667,469 | 7,931,307 |
* 참조: 19세기 후반 벨라루스와 인접 지역의 행정 구역(오른쪽 반쪽 페이지) 및 벨라루스와 인접 지역의 민족 구성(1897년 자료를 바탕으로 미콜라 비치가 준비) |
9. 2. 20세기 초
예핌 카르스키 (Yefim Karsky)의 기초적인 연구는 벨라루스어에 대한 과학적 인식에 전환점을 마련했다.[39] 1904년 12월 25일, 벨라루스어로 책과 논문을 출판하는 금지령이 공식적으로 해제되었다. 특히 1905년의 사건 이후 노동자와 농민들 사이에서 20세기에 나타난 전례 없는 민족 의식의 급증은 나샤 니바 (Nasha Niva), 얀카 쿠팔라 (Yanka Kupala), 야쿠브 콜라스 (Yakub Kolas)등과 같은 벨라루스 문학과 언론의 집중적인 발전에 탄력을 주었다.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벨라루스어의 주요 사용자인 농민들은 글자를 몰랐고, 도시에서는 러시아어, 폴란드어, 이디시어 등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벨라루스어가 쓰이는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그러나 벨라루스어를 보급하려는 조용한 움직임도 있었다.
9. 3. 1910년대
1910년대 초, 러시아 학자 샤흐마토프는 나샤 니바 이사회에 벨라루스어 문법서를 작성할 언어학자를 자신의 감독 아래 훈련시키자고 제안했다.[79] 이 임무는 브라니슬라우 타라슈케비치에게 주어졌다. 그는 얀카 쿠팔라를 비롯한 벨라루스 사회의 큰 관심과 샤흐마토프, 카르스키의 도움을 받아 1912년부터 1917년까지 문법 연구를 진행했다.[79]1918년, 타라슈케비치는 빌뉴스에서 "학교를 위한 벨라루스어 문법" 초판을 인쇄하여 벨라루스어 문법을 처음으로 체계화했다.[79] 한편, 발리슬라우 파초프카 신부가 라틴 알파벳을 사용한 벨라루스어 문법서를 준비했고, A. 루츠케비치와 야. 스탄케비치도 타라슈케비치의 문법과 다른 벨라루스어 문법서를 준비하는 등, 벨라루스어 문법을 규범화하려는 다른 시도들도 있었다.
9. 4. 1920-1930년대
1917년 러시아 2월 혁명 이후, 벨라루스어는 벨라루스 지역의 정치 활동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벨라루스 민주 공화국에서는 벨라루스어가 유일한 공용어로 사용되었다.[42] 이후 벨로루시 SSR에서는 벨라루스어가 벨라루스어, 폴란드어, 러시아어, 이디시어의 4개 공용어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소비에트 벨라루스에서는 벨라루스어가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나, 1933년 문법 개혁으로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1929년에서 1930년 사이, 소비에트 벨라루스의 공산당 당국은 소위 "민족민주 반혁명" 세력에 대해 탄압을 가했다. 이 과정에서 20세기 초 벨라루스 민족 운동가들이 정치, 과학, 사회 분야에서 제거되었다. 얀카 쿠팔라와 같은 유명 인사들만이 살아남았다.
1933년 벨라루스어 문법 개혁은 갑작스럽게 이루어졌다. 1933년 6월 28일 벨라루스 공산당 중앙 신문인 ''즈뱌즈다''에 개혁안이 발표되었고, 1933년 8월 28일에 법령이 발표되어 1933년 9월 16일 법적 지위를 얻었다.
이 개혁으로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Byelorussian SSR)과 현대 벨라루스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문법이 확립되었다. 이 문법은 타라시예비차와 구별하기 위해 벨라루스어의 "공식" 문법이라고 불린다. 또한, 나르카마우카(narkamaŭka)라고도 알려져 있는데, 이는 벨라루스어로 인민위원회(ministry)의 약자인 ''narkamat''에서 유래한 말이다. 후자의 용어는 경멸적인 의미를 갖는다.
공식적으로 발표된 개혁의 이유는 다음과 같다.
- 1933년 이전의 문법은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 사이에 인위적인 장벽을 유지하고 있었다.
- 이 개혁은 벨라루스어를 왜곡하는 폴란드화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었다.
- 이 개혁은 "민족 민주주의자"들이 도입했다고 여겨지는 고어, 신어 및 속어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었다.
- 이 개혁은 벨라루스어 문법을 단순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개혁은 "아직 포기하지 않은 민족 민주주의자"들에 대한 언론 캠페인과 함께 이루어졌다. 법령은 "벨라루스어 철자법 변경 및 단순화에 관한 것"(«Аб зменах і спрашчэнні беларускага правапісу»|아브 즈메나흐 이 스프라슈첸니 벨라루스카하 프라바피수be)으로 명명되었지만, 변경의 대부분은 문법에 도입되었다.
철자법 자체의 많은 변화는 이전에 정치적 탄압을 받았던 사람들이 제안했던 것들을 단순히 구현한 것이었다.[43][44] 철자법의 형태론적 원칙은 강화되었는데, 이는 1920년대에도 제안되었던 것이다.[43]
"폴란드화의 영향 제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동화된 라틴어에서 "자음 + 비이오테이션 모음"의 사용을 "자음 + 이오테이션 모음"으로 줄였다.
- 라틴어에서 "L" 소리 표현 방식을 변경했다.
- 헬레니즘에서 'theta'에 대해 Т 대신 Ф, 'beta'에 대해 Б 대신 В를 사용하는 새로운 기준을 도입했다.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 사이의 인위적인 장벽 제거"는 벨라루스어의 형태론과 구문론을 러시아어와 더 가깝게 만들었다.
9. 5.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1941~1944) 기간 동안, 벨라루스 협력자들은 신문과 학교에서 벨라루스어 사용에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1933년 이후 어휘, 철자, 문법의 변화를 사용하지 않았다. 벨라루스 라틴 문자로 많은 출판물이 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벨라루스의 소비에트 파르티잔 운동 출판물에서는 1934년 표준 문법이 사용되었다.[40]9. 6. 전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벨라루스어 발전에는 여러 주요 요인이 영향을 미쳤다. 가장 중요한 요인은 "소비에트 인민의 융합 및 통합" 정책의 시행이었다. 1980년대까지 러시아어가 사실상 그리고 공식적으로 주요 의사소통 수단의 역할을 맡게 되면서 벨라루스어는 부차적인 역할로 밀려났다.[45] 전후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BSSR)에서 벨라루스어로 출판되는 자료의 수는 러시아어에 비해 급격히 뒤처졌다. 교육의 주요 언어로서 벨라루스어의 사용은 점차 농촌 학교와 인문학 학과로 제한되었다.[46]1959년, 소련의 "학교와 실생활의 유대 강화 및 소련 인민 교육의 추가 발전에 관한" 법률(1958)의 BSSR 상대 법률(1959)은 의무 8년제 교육 도입과 함께 학생의 부모가 "제2교육 언어"의 비의무 학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이는 러시아어 학교에서는 벨라루스어가, 벨라루스어 학교에서는 러시아어가 해당되었다. 1955/56 학년도에는 러시아어를 주요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학교가 95%, 벨라루스어를 주요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학교가 5%였다.[46] 벨라루스어는 주로 벨라루스 농촌 학교나 인문학 학과에서 교육 언어로 사용되었으며, 대중적으로는 "교양 없고 시골 사람들의 시골 언어"로 여겨졌다.[46] 그 결과 1960년대 벨라루스 도시들은 러시아어 사용 지역이 되었다.[47]
이러한 상황은 민족주의자들에게 우려를 낳았고, 1957년부터 1961년까지 바리스 사찬카의 출판물과 알략세이 카우카의 "러시아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1979)와 같은 텍스트가 만들어졌다. BSSR 공산당 지도자 키릴 마주로프는 1950년대 후반 벨라루스어의 역할을 강화하기 위해 몇 가지 시도를 하기도 했다.[48]
1980년대 후반 페레스트로이카의 시작과 정치적 통제 완화 이후, BSSR에서는 벨라루스어를 지지하는 새로운 운동이 전개되어 일정 수준의 대중적 지지를 얻었고, 그 결과 BSSR 최고 소비에트는 "언어에 관한 법률" (Закон аб мовах|자콘 압 모바흐be; 1990년 1월 26일)을 비준하여 국가 및 시민 구조에서 벨라루스어의 역할을 강화하도록 요구했다.
9. 7. 1991년 이후
1991년 벨라루스가 독립한 후, 벨라루스어를 지원하는 움직임은 위상과 대중적 관심을 얻었고, 소련 붕괴 이후 벨라루스 정부는 특히 교육 분야에서 벨라루스어 사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51] 1994년 헌법 제정으로 벨라루스어가 유일한 공용어로 선포되었지만, 러시아어는 "민족 간 의사소통 언어"로 지정되었다.[50] 그러나 1992~1994년 "언어법"의 시행은 여론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알렉산드르 루카셴코가 1994년 선거에서 벨라루스 대통령으로 당선된 후, 벨라루스 교육 체계에서 벨라루스어의 지위는 악화되었다. 1996년 벨라루스 헌법의 변경에 따라 러시아어가 벨라루스어와 동등한 지위를 얻었고, 이후 벨라루스의 행정, 사업 및 교육 언어가 되었다.[53]
1995년 5월 14일에 실시된 국민투표에서 벨라루스어는 유일한 국어로서의 독점적 지위를 상실했다. 그 이후로 벨라루스어와 문화에 대한 국가적 지원은 줄어들었고, 오늘날 벨라루스의 일상생활에서는 러시아어가 우세하다.[61]
1980년대 후반의 페레스트로이카를 계기로 벨라루스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990년에는 벨라루스어가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유일한 공용어가 되어 다시 벨라루스화가 진행되었다. 1990년 1월 26일에 승인된 "언어법"에서는 2000년까지 모든 행정 문서, 공적 문서를 벨라루스어로 작성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1994년 알렉산드르 루카셴코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벨라루스어 보급 운동은 완전히 중단되었다. 그리고 1995년에는 국민 투표가 실시되어 러시아어에 벨라루스어와 같은 지위가 부여되는 것이 결정되었다.
2019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 953만 800명 중 벨라루스어 모어 화자는 53.2%, 러시아어 모어 화자는 41.5%였다. 도시 주민 중 벨라루스어 모어 화자는 44.1%, 가정 내 사용 비율은 11.3%에 불과하며 러시아어화가 크게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농촌 주민 중 벨라루스어 화자 수는 79.7%에 달하며, 가정 내 사용 비율도 58.7%로 과반수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로의 인구 유출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벨라루스어 보존 측면에서는 불리한 상황이다. 한편, 2013년 2월의 "모바 치 카바(мова ці кава, Мова ці кава|모바 치 카바be, 언어 또는 커피)"를 계기로 벨라루스어 시민 강좌 활동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또한 러시아어화 정책의 영향으로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가 혼합된 "트라샨카"라고 불리는 언어가 만연해 있다.[80]
9. 8. 2010년대-2020년대
2010년대에 벨라루스어의 상황은 프란치샤크 스카리나 벨라루스어 학회(Francišak Skaryna Belarusian Language Society), 벨라루스 국립과학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Belarus) 등 교육, 문화, 과학, 언어 관련 단체들과 언어 옹호 기관들, 미디어 및 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친벨라루스 인사, 음악가, 철학자, 기업가, 후원자들의 노력으로 약간 변화하기 시작했다.[61]1995년 벨라루스 국민투표 이후 벨라루스어가 독점적 지위를 잃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 사회에 벨라루스어 확산을 보여주는 새로운 징후들이 나타났다. 벨라루스어를 지원하는 광고 캠페인(벨라루스어를 홍보하고 사람들에게 벨라루스어를 알리는 옥외 광고판[61], Velcom과 같은 주요 통신 사업자의 브랜드 캠페인 등), 지하철 지도에 단순화된 벨라루스 라틴 알파벳 도입, 벨라루스어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는 AD!NAK와 같은 전용 광고 축제, 민스크와 벨라루스 전역에서 등장하여 특히 젊은이들의 일상생활에서 벨라루스어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 비공식 언어 강좌(모바 나노바(Mova Nanova), Mova ci kava, Movavedy) 등이 그 예이다.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은 2014년 국가 연설에서 벨라루스어를 구사할 능력을 잃는 것은 국가 역사의 일부를 잃는 것과 같다고 강조했다.[63]
2019년 벨라루스 인구 조사에 따르면 벨라루스 인구의 약 60%가 벨라루스어를 모국어로 인식하지만,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비율은 약 25%에 불과하다.[64] 벨라루스어는 공식적으로 국어(러시아어와 함께)로 인정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에서 사용 측면에서 소외된 지위에 있다.[38] 주요 벨라루스 도시에서 벨라루스어를 사용하는 것은 드물다.[66] 벨라루스 국가 기관의 약 95%가 러시아어로 운영되며, 벨라루스어는 벨라루스 교육, 국영 언론, 정부 업무에서 주요 정보가 러시아어로 제공되는 곳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38] 예를 들어, 2011년 벨라루스 "국가 패키지" TV 채널의 러시아어 방송은 35,302시간이었고, 벨라루스어 방송 시간은 626시간(전체의 1.7%)에 불과했다.[67] 벨라루스의 대학교 중 어느 곳도 벨라루스어 교육을 제공하지 않으며, 학교의 벨라루스어 수업도 감소하고 있다.[65][64] 2016년에는 벨라루스 학생의 13%만이 벨라루스어로 수업하는 초등학교에 다녔다.[53] 벨라루스어는 일부 문화, 전통 및 민속 활동에서 여전히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38] 벨라루스에서 성장한 벨라루스 시인 발즈히나 모르트(Valzhyna Mort)에 따르면, 벨라루스어는 "시골스러운 발음" 때문에 조롱당하고 벨라루스에서는 "쓸모없는" 언어로 여겨진다.[66] 벨라루스 시인 율리야 치마피예바(Julija Cimafiejeva)에 따르면, 2019년 벨라루스에서 판매된 책의 대부분은 러시아에서 수입되었으며, 러시아어 책과 비교하여 벨라루스어 책은 흔하지 않고 대부분 교육 목적과 관련이 있다.[66] 벨라루스어 문학의 연간 발행 부수는 1990년부터 2020년까지 크게 감소했다. (잡지: 3억 1,200만 부에서 3,960만 부, 책과 소책자: 930만 부에서 310만 부).[67]
벨라루스의 벨라루스어 화자들은 루카셴코 정부에 반대하는 사람들로 간주되며, 그들에게는 정치적으로 동기가 부여된 혐의가 적용되었다.[66] 2020-2021년 벨라루스 시위가 시작된 후 많은 벨라루스 작가와 예술가들이 탄압을 받았다.[53] 2021년 8월 벨라루스 PEN 센터, 벨라루스 작가 연맹, 벨라루스 언론인 협회가 해산되었고, 벨라루스 법무부(Ministry of Justice of Belarus)는 벨라루스 대법원(Supreme Court of Belarus)에 프란치샤크 스카리나 벨라루스어 학회(Francišak Skaryna Belarusian Language Society)의 해산을 신청했다.[53][68]
2013년 2월의 "모바 츠 카바(Мова ці кава,Мова ці кава|언어 또는 커피be)"를 계기로 벨라루스어 시민 강좌 활동도 점차 확산되고 있다.
2019년 인구 조사에서는 총 인구 953만 8천 명 중 벨라루스어 모어 화자는 53.2%, 러시아어 모어 화자는 41.5%였다. 도시 주민(총 인구의 75%) 중 벨라루스어 모어 화자는 44.1%, 가정 내 사용 비율은 11.3%에 불과하여 러시아어화가 크게 진행됨을 보여준다. 반면 농촌 주민(총 인구의 25%) 중 벨라루스어 화자는 79.7%, 가정 내 사용 비율도 58.7%로 과반수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로의 인구 유출이 계속되는 현황은 벨라루스어 보존에 불리한 상황이다.
10. 사용 국가
벨라루스에서 공용어 및 국어로 사용된다.[49] 우크라이나 북부, 폴란드 동부, 러시아 서부 등에서도 사용된다.
11. 벨라루스어 사용자 차별 문제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정권 하에서 벨라루스어 사용자에 대한 차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58]
1995년 국민투표 이후 벨라루스어는 유일한 국어로서의 독점적 지위를 상실했다. 그 이후로 벨라루스어와 문화에 대한 국가적 지원은 줄어들었고, 오늘날 벨라루스의 일상생활에서는 러시아어가 우세하다.[61]
러시아어와 벨라루스어가 공식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벨라루스 정부는 주로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제도적인 차별은 아니지만 벨라루스어에 대한 차별 사례는 드물지 않다. 당국은 때때로 벨라루스어 사용 확대 요구에 대해 사소한 양보를 하기도 한다.[58]
프란치샤크 스카리나 벨라루스어 협회와 같이 벨라루스어를 장려하는 단체들은 1990년대와 2000년대 벨라루스에 기반을 둔 러시아 신나치 단체의 공격 대상이었다고 보고되었다.[58]
프란치샤크 스카리나 협회는 벨라루스 내 벨라루스어 사용자의 권리 침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범주를 보고했다.[59]
권리 침해 범주 |
---|
벨라루스어로 공공 및 민간 서비스를 받을 권리 침해 |
벨라루스어로 된 법률에 접근할 권리 침해 |
벨라루스어로 교육을 받을 권리 침해 |
언론에서 벨라루스어가 공정하게 사용될 권리 침해 |
상업 회사가 제공하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벨라루스어로 된 완전한 구두 및 서면 정보를 받을 권리 침해 |
벨라루스어 사용자들은 자녀를 위해 벨라루스어 교육을 준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60] 2016년 기준으로 벨라루스에는 벨라루스어로 교육하는 대학교가 없다.[61]
미국 국무부는 2016년 벨라루스 인권 보고서에서 "벨라루스어 사용을 시도하는 사람들에 대한 차별"이 있다고 밝혔다.[62] "정부가 많은 벨라루스어 옹호자들을 정치적 반대자로 간주했기 때문에 당국은 벨라루스어를 장려하려는 학계 및 문화 단체를 계속해서 괴롭히고 위협했으며, 언어 사용 확대 제안을 일상적으로 거부했다"라고 밝혔다.[62]
12. 컴퓨터 표현
벨라루스어는 ISO 639 코드 'be' 또는 'bel'로 표기되며, IETF 언어 태그로는 'be-1959acad'(1959년에 제정된 소위 "학술적" ["정부"] 벨라루스어 변종) 또는 'be-tarask'(타라스키예비차 표기법의 벨라루스어)로도 표기된다.[69]
13. 상용어
벨라루스어 표현 | 한국어 번역 | 설명 |
---|---|---|
дзень добрыbe (dzen' dobry) | 안녕하세요 | |
якbe (jak) | 어떻게 | |
як маесься?be (jak majessija?) | 안녕하세요? | 상황에 따라 다름 |
добрай раніцыbe (dobraj ranicy) | 좋은 아침입니다 | |
дабраначbe (dabranach) | 안녕히 주무세요 | |
дзякуйbe (dzjakuj) | 감사합니다 | |
калі ласкаbe (kali laska) | ~해 주세요 | |
спадар / спадарыняbe (spadar / spadarynja) | ~씨 | 남성/여성 |
добраbe (dobra) | 좋은 | |
кепска / дрэннаbe (kjepska / drenna) | 나쁜 | |
выдатнаbe (vydatna) | 훌륭한 | |
цудоўнаbe (cudowna) | 훌륭한 | |
дзеbe (dzje) | 어디에? | |
адкульbe (adkul') | 어디에서? | |
чамуbe (chamu) | 왜? | |
я разумеюbe (ja razumjeju) | 알겠습니다 | |
нічога не разумеюbe (nichoha nie razumjeju) | 이해가 안 됩니다 |
참조
[1]
웹사이트
Distribution of the population by native language and language normally spoken at home
https://census.belst[...]
2024-09-04
[2]
웹사이트
Česko má nové oficiální národnostní menšiny. Vietnamce a Bělorusy – iDNES.cz
http://zpravy.idnes.[...]
2013-07-03
[3]
웹사이트
To which languages does the Charter apply?
http://hub.coe.int/c[...]
2014-04-03
[4]
웹사이트
Про затвердження переліку мов національних меншин (спільнот) та корінних народів України, яким загрожує зникнення
https://zakon.rada.g[...]
2024-06-07
[5]
웹사이트
Președintele CCM: Constituția conferă limbii ruse un statut deosebit de cel al altor limbi minoritare
https://deschide.md/[...]
Deschide.md
2021-01-22
[6]
웹사이트
Chişinău, (21.01.2021) Judecătorii constituționali au decis că limba rusă nu va avea statutul de limbă de comunicare interetnică pe teritoriul Republicii Moldova
https://www.moldpres[...]
Moldpres.md
2021-01-22
[7]
웹사이트
Președintele CC Domnica Manole, explică de ce a fost anulată legea cu privire la statutul special pentru limbia rusă
https://protv.md/pol[...]
ProTv.md
2021-01-22
[8]
서적
Belarusians. II. The language of Belarusian people
1908
[9]
웹사이트
Population classified by knowledge of the Belarusian and Russian languages by region and Minsk City
http://belstat.gov.b[...]
Belstat.gov.by
2018-12-02
[10]
웹사이트
Data from 1999 Belarusian general census
http://belstat.gov.b[...]
[11]
기타
[12]
기타
[13]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02)
http://www.perepis20[...]
[14]
웹사이트
2001 Ukrainian census
http://www.ukrcensus[...]
[15]
웹사이트
Ludność. Stan I Struktura Demograficzno-Społeczna
http://www.stat.gov.[...]
2007-02-06
[16]
논문
The problem of using the Belarusian language
https://core.ac.uk/d[...]
Polessky State University
2013-01-01
[17]
웹사이트
Belarusian
http://www.oxfordlea[...]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18]
뉴스
"Як нас заве сьвет — "Беларашэн" ці Belarus(i)an?"
https://www.svaboda.[...]
2022-08-30
[19]
서적
Motherland : Russia in the 20th century
Routledge
2014
[20]
서적
Polish Encyclopaedia
https://books.google[...]
Atar
2022-02-19
[21]
웹사이트
Ян Станкевіч. Беларуска-расійскі (Вялікалітоўска-расійскі) слоўнік
https://knihi.com/Ja[...]
2023-05-06
[22]
기타
[23]
웹사이트
Belarusian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omniglot.com/[...]
2017-01-10
[24]
서적
Белорусы: 3 т. Т. 1. / Уступны артыкул М. Г. Булахава, прадмова да першага тома і каментарыі В. М. Курцовай, А. У. Унучака, І. У. Чаквіна.; (Карскій. Бѣлоруссы. Т. I – Вильна, 1903)
БелЭн
[25]
서적
Proto-Slavonic
Routledge
1993
[26]
서적
The Slavic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7]
기타
[28]
기타
[29]
기타
[30]
기타
[31]
기타
[32]
논문
XIXth Century Attitudes to Byelorussian before Karski
https://brill.com/vi[...]
2024-05-21
[33]
기타
[34]
기타
[35]
기타
[36]
서적
Turuk 1921
[37]
웹사이트
Editorial Introduction to the Dictionary of the Belarusian Local Tongue by Nasovič I.I.
https://belarus.gith[...]
2021-05-04
[38]
웹사이트
Belarusians' struggle to save their language despite discrimination
https://www.voiceofb[...]
2024-01-21
[39]
서적
Dovnar 1926
[40]
서적
Turonek 1989
[41]
서적
Soviet Yiddish. Language Planning and Linguistic Development
Clarendon
[42]
기타
[43]
서적
Пасяджэньні Беларускае Акадэмічнае Конфэрэнцыі па рэформе правапісу і азбукі
[44]
서적
Ян Станкевіч. Збор твораў у двух тамах. Т. 1.
Энцыклапедыкс
[45]
서적
Русіфікацыя беларускае мовы ў БССР і супраціў русіфікацыйнаму працэсу [1962]. / Прадмова В. Вячоркі.
Навука і тэхніка
[46]
웹사이트
Belarusian Language
https://www.language[...]
2014-09-08
[47]
웹사이트
Are Russians, Belarusians, and Ukrainians "one people"?
https://www.voiceofb[...]
2022-05-26
[48]
서적
Modern history of Belarus
[49]
기타
[50]
웹사이트
Belarusian Language Policy in the Context of Linguistic Human Rights.
https://web.archive.[...]
2019-02-09
[51]
웹사이트
Internationalizing teacher education: The case of Belarus
https://web.archive.[...]
2012-03
[52]
서적
Struggle over identity: the official and the alternative "Belarusianness"
https://books.opened[...]
CEU press
2010
[53]
웹사이트
Belarusian: An extremist language?
https://neweasterneu[...]
2021-10-11
[54]
학술지
Непрерывное развитие языков: их влияние друг на друга и конкуренция
http://www.nkj.ru/ar[...]
2006-03
[55]
서적
Belarus – Éire. Belarus – Ireland. Беларусь – Iрландыя. Беларусь – Ирландия: Матэрыялы навуковага семінара "Беларуска-ірландскія гістарычна-культурныя сувязі".
[56]
위키
Правілы беларускай артаграфіі і пунктуацыі (2008)
[57]
웹사이트
Belarus – Population Census 2009
https://catalog.ihsn[...]
[58]
서적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07
https://books.google[...]
House,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and Senate, Committee on Foreign Relations – 2008
[59]
웹사이트
A review of language policy in Belarus
https://web.archive.[...]
Frantsishak Skaryna Belarusian Language Society
2012-04-03
[60]
웹사이트
Parents of Belarusian-language pupils in Baranavichy petition Prosecutor General over discrimination
http://spring96.org/[...]
Viasna Human Rights Center
2015-01-19
[61]
웹사이트
Belarusian language in Belarus: state status or scenery?
http://m.dw.com/uk/б[...]
2016-02-22
[62]
웹사이트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for 2016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63]
웹사이트
State of the Nation Address to the Belarusian people and the National Assembly
https://president.go[...]
[64]
잡지
Inside the Fight To Preserve the Belarusian Language
https://time.com/622[...]
2022-10-28
[65]
웹사이트
After decades of Russian dominance, Belarus begins to reclaim its language
https://www.theguard[...]
2015-01-28
[66]
웹사이트
In Lukashenko's Belarus, Belarusian culture is not welcome
https://kyivindepend[...]
2023-07-20
[67]
웹사이트
The Belarusian language in the period of socio-political crisis: signs of linguistic discrimination
https://penbelarus.o[...]
2022-09-26
[68]
웹사이트
ТБМ через неделю могут ликвидировать, а вместе с ним газеты "Новы час" и "Наша слова"
https://reform.by/25[...]
2021-08-21
[69]
웹사이트
Type: language
https://www.iana.org[...]
2016-10-12
[70]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Belarusian
https://belarus.un.o[...]
[71]
뉴스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https://www.un.org/e[...]
[72]
서적
服部 2004
[73]
논문
1991
[74]
논문
2002
[75]
논문
2002
[76]
백과사전
Belorussian
2006
[77]
논문
2002
[78]
논문
2006
[79]
서적
God's Playground - A History of Poland
[80]
서적
服部 2004
[81]
이미지
Беларуская мова. Энцыклапедыя. Пад рэд. д.ф.н., праф. А.Я.Міхневіча. Мн., "Беларуская энцыклапедыя" імя Петруся Броўкі, 1994. c. 55
http://www.chikyuko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