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만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만시어는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동부, 서부, 남부, 북부의 4개 방언군으로 나뉘며, 방언 간의 차이가 커서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현재는 북부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만시어 문어의 기반이 된다. 만시어는 교착어이며 SOV 어순을 가진다. 명사는 6개의 격에 따라 변화하며, 동사는 시제, 법, 태에 따라 다양한 활용을 보인다. 만시어는 헝가리어와 어휘 및 문법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시인 - 세르게이 소뱌닌
    세르게이 소비야닌은 소련 공산당 출신으로 튜멘주 주지사, 러시아 대통령 행정실장, 부총리 겸 관방장관 등을 거쳐 2010년부터 모스크바 시장을 역임하며 도시 재개발을 추진했으나, 저소득층 이주 문제와 건축물 철거 논란, 우크라이나 침공 제재, 그리고 표절 논란이 있다.
  • 한티만시 자치구의 문화 - 한티어
    한티어는 키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로마자를 사용한 적도 있고, 러시아 혁명 이후 문어가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북부, 남부, 동부 방언으로 나뉘고, 교착어적 특징과 SOV 어순을 가진다.
  • 핀우그리아어파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우그리아어파 - 메앤키엘리
    메앤키엘리는 스웨덴 북부 토르네 강 계곡에서 쓰이는 핀란드어 기반의 소수 언어로, 스웨덴어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으로 발전했으며, 스웨덴 소수 언어로 인정받아 보존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핀란드어 방언인지 독립적인 언어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만시어
개요
이름만시어
다른 이름보굴어, 만시크어
지역한티만시 자치구, 스베르들롭스크주, 튜멘주
민족만시족
사용 국가러시아
언어 분류
어족우랄어족
어파 (논쟁 중)오브-우그리아어파?
언어 코드
ISO 639-3mns
Glottologmans1269
Glottolog 명칭만시크어
통계
화자 수 (2021년)2,229명
방언
지도
20세기 초 한티어 및 만시어 분포
20세기 초 한티어 및 만시어 분포

2. 방언

만시어는 크게 동부, 서부, 남부, 북부의 4개 방언군으로 나뉜다. 이들 방언은 차이가 커서 의사소통이 어려울 정도이며,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 현재는 북부 방언만이 주로 사용되며, 문학 작품에서 공통어로 사용되는 소스바 방언이 만시어 문어의 기반이 된다.[9]

각 방언은 화자들이 거주했던 강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다. 남부 방언은 타브다에서, 동부 방언은 콘다에서 사용되었다. 서부 만시어는 1988년에 이미 사멸된 것으로 여겨졌으며, 20세기 말에는 화자가 남아있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9] 동부 만시어 역시 2018년에 마지막 화자가 사망하면서 사멸되었다.[9] 남부 만시어는 1960년대에 소수의 노인 화자만이 사용했고, 그 이후 사멸되었다.

북부 만시어는 러시아어, 코미어, 네네츠어, 북부 한티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다른 방언과 달리 대격이 없다. 서부 만시어는 러시아어와 코미어의 영향을 받았고, 장모음이 이중모음화되는 특징이 있었다. 동부 만시어는 한티어와 시베리아 타타르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모음 조화가 나타난다. 남부 만시어는 타타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다른 방언에서는 변화를 겪은 일부 모음들이 유지되는 등 고어적인 특징을 보였다.

2. 1. 방언 목록

만시어의 방언은 크게 동만시어, 서만시어, 남만시어, 북만시어의 네 가지로 나뉜다. 이들 방언은 방언차가 커서 서로 말이 통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각각의 방언을 별개의 언어로 보기도 한다. 이 중 북부 방언이 만시어의 표준 문어로 쓰이며, 현재까지 사용자가 남아있는 유일한 방언이기도 하다.[9]

방언군방언명사용 지역비고
남부 만시어타브다 방언타브다
서부 만시어펠림 방언펠림
북 바길 방언
남 바길 방언
하 로즈바 방언
중 로즈바 방언
동부 만시어하 콘다 방언콘다
중 콘다 방언
상 콘다 방언
유콘다 방언
북부 만시어상 로즈바 방언
세베르나야 소스바 방언세베르나야 소스바
시그바 방언시그바
오브 방언오브


3. 문자 체계

만시어가 문자 언어가 된 것은 1930년대가 되어서이며,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만시어의 키릴 문자는 다음과 같다.

:'''А, Б, В, Г, Д, Е, Ё, Ж, З, И, Й, К, Л, М, Н, Ң, О, П, Р, С, Т, У, Ф, Х, Ц, Ч, Ш, Щ, Ъ, Ы, Ь, Э, Ю, Я'''

만시어의 로마자 표기는 다음과 같으나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A, B, C, D, E, F, G, H, Һ, I, J, K, L, Ļ, M, N, Ņ, Ŋ, O, P, R, S, S, T, Ţ, U, V, Z, Ь'''

4. 음운론

만시어의 음운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음과 모음으로 구성된다. 자음은 파열음, 마찰음, 비음, 반모음, 설측 접근음, 전동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크게 다른데, 강세를 받는 음절과 받지 않는 음절에 따라 모음 구분이 달라진다. 서부 및 동부 방언에서는 많은 수의 강세 모음 대립이 나타나지만, 북부 만시어는 비교적 적은 수의 모음 체계를 가진다.[11]

4. 1. 자음

만시어 자음은 파열음, 마찰음, 비음, 반모음, 설측 접근음, 전동음으로 구성된다.

만시어 자음[11]
rowspan="2" |순음치경음(치경-)
구개음
연구개음
평음순음화됨
비음
파열음
파찰음1
~
마찰음23 4
반모음
설측 접근음
전동음


  • /ɕ/는 /sʲ/의 이음이다.[11]
  • 무성 연구개 마찰음 /x/, /xʷ/는 북부 방언과 동부 방언의 일부에서만 나타난다.

4. 2. 모음

만시어의 모음 체계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크다. 우랄어족 언어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강세를 받는 첫 음절에서는 강세를 받지 않는 음절보다 더 많은 모음 구분이 가능하다. 서부 및 동부 방언에서는 최대 18~19개의 강세 모음 대립을 찾을 수 있지만, 북부 만시어는 8개의 모음으로 구성된 상당히 축소되고 대칭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단모음 /e/가 없고 장모음 /iː/는 드물게 나타난다.

5. 문법

만시어는 교착어이며, 어순은 SOV이다.[1] 부사구와 분사가 문장의 구조상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만시어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1] 문법적 성 구분은 없지만,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문법적 수에 따른 변화가 있다. 소유 개념은 소유를 나타내는 접미사로 나타낸다.

만시어에는 주격, 처격, 장소격, 탈격, 변격, 구격의 6개 격이 존재한다. 이 외의 격은 '할넬'(~안에서), '사잇'(~뒤에) 등의 후치사로 표시된다.

만시어의 동사는 3개의 인칭, 3개의 수, 2개의 시제, 4개의 법에 따라 변화한다. 자동사타동사는 활용형에서 구별되며, 각각 활용이 다르다. 자동사는 구체적인 목적어를 가지지 않지만, 타동사는 가진다. 이러한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은 다른 우골어파에 속하는 언어에서도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이다.[1] 미래 시제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다른 동사와의 조합으로 미래의 의미를 표현한다.[1]

만시어에는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blandishing의 4가지 법이 있다. 능동태수동태의 두 가지 가 있다.[1] 만시어 동사에는 원래 의미에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의미를 더하는 접두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5. 1. 관사

만시어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가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1]

5. 2. 명사

만시어에는 문법적 성 구분은 없지만, 단수, 쌍수, 복수의 세 가지 문법적 수에 따른 변화가 있다. 소유 개념은 소유를 나타내는 접미사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나의 ~"를 의미하는 접미사는 '''-зм'''이다.

5. 2. 1. 격변화

만시어에는 주격, 처격, 장소격, 탈격, 변격, 구격의 6개 격이 존재한다. 이 외의 격은 '''할넬'''(~안에서), '''사잇'''(~뒤에) 등의 후치사로 표시된다.

'''푸트'''(큰 냄비)의 격변화 예시는 다음과 같다.

단수쌍수복수
주격путпутыгпутэт
처격путтпутыгтпутэтт
장소격путнпутыгнпутэтн
탈격путнэлпутыгнэлпутэтнэл
변격путыг--
구격путэлпутыгтэлпутэтэл


5. 3. 동사

만시어의 동사는 3개의 인칭, 3개의 수, 2개의 시제, 4개의 법에 따라 변화한다. 자동사와 타동사는 활용형에서 구별되며, 각각 활용이 다르다. 자동사는 구체적인 목적어를 가지지 않지만, 타동사는 가진다. 이러한 자동사와 타동사의 구별은 다른 우골어파에 속하는 언어에서도 보이는 공통적인 특징이다. 미래 시제는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다른 동사와의 조합으로 미래의 의미를 표현한다.[1]

5. 3. 1. 시제

만시어의 시제를 나타내는 데는 접미사가 사용된다. 시제의 접미사는 인칭 접미사보다 앞에 온다.[1]

시제접미사
현재-г (로마자 표기 -g)минагум (inag'um - "나는 간다")
과거-с (로마자 표기 -s)минасум (inas'um - "나는 갔다")



만시어의 동사에는 미래형이 없고, 다른 동사 등과의 조합으로 미래의 사상을 표현한다.[1]

5. 3. 2. 법

만시어에는 직설법, 조건법, 명령법, blandishing의 4가지 법이 있다. 직설법에서는 동사에 특별한 접미사가 붙지 않는다. 명령법은 2인칭에만 존재한다.

5. 3. 3. 인칭 접미사

인칭단수쌍수복수
1인칭-ум-умен-ув
2인칭-ен-ен-ен
3인칭접미사 없음-иг-ет



위 표는 만시어의 인칭 접미사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만시어의 동사 мина (''mina'', "가다")의 과거형은 아래 표와 같이 변화한다. (과거형 접미사 -с에 주의)

인칭단수쌍수복수
1인칭минасум (minasum)минасумен (minasumen)минасув (minasuv)
2인칭минасен (minasеn)минасен (minasеn)ми나센 (minasеn)
3인칭минас (minas)минасиг (minasig)минасет (minasеt)


5. 3. 4. 태

만시어에는 능동태와 수동태의 두 가지 가 있다. 능동태는 특별한 접사가 붙지 않지만, 수동태는 동사 어간에 '''-ве-'''가 붙는다.[1]

5. 3. 5. 동사 접두사

만시어의 동사에는 원래 의미에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의미를 더하는 접두사가 붙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동사 'мина'(mina) "가다"에 "떨어져"라는 의미를 가진 접두사 'эл-'(el-)가 붙으면, 'элмина'(elmina) "떠나가다, 가버리다"라는 의미가 된다. 이 단어는 헝가리어에서 같은 의미의 접두사 'el-'와 'menni' "가다"의 조합, 'elmenni' "떠나가다, 가버리다"라는 표현과 매우 유사하다.

만시어 동사 접두사의 예는 다음과 같다.

  • ēl(a)- "앞으로, 먼저, 떨어져"


동사접두사가 붙은 동사
jōm "가다"ēl-jōm "떠나가다, 앞으로 나아가다"
tinal "팔다"ēl-tinal "싸게 팔아버리다"


  • χot- "어떤 것에서 떨어져 나가는 방향이나, 동작을 강조하는 뉘앙스의 접두사"


동사접두사가 붙은 동사
min "가다"χot-min "떠나다, 멈추다"
roχt "두려워하다"χot-roχt "무언가에 갑자기 두려움을 느끼다"


6. 수사



헝가리어에도 수사 2에 해당하는 유사한 형태 ''케트''가 있다.

7. 헝가리어와의 비교

만시어와 헝가리어는 같은 우랄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일부 어휘와 문법에서 유사성을 보인다. 다음은 헝가리어와 만시어(라틴 문자 전사)의 비교 예시이다. 두 언어의 유사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만시어의 라틴 문자 표기는 헝가리어 알파벳에 준하여 표기하였다. 헝가리어 알파벳 발음에 관해서는 헝가리어#발음을 참조하라.

만시어헝가리어한국어 번역
Hurem né vituel huligel husz hul pugi.Három nő a vízből hálóval húsz halat fog.세 명의 여자가 그물로 물에서 물고기 20마리를 잡는다.
Pegte lau lasinen manl tou szilna.Fekete ló lassan megy a tó szélén.검은 말이 천천히 호숫가를 걷는다.


참조

[1] 논문 Best practices for spatial language data harmonization, sharing and map creation—A case study of Uralic 2022-06-08
[2] 데이터셋 Geographical database of the Uralic languages https://doi.org/10.5[...] Zenodo 2021
[3] 웹사이트 Росстат — Итоги ВПН-2020. Том 5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и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Таблица 6. Население по родному языку. https://rosstat.gov.[...] 2024-02-04
[4] 서적 The Uralic Languages Taylor & Francis
[5] 논문 Egy 1736-ból származó manysi nyelvemlék
[6] 논문 Ein Wörterverzeichnis eines ausgestorbenen wogulischen Dialektes in den Papieren M. A. Castréns
[7] 논문 Über die früheren Wohngebiete der Wogulen
[8] 논문 "Ugro-Samoyeds" in Eastern Europe?
[9] 서적 The Uralic languages Routledge 2023
[10] 서적 Vogul Chrestomathy Mouton
[11] 서적 Sovremennyĭ mansiĭskiĭ i︠a︡zyk : leksika, fonetika, grafika, orfografii︠a︡, morfologii︠a︡, slovoobrazovanie https://www.worldcat[...]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