Ӯ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Ӯ는 키릴 문자의 일종으로, 타지크어, 킬딘 사미어, 만시어, 알류트어, 루신어 등 여러 언어에서 사용된다. 타지크어에서는 중설 근고모음(ɵ)을 나타내며, 킬딘 사미어, 만시어, 알류트어에서는 원순 후설 폐모음의 장모음(uː)을, 루신어에서는 원순 전설 폐모음(y)을 나타낸다. 각 언어에서 알파벳 내 위치는 다르며, 유니코드에서 U+04EE와 U+04EF로 표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릴 문자 - 초기 키릴 문자
초기 키릴 문자는 9세기 말 프레슬라프 문학 학교에서 글라골 문자를 기반으로 창작되어 그리스 문자를 참고하여 교회 서적에 더 적합하게 만들어졌으며, 슬라브족 국가로 전파된 후 지역적 변형과 문자 개혁을 거쳐 동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언어 표기에 사용되고 있다. - 키릴 문자 -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
루마니아어 키릴 문자는 루마니아어의 초기 표기에 사용된 문자 체계로, 몰도바어 키릴 문자와 함께 초기 키릴 문자와 유사하며 교회 슬라브어의 전례 언어에 사용되었고, 1830년대 라틴 문자 채택 이전에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가 혼용되었다.
Ӯ | |
---|---|
기본 정보 | |
문자 | 키릴 문자 U와 마크론 |
유니코드 이름 | 키릴 문자 대문자 U와 마크론, 키릴 문자 소문자 U와 마크론 |
유니코드 번호 | U+04EE, U+04EF |
용도 | |
언어 | 이졸란어 만시어 나나이어 네기달어 오로치어 울치어 사할린 방언 셀쿠프어 카르파토 루신어 |
2. 사용
Ӯ는 타지크어 알파벳에서 사용되며, 중설 근고모음을 나타낸다. 1937년에는 /y/를 나타내기 위해 카렐리아 키릴 문자에서도 사용이 제안되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Ӯ는 킬딘 사미어, 만시어, 알류트어(베링 방언), 루신어에서도 사용된다.[1][2][3]
2. 1. 타지크어
Ӯ는 타지크어 알파벳에서 사용되며, 중설 근고모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글자 모양은 У의 변형이지만, u와 소리의 유일한 공통점은 둘 다 비교적 닫힌, 둥근 모음이라는 것이다.Ӯ는 킬딘 사미어와 만시어에서 긴 u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 두 언어는 콜라 반도(킬딘)와 서부 시베리아(만시)에서 사용되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이 언어들에서 길이는 변별적이며,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모든 모음의 긴 버전에 매크론이 사용된다.
Ӯ는 알류트어(베링 방언)에서도 사용된다.[1] 현대 알류트어 알파벳의 서른여섯 번째 글자이다.
Ӯ는 또한 슬라브어 중 유일하게 루신어에서 사용된다. 이 소리는 /y/에 가깝거나, 일부 방언에서는 /u/에 가깝다.[2][3]
2. 2. 킬딘 사미어
Ӯ는 킬딘 사미어와 만시어에서 긴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이 두 언어는 콜라 반도(킬딘)와 서부 시베리아(만시)에서 사용되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이 언어들에서 길이는 변별적이며,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모든 모음의 긴 버전에 매크론이 사용된다.2. 3. 만시어
Ӯ는 킬딘 사미어와 만시어에서 긴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 두 언어는 콜라 반도(킬딘)와 서부 시베리아(만시)에서 사용되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이 언어들에서 길이는 변별적이며,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모든 모음의 긴 버전에 매크론이 사용된다.[1]2. 4. 알류트어
Ӯ는 알류트어(베링 방언)에서 사용되며, 현대 알류트어 알파벳의 서른여섯 번째 글자이다.[1]2. 5. 루신어
Ӯ는 슬라브어 중 유일하게 루신어에서 사용된다. 이 소리는 /y/에 가깝거나, 일부 방언에서는 /u/에 가깝다.[2][3]3. 음소
Ӯ는 타지크어 알파벳에서 사용되며, 중설 근고모음을 나타낸다. 글자 모양은 У의 변형이지만, u와 소리의 유일한 공통점은 둘 다 비교적 닫힌, 둥근 모음이라는 것이다.
1937년에는 y를 나타내기 위해 카렐리아 키릴 문자에서도 사용이 제안되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Ӯ는 킬딘 사미어와 만시어에서 긴 u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 두 언어는 콜라 반도(킬딘)와 서부 시베리아(만시)에서 사용되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이 언어들에서 길이는 변별적이며,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모든 모음의 긴 버전에 매크론이 사용된다.
Ӯ는 알류트어(베링 방언)에서도 사용된다.[1] 현대 알류트어 알파벳의 서른여섯 번째 글자이다.
Ӯ는 또한 슬라브어 중 유일하게 루신어에서 사용된다. 이 소리는 /y/에 가깝거나, 일부 방언에서는 /u/에 가깝다.[2][3]
4. 알파벳상의 위치
Ӯ는 타지크어 알파벳에서 사용되며, 중설 근고모음을 나타낸다. У|ru의 변형이지만, 와 소리의 유일한 공통점은 둘 다 비교적 닫힌, 둥근 모음이라는 것이다.
1937년에는 를 나타내기 위해 카렐리아 키릴 문자에서도 사용이 제안되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Ӯ는 킬딘 사미어와 만시어에서 긴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 두 언어는 콜라 반도(킬딘)와 서부 시베리아(만시)에서 사용되는 우랄어족 언어이다. 이 언어들에서 길이는 변별적이며, 장모음을 표시하기 위해 모든 모음의 긴 버전에 매크론이 사용된다.
Ӯ는 알류트어(베링 방언)에서도 사용된다.[1] 현대 알류트어 알파벳의 서른여섯 번째 글자이다.
Ӯ는 또한 슬라브어 중 유일하게 루신어에서 사용된다. 이 소리는 /y/에 가깝거나, 일부 방언에서는 /u/에 가깝다.[2][3]
5. 컴퓨팅 코드
Ӯ|ky는 유니코드에서 U+04EE (대문자)와 U+04EF (소문자)로 표현된다.[1]
참조
[1]
서적
Словарь алеутско-русский и русско-алеутский (беринговский диалект)
Отд-ние изд-ва "Просвещение"
[2]
웹사이트
Carpatho-Rusyn phonetics. Ep#2 - і, ї, ӯ {{!}} Карпаторусинська фонетика. Другый епізод
https://www.youtube.[...]
2020-05-01
[3]
웹사이트
ruegrammatica
https://www.rueporta[...]
[4]
웹사이트
Cyrillic: Range: 0400–04FF
http://unicode.org/c[...]
2011-05-15
[5]
웹사이트
Cyrillic: Range: 0400–04FF
https://unicode.org/[...]
2011-05-15
[6]
간행물
О переводе таджик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с латинизированного на новый таджикский алфавит на основе русской графики (Закон от 21 мая 1940 года)
Ведомости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Таджикской ССР
[7]
서적
Сборник законов Таджикской ССР, указов и постановлений Президиума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Таджикской ССР, 1938—1958
https://books.google[...]
[8]
서적
Словарь алеутско-русский и русско-алеутский (беринговский диалект)
[9]
웹사이트
Carpatho-Rusyn phonetics. Ep#2 - і, ї, ӯ {{!}} Карпаторусинська фонетика. Другый епізод
https://www.youtube.[...]
2021-08-15
[10]
웹사이트
ruegrammatica
https://www.rueporta[...]
2021-08-15
[11]
웹인용
Carpatho-Rusyn phonetics. Ep#2 - і, ї, ӯ {{!}} Карпаторусинська фонетика. Другый епізод
https://www.youtube.[...]
2020-05-01
[12]
웹인용
ruegrammatica
https://www.ruepor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