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류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류트어는 약 4,000년에서 6,000년 전 베링 육지 다리를 통해 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에스키모-알류트족이 사용했던 언어이다. 알래스카와 러시아의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동부, 아트카, 아투 섬, 코퍼 섬 방언으로 나뉜다. 18~19세기 러시아 식민화로 인해 러시아어 차용어가 유입되었지만, 언어 구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알류트어는 문법적으로 명사, 동사, 파생 접미사 등을 활용하며, SOV 어순을 따른다. 현재는 언어 활성화 노력이 진행 중이며, 관련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극의 언어 - 유픽어
    유픽어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에서 사용되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언어군으로, 교착어이며 다합성어의 특징을 보이고,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 체계와 영어 키보드 입력이 가능한 문자가 개발되었다.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그린란드어
    그린란드어는 에스키모-알류트어족에 속하며 그린란드의 공식 언어로, 1200년대 툴레인의 이주로 전래되어 서그린란드어, 동그린란드어, 북그린란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았으나 자치정부 수립 후 강화 정책으로 지위를 확보했음에도 유네스코는 "취약한" 언어로 분류하며, 복잡한 형태론적 특징을 가진 능격-대격어이지만 주격-대격어로의 변화 가능성도 있다.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이누크티투트어
    이누크티투트어는 캐나다 북부 이누이트족의 언어로, 문자 체계가 개발되었고 노스웨스트 준주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알류트어
언어 정보
이름알류트어
고유 이름Unangam Tunuu (우낭암 투누)
로마자 표기Unangam Tunuu
키릴 문자 표기Уна́ӈам тунуу́ / унаӈан умсуу
발음 (IPA)[uˈnaŋam tuˈnuː]
사용 국가미국 (알래스카 주, 알류샨 열도, 프리빌로프 제도, 스테포바크 만 서쪽의 알래스카 반도)
러시아 (캄차카 지방, 코만도르스키예 제도)
민족7,234명의 알류트족
화자 수 (알래스카)80명 미만 (2022년)
화자 수 (러시아)멸종 (2021년)
어족에스키모-알류트어족
조상 언어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
문자라틴 문자 (알래스카)
키릴 문자 (알래스카, 러시아)
공용알래스카 주
ISO 639-2ale
ISO 639-3ale
Glottologaleu1260
Glottolog 설명알류트어
주의IPA 사용
분포
알류샨 열도에서 사용되는 알류트어
알류트어는 알류샨 열도에서 사용됨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지도에서 위기 언어로 분류된 알류트어
유네스코 세계 위험에 처한 언어 지도에 의해 심각한 위기 언어로 분류됨
인명
민족Unangax̂ (우낭악스)
사람들Unangan (우낭안) (동부)
Unangas (우낭아스) (서부)
언어Unangam Tunuu (우낭암 투누)
국가Unangam Tanangin (우낭암 타낭인)

2. 역사

에스키모-알류트족은 4,000년에서 6,000년 전 베링 육지 다리를 통해 아시아에서 이주해 왔으며, 기원전 2000년경 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에서 분화되었다. 알류트어 사용자와 관련된 문화는 4,000년 전에 이미 동부 알류샨 열도에서 나타났다는 증거가 있으며, 그 후 1,500년에 걸쳐 서쪽으로 니어 제도까지 점진적으로 확장되었다.[12] 약 1,000년 전에 또 다른 서쪽 확장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13]

18세기와 19세기에 러시아 식민 개척자와 상인들에 의해 식민화됨에 따라 알류트어에는 많은 러시아어 차용어가 생겼다. 그러나 이들은 기본 어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언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없다.[17] 2021년 3월, 베링 방언의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베라 티모셴코가 베링 섬 니콜스코예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

2. 1. 기원

에스키모-알류트족은 4,000년에서 6,000년 전 베링 육지 다리(Beringia)를 통해 아시아에서 이주해 왔다. 이 기간 동안 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가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2000년경에 분화되었다. 두 갈래로 나뉜 것은 알래스카에서 일어난 것으로 생각되는데, 그 이유는 에스키모어가 사용되는 전체 지역(캐나다를 거쳐 그린란드까지 동쪽)에 비해 알래스카의 에스키모어에서 발견되는 언어적 다양성 때문이다. 두 갈래로 나뉜 후에는 상대적으로 고립된 상태에서 발전한 것으로 생각된다.[11]

알류트어 사용자와 관련된 문화는 4,000년 전에 이미 동부 알류샨 열도에서 나타났다는 증거가 있으며, 그 후 1,500년에 걸쳐 서쪽으로 니어 제도까지 점진적으로 확장되었다.[12] 약 1,000년 전에 또 다른 서쪽 확장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알류트 방언 간의 명확한 다양화가 부족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동부 알류트의 특징이 서쪽으로 확산되었기 때문이다.[13] 이 두 번째 서쪽 확장은 알래스카 남동부 및 태평양 북서부 해안과의 문화적 친밀성 시대를 특징으로 한다.[14] 이는 알류트어가 이웃한 비에스키모어와 공유하는 언어적 특징(예: 복수 형성 규칙)을 설명할 수 있다.[15][16]

2. 2. 러시아의 영향

18세기와 19세기에 러시아 식민 개척자와 상인들이 알류트 지역을 식민화하면서, 알류트어에는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단어들이 많이 생겨났다. 그러나 이러한 차용어들은 알류트어의 기본 어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언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17]

2021년 3월, 베링 방언의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베라 티모셴코가 베링 섬 니콜스코예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

3. 방언

알류트어는 약 1,000년 전에 서쪽으로 확장되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이는 알류트 방언 간의 뚜렷한 다양성이 부족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동부 알류트의 특징이 서쪽으로 퍼져나갔기 때문이다.[13]

18세기와 19세기에 러시아 식민 개척자와 상인들에 의해 식민화되면서 알류트어에는 많은 러시아어 차용어가 들어왔다. 그러나 이들은 기본 어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언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보기는 어렵다.[17]

2021년 3월, 베링 방언의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베라 티모셴코가 캄차카 니콜스코예, 베링 섬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

동부 방언에는 알래스카 반도, 우날라스카, 벨코프스키, 아쿠탄 섬, 프리빌로프 제도, 카셰가, 니콜스키의 방언이 포함된다. 프리빌로프 방언은 다른 알류트어 방언보다 화자가 더 많다.

아트카 방언군은 아트카와 베링 섬의 방언으로 구성된다.

아투 섬 방언은 아트카 방언과 동부 알류트어의 영향을 모두 받은 독립적인 방언이었다. 코퍼 섬 알류트어는 러시아어와 아투 방언의 혼합어였다(코퍼 섬은 아투 섬 사람들이 정착한 곳이다). 1969년 이후 코퍼 섬 알류트어는 코퍼 섬 주민들이 베링 섬으로 이주하면서 베링 섬에서만 사용되었고, 2022년 마지막 원어민 화자가 사망하면서 멸종되었다.

모든 방언은 러시아어의 어휘에 영향을 받았으며, 코퍼 섬 알류트어는 많은 러시아어 어미를 차용했다. 베링 알류트어에서 가장 많은 러시아어 차용어를 볼 수 있다.

베링 알류트어의 러시아어 차용어[23]
베링 알류트어러시아어영어 번역
прощаться|proŝatʹsâru작별 인사를 하다; 작별을 고하다
шёлк|šëlkru실크
нянчить|nânčitʹru젖먹이를 돌보다
нянька|nânʹkaru유모
рана|ranaru상처, 부상
рисовать|risovatʹru그림을 그리다
засада|zasadaru매복, 매복 공격
мешать|mešatʹru방해하다
жидкий|židkijru액체, 유동체


4. 음운

현대 알류트어 표기법은 1972년 알래스카 학교 시스템의 이중 언어 프로그램을 위해 고안되었다.

대문자소문자IPA
Aa
Áá
B*b*
Chch
Dd
E*e*
F*f*
Gg
Xx
Ĝĝ
Hh
Ii
Jj
Kk
Ll
Hlhl
Mm
Hmhm
Nn
Hnhn
Ng ngng
Hng hnghng
O*o*
P*p*
Qq
R*r*,
Ss
Tt
Uu
Uuuu
V*v*
Ww
Yy
Z†z†


  • 는 일반적으로 외래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는 아트칸 알류트어에서만 발견된다.

1846년 알류트어 키릴 문자 표기


알래스카와 러시아에서 발견되는 역사적인 알류트어 (키릴 문자) 알파벳은 1918년 이전의 표준 러시아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하지만, 여러 러시아 문자는 외래어에서만 사용되었다. 확장된 키릴 문자 г̑ (역 브레브가 있는 г), ҟ, ҥ, ў, х̑ (역 브레브가 있는 х)는 독특한 알류트어 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20][21][22]

24개 이상의 문자를 사용하여 독특한 알류트어 단어를 나타냈는데, 여기에는 6개의 모음 (а, и, й, у, ю, я)과 16개의 자음 (г, г̑, д, з, к, ԟ, л, м, н, ҥ, с, т, ў, х, х̑, ч)이 포함된다. ӄ 문자는 현대 알류트어 키릴 문자 출판물에서 무성 후두 파열음 에 대한 ԟ (알류트어 Ka) 문자를 대체했다.

폐기된 문자현대 등가물IPA실용적
표기법
대문자소문자대문자소문자
АаАаa
Б*б*Ббb
В*в*Ввv
ГгГгg
Г̑г̑Ӷӷĝ
ДдД̆д̆d
Е*е*Ееe
Ж*ж*Жжž
З†з†Ззz
ИиИиi
І*і*j
ЙйЙйy
КкКкk
ԞԟӃӄq
ЛлЛлl
МмМмm
НнНнn
ҤҥӇӈng
О*о*Ооo
П*п*Ппp
Р*р*Рр,r
СсСсs
ТтТтt
УуУуu
ЎўГўгўw
Ф*ф*Ффf
ХхХхx
Х̑х̑Ӽӽ
Ц*ц*Ццts/c
ЧчЧчch
Ш*ш*Шш
Щ*щ*Щщ
ЪъЪъ
Ы*ы*Ыы
ЬьЬь
Э*э*Ээye
ЮюЮюyu
ЯяЯяya
Ѳ*ѳ*f
Ѵ*ѵ*


  • 는 일반적으로 외래어에서 사용되는 문자이다.

†는 아트칸 알류트어에서만 발견된다.

현대 알류트어 표기법 (베링 방언):[23]

А аА̄ а̄Б бВ вГ гӶ ӷГў гўД дД̆ д̆Е еЕ̄ е̄Ё ёЖ жЗ зИ иӢ ӣ
Й йʼЙ ʼйК кӃ ӄЛ лʼЛ ʼлМ мʼМ ʼмН нʼН ʼнӇ ӈʼӇ ʼӈО оО̄ о̄П пР р
С сТ тУ уӮ ӯФ фХ хӼ ӽ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Ы̄ ы̄Ь ьЭ э
Э̄ э̄Ю юЮ̄ ю̄Я яЯ̄ я̄ʼʼЎ ʼў



알류트어 비교표[23]
아트칸 알류트어베링 알류트어
AА
AaА̄
BБ
ChЧ
DД̆
FФ
GГ
XХ
ĜӶ
Ӽ
Hʼ
IИ
IiӢ
KК
LЛ
HlʼЛ
MМ
HmʼМ
NН
HnʼН
NgӇ
HngʼӇ
OО
PП
QӃ
RР
SС
TТ
UУ
UuӮ
VВ
WГў
HwʼЎ
YЙ
HyʼЙ
ZЗ


4. 1. 자음

알류트어의 여러 방언에 존재하는 자음 음소는 아래 표와 같다. 각 칸은 음소의 국제 음성 기호(IPA) 표기를 나타낸다. 외래어에서만 나타나는 자음은 괄호 안에 표시되어 있으며, 일부 음소는 알류트어의 특정 방언에만 고유하다.

colspan="2"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음연구개음구개수음성문음
비음유성음
무성음
파열음무성음()[3]
유성음()()()
마찰음무성음()[3]
유성음[3][3]
유음유성음(, )
무성음


  • 경구개 파찰음 와 구개수 파열음 는 강한 기음을 동반하여 발음된다.
  • 아투안 방언의 순음 마찰음 는 유성 또는 무성으로 발음된다.[3]
  • 무성 유음과 무성 비음은 전기음이다. 유음의 전기음은 매우 약한 마찰을 일으키며, 숨소리 나는 음성으로 발음될 수 있다. 무성 비음의 전기음은 코를 통한 무성 기류로 시작하여 모음 앞에서 유성이 될 수 있다. 전기음 특징은 주어진 음 앞에 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예를 들어, 무성 전기음 순음 비음은 으로 표기한다.[4]
  • 유성 유음과 비음은 무성 자음과 접촉하거나 단어 끝에서 부분적으로 무성화될 수 있다.
  • 무성 성문 유음 는 모음 앞의 초기 기음 역할을 한다. 아트칸과 아투안 방언에서는 모음 앞의 기음이 들리지만 쓰여지지 않는 성문 폐쇄음 모음 시작과 대조된다. ('머리를 돌리다')와 ('필요하다')를 비교해 보라. 이러한 대조는 동부 알류트어에서 사라졌다.[3]
  • 현대 동부 알류트어는 비음, 사잇소리 및 유음 사이의 유성 대조가 사라졌기 때문에 자음 목록이 훨씬 단순하다.[19]
  • 치음 열에 나열된 자음은 발음 위치가 다양하다. 파열음, 비음, 측음 치음은 일반적으로 설첨 발음을 한다. 유성 치음 마찰음은 치간 발음으로 발음된다.[19]
  • 사잇소리 의 발음은 치경 발음에서 경구개음과 같은 후퇴 발음까지 다양하다. 알류트어에는 와 사이의 대조가 없다. 많은 알류트어 화자들은 영어를 배우는 동안 이러한 구별에 어려움을 겪는다.[19]

4. 2. 모음

알류트어는 높은 전면 모음 , 낮은 모음 , 높은 후면 모음 를 포함하는 기본 세 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알류트어 모음은 그에 상응하는 긴 모음 , , 와 대조된다.[19]

특히 알류트어 는 모음 공간에서 보다 약간 낮게 발음된다.

긴 모음 는 모음 공간에서 후퇴되어 발음되므로 의 모음 길이에 비해 상당한 차이를 만든다. 두 개의 고모음은 모음 길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모음의 질로 발음된다.[19]

연구개 자음과 접촉할 때 는 로 낮아지고, 는 로 후퇴하며, 는 로 낮아진다. 치경 자음과 접촉할 때 는 또는 로 높아지고, 는 로 전면화된다.[4][19]

중모음 와 는 'Nevzorof'와 같은 성씨 및 최근에 도입된 러시아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rowspan="2" |전면 모음중앙 모음후면 모음
짧은 모음긴 모음짧은 모음짧은 모음긴 모음
고모음
저모음


4. 3. 음절 구조

(C)(C)V(V) ± {C(C)(C)V(V)} ± C

알류트어 단어는 하나에서 열두 개 정도의 음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든 음절은 모음 중심을 갖는다. 아트칸어와 아트투안어에서는 탈락으로 인해 단어 말에 CC가 나타난다. 또한, 외래어에는 단어 처음에 CCC가 존재하기도 한다.[3]

4. 4. 강세

알류트어의 강세는 불규칙하며, 단어 형태, 모음 및 자음의 길이, 음절의 개방성 및 폐쇄성, 문장의 리듬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3] 강세는 모음과 자음 길이에 영향을 주며, 동부 알류트어의 축약 현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3]

동부 알류트어에서 강세는 주로 단어 끝에서 두 번째 짧은 음절(단모음)이나 마지막 긴 음절(장모음)에 강하게 나타나며, 약한 강세는 주로 첫 음절에 나타난다.[3] 예를 들어 '집'은 , '말했다'는 , '말하지 않고'는 , '그 자신'은 과 같이 표현한다.[3]

두 음절 이상인 동부 알류트어 단어는 다양한 강세 패턴을 보인다.[3] 강세는 장모음, 명료한 자음, 폐쇄 음절 등에 의해 다른 음절로 이동할 수 있으며, 리듬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3] 예를 들어 '화살'을 뜻하는 와 는 서로 다른 문맥에서 다른 강세를 가진다.[3]

아트칸 알류트어와 아투안 알류트어에서는 강한 강세가 첫 음절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장모음, 유성음 등은 동부 알류트어와 유사하게 강세에 영향을 준다.[3] 예를 들어 '몇 개'와 '어디에', '창'과 '바다'와 같은 단어에서 강세 차이를 볼 수 있다.[3]

감탄사나 정중한 요청과 같이 표현적인 경우에도 강세가 나타나는데, 강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나타나며 단모음이 길어진다.[3] 예를 들어 '커피가 온다', '제발 드세요!', '드세요'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3]

일반적으로 강세를 받는 짧은 음절은 모음을 길게 하거나 뒤따르는 자음을 이중화하여 길어진다.[3] 모음 장음화는 동부에서 흔하며, 유성 자음 앞의 아트칸에서도 나타난다. 이중화는 모든 방언에서 단모음을 가진 강세 받는 첫 음절과 뒤따르는 강세 받는 음절 사이에서 자주 나타난다.[3] 예를 들어 '그에게서'는 로, '소년'은 로 발음된다.[3][4]

5. 문법

알류트어의 문법은 연결된 말에서 발생하는 음운 과정을 포함한다.

단어 끝의 연구개 마찰음과 목젖 마찰음은 단어 앞의 무성 자음 뒤에 오면 무성음이 되고, 단어 앞의 유성 자음이나 모음 뒤에 오면 유성음이 된다.

단어 끝의 비음 m|mipa과 n|nipa은 h|hipa를 제외한 다른 초성 자음 앞에서 자주 생략된다. 예를 들어, '땅 위에'와 '집 안쪽'이 있다.

동알류트어에서는 다음 단어의 초성 모음 앞에서 최종 모음이 생략되거나 축약될 수 있다. 예: '그는 끔찍하게 출혈하고 있다'.

아트칸어에서는 빠른 말씨에서는 단어 형태의 마지막 음절이 잘려나갈 수 있다. 이것은 특정한 보조 동사 구문에서 느린 속도에서도 빈번하게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모음 서열이나 완전한 축약이 나타난다.


  • , , '그는 오려고 한다'
  • , , '나는 집으로 갈 것이다'


현대 알류트어 표기법은 1972년 알래스카 학교 시스템의 이중 언어 프로그램을 위해 고안되었다.

대문자소문자IPA
Aaa|aipa
Ááaː|aːipa
B*b*b|bipa
Chcht͡ʃ|t͡ʃipa
Ddð|ðipa
E*e*e|eipa
F*f*f|fipa
Ggɣ|ɣipa
Xxx|xipa
Ĝĝʁ|ʁipa
χ|χipa
Hhh|hipa
Iii|iipa
Jjj|jipa
Kkk|kipa
Lll|lipa
Hlhlɬ|ɬipa
Mmm|mipa
Hmhmm̥|m̥ipa
Nnn|nipa
Hnhnn̥|n̥ipa
Ng ngngŋ|ŋipa
Hng hnghngŋ̊|ŋ̊ipa
O*o*o|oipa
P*p*p|pipa
Qqq|qipa
R*r*ɹ|ɹipa, ɾ|ɾipa
Sss|sipa
Ttt|tipa
Uuu|uipa
Uuuuuː|uːipa
V*v*v|vipa
Www|wipa
Yyj|jipa
Z†z†z|zipa



: *는 일반적으로 외래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를 나타낸다.

: †는 아트칸 알류트어에서만 발견된다.

알래스카와 러시아에서 발견되는 역사적인 알류트어 (키릴 문자) 알파벳은 1918년 이전의 표준 러시아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하지만, 여러 러시아 문자는 외래어에서만 사용되었다. 또한, 확장된 키릴 문자 г̑ (역 브레브가 있는 г), ҟ, ҥ, ў, х̑ (역 브레브가 있는 х)는 독특한 알류트어 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었다.[20][21][22]

24개 이상의 문자를 사용하여 독특한 알류트어 단어를 나타냈는데, 여기에는 6개의 모음 (а, и, й, у, ю, я)과 16개의 자음 (г, г̑, д, з, к, ԟ, л, м, н, ҥ, с, т, ў, х, х̑, ч)이 포함된다. ӄ 문자는 현대 알류트어 키릴 문자 출판물에서 무성 후두 파열음 q|qipa에 대한 ԟ (알류트어 Ka) 문자를 대체했다.

폐기된 문자현대 등가물IPA실용적
표기법
대문자소문자대문자소문자
АаАаa|aipaa
Б*б*Ббb|bipab
В*в*Ввv|vipav
ГгГгɣ|ɣipag
Г̑г̑Ӷӷʁ|ʁipaĝ
ДдД̆д̆ð|ðipad
Е*е*Ееe|eipae
Ж*ж*Жжʒ|ʒipaž
З†з†Ззz|zipaz
ИиИиi|iipai
І*і*i|iipaj
ЙйЙйj|jipay
КкКкk|kipak
ԞԟӃӄq|qipaq
ЛлЛлl|lipal
МмМмm|mipam
НнНнn|nipan
ҤҥӇӈŋ|ŋipang
О*о*Ооo|oipao
П*п*Ппp|pipap
Р*р*Ррɹ|ɹipa, ɾ|ɾipar
СсСсs|sipas
ТтТтt|tipat
УуУуu|uipau
ЎўГўгўw|wipaw
Ф*ф*Ффf|fipaf
ХхХхx|xipax
Х̑х̑Ӽӽχ|χipa
Ц*ц*Ццt͡s|t͡sipats/c
ЧчЧчt͡ʃ|t͡ʃipach
Ш*ш*Шшʃ|ʃipa
Щ*щ*Щщʃtʃ|ʃtʃipa
ЪъЪъ
Ы*ы*Ыыj|jipa
ЬьЬь
Э*э*Ээje|jeipaye
ЮюЮюju|juipayu
ЯяЯяja|jaipaya
Ѳ*ѳ*f|fipaf
Ѵ*ѵ*i|iipa



: *는 일반적으로 외래어에서 사용되는 문자를 나타낸다.

: †는 아트칸 알류트어에서만 발견된다.

현대 알류트어 표기법 (베링 섬 방언):[23]

А аА̄ а̄Б бВ вГ гӶ ӷГў гўД дД̆ д̆Е еЕ̄ е̄Ё ёЖ жЗ зИ иӢ ӣ
Й йʼЙ ʼйК кӃ ӄЛ лʼЛ ʼлМ мʼМ ʼмН нʼН ʼнӇ ӈʼӇ ʼӈО оО̄ о̄П пР р
С сТ тУ уӮ ӯФ фХ хӼ ӽЦ цЧ чШ шЩ щЪ ъЫ ыЫ̄ ы̄Ь ьЭ э
Э̄ э̄Ю юЮ̄ ю̄Я яЯ̄ я̄ʼʼЎ ʼў



비교표[23]
아트칸 알류트어베링 알류트어
AА
AaА̄
BБ
ChЧ
DД̆
FФ
GГ
XХ
ĜӶ
Ӽ
Hʼ
IИ
IiӢ
KК
LЛ
HlʼЛ
MМ
HmʼМ
NН
HnʼН
NgӇ
HngʼӇ
OО
PП
QӃ
RР
SС
TТ
UУ
UuӮ
VВ
WГў
HwʼЎ
YЙ
HyʼЙ
ZЗ



알류트어의 전형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이다.

명사는 문법적 수(단수, 이중, 복수)와 절대격 또는 관계격으로 필수적으로 표시된다. 절대격 형태는 기본 형태이며, 관계격 형태는 명사와 문장의 다른 구성원(생략된 구성원일 수도 있음) 사이의 관계(소유격 또는 대조적인 관계 등)를 나타낸다. 절대격과 관계격은 대부분의 인칭과 문법적 수의 조합에서 동일하다.

소유 구문에서 알류트어는 소유자와 소유물 모두에 표식을 붙이며, 소유자가 소유물 앞에 온다.

복문의 마지막 절의 간단한 문장의 동사술어는 화행과 관련하여 시상 표지를 갖는다. 비종결절의 동사는 다음 절과 관련하여 표시된다. 복문에는 무제한적인 수의 절이 포함될 수 있다.

간단한 문장에는 주어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술어는 보어가 없는 동사, 연결 동사가 있는 술어 명사 또는 절대격의 앞에 오는 직접 목적어와/또는 사격어 또는 장소 보어가 있는 동사일 수 있다.

의 수는 동사 파생 접미사에 의해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절의 항은 명시적으로 지정되거나 지시적일 수 있다.

간단한 문장 또는 종결절의 동사는 절대격의 명사 주어 또는 1인칭/2인칭 주어 표지가 있을 수 있다. 맥락에서 알 수 있듯이 명사 주어가 생략되면 동사는 주어에 대한 지시적 참조를 의미한다.

위치 명사는 특수한 폐쇄적인 명사 집합으로, 여격 또는 탈격 명사 격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본질적으로 후치사처럼 작용한다. 형태통사론적으로 위치 명사구는 소유구와 거의 동일하다.

동사는 에 따라 활용되며, 종결 동사인 경우 인칭과 수에 따라 활용된다. 문장의 모든 명사적 참여자가 명시적인 경우 인칭/수 어미는 동사의 주어와 일치한다.

맥락에서 알 수 있듯이 3인칭 보어 또는 그 하위 부분이 생략되면 최종 동사에 지시적인 접미사 참조가 있고 명사 주어는 관계격에 있다.

하나 이상의 정보가 생략되면 동사는 문법적 수가 가장 큰 요소에 일치한다. 이것은 모호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5. 1. 명사

알류트어의 개방 어휘 계급에는 명사와 동사가 있으며, 이 둘은 어근과 접미사로부터 파생된다. 많은 어근들은 명사와 동사 모두로 쓰이는 모호한 성격을 지닌다.[4] 동사 명사와 분사를 제외하고는 형용사가 없다. 다른 어휘 계급으로는 대명사, 대조사, 수량사, 수사, 위치 명사, 지시사, 의문사가 있다.[4]

일반 명사는 다음과 같은 접미사를 갖는다.[24]

  • 수: 단수, 이중수, 복수
  • 관계격: 절대격과 관계격
  • 인칭: 1인칭, 2인칭, 재귀적 3인칭, 반사적 3인칭


수 & 관계격
단수이중수복수
절대격-(x̂)|-(x̂)ale-(i)x̂|-(i)x̂aleE: -(i)n|-(i)nale
A: -(i)s|-(i)sale
관계격-(i)m|-(i)male-(i)x̂|-(i)x̂aleE: -(i)n|-(i)nale
A: -(i)s|-(i)sale



재귀적 3인칭
단수이중수복수
절대격-a|-aale-kix|-kixaleE: -(ng)in|-(ng)inale
A: -(ng)is|-(ng)isale
관계격-(g)an|-(g)anale-kin|-kinaleE: -(ng)in|-(ng)inale
A: -(ng)is|-(ng)isale



재귀적 3인칭은 관계격으로 표시되거나 문맥으로 지정된 앞선 용어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그 남자의 집'과 '그의 집'이 있다.[24]

대명사 형태 tx(i)- / ti-|tx(i)- / ti-ale
단수이중수복수
1인칭ting|tingaleE: tumin|tuminale
A: timis|timisale
E: tumin|tuminale
A: timis|timisale
2인칭txin|txinaletxidix|txidixaleE: txichi|txichiale
A: txichix|txichixale
반사적 3인칭txin|txinaletxidix|txidixaleE: txidin|txidinale
A: txidix|txidixale



자유 형태로서, 대명사는 완전히 지정된 명사처럼 주로 목적어로 사용된다. 첨어로서, 그것은 주어 표지의 기능을 한다.

위치 명사는 특정한 지시 대상(사람 또는 관계절에서의 선행 명사)에 대한 위치, 방향 또는 좀 더 추상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위치 명사는 소유격 접미사를 가지지만 고유한 수(number)는 없다.

일반 명사와 달리, 위치 명사는 두 개의 부사격 (여격 및/또는 탈격)이 있다. 가장 중요한 어간 는 여격으로 불리며, 여격 형태(대부분 불규칙적)만 가지고 있으며 '~에게, ~에, ~을 위해'라는 의미를 지닌다.

대부분은 절대격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는 '그는 집 뒤를 지나갔다'라는 의미이다. 또한, 관계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는 '가게 뒤에 있는 집'이라는 의미이다.[4]

알류트어의 숫자 체계는 십진법이며, 기본적인 고차항으로 '열'을 의미하는 와 '백'을 의미하는 가 있다. 십의 자리 숫자는 곱셈을 통해 파생된다 (예: 2 x 10 = '스무'). 곱셈 숫자는 기본 숫자에 접미사 를 붙이고 '열'을 의미하는 를 뒤에 붙여 만든다. 예를 들어, 는 '사십'이다.[3]

숫자
1ataqan|ataqanale6atuung|atuungale
2E: aalax|aalaxale
A: alax|alaxale
7uluung|uluungale20algidim|algidimale60atuungidim|atuungidimale
3E: qaankun|qaankunale
A: qankus|qankusale
8qamchiing|qamchiingale30qankudim|qankudimale70uluungidim|uluungidimale
4E: sichin|sichinale
A: siching|sichingale
9siching|sichingale40sichidim|sichidimale80qamchiingidim|qamchiingidimale
5chaang|chaangale10hatix̂|hatix̂ale50chaangidim|chaangidimale90sichiingidim|sichiingidimale


5. 2. 동사

알류트어 동사는 어미에 나타나는 법/시제 접미사를 통해 명사와 형태적으로 구분된다. 명사 어간과 마찬가지로 동사 어간은 짧은 모음이나 자음으로 끝날 수 있다. 자음으로 끝나는 많은 어간은 보조 모음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대부분 어간 자체의 일부가 되었다. 부정은 때때로 접미사로 나타나며, 법/시제 접미사 앞에 오거나 결합한다. 어떤 경우에는 부정 표현 뒤에 인칭 접속 인칭 대명사가 온다.

현재 시제 표지 -(i)ku-|-(i)ku-ale
단수이중복수
1인칭E: -ku-qing|-ku-qingale
A: -ku-q|-ku-qale
= 복수E: -ku-n|-ku-nale
A: -ku-s|-ku-sale
2인칭E: -ku-x̂-txin|-ku-x̂-txinale
A: -kux̂t|-kux̂tale
-ku-x̂-txidix|-ku-x̂-txidixaleE: -ku-x̂-txichi(n)|-ku-x̂-txichi(n)ale
A: -kux̂txichix|-kux̂txichixale
3인칭-ku-x̂|-ku-x̂ale-ku-x|-ku-xaleE: -ku-n|-ku-nale
A: -ku-s|-ku-sale



현재 시제 부정 표지 -lakaĝ-|-lakaĝ-ale
단수이중복수
1인칭E: -lakaqing|-lakaqingale
A: -lakaq|-lakaqale
= 복수E: -lakaĝin|-lakaĝinale
A: -lakaĝis|-lakaĝisale
2인칭E: -lakax̂-txin|-lakax̂-txinale
A: -lakax̂t|-lakax̂tale
-lakax̂-txidix|-lakax̂-txidixaleE: -lakax̂-txichi(n)|-lakax̂-txichi(n)ale
A: -lakax̂txichix|-lakax̂txichixale
3인칭-lakax̂|-lakax̂ale-lakaĝix|-lakaĝixaleE: -lakaĝin|-lakaĝinale
A: -lakaĝis|-lakaĝisale


5. 3. 파생

알류트어에는 파생 접미사가 570개 있지만, 그중 약 3분의 2는 소수의 단어에서만 발견된다. 더 일반적인 접미사는 약 175개이며, 이는 에스키모어족보다 상당히 적다.

접미사는 명사형 또는 동사형일 수 있으며, 명사나 동사에서 파생된 명사, 동사, 명사에서 파생된 동사, 또는 명사구에서 파생된 것을 생성한다. 많은 어근은 명사나 동사 중 하나이거나, 심지어 일부 파생어는 모호한 의미를 갖기도 한다.

알류트어에서는 품사 구분이 어려워 명사와 동사의 품사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 동사 어근은 동사 술어로 사용될 수 있고, 종종 명사로도 사용된다. 명사의 동사적 용법 또한 매우 일반적이다.

파생 접미사는 최대 약 6개의 구성 요소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일부는 함께 합성어를 형성한다. 연쇄에서 각 연속적인 접미사는 종종 앞선 문자열을 수정한다.

대부분의 파생어는 해당 접미사 없이도 나타나는 단일 어근을 갖는다. 일부 어근은 특정 파생 접미사와 함께만 나타나는 결합 어근이다. 예를 들어, '겁주다, 놀라게 하다',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무서운, 무시무시한'과 같이 나타난다.

6. 어순

알류트어의 전형적인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SOV)이다.[1]

간단한 문장에는 주어가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술어는 보어가 없는 동사, 연결 동사가 있는 술어 명사 또는 절대격의 앞에 오는 직접 목적어와/또는 사격어 또는 장소 보어가 있는 동사일 수 있다.[1]

의 수는 동사 파생 접미사에 의해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절의 항은 명시적으로 지정되거나 지시적일 수 있다.[1]

간단한 문장 또는 종결절의 동사는 절대격의 명사 주어 또는 1인칭/2인칭 주어 표지가 있을 수 있다. 맥락에서 알 수 있듯이 명사 주어가 생략되면 동사는 주어에 대한 지시적 참조를 의미한다.[1]

tayaĝu-x̂ awa-ku-x̂|man-SG.ABS work-PRES-SG.|그 남자는 일하고 있다ale[1]

동사는 에 따라 활용되며, 종결 동사인 경우 인칭과 수에 따라 활용된다. 문장의 모든 명사적 참여자가 명시적인 경우 인칭/수 어미는 동사의 주어와 일치한다.[1]

Piitra-x̂ tayaĝu-x̂ kidu-ku-x̂.|Peter-SG.ABS man-SG.ABS help-PRES-3SG|'피터는 그 남자를 돕고 있다.'ale[1]

맥락에서 알 수 있듯이 3인칭 보어 또는 그 하위 부분이 생략되면 최종 동사에 지시적인 접미사 참조가 있고 명사 주어는 관계격에 있다.[1]

Piitra-m kidu-ku-u.|Peter-SG.REL help-PRES-3SG.ANA|'피터는 그를 돕고 있다.'ale[1]

하나 이상의 정보가 생략되면 동사는 문법적 수가 가장 큰 요소에 일치한다. 이것은 모호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1]

kidu-ku-ngis|help-PRES-PL.ANA|'그/그녀는 그들을 도왔다.' / '그들은 그/그녀/그들을 도왔다.'ale[1]

7. 연구사

에스키모-알류트족은 4,000년에서 6,000년 전 베링 육교를 통해 아시아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다. 이 시기 원시 에스키모-알류트어가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2000년경에 분화되었다. 알류트어 사용자와 관련된 문화는 4,000년 전에 이미 동부 알류샨 열도에서 나타났다는 증거가 있으며, 그 후 1,500년에 걸쳐 서쪽으로 니어 제도까지 점진적으로 확장되었다.[12] 약 1,000년 전에 또 다른 서쪽 확장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13]

18세기와 19세기에는 러시아 식민 개척자와 상인들에 의해 식민화됨에 따라 알류트어에는 많은 러시아어 차용어가 유입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기본 어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언어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17]

2021년 3월, 베링 방언의 마지막 원어민 화자인 베라 티모셴코가 캄차카 니콜스코예, 베링 섬에서 9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 현대 알류트어 표기법은 1972년 알래스카 학교 시스템의 이중 언어 프로그램을 위해 고안되었다.

알래스카와 러시아에서 발견되는 역사적인 알류트어 (키릴 문자) 알파벳은 1918년 이전의 표준 러시아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20][21][22]

동반구 사람들이 알류트어와 처음 접촉한 것은 1741년 비투스 베링의 탐험대가 알류트인들의 지명과 이름을 기록하면서였다. 알류트어가 어휘 목록 형태로 처음 기록된 것은 1778년 제임스 쿡의 항해에서 제임스 킹이 우날라스카 방언을 편찬한 단어 목록에 나타났다. 당시 러시아 무역 탐험에 대한 소식을 접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제국 과학 아카데미는 알류트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예카테리나 2세러시아 제국에서 사용되는 모든 언어에 대한 비교 사전을 편찬하는 프로젝트에서 알류트어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피터 사이먼 팔라스를 고용했다. 1791년부터 1792년까지의 탐험에서 카를 하인리히 메르크와 미하일 로벡은 여러 단어 목록을 수집하고 세례 전 알류트 이름을 포함한 남성 인구 조사를 실시했다. 탐험가 유리 페오도로비치 리시안스키는 1804년과 1805년에 여러 단어 목록을 편찬했고, 차르의 전권 대사인 니콜라이 페트로비치 레자노프도 추가로 수집했다. 요한 크리스토프 아델룽과 요한 세베린 파터는 알류트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를 목록화한 Mithridates oder allgemeine Sprachkunde 1806–1817de을 출판했는데, 이는 예카테리나 2세의 사전 프로젝트와 유사하다.

최초의 전문 언어학자인 덴마크인 라스무스 라스크가 알류트어를 연구한 것은 1819년이었다.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살고 있는 두 명의 동부 알류트 방언 화자로부터 단어와 어형을 수집했다. 1824년에는 알류트어를 문어로 혁신시킬 인물이 등장했다. 이후 성인이 된 요안 베니아미노프는 러시아 정교회 사제로 우날라스카에 도착하여 우날라스카 알류트어를 연구했다. 그는 이 언어에 대한 정서법을 만들고(키릴 문자 사용, 로마자는 나중에 사용됨), 마태복음과 다른 여러 종교 서적을 알류트어로 번역했으며, 1846년에는 동부 알류트어 문법을 출판했다.

종교 서적들은 베니아미노프의 친구인 이반 판코프(티갈다의 수장)와 야코브 네츠베토프(아트카의 사제)의 도움을 받아 번역되었는데, 두 사람 모두 원주민 알류트어 화자였다. 네츠베토프는 아트카 알류트어 사전도 저술했다. 베니아미노프의 저서가 출판된 후 여러 종교 인물들이 알류트어 연구와 기록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는 러시아 정교회 성직자들의 선교 활동에 도움이 되었다. 이노켄티 샤야시니코프 신부는 동부 폭스 제도 방언에 많은 작업을 하여 교리문답, 4복음서와 사도행전, 그리고 "경건한 삶을 위한 간략한 규칙"이라는 제목의 알류트어 창작 작품을 번역했다.

이러한 작품들 대부분은 1860년대와 1870년대에 쓰여졌지만 1902년에 출판되었다. 라브렌티 살라마토프 신부는 교리문답과 4복음서 중 3권(마가복음, 누가복음, 요한복음)을 서부 아트카 방언으로 번역했다. 라브렌티 신부의 작품 중 마가복음은 개정된 정서법으로(1959년) 그리고 원래의 이중 언어(러시아어-알류트어) 형식으로(2007년) 아트카 섬 젊은이들을 위한 교리문답(2007년)과 함께 출판되었다. 아트카 방언 요한복음도 전자적으로 출판되었고(2008년), 누가복음(2009년)도 원래의 이중 언어 형식으로 출판되어 라브렌티 신부의 성경 번역이 완성되었다.

알류트어를 기록한 최초의 프랑스인은 알폰스 피나르로, 1871년 미국이 알래스카를 매입한 직후였다. 빅토르 앙리는 Esquisse d'une grammaire raisonnee de la langue aleoute d'apres la grammaire et le vocabulaire de Ivan Veniaminov프랑스어 (파리, 1879)라는 제목의 프랑스어-알류트어 문법을 저술했다. 1878년 미국인 루시엔 M. 터너는 단어 목록을 위해 단어 수집 작업을 시작했다. 폴란드인 베네딕트 디보프스키는 1881년에 코만도르 제도 방언에서 단어 목록을 수집하기 시작했고, 러시아 의사인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슬류닌은 1892년에 같은 일을 했다.

1909년부터 1910년까지 민족학자 발데마르 요켈손은 우날라스카, 아트카, 아투, 니콜스키의 알류트 공동체를 방문하여 19개월 동안 현지 조사를 실시했다. 요켈손은 두 명의 우날라스카 화자인 알렉세이 야흐메네프와 레온티 시브초프의 도움을 받아 민족지 자료를 수집했다. 그는 많은 알류트 이야기, 민속, 신화를 기록했을 뿐만 아니라 이를 음성으로 녹음하기도 했다. 요켈손은 그곳에서 많은 어휘와 문법을 발견하여 알류트어에 대한 과학적 지식에 기여했다.

1930년대에는 두 명의 알류트 원주민이 알류트어를 문학 언어로 사용하는 데 있어 획기적인 작품들을 기록했다. 아피노겐 K. 에르멜로프는 그의 모국어로 난파에 대한 문학적 기록을 남겼고, 아르델리온 G. 에르멜로프는 그 10년 동안 알류트어로 일기를 썼다. 동시에 언어학자 멜빌 제이콥스는 당시 입원 중이던 아트카 화자 세르게이 골리로부터 여러 새로운 텍스트를 얻었다.

존 P. 해링턴은 1941년 세인트폴 섬에서 프릴빌로프 섬 방언에 대한 연구를 더욱 발전시켜 새로운 어휘를 수집했다. 1944년 미국 내무부는 제2차 세계 대전 병사들이 알류트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 노력의 일환으로 "알류트어"를 출판했다. 이 영어 프로젝트는 베니아미노프의 연구를 기반으로 했다.

1950년 크누트 베르그슬란드는 알류트어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시작했는데, 이는 아마도 지금까지 가장 엄격한 연구일 것이며, 1994년 완전한 알류트어 사전과 1997년 기술 문법의 출판으로 절정에 달했다. 베르그슬란드의 연구는 아트카 언어학자 모세 디르크스를 비롯한 핵심 알류트 협력자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다.

마이클 E. 크라우스, 제프 리어, 마이클 포테스큐, 제롤드 사독은 알류트어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앨리스 태프는 1970년대부터 알류트어를 연구해왔다.

안나 베르게는 알류트어를 연구한다. 베르게의 연구에는 알류트 담화 구조와 형태 구문론, 그리고 모세 디르크스와 공동 집필한 아트카 방언의 회화 문법을 포함한 알류트어 교재가 포함된다.

베링 섬 방언과 메드니 알류트어는 소련과 러시아 언어학자들에 의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었다. , , . 사전[23]과 종합적인 문법[25]이 출판되었다.

2005년, 북미 전성인 정교회 교구는 1840년부터 1940년까지의 모든 역사적인 알류트어 텍스트를 재발행하기 시작했다. 알래스카 러시아 정교회 교구의 폴 머큐리프 사제(원래 프릴빌로프 출신)와 알래스카 주립 도서관 역사 자료실은 언어 능력을 복원 작업에 기꺼이 기여했다. 역사적인 알류트어 텍스트는 교구의 알류트어 도서관에서 볼 수 있다.[26]

8. 언어 활성화 노력

알류트어 활성화 노력은 최근에 시작되었으며, 대부분 알류트인들 스스로 주도하고 있다. 언어 보존의 첫 번째 증거는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이 남긴 서면 자료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 사건들과 요인들이 작용하면서 알류트어가 설 자리를 잃게 되자, 언어가 더 이상 생존하려면 행동이 필요하게 되었다. 언어학 전문가들은 남아 있는 화자들로부터 언어를 기록하고 문서화하기 위해 알류트 공동체에 다가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알류트어로 된 100시간 분량의 대화와 함께 그에 대한 전사 및 번역본을 담은 컴팩트 디스크 또는 DVD"로 이어지고 있다.[27] 알류트어가 멸종될 경우, 이러한 기록은 언어학자들과 알류샨인들의 후손들이 가능한 한 많은 언어 지식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알류트어를 구하기 위한 이러한 노력은 알류샨/프리빌로프 제도 언어 활성화 태스크포스와 같은 대학교와 지역 공동체 단체들의 후원을 받고 있지만, 알류트인들과 정부의 관계는 매우 제한적이다. 캘리포니아 원주민 언어와 마찬가지로 알래스카 원주민 언어들 또한 미국 정부로부터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다. 언어학자들이 언어를 기록하고 문서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현지 알류샨 공동체 단체들은 언어학자들을 돕고 알류트 인구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자신들의 언어와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28]

Memrise에는 "Unangam Qilinĝingin"이라는 알류트어 강좌가 있다.[29]

참조

[1] 웹사이트 How Many Speakers are There of Each Alaska Native Language? https://www.commerce[...]
[2] 웹사이트 Alaska State Legislature http://www.akleg.gov[...]
[3] 논문 (정보 부족) 1994
[4] 논문 (정보 부족) 1997
[5] 웹사이트 Unangam Tunuu (The Aleut Language) Preservation https://web.archive.[...] Aleutian Pribilof Islands Association 2013-03-16
[6] 웹사이트 Aleut https://web.archive.[...]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2013-03-16
[7] 웹사이트 Alaska Native Languages: Population and Speaker Statistics https://web.archive.[...]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2018-01-23
[8]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018-01-23
[9] 웹사이트 Aleut https://www.ethnolog[...] 2018-01-23
[10] 웹사이트 Sealaska Heritage Institute: Alaska Native Language Programs, January 2012 http://www.akleg.gov[...] The Alaska State Legislature 2018-01-23
[11]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Linguistics http://linguistics.o[...] 2016-06
[12] 서적 The people at the end of the world: The Western Aleutians project and the archaeology of Shemya Island Aurora 2010
[13] 논문 Eskimo and Aleut languages 1984
[14] 논문 Archaeology in the Aleut zone of Alaska, some recent research 2001
[15] 논문 Evidence for a Northwest Coast language area: Promiscuous number marking and periphrastic possessive constructions in Haida, Eyak, and Aleut 1991
[16] 논문 Origins of linguistic diversity in the Aleutian Islands 2010
[17] 서적 Observations on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Eskimo cognates and non-cognates in the basic Aleut (Unangam Tunuu) lexicon [poster] 2014
[18] 뉴스 Last Native Speaker Of Rare Dialect Dies In Russia https://www.rferl.or[...] 2021-03-09
[19] 논문 Phonetic Structures of Aleut 2001
[20] 서적 Опытъ Грамматики Алеутско-Лисьевскаго языка (Grammatical Outline of the Fox Island (Eastern) Aleut Language) https://books.google[...] Russian Imperial Academy of Sciences 1846
[21] 서적 Начатки Христіанскаго Ученія – Букварь (Beginnings of Christian Teaching – Primer) https://books.google[...] Synodal Typography 1893
[22] 서적 Алеутскій Букварь (Aleut Primer) https://books.google[...] Synodal Typography 1893
[23] 서적 Словарь алеутско-русский и русско-алеутский (беринговский диалект) Отд-ние изд-ва "Просвещение" 1994
[24] 웹사이트 Aleut case matters https://home.uchicag[...] 2023-03-23
[25] 서적 Язык командорских алеутов: диалект острова Беринга Наука 2009
[26] 웹사이트 Alaskan Orthodox texts (Aleut, Alutiiq, Tlingit, Yup'ik) https://web.archive.[...] 2005-07-07
[27] 웹사이트 Saving Aleut: Linguist begins new effort to preserve native Alaskan language http://www.washingto[...]
[28] 웹사이트 Alaska Natives Loss of Social & Cultural Integrity http://www.alaskool.[...]
[29] 서적 Digital initiatives for indigenous languages https://unesdoc.unes[...] 2023
[30] 웹사이트 (정보 부족) http://www.census.go[...]
[31] 문서 アリュートル人(Alyutors)とは異なる。
[32] 서적 (정보 부족)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