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지크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지크어는 중앙아시아에서 사용되는 페르시아어의 방언으로, 타지키스탄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에서도 사용된다. 신페르시아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지만 아랍 문자와 라틴 문자도 사용되었다. 타지크어는 페르시아어와 유사하지만,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어휘가 많고, 고유한 문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르크메니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투르크메니스탄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우즈베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타지크어
지도
언어 정보
언어 이름타지크어
고유 이름тоҷикӣ, форсии тоҷикӣ
로마자 표기Tojikī, Forsii Tojikī
발음[zæˈbɒːni tɒːd͡ʒiˈkiː], [fɔɾˈsijɪ tʰɔdʒɪˈkʰi]
사용 지역중앙아시아
사용 국가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사용자 수약 996만 명 (모든 국가, 2020년 기준), 타지키스탄 내 약 799만 명 (2020년 기준)
공용 국가타지키스탄
소수 언어 사용 국가우즈베키스탄
러시아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서이란어군
서남이란어군
페르시아어
문자 체계키릴 문자 (타지크 문자)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페르시아 문자)
라틴 문자 (야날리프 기반)
히브리 문자 (부하라 유대인)
타지크어 점자
언어 기관루다키 언어문학 연구소
ISO 639-1tg
ISO 639-2tgk
ISO 639-3tgk
Glottologtaji1245
방언부하라어 (유대-타지크 방언)
다른 이름타지크 페르시아어
민족 정보
사용자 민족타지크족 (타지키스탄 내 약 801만 명, 2020년 기준)
기타 정보
중국의 타지크어중국에서 "타지크어"로 총칭되는 사리콜어, 와한어 등

2. 역사

페르시아어는 9세기 사마니드 왕조 시대에 아랍어를 대체하여 중앙아시아의 궁정어로 부상했다. 사마니드 왕조는 부하라, 사마르칸트, 헤라트 등의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신페르시아어는 수 세기 동안 중앙아시아의 공용어였지만, 투르크계 민족이 이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차가타이어에 자리를 내주었다. 16세기 이후 타지크어는 투르크어의 압력을 받았다. 투르크메니스탄메르브 등지에서 사용되던 타지크어는 오늘날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 러시아 제국페르가나와 사마르칸트의 타지크족에게 투르크화를 시행하여 우즈베크어로 대체했다.[47] 그럼에도 타지크어는 사마르칸트, 부하라, 수르한다리야주 등 오늘날 타지키스탄의 많은 지역에서 계속 사용되었다.

러시아 제국의 투르키스탄 총독부 지배하에 중앙아시아의 페르시아어권에서는 타지크인에 대한 투르크화가 추진되어 많은 타지크인이 우즈베크어도 사용하게 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 성립 후에도 이러한 투르크화는 계속되었다.

2. 1. 페르시아어와의 관계

타지크어라는 명칭은 1920년대 소련 내부에서 페르시아어 방언을 사용하는 타지크인들의 언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아프가니스탄의 타지크인들이 사용하는 페르시아어 방언은 다리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비록 표기 문자는 달라졌어도, 이란의 페르시아어와 아프가니스탄의 다리어 화자들과 여전히 상호 이해가 가능한 상태이다.[47]

많은 학자들에 따르면, 신페르시아어(이후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에서 사용되는 페르시아어의 여러 형태로 발전)는 오늘날 아프가니스탄, 이란,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의 일부 지역에 해당하는 트란스옥시아나와 호라산에서 발전했다. 신페르시아어는 주로 중세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했지만, 소그드어와 같은 고대 중앙아시아의 다른 이란어의 상당한 요소들도 포함하고 있다.

원래 중앙아시아에 살던 타지크(타지크어)라고 불리는 페르시아어를 사용하는 이란계 사람들이 사용하던 방언의 일종이었다. “타지크”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10세기 이후 투르크계 여러 정권이 중앙아시아와 이란에서 대두하자, 투르크계에 대하여 “페르시아어를 읽고 쓸 줄 아는(무슬림계의) 사람들”이라는 의미로 “타지크”라는 단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문어 자체는 근세 페르시아어였으며, 이란, 아프가니스탄 등 페르시아어 문화를 공유하고 있었다.

7세기 아랍 정복 시대부터 시작된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에 의한 중앙아시아 정복의 결과, 옛 사산 왕조계 페르시아인의 후손들은 아랍 여러 부족의 이주와 함께 소그디아나 등 중앙아시아 각지에 이주했다. 아바스 왕조 칼리프 마아문 시대에 마아문의 쿠데타에 협력한 사산 왕조 귀족의 후손으로 여겨지는 사마니 가문 사람들은 칼리프 정권으로부터 호라산, 중앙아시아 각지의 지배를 위임받았고, 마침내 875년 아바스 왕조 제15대 칼리프 무타미드로부터 마와라안나흐르 전역의 지배권을 다시 부여받아 사마니 왕조를 열었다. 그들은 아랍어 어휘와 문자를 사용하여 사산 왕조 시대의 페르시아어인 파흘라위어(중세 페르시아어)와는 다른 독자적인 “현대적인” 페르시아어를 확립하는 데 힘썼다. 특히 부하라 등의 궁정에서는 시문이나 연대기 등의 창작을 통해 이러한 새로운 페르시아어에 의한 최초의 문예 부흥이 이루어졌다. 9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아라비아 문자로 쓰여진 아랍어 차용어를 많이 사용한 페르시아어를 특히 근세 페르시아어라고 부른다. 이후 중앙아시아는 투르크·몽골계 여러 정권의 지배를 받았지만, 근세 페르시아어 문예는 그러한 여러 정권의 보호 아래 번영했고, 근대에 이르기까지 중앙아시아(마와라안나흐르)는 호라산이나 이란 중부, 파르스 지방과 함께 근세 페르시아어 문예의 중심지 중 하나로 남아 있었다. 이 근세 페르시아어의 발상지는 바로 현재 타지크어 등이 사용되는 중앙아시아이다.

오늘날 “페르시아어”라고 하면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근세·현대 페르시아어를 가리키지만, 타지크어는 중앙아시아에서 근세 페르시아어를 모체로 하는 언어이다.

2. 2. 소련 시대

타지크어라는 명칭은 1920년대 소련 내부에서 페르시아어 방언을 사용하는 타지크인들의 언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원래 타지크어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지만, 1928년 소련 정부에 의해 로마자 표기 방법이 제정되었다. 1939년 이후에는 로마자 대신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게 되었다.[47]

1929년 소비에트 연방 내에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설립되면서 타지크어는 러시아어와 함께 공화국의 공용어가 되어 그 지위가 보장되는 듯 했다. 그러나 상당수의 타지크어 사용자들은 공화국 국경 밖, 주로 이웃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남아 있었고, 이는 타지크족과 우즈베크족 사이에 긴장의 원인이 되었다. 사마르칸트부하라는 타지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가짐에도 초기 타지크 SSR에 포함되지 않았다. 타지크 SSR이 설립된 후, 우즈베크 SSR 출신의 많은 타지크족이 특히 수도 두샨베 지역으로 이주하여 공화국의 정치, 문화, 경제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소비에트 연방에서는 정치적인 의도로 타지크어를 이란 등의 페르시아어와는 별개의 독립된 언어라고 주장했지만, 원래는 근세 페르시아어(فارسی)의 중앙아시아 방언에 해당한다. 또한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러시아어화가 진행되었다.

2. 3. 독립 이후

1929년 소비에트 연방 내에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설립되면서, 타지크어는 러시아어와 함께 공화국의 공용어가 되어 그 지위를 보장받았다.[47] 그러나 상당수의 타지크어 사용자들은 주로 이웃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남아 있었고, 이는 타지크족과 우즈베크족 사이에 긴장을 유발했다. 사마르칸트부하라는 타지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곳임에도 초기 타지크 SSR에 포함되지 않았다. 타지크 SSR 설립 후, 우즈베크 SSR 출신의 많은 타지크족이 특히 수도 두샨베 지역으로 이주하여 공화국의 정치, 문화, 경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즈베크 SSR 출신 타지크족 이민자들의 유입은 문학 타지크어가 두샨베 지역과 인근 지역 원주민들이 사용하는 중앙 방언이 아닌, 그들의 북서부 방언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사실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1991년 소련 붕괴와 타지키스탄 독립 이후, 타지키스탄 정부는 공공 및 사생활 모든 영역에서 타지크어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타지크어는 한때 러시아화되었던 상류층 사이에서 영향력을 얻고 있으며, 국가 인구 대다수의 구어로서의 역할을 계속하고 있다. 타지크어 출판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소련 시대 수십 년간의 고립 이후 이란아프가니스탄 미디어와의 접촉이 증가하고, 정부의 언어 "페르시아화" 방향은 타지크어와 다른 페르시아 방언들을 더욱 가깝게 만들었다.

3. 명칭

타지크어라는 명칭은 1920년대 소련 내부에서 페르시아어 방언을 사용하는 타지크인들의 언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처음 등장하였다.[14] 아프가니스탄의 타지크인들이 사용하는 페르시아어 방언은 다리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19세기까지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의 화자들은 이 언어를 위한 별도의 명칭이 없었고, 단순히 페르시아어의 자칭인 '파르시(Farsi)'를 사용한다고 여겼다. '타지크(Tajik)'라는 용어는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했지만, 화자들 자신에 의해 채택되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그 명칭은 러시아어 표기인 '타지크(Tadzhik)'로 표기되었다.[15]

1989년, 타지크 민족주의의 성장과 함께, 타지크어를 국어(국가어)로 선포하고 러시아어를 공용어(전 소련에서와 같이)로 하는 법이 제정되었다.[16] 또한, 이 법은 타지크어를 페르시아어와 공식적으로 동일시하여, 페르시아어의 자칭인 '파르시(Farsi)'를 타지크어 다음에 배치했다. 이 법은 또한 페르소-아랍 알파벳의 점진적인 재도입을 촉구했다.[17][18][19]

1999년, '파르시(Farsi)'라는 단어는 국어법에서 삭제되었다.[20]

4. 사용 지역 및 인구

타지키스탄의 총인구 80% 가량이 타지크어를 모국어로 사용한다.[29] 고르노바다흐샨 자치주 일부 지역은 파미르어가 대부분 주민들의 모국어이며, 타지크어는 주로 제2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야그노비인 역시 타지크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31만), 키르기스스탄(1만 5,000), 이란, 아프가니스탄, 카자흐스탄, 러시아에 사는 타지크족과 부하라, 사마르칸트 등의 도시에 사는 우즈베크인도 타지크어를 사용한다. 중앙아시아의 두 주요 도시인 사마르칸트와 부하라는 현재 우즈베키스탄에 위치하지만, 타지크어 사용자가 많다.[21][22] 오늘날 부하라의 거의 모든 타지크어 사용자는 타지크어와 우즈베크어를 모두 사용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 이러한 타지크어-우즈베크어 이중 언어 사용은 부하라 타지크어의 음운론, 형태론, 구문론에 큰 영향을 미쳤다.[23]

타지크인들은 우즈베키스탄 남부의 수르한다리야주와 타지키스탄과의 동부 국경을 따라 대규모로 거주한다. 사마르칸트와 부하라에서는 여전히 대다수의 인구가 타지크어를 사용하지만, 표준 문어와는 상당히 다르다.[24] 우즈베키스탄의 공식 통계에 따르면 타지크인 공동체는 국가 전체 인구의 5%를 차지한다.[25] 그러나 여러 가지 이유로 인구 조사 양식에서 자신을 우즈베크인으로 신고한 타지크계 사람들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26] 소련 시대에는 우즈베크 공산당 수장인 샤로프 라시도프가 감독한 "우즈베키스탄화" 정책으로 인해 타지크인들은 우즈베키스탄에 남아 여권에 우즈베크인으로 등록하거나, 개발이 덜 된 타지키스탄의 농촌과 산악 지대로 이주해야 했다.[27]

타지키스탄에서는 타지크인이 인구의 80%를 차지하며, 대부분의 지역에서 타지크어가 우세하다. 타지키스탄 남동부 고르노-바다흐샨의 일부 타지크인들은 파미르어가 대부분 주민의 모국어인 곳에서 이중 언어 사용자이다. 타지크인은 아프가니스탄 북부에서도 주요 민족 집단이며, 특히 카불, 마자르이샤리프, 쿤두즈, 가즈니, 헤라트와 같은 도시 지역을 포함하여 전국 다른 곳의 산재된 지역에서도 다수 집단이다. 타지크인은 아프가니스탄 전체 인구의 25%에서 35%를 차지한다. 아프가니스탄에서 타지크계 사람들이 사용하는 방언은 다리어라고 불리며, 아프가니스탄 시민의 약 48%-58%가 다리어의 원어민이다.[29]

최근 몇 년 동안 중앙아시아를 괴롭혀 온 불안정으로 인해 타지크계 사람들이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에 상당수 거주하는 대규모 타지크계 디아스포라가 존재한다. 이 타지크계 디아스포라는 타지키스탄의 열악한 경제 상황의 결과이기도 하며, 매년 약 100만 명의 남성이 러시아로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타지키스탄을 떠난다.[30]

5. 방언

타지크어 방언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31]


  • 북부 방언: 타지키스탄 북부, 부하라, 사마르칸트, 키르기스스탄, 두샨베의 바르조브 계곡 지역에서 사용된다.
  • 중부 방언: 자라프샨 계곡 상류 지역에서 사용된다.
  • 남부 방언: 두샨베 남동부, 쿨롭, 라슈트 지역에서 사용된다. 정치인과 공무원들이 연설에 사용하며 방송에서도 사용된다.
  • 남동부 방언: 다르바즈 지역과 아무다리야 강 근처 루숀 지역에서 사용된다.


현대 타지크어, 특히 구어의 발달에서 중요한 점은 방언적 지향의 변화 경향이다. 타지키스탄 북부 방언이 현재 표준 타지크어의 기초가 된 반면, 남부 방언은 그렇지 못했다.[32]

5. 1. 북부 방언

타지키스탄 북부, 부하라, 사마르칸트, 키르기스스탄, 두샨베의 바르조브 계곡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31] 부호리 방언은 중앙아시아의 부하라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방언으로, 북부 방언 그룹에 속한다. 주로 히브리어 용어, 특히 종교 어휘와 히브리 문자의 역사적 사용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부호리 방언은 다른 타지크어 화자, 특히 북부 방언 화자들에게 쉽게 이해 가능하다.[31]

5. 2. 중부 방언

자라프샨 계곡 상류의 방언이다.[31]

5. 3. 남부 방언

두샨베 남동부, 쿨롭, 라슈트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31] 남부 방언은 현재 모든 정치인과 공무원들이 연설에 사용하며, 방송에서도 사용된다.[32]

5. 4. 남동부 방언

다르바즈 지역과 아무다리야 강 근처 루숀 지역의 방언이다.[31]

5. 5. 부호리 방언

중앙아시아의 부하라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방언은 부호리 방언으로 알려져 있으며, 타지크어의 북부 방언 그룹에 속한다.[31] 부호리 방언은 주로 히브리어 용어, 특히 종교 어휘와 히브리 문자의 역사적 사용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부호리 방언은 다른 타지크어 화자, 특히 북부 방언 화자들에게 쉽게 이해 가능하다.

6. 음운

타지크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 자음, 그리고 강세로 구성된다.

표준 타지크어에는 6개의 모음과 24개의 자음이 있으며, 이들은 각각 독특한 소리의 특징을 가진다. 특히, 자음 중 16개는 유성음과 무성음 쌍을 이루어 발음상 대립을 보인다.[33] 모음과 자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강세는 단어의 의미를 구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동사에서는 첫 음절에, 명사에서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33] 그러나 "예"를 뜻하는 бале|발레tg나 "왜냐하면"을 뜻하는 зеро|제로tg와 같이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6. 1. 모음

아래 표는 표준 문어 타지크어의 6개 모음 음소를 나열한 것이다. 먼저 타지크 키릴 문자를, 그 다음 IPA 표기를 제시한다. 지역 방언에는 아래에서 볼 수 있는 6개보다 더 많은 모음이 자주 나타난다.



북부와 우즈베크 방언에서는 고전적인 가 구강 내에서 앞으로 사슬 이동하여 가 되었다. 중부와 남부 방언에서는 고전적인 가 위쪽으로 사슬 이동하여 와 합쳐졌다.[34] 자라프샨 방언에서는 이전의 가 또는 로 이동했지만, 이전의 에서 유래한 는 남아있는데, 이는 야그노비어의 영향 때문일 수 있다.[35]

개방 후설 모음은 다양하게 중간 후설 [36][37], [38], [5], [39]로 묘사되어 왔다. 이는 표준 페르시아어의 'â'(긴 'a')와 유사하다. 그러나 표준적으로는 후설 모음이 아니다.[40]

모음 ⟨Ӣ ӣ⟩는 일반적으로 단어 끝에서 강세를 받는 /i/를 나타낸다. 그러나 2인칭 단수 접미사 -ӣ가 무강세로 남아 있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모든 ⟨Ӣ ӣ⟩가 강세를 받는 것은 아니다.

/i/, /u/, /a/ 모음은 무강세 음절에서 [ə]로 축약될 수 있다.

6. 2. 자음

타지크어는 24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16개는 유성/무성 대립쌍을 이룬다: [б/п] [в/ф] [д/т] [з/с] [ж/ш] [ҷ/ч] [г/к] [ғ/х].[33]

표준 문어 타지크어의 자음 음소는 아래 표와 같다. 타지크 키릴 문자가 먼저 제시되고, 그 뒤에 IPA 표기가 따른다.



적어도 부하라 방언에서는 ⟨Ч ч⟩와 ⟨Ҷ ҷ⟩가 각각 와 로 발음되고, ⟨Ш ш⟩와 ⟨Ж ж⟩도 와 로 발음된다.[41]


6. 3. 강세

어휘 강세는 일반적으로 동사의 활용형에서는 첫 음절에, 명사 및 명사와 유사한 단어에서는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33] "예"를 뜻하는 бале|발레tg나 "왜냐하면"을 뜻하는 зеро|제로tg와 같은 부사는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놓이지 않는다. 첨가어나 직접목적어 표지에도 강세가 놓이지 않는다.

7. 문자

타지크어는 1920년대 소련 내부에서 페르시아어 방언을 사용하는 타지크인들의 언어를 가리키는 명칭으로 처음 등장하였다. 원래는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지만, 1928년 소련 정부에 의해 로마자 표기 방법이 제정되었다. 1939년 이후에는 로마자 대신 키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게 되었다.[45]

구 소련 지역에서는 1928년까지 아랍 문자를, 1928년부터 1940년까지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였고, 1940년부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반면 구 소련 밖에서는 지금도 아랍 문자를 쓰고 있다. 이란페르시아어에서는 볼 수 없는 단어가 있고, 러시아어에서 온 차용어가 많다.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1939년에 라틴 문자가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다.[45] 타지크 알파벳은 키릴 문자 목록에 6개의 문자를 추가했으며, 이 추가 문자들은 타지크 정서법에서 구분 기호를 사용하여 구별된다.[46]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1929년 문장. 페르시아-아랍 문자로 쓰여진 타지크어:


타지크 문자
키릴 문자라틴 문자IPA
А аA a
Б бB b
В вV v
Г гG g
Ғ ғƢ ƣ
Д дD d
Е еJe je, E e,
Ё ёJo jo
Ж жƵ ƶ
З зZ z
И иI i
Ӣ ӣī
Й йJ j
К кK k
Қ қQ q
Л лL l
М мM m
Н нN n
О оO o
П пP p
Р рR r
С сS s
Т тT t
У уU u
Ӯ ӯŪ ū
Ф фF f
Х хX x
Ҳ ҳH h
Ч чC c
Ҷ ҷÇ ç
Ш шŞ ş
Ъ ъ'
Э эE e
Ю юJu ju
Я яJa ja


8. 문법

타지크어 문법은 타지크어 문법 문서를 참고하라. 타지크 페르시아어 문법은 고전 페르시아어 문법(그리고 이란 페르시아어와 같은 현대 방언의 문법)과 유사하다.[42] 고전 페르시아어 문법과 타지크 페르시아어 문법의 가장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각 언어의 현재 진행 시제 구성이다.

타지크어에서 현재 진행형은 동사 истодан, ''istodan'', '서다'에서 유래한 현재 진행형 분사와 동사 -acт, ''-ast'', '이다'의 클리틱 형태로 구성된다.[5]

Ман мактуб навишта истода-ам|Man maktub navišta istoda-am|나는 편지 쓰고 있다tg

: '나는 편지를 쓰고 있다.'

이란 페르시아어에서 현재 진행형은 동사 دار, ''dār'', '가지다' 다음에 단순 현재 시제, 습관적 과거 시제 또는 습관적 과거 완료 시제로 활용된 동사가 오는 형태로 구성된다.[43]

من دارم کار می‌کنم|man dār-am kār mi:-kon-am|나는 일 하고 있다fa

: '나는 일하고 있다.'

타지크어 명사는 성 표지가 없지만, 수 표지는 있다. 타지크어에는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가 있다. 복수는 접미사 ҳо|호tg 또는 он|온tg (문맥에 따른 변형으로 ён|욘tg과 гон|곤tg)을 사용하여 표시하지만, 아랍어 차용어는 아랍어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정관사는 없지만, 부정관사는 숫자 "하나"인 як|야크tg와 е|에tg의 형태로 존재하며, 전자는 명사 앞에, 후자는 명사에 접미사로 붙는다. 명사가 목적어로 사용될 때는 접미사 ро|로tg가 붙는다. 예를 들어, Рустамро задам|루스탐로 자담tg (나는 루스탐을 때렸다)와 같이 사용된다. 이 목적격 접미사는 복수 접미사 뒤에 추가된다. ро|로tg 형태는 문어체 또는 형식적인 표현일 수 있다. 페르시아어의 오래된 형태에서는 ро|로tg가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 모두를 나타낼 수 있었고, 현대 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에서 사용되는 일부 구문은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간접 목적어에 이 접미사를 유지하고 있다: Худоро шукр|후도로 슈크르tg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현대 페르시아어는 명사에 목적격 표지를 접미사로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인 형태소로 사용한다.[33]

타지크어의 간단한 전치사
타지크어한국어
аз|aztg~에서, ~을 통해, ~을 가로질러
ба|batg~에, ~에게
бар|bartg~위에, ~에
бе|betg~없이
бо|botg~와 함께
дар|dartg~에, ~에서
то|totg~까지
чун|čuntg~처럼, ~으로서


8. 1. 어순

타지크 페르시아어의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이다. 타지크 페르시아어 문법은 고전 페르시아어 문법(그리고 이란 페르시아어와 같은 현대 방언의 문법)과 유사하다.[42] 고전 페르시아어 문법과 타지크 페르시아어 문법의 가장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각 언어의 현재 진행 시제 구성이다. 타지크어에서 현재 진행형은 동사 истодан, ''istodan'', '서다'에서 유래한 현재 진행형 분사와 동사 -acт, ''-ast'', '이다'의 클리틱 형태로 구성된다.[5]

: 나는 편지 쓰고 있다

: '나는 편지를 쓰고 있다.'

이란 페르시아어에서 현재 진행형은 동사 دار, ''dār'', '가지다' 다음에 단순 현재 시제, 습관적 과거 시제 또는 습관적 과거 완료 시제로 활용된 동사가 오는 형태로 구성된다.[43]

: 나는 일 하고 있다

: '나는 일하고 있다.'

8. 2. 명사

타지크어 명사는 성 표지가 없지만, 수 표지는 있다.

타지크어에는 단수와 복수의 두 가지 수가 있다. 복수는 접미사 ҳо|호tg 또는 он|온tg (문맥에 따른 변형으로 ён|욘tg과 гон|곤tg)을 사용하여 표시하지만, 아랍어 차용어는 아랍어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정관사는 없지만, 부정관사는 숫자 "하나"인 як|야크tg와 е|에tg의 형태로 존재하며, 전자는 명사 앞에, 후자는 명사에 접미사로 붙는다. 명사가 목적어로 사용될 때는 접미사 ро|로tg가 붙는다. 예를 들어, Рустамро задам|루스탐로 자담tg (나는 루스탐을 때렸다)와 같이 사용된다. 이 목적격 접미사는 복수 접미사 뒤에 추가된다. ро|로tg 형태는 문어체 또는 형식적인 표현일 수 있다. 페르시아어의 오래된 형태에서는 ро|로tg가 직접 목적어와 간접 목적어 모두를 나타낼 수 있었고, 현대 페르시아어와 타지크어에서 사용되는 일부 구문은 다음 예에서 볼 수 있듯이 간접 목적어에 이 접미사를 유지하고 있다: Худоро шукр|후도로 슈크르tg (하느님께 감사드립니다). 현대 페르시아어는 명사에 목적격 표지를 접미사로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인 형태소로 사용한다.[33]

8. 3. 전치사

타지크어의 간단한 전치사
타지크어한국어
аз|aztg~에서, ~을 통해, ~을 가로질러
ба|batg~에, ~에게
бар|bartg~위에, ~에
бе|betg~없이
бо|botg~와 함께
дар|dartg~에, ~에서
то|totg~까지
чун|čuntg~처럼, ~으로서


9. 어휘

타지크어는 이란의 페르시아어에는 없는 단어를 가지고 있으며, 러시아어에서 온 차용어가 많다.[44] 키릴 문자를 사용하지만, 아랍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타지크어는 어휘가 보수적이어서 이란과 아프가니스탄에서 오래전에 사용되지 않게 된 많은 용어들을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арзиз|arziz|주석(원소)tg, фарбеҳ|farbeh|뚱뚱한tg이 있다.

타지크어의 현대 차용어는 대부분 소비에트 연방 내 타지키스탄의 위치 때문에 러시아어에서 유래한다.[44] 이러한 러시아어 차용어는 대부분 사회경제, 기술, 정부 분야를 통해 타지크어로 유입되었으며, 해당 분야의 개념과 어휘 대부분이 러시아어에서 차용되었다. 러시아어 차용어 도입은 주로 소련의 근대화 정책과 공산주의 국가 달성을 위한 모든 언어의 러시아어 종속이라는 필요성에 따라 정당화되었다.[44] 어휘는 지리적으로 가까운 우즈베크어와, 이슬람 국가에서 일반적인 것처럼 아랍어에서도 유래한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사용되지 않게 된 구어 또는 신조어(이란 페르시아어 포함)를 사용하여 차용어를 토착어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гармкунак|garmkunak|히터tg 및 чангкашак|čangkašak|진공 청소기tg와 같은 현대 용품에 대한 신조어 중 많은 수가 아프가니스탄과 이란의 동등어와 다르며, 이는 타지크어와 다른 형태의 페르시아어 간의 상호 이해에 어려움을 더한다.

아래는 타지크어와 다른 이란계 언어 및 인도유럽어족 언어의 어휘를 비교한 표이다.

타지크어페르시아어파슈토어쿠르드어(쿠르만지)소라니어영어아르메니아어산스크리트어러시아어
моҳ|mohtgماه|māh|rtl=yesfaمْیاشْت|myâsht|rtl=yespsmehkmrmangckbmonthամիս|amishyमास|māsasaмесяц|mesjacru
нав|navtgنَو|naw|rtl=yesfaنٙوَی|nəway|rtl=yespskmrnwêckbnewնոր|norhyनव|navasaновый|novyjru
модар|modartgمادَر|mādar|rtl=yesfaمور|mor|rtl=yespskmrdayikckbmotherմայր|mayrhyमातृ|mātr̥saмать|matʹru
хоҳар|xohartgخْواهَر|xāhar|rtl=yesfaخور|xor|rtl=yespsxwîşkkmrxoşkckbsisterքույր|k'uyrhyस्वसृ|svasr̥saсестра|sestraru
шаб|šabtgشَب|šab|rtl=yesfaښْپَه|shpa|rtl=yespsşevkmrşewckbnightգիշեր|gišerhyनक्त|naktasaночь|nočʹru
бинӣ|binītgبِینِی|bīnī|rtl=yesfaپوزَه|poza|rtl=yespspozkmrlûtckbnoseքիթ|kithyनास|nāsasaнос|nosru
се|setgسِه|sē|rtl=yesfaدْرې|dre|rtl=yespssisê, sêkmrckbthreeերեք|yerekhyत्रि|trisaтри|triru
сиёҳ|siyohtgسِياه|siyāh|rtl=yesfaتور|tor|rtl=yespsreşkmrreşckbblackսև|sevhyश्याम|śyāmasaчёрный|čërnyjru
сурх|surxtgسُرْخ|surx|rtl=yesfaسُور|sur|rtl=yespssorkmrsûrckbredկարմիր|karmirhyरुधिर|rudhirasaкрасный, рыжий|krasnyj, ryžijru
зард|zardtgزَرْد|zard|rtl=yesfaزْیَړ|zyaṛ|rtl=yespszerkmrzerdckbyellowդեղին|deġinhyपीत|pītasaжёлтый|žëltyjru
сабз|sabztgسَبْز|sabz|rtl=yesfaشِين، زٙرْغُون|shin, zərghun|rtl=yespskeskkmrsewzckbgreenկանաչ|kanačhyहरित|haritasaзелёный|zelënyjru
гург|gurgtgگُرْگ|gurg|rtl=yesfaلېوٙه|lewə|rtl=yespsgurkmrgurgckbwolfգայլ|gaylhyवृक|vr̥kasaволк|volkru


참조

[1] 웹사이트 Tajik http://www.ethnologu[...]
[2] 논문 1989
[3] 논문 1974
[4] 논문 1979
[5] 서적 Tajik http://ebooks.cn.com[...] UN COM GmbH 2005
[6] 논문
[7] 서적 The Rise of the New Persian Language 1975
[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ull
[9] 백과사전 Darī Brill Publications
[10] 서적 A History of the Tajiks: Iranians of the East Bloomsbury 2023
[11] 웹사이트 The status of the Russian language in Tajikistan remains unchanged – Rahmon https://ria.ru/cultu[...] RIA – RIA.ru 2009-10-22
[12] 웹사이트 В Таджикистане русскому языку вернули прежний статус http://lenta.ru/news[...] Lenta.ru null
[13] 웹사이트 LibGuides: Dari Language: Language History https://guides.libra[...] 2024-06-30
[14] 서적 Gendering Human Security in Afghanistan in a Time of Western Intervention Routledge 2017
[15] 서적 Foreign Social Science Bibliographies: Series P-92 https://books.google[...] 1965
[16] 웹사이트 Law on Languages of Nations of USSR http://legal-ussr.na[...]
[17] 서적 https://books.google[...] 2002
[18] 서적 https://books.google[...] 1996
[19] 서적 https://books.google[...] 1994
[20] 잡지 Tajik Language: Farsi or Not Farsi? http://www.cimera.or[...] 2002-08
[21] 논문 Ethno-territorial conflict and coexistence in the Caucasus, Central Asia and Fereydan. Appendix 4: Tajik population in Uzbekistan http://dare.uva.nl/d[...] University of Amsterdam 2013
[22] 서적 The Birth of Tajikistan. National Identity and the Origins of the Republic I.B. Tauris 2007
[23] 서적 Bukharan Tajik http://rutracker.org[...] LINCOM EUROPA 2007
[24] 서적 A History of the Tajiks: Iranians of the East, 2nd edition Bloomsbury Publishing 2023
[25] 웹사이트 Uzbekist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07-12-13
[26] 웹사이트 Country report on Uzbekistan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Bureau of Democracy, Human Rights, and Labor
[27] 서적 The History of the Clumsy Delimitation https://www.angelfir[...] Irfon Publ. House 1991
[28] 논문 The History of a National Catastrophe https://www.angelfir[...] Bashiri Working Papers on Central Asia and Iran 1996
[29] 웹사이트 Afghanistan v. Languages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null
[30] 웹사이트 Tajikistan's missing men | Tajikistan | al Jazeera http://www.aljazeera[...]
[31] 서적 Persian and Tajik Routledge 2009
[32] 논문 On learning the vocabulary of the Tajik language in modern times http://www.iling-ran[...] Institute of Linguistics, Russian Academy of Sciences 2014
[33] 서적 Tajiki Reference Grammar for Beginners Georgetown UP 2009
[34] 서적 A Beginners' Guide to Tajiki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35] 논문 Problem of Archaism and Innovation in the Eastern Iranian Languages (PhD dissertation) https://www.academia[...] Univerzita Karlova v Praze, filozofická fakulta 2013
[36] 논문
[37] 논문
[38] 서적 Writing Systems of the World
[39] 논문
[40] 서적 Standard Tajik phonology Mouton de Gruyter
[41] 논문 Illustrations of the IPA: Bukharan Taji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논문
[43] 서적 Persian Grammar: History and State of Its Study De Gruyter
[44] 서적 Persian Studies in North America: Studies in Honor of Mohammad Ali Jazayery Iranbooks
[45] 서적 Persian and Tajik Routledge
[46] 서적 Persian and Tajik Routledge
[47] 서적 Tajikistan: A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https://books.google[...] ANU E Press 2013-10-08
[48] 간행물 우즈베키스탄의 타지크어 인구에 대한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