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어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브어파는 인도유럽어족의 한 어파로, 동부, 서부, 남부의 세 갈래로 분류된다.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을 포함하는 동슬라브어군,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등을 포함하는 서슬라브어군, 불가리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등을 포함하는 남슬라브어군으로 나뉜다. 슬라브어파는 원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발트어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슬라브어는 음운론, 문법, 어휘 등에서 특징을 가지며, 주변 언어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라브어파 - 교회 슬라브어
교회 슬라브어는 키릴과 메토디우스 형제가 구교회 슬라브어를 바탕으로 성경과 전례서를 번역하면서 시작되어 동슬라브 지역으로 전파, 다양한 판본으로 발전하여 정교회 지역의 예배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는 현대 슬라브어 등으로 대체되고 일부 지역에서만 예배 언어로 사용되며 현대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슬라브어파 - 고대 동슬라브어
고대 동슬라브어는 원시 슬라브어에서 파생되어 벨라루스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의 조상 언어가 되었으며, 키예프 루스 시기에 사용되었고 충음 현상과 같은 음운론적 특징을 지니며 남방과 북방 방언으로 나뉘어 발달했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굴절어 - 독일어
독일어는 독일, 오스트리아, 리히텐슈타인 등의 공식 언어이자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고지 독일어와 저지 독일어로 나뉘며 표준 독일어는 특정 방언에 기반하고, 로마자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전 세계적으로 2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있다. - 굴절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슬라브어파 | |
---|---|
지도 | |
![]() | |
언어 정보 | |
이름 | 슬라브어파 |
다른 이름 | 슬라브어 |
사용 지역 | 중앙유럽, 동유럽, 남동유럽, 중앙아시아, 북아시아(시베리아) |
사용자 수 | 약 3억 1500만 명 |
사용 시기 | 2001년 |
민족 | 슬라브족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조어 | 원시 슬라브어 |
하위 어군 | 동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 서슬라브어군 |
ISO 639-2 | sla |
ISO 639-5 | sla |
Glottolog | slav1255 |
Glottolog 명칭 | Slavic |
하위 어군 | |
동슬라브어군 |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우크라이나어 |
남슬라브어군 |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슬로베니아어 |
서슬라브어군 |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소르브어 카슈브어 |
기타 | |
음운론 | 슬라브어파의 음운론적 특징은 다양하며,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
2. 분류
슬라브어sla는 동슬라브어군, 서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의 세 갈래로 분류된다.[10] 이 분류는 지리적, 계보적 기준과 문자 사용(문자영어)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다.
-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이 속한다.
- '''서슬라브어군''':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등이 속한다.
- '''남슬라브어군''':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슬로베니아어 등이 속한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북슬라브어 가지의 존재를 추측하기도 한다.
최근 연구에서는 슬라브어 간의 상호 이해도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세 갈래 분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어는 불가리아어보다 체코어, 슬로바키아어와 더 가깝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슬라브어의 분화는 원인도유럽어에서 원발토-슬라브어 단계를 거쳐 원슬라브어가 형성된 후, 서기 1세기경부터 시작되어 5~6세기에 가속화되었다.
2. 1. 동슬라브어군
동슬라브어군은 슬라브어파의 한 갈래로,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등을 포함한다.[10]
2. 2. 서슬라브어군
서슬라브어군은 슬라브어파의 한 분파로, 폴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등을 포함한다.
- '''체코-슬로바키아어군'''
- 체코어 (ISO 639-1 코드: '''cs'''; ISO 639-3 코드: '''ces''')
- 슬로바키아어 (ISO 639-1 코드: '''sk'''; ISO 639-3 코드: '''slk''')
- '''레키트어군'''
- 카슈브어 (ISO 639-3 코드: '''csb''')
- 폴란드어 (ISO 639-1 코드: '''pl'''; ISO 639-3 코드: '''pol''')
- 실레시아어 (ISO 639-3 코드: '''szl''')
- 포메라니아어[10]
- 폴라브어[10]
- '''소르브어군'''
- 하소르브어 ('''루사티아어'''로도 알려짐) (ISO 639-3 코드: '''dsb''')
- 상소르브어 (ISO 639-3 코드: '''hsb''')
2. 3. 남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은 동부 남슬라브어군과 서부 남슬라브어군으로 나뉜다. 동부 남슬라브어군에는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고대 교회 슬라브어가 속한다. 서부 남슬라브어군에는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슬로베니아어가 속한다. 세르보크로아트어는 다시 세르비아어, 크로아티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로어 등으로 나뉜다.[10]구분 | 언어 | ISO 639-1 코드 | ISO 639-3 코드 |
---|---|---|---|
서남슬라브어군 | 보스니아어 | bs | bos |
차카브어 | ckm | ||
크로아티아어 | hr | hrv | |
몬테네그로어 | cnr | ||
세르비아어 | sr | srp | |
슬라보몰리사노 | svm | ||
슬로베니아어 | sl | slv | |
동남슬라브어군 | 불가리아어 | bg | bul |
교회 슬라브어 | cu | chu | |
마케도니아어 | mk | mkd |
슬라브어파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다른 어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질적이다.[21] 10세기 말까지 슬라브어 사용 지역 전체는 '공통 슬라브어'라는, 방언적으로 구별되는 단일 언어로서 기능했다.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 언어와 비교했을 때 슬라브어파 언어들은 특히 명사와 동사의 굴절을 통해 문법적 기능을 하는 형태론적 관점에서 보수적이다. 대부분의 슬라브어파 언어들은 인도유럽조어로부터 내려오는 굴절적인 형태론적 유형을 많이 유지하고 있다.[21]
3. 특징
지리적, 계통적 원칙, 그리고 문자와 같은 언어 외적 특징을 사용하여 슬라브어를 동슬라브어, 남슬라브어, 서슬라브어의 세 가지 주요 가지로 나눈다. 그러나 언어적 특징만으로는 북슬라브어와 남슬라브어의 두 가지 분류만 가능하다.
슬라브어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보다 늦게 공통 조상어에서 갈라져 나왔지만,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두 슬라브어 사이에는 의사소통을 어렵게 만들 만큼 충분한 차이가 있다. 다른 어족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것처럼, 슬라브어 간의 상호 이해도는 지리적으로 인접한 언어와 서면 형태에서 더 낫다.[3]
최근 연구에 따르면 슬라브어 간의 상호 이해도에 대한 전통적인 세 가지 분류가 정량적 검토를 견디지 못한다.[10] 서슬라브어로 분류되는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는 적절하지만, 서부 남슬라브어인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 슬로베니아어는 동부 남슬라브어인 불가리아어보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에 더 가깝다.
개별 슬라브어 내에서 방언은 러시아어처럼 약간 다를 수도 있고, 슬로베니아어처럼 크게 다를 수도 있다. 특정 경우에는 전이 방언과 혼성 방언이 서로 다른 언어 간의 간격을 메우기도 한다. 예를 들어, 슬로바키아어(서슬라브어)와 우크라이나어(동슬라브어)는 루신어에 의해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크로아티아어 카이카브어 방언은 표준 크로아티아어보다 슬로베니아어와 더 유사하다.
현대 러시아어는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비슬라브어 기원의 단어 비율이 이례적으로 높다는 점에서 다른 슬라브어와 다르다.
동슬라브어, 남슬라브어, 서슬라브어 가지 간의 또 다른 차이점은 표준어의 철자이다. 서슬라브어와 서부 남슬라브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서유럽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반면 동슬라브어와 동부 남슬라브어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며, 그리스어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았다. 벨라루스어와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이중 문자 체계이다.
슬라브어파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구개음화 발음과 명사 및 형용사의 풍부한 격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각 언어는 매우 유사하여 하나의 슬라브어를 습득하면 다른 슬라브어를 습득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 문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의 두 종류가 있으며, 서부의 가톨릭 지역이 라틴 문자를, 동부의 정교회 지역이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등 종교 분포와 대략 일치한다.원시 슬라브어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 폴란드어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슬로베니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불가리아어 마케도니아어 *uxosla (귀) ухо|우호ru вухо|부호uk вуха|부하be ухо|우호rue ucho|우호pl ucho|우호cs ucho|우호sk uho|우호sl уво|우보sr / (세르비아어)
ухо|우호sh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어 및 크로아티아어)ухо|우호bg уво|우보mk *ognьsla (불) огонь|오곤ru вогонь|보혼uk агонь|아혼be огинь|오힌rue ogień|오기엔pl oheň|오헨cs oheň|오헨sk ogenj|오겐sl огањ|오간sh / огън|오건bg оган|오간mk/огин|오긴mk *rybasla (물고기) рыба|리바ru риба|리바uk рыба|리바be рыба|리바rue ryba|리바pl ryba|리바cs ryba|리바sk riba|리바sl риба|리바sh / риба|리바bg риба|리바mk *gnězdosla (둥지) гнездо|그네즈도ru гнiздо|흐니즈도uk гняздо|흐냐즈도be гнïздо|흐니즈도rue gniazdo|그니아즈도pl hnízdo|흐니즈도cs hniezdo|흐니에즈도sk gnezdo|그네즈도sl гнездо|그네즈도sh / (ek.)
гнијездо|그니예즈도sh / (ijek.)
гниздо|그니즈도sh / (ik.)гнездо|그네즈도bg гнездо|그네즈도mk *okosla (눈) око|오코ru (구어, 시적 또는 고정된 표현에서)
현대어: глаз|글라스ruоко|오코uk вока|보카be око|오코rue oko|오코pl oko|오코cs oko|오코sk oko|오코sl око|오코sh / око|오코bg око|오코mk *golvasla (머리) голова|골로바ru
глава|글라바ru "장, 지도자, 머리"голова|홀로바uk галава|할라바be голова|홀로바rue głowa|그워바pl hlava|흘라바cs hlava|흘라바sk glava|글라바sl глава|글라바sh / глава|글라바bg глава|글라바mk *rǫkasla (손) рука|루카ru рука|루카uk рука|루카be рука|루카rue ręka|렝카pl ruka|루카cs ruka|루카sk roka|로카sl рука|루카sh / ръка|러카bg рака|라카mk *noktьsla (밤) ночь|노치ru ніч|니치uk ноч|노치be нуч|누치rue noc|노츠pl noc|노츠cs noc|노츠sk noč|노치sl ноћ|노치sh / нощ|노슈트bg ноќ|노크mk
3. 1. 음운론적 특징
슬라브어파는 원슬라브어에서 유래하며, 이는 원인도유럽어에서 원발토-슬라브어 단계를 거쳐 유래한다. 원발토-슬라브어 시대에는 슬라브어와 발트어족을 가깝게 만드는 여러 음운 변화가 있었다. 원슬라브어의 조상이 되는 방언의 분리 시기는 기원전 1500~1000년경으로 추정된다.[22]
후기 공통 슬라브어의 자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22]
순음 | 설정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파열음 | ||||||||
파찰음 | colspan="2" | | colspan="2" | | ||||||
마찰음 | colspan="2" | | , (1)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유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서슬라브어군에서 는 로 발전하였다.[23]
이 음소들은 현대 슬라브어파 언어들과 유사하지만, 공통 슬라브어 시기 말에 발생한 구개음화로 인해 많은 수의 새로운 구개음화된 음소가 생겨났다. 러시아어는 이를 잘 보존했지만,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 등에서는 일부 소실되었다. 다음은 현대 러시아어의 자음 음소 표이다.
rowspan="2" | | 순음 | 치경음 및 치조음 | 후치조음 및 경구개음 | 연구개음 | ||||
---|---|---|---|---|---|---|---|---|
경자음 | 연자음 | 경자음 | 연자음 | 경자음 | 연자음 | 경자음 | 연자음 | |
비음 | colspan="2" | | colspan="2" | | ||||||
파열음 | colspan="2" | | |||||||
파찰음 | colspan="2" | | () | colspan="2" | | |||||
마찰음 | ||||||||
전동음 | colspan="2" | | colspan="2" | | colspan="2" | | |||||
접근음 | colspan="2" | | colspan="2" | |
세르보크로아트어와 슬로베니아어에서는 이러한 구개음화가 발생하지 않아 후기 공통 슬라브어와 거의 동일한 음소를 가진다.
슬라브어파의 모음 음소는 다음과 같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style="font-size:120%" | | style="font-size:120%" | | style="font-size:120%" | |
중모음 | style="font-size:120%" | | style="font-size:120%" | | style="font-size:120%" | |
저모음 | style="font-size:120%" | |
는 러시아어, 벨라루스어 등 일부 언어에만 나타나며, 개별 음소인지 의 변이음인지 불확실하다.
- 러시아어 мышь|미시ru [mɨʂ]와 폴란드어 mysz|미시pl [mɨʂ] "쥐(단수)"
공통 슬라브어는 두 비모음 와 를 가졌으나, 현대에는 폴란드어 등 일부 언어에만 보존되었다.
- 폴란드어 wąż|봉시pl /vɔ̃ʐ/와 węże|벵제pl /vɛ̃ʐɛ/ "뱀(단수), 뱀(복수)"
공통 슬라브어는 음소적인 모음 길이와 자유롭고 이동성이 있는 높낮이 억양을 가졌다. 현대 언어들은 이를 보존하는 정도가 다르다. 세르보크로아티아어는 거의 변화 없이 보존한 반면, 마케도니아어는 완전히 상실했다.
3. 2. 문법적 특징
슬라브어파는 인도유럽어족의 다른 어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질적인 특징을 보인다. 10세기 말까지 슬라브어 사용 지역 전체는 방언적으로 구별되는 단일 언어인 '공통 슬라브어'로 기능했다. 대부분의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슬라브어파 언어들은 특히 명사와 동사의 굴절을 통해 문법적 기능을 하는 형태론적 관점에서 보수적이다.[21] 대부분의 슬라브어파 언어들은 인도유럽조어로부터 내려오는 굴절적인 형태론적 유형을 많이 유지하고 있으며, 융합어적 특징을 보인다.슬라브어파는 파생 및 활용 형태론에서 광범위한 형태음운론적 변이를 보인다. 여기에는 연구개음과 뒤잇몸소리, 전설모음과 후설모음, 그리고 모음과 무모음 사이의 변이가 포함된다.
슬라브어파의 공통적인 특징으로는 구개음화 발음과 명사(6격 정도의 격과 단수·복수 및 일부 쌍수·3성) 및 그에 일치하는 형용사의 풍부한 격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각 언어는 매우 유사하여 하나의 슬라브어를 습득하면 다른 슬라브어를 습득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여겨진다. 문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의 두 종류가 있으며, 서부의 가톨릭 지역이 라틴 문자를, 동부의 정교회 지역이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등 종교 분포와 대략 일치한다.
4. 역사
슬라브어는 직계 조상어인 원슬라브어에서 유래하며, 궁극적으로는 모든 인도유럽어족의 조상어인 원인도유럽어에서 원발토-슬라브어 단계를 거쳐 유래한다. 원발토-슬라브어 시대에 음운론, 형태론, 어휘, 통사론에서 여러 독점적인 등어선이 발전하여 슬라브어와 발트어족을 모든 인도유럽어파 중 가장 가까운 친족 관계로 만든다. 원슬라브어의 조상이 되는 발토-슬라브어 방언의 분리 시기는 고고학적 및 언어연대학적 기준에 따라 기원전 1500~1000년경으로 추정된다.[11]
소수의 발트어 연구자들은 슬라브어군이 이웃 발트어군(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그리고 현재는 사멸한 프러시아어)과 너무나도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에 약 5천 년 전 원인도유럽어 연속체의 붕괴 이후 공통 조상어를 공유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를 유지한다. 그러나 지난 30년 동안 발토-슬라브어 억양론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기 때문에 오늘날 이러한 견해를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원발트어"라는 언어가 존재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고 서발트어파와 동발트어파가 서로 다른 만큼 원슬라브어와도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16]
프로토슬라브어는 현대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지역에서 기원했으며, 대부분 현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남부 연방관구 경계 내에 있는 인도유럽어족의 어원과 겹친다.
프로토슬라브어는 서기 500년경까지 존재했다. 7세기까지는 광범위한 방언 지역으로 분화되었다. 서슬라브어와 남슬라브어의 이후 분화에 대한 신뢰할 만한 가설은 없다. 동슬라브어는 일반적으로 키예프 루스의 단일 고대 동슬라브어로 수렴된 것으로 여겨지며, 적어도 12세기까지 존재했다.
언어적 분화는 광대한 영토에 걸쳐 슬라브 민족이 퍼져나가면서 가속화되었는데, 중앙유럽에서는 현재 슬라브어 사용 다수 민족의 범위를 넘어섰다. 9세기, 10세기, 11세기의 서면 문서에는 이미 일부 지역적 언어적 특징이 나타나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징 사본은 슬로베니아 방언(예: 음운 변화, 단어 ''krilatec'')에 고유한 일부 음운론적 및 어휘적 요소를 포함하는 언어를 보여준다. 프라이징 사본은 슬라브어로 된 최초의 라틴 문자 연속 텍스트이다.
비잔티움 제국의 쇠퇴기에 슬라브어 사용자가 발칸 반도로 이주하면서 슬라브어 사용 지역이 확장되었지만, 이 지역에서는 기존의 문자(특히 그리스어)가 유지되었다. 9세기에 헝가리인이 파노니아에 도착하면서 남슬라브어와 서슬라브어 사이에 비슬라브어 사용자가 끼어들었다. 프랑크족의 정복으로 이 두 집단 사이의 지리적 분리가 완료되었고, 모라비아와 하부 오스트리아의 슬라브인들(모라비아인)과 오늘날 슈타이어마르크, 카린티아, 동티롤(오스트리아) 및 현대 슬로베니아 지방(최초의 식민지화 동안 슬로베니아인의 조상이 정착한 곳)의 슬라브인들 사이의 연결도 끊어졌다.
2015년 9월, 알렉세이 카시안과 안나 디보는 슬라브 민족 형성에 대한 학제 간 연구의 일환으로, 슬라브어의 어휘 통계적 분류를 발표했다. 이것은 전 세계 어휘 통계 데이터베이스 프로젝트의 표준에 따라 편집되고 현대 계통 발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처리된 질적 110단어 스와데시 목록을 사용하여 구축되었다.
그 결과로 얻어진 연대표는 슬라브어 그룹 구조에 대한 기존 전문가의 견해와 일치한다. 카시안-디보의 계통수는 프로토슬라브어가 처음으로 동부, 서부, 남부의 세 가지 가지로 갈라졌음을 시사한다. 프로토슬라브어의 분화는 서기 1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이는 서기 1천년대 초 슬라브 인구가 광대한 영토에 퍼져 있었고 이미 단일체가 아니었다는 고고학적 평가와 일치한다. 그런 다음 서기 5세기와 6세기에 이 세 가지 슬라브어 가지가 거의 동시에 하위 가지로 나뉘었는데, 이는 1천년대 후반에 동유럽과 발칸 반도를 통한 슬라브인의 빠른 확산(소위 유럽의 슬라브화)과 일치한다.
러시아 언어학자 안드레이 자리즈냐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주요 언어적 차이는 현대 벨라루스, 러시아, 우크라이나가 차지하고 있는 지역 사이가 아니라, 현대 벨리키 노브고로드와 프스코프 주변의 북서부와 현대 키이우, 수즈달, 로스토프, 모스크바 및 벨라루스 주변의 중앙(동슬라브 영토) 사이에 있었다. 당시의 고대 노브고로드 방언은 중앙 동슬라브 방언과 다른 모든 슬라브어보다 후대보다 훨씬 더 달랐다. 자리즈냐크에 따르면, 러시아어는 그 방언과 중앙 방언의 융합으로 발전했고, 우크라이나어와 벨라루스어는 동슬라브어의 중앙 방언의 발전의 연속이었다.
또한 러시아 언어학자 세르게이 니콜라예프는 슬라브 방언의 강세 체계의 역사적 발전을 분석하여 키예프 루스의 다른 여러 부족이 다른 슬라브어 가지에서 왔고 먼 슬라브어 방언을 사용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우크라이나 언어학자들은 과거 어느 시점에도 공통된 고대 동슬라브어가 존재했다는 것을 부인한다. 그들에 따르면, 동슬라브 부족의 방언은 어떤 중간 단계도 없이 공통된 프로토슬라브어에서 점진적으로 발전했다.
5. 다른 언어에 대한 영향
옛 소비에트 연방의 대부분 언어와 일부 인접 국가(예: 몽골어)는 어휘, 특히 러시아어의 영향을 상당히 받았다. 루마니아어, 알바니아어, 헝가리어는 도시 생활, 농업, 수공업 및 무역(장거리 문화 접촉이 제한적인 시대의 주요 문화 혁신)과 관련된 어휘에서 인접 슬라브 국가의 영향을 보여주며, 이들 언어에서 슬라브어 어휘 차용은 전체 어휘의 최소 15%를 차지한다.[12] 이는 슬라브 부족들이 일리리아인과 블라크인이 거주하던 영토를 발칸 반도로 가는 도중에 통과하고 일부 정착했기 때문일 가능성이 있다.
슬라브어 어원학 전문가인 막스 바스머는 원시 게르만어에 슬라브어 차용어가 없었다고 주장했지만, 다른 게르만어에는 (대부분 최근의) 고립된 슬라브어 차용어가 있다. 예를 들어, "국경"을 뜻하는 독일어 Grenze|그렌체de, 네덜란드어 grens|흐렌스nl는 공통 슬라브어 granica|그라니차sla에서 차용되었다. 동독에는 베를린, 라이프치히, 드레스덴 등 슬라브어 기원의 도시와 마을이 많다. 영어의 ''쿼크''(치즈의 한 종류 및 소립자)는 독일어 Quark|크바르크de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다시 슬라브어 tvarog|트바로크sla("응유"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동독과 오스트리아의 많은 독일어 성씨는 슬라브어 기원이다. 북게르만어파에도 구 러시아어 tъrgъorv 또는 폴란드어 targpl에서 유래한 torgsv/''torv''(시장), humlesv(홉), räkasv/''reke''/''reje''(새우), 중부 저지 독일어를 통해 구 슬라브어 tlŭkŭsla에서 유래한 tolksv(통역사), 서슬라브어 pramŭzlw에서 유래한 pråmsv/''pram''(바지선)이 있다.
핀란드어파 언어는 슬라브어와 많은 공통 단어를 가지고 있다. 페트리 칼리오(Petri Kallio)에 따르면, 이는 원시 핀란드어 시대부터 핀란드어파 언어로 슬라브어가 차용되었음을 시사한다. 많은 차용어는 핀란드어화된 형태를 취하여, 그러한 단어가 원래 핀란드어인지 슬라브어인지 구분하기 어렵게 만든다.
러시아 방언은 핀우그르어에서, 특히 산림 용어와 지명에 관한 많은 차용어를 가지고 있다.[12][13] 이는 7세기부터 11세기까지 슬라브족이 중앙 러시아(모스크바 근처) 지역으로 확장하면서 발생했다. 이 지역은 이전에 핀우그르어족이 거주하던 곳이었으며,[14] 그 결과 유전적, 문화적, 언어적 교류가 발생했다.
체코어 단어 robotcs는 현재 전 세계 대부분의 언어에서 사용되며, 체코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단어 ''권총'' 또한 많은 유럽 언어에서 발견된다.
거의 모든 유럽 언어에서 잘 알려진 슬라브어는 러시아어 водкаru에서 차용된 보드카이다. 이는 공통 슬라브어 vodasla('물', 영어 단어 ''water''와 동족어)에 지소어 접미사 -kasla가 붙은 것이다. 북부 러시아와의 중세 모피 무역으로 인해, 러시아에서 유래한 팬유럽 차용어로는 ''세이블''과 같은 친숙한 단어가 포함된다. 영어 단어 "뱀파이어"는 (아마도 프랑스어 vampire프랑스어를 통해) 독일어 Vampirde에서 차용되었는데, 이는 다시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에서 유래하며, 원슬라브어 *ǫpyrьsla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폴란드 학자 K. Stachowski는 이 단어의 기원이 튀르크어 oobyrtrk로 거슬러 올라가는 초기 슬라브어 *vąpěrьsla라고 주장했다.
영어를 포함한 여러 유럽 언어는 '넓고 평평한 평원'을 의미하는 poljezls라는 단어를 이전 유고슬라비아 언어(즉, 슬로베니아어 및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서 직접 차용했다. 20세기 소련의 전성기 동안, ''소비에트'', 스푸트니크, 페레스트로이카, 글라스노스트, 콜호즈 등 더 많은 러시아어 단어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또 다른 차용된 러시아어 용어는 사모바르이다.
참조
[1]
논문
An overview of word order in Slavic languages
https://doi.org/10.1[...]
De Gruyter Mouton
[2]
논문
Mutual intelligibility between West and South Slavic languages
https://doi.org/10.1[...]
[3]
논문
The mutual intelligibility of Slavic languages as a source of support for the revival of the Sorbian language
https://doi.org/10.3[...]
Peter Lang
[4]
논문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correspondences between related Slavic languages as a base for modeling of mutual intelligibility
[5]
논문
LREC - Orthographic and Morphological Correspondences between Related Slavic Languages as a Base for Modeling of Mutual Intelligibility
2016-05-01
[6]
Dissertation in Linguistics
Mutual intelligibility in the Slavic language area
https://www.narcis.n[...]
[7]
논문
Mutual intelligibility between West and South Slavic languages
https://doi.org/10.1[...]
[8]
논문
The Measurement of Mutual Intelligibility between West-Slavic Languages
https://doi.org/10.1[...]
[9]
논문
Levenshtein distance and word adaptation surprisal as methods of measuring mutual intelligibility in reading comprehension of Slavic languages
https://www.scopus.c[...]
Academia
[10]
논문
Mutual intelligibility between West and South Slavic languages
https://doi.org/10.1[...]
[11]
웹사이트
https://www.mpg.de/2[...]
[12]
논문
Borrowed names of forest and forest loci in the Russian dialects of the European North of Russia: Lexemes of Baltic-Finnish origin
https://doi.org/10.3[...]
[13]
논문
Borrowed names of forest and forest loci in the Russian dialects of European North of Russia: Lexemes of Sami and Volga-Finnish origin
https://doi.org/10.3[...]
[14]
웹사이트
http://smarthistorie[...]
[15]
논문
The Origin of Pre-Baltic
[16]
웹인용
"Kako rekosmo, nije sigurno je li uopće bilo prabaltijskoga jezika. Čini se da su dvije posvjedočene, preživjele grane baltijskoga, istočna i zapadna, različite jedna od druge izvorno kao i svaka posebno od praslavenskoga".
[17]
웹사이트
http://www.geocurren[...]
[18]
사전
pråm
http://runeberg.org/[...]
[19]
사전
torg
http://runeberg.org/[...]
[20]
사전
tolk
http://runeberg.org/[...]
[21]
웹인용
[22]
웹인용
[23]
문서
단, 폴란드어에서 /sʲ/는 /ɕ/로 발전하였고 /zʲ/는 /ʑ/로 발전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