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는 현대 일본어에서 사용되는 음절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문자로 표기된다. 히라가나 'ね'는 초서의 '祢'에서, 가타카나 'ネ'는 해서의 '祢'에서 유래되었으며, 로마자 표기는 'n', 'e'이다. 컴퓨터에서는 유니코드, Shift JIS, EUC-JP, GB 18030, EUC-KR/UHC, Big5, HKSCS 등으로 표현된다. 오십음 순으로는 24번째, 이로하 순으로는 20번째 글자이며, 일본 점자로는 ⠏로 표기된다. 쥐(子)를 나타내기도 하며, 철도 차량 기호로 침대차를 의미하기도 한다. 회화에서는 상대방에게 동의를 구할 때 사용되며, 다카하시 하유미의 졸업 노래 『네』가 존재한다. 또한 만화 《보보보-보 보-보보》에서 젤리 징글러가 가장 싫어하는 가나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ね | |
---|---|
문자 정보 | |
종류 | 가나 |
히라가나 | ね |
가타카나 | ネ |
로마자 표기 | ne |
음운 정보 | |
IPA | '[ne]' |
소리 | [[파일:Ja-ne.ogg|듣기]] |
문자 코드 | |
유니코드 (히라가나) | U+306D |
유니코드 (가타카나) | U+30CD |
JIS (히라가나) | 1-4-45 |
JIS (가타카나) | 1-5-45 |
모스 부호 | --・-・ |
가나 정보 | |
히라가나 자원 | 祢의 초서체 |
가타카나 자원 | 祢의 변 |
헤본식 로마자 | NE |
훈령식 로마자 | NE |
JIS X 4063 로마자 | ne |
아이누어 | NE |
언어 | 일본어 |
IPA | ne̞ |
음 | 청음 |
기타 정보 | |
히라가나 만요가나 | 祢 |
가타카나 만요가나 | 祢 |
기타 만요가나 | 禰, 尼, 泥, 年, 根, 宿 |
점자 | [[File:Japanese Ne Braille.svg|32px|⠏]] |
플래그 | 9, 2, 1 |
철자 | ねずみのネ (Nezumi no ne) |
2. 음성 언어
현대 일본어 표준어에서 '네'는 윗잇몸에 혀를 대고 발음하는 비음인 유성 자음 /n/과 모음 '에'(/e/)로 이루어진다. 1모라를 형성한다. 청음이며, 유성 자음이므로 탁음이나 반탁음은 없다.
히라가나 'ね'는 초서체 '祢'에서 유래했다.[1] 가타카나 'ネ'는 해서체 '祢'에서 유래했으며, 간혹 '子'의 해서체에서 유래된 것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3. 문자 언어
3. 1. 획순
4. 컴퓨터 부문
유니코드에서 Shift JIS, EUC-JP, GB 18030, EUC-KR/UHC, Big5 등 다양한 문자 인코딩 방식에서 'ね'와 'ネ'를 표현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12][13][14][15][16][17][18]
문자 인코딩 | ね (히라가나) | ネ (가타카나) | Halfwidth Katakana |
---|---|---|---|
Shift JIS | 82 CB | 83 6C | C8 |
EUC-JP | A4 CD | A5 CD | 8E C8 |
GB 18030 | A4 CD | A5 CD | 84 31 99 36 |
EUC-KR/UHC | AA CD | AB CD | - |
Big5 (non-ETEN kana) | C6 D1 | C7 65 | - |
Big5 (ETEN / HKSCS) | C7 54 | C7 C9 | - |
5. 기타 표현
- 오십음도: 제5행 제4단(な행え단)
- 오십음 순: 제24번째 가나
- 이로하 순: 20번째. "つ" 다음, "な" 앞.
- 점자: --
- 통화표: "네즈미노 네" (ねずみのネ, 쥐의 네)
- 모스 부호: --・-
- 수기 신호: 9→2→1 (
, , ) - 십이지의 첫 번째(子, 쥐).
- 회화에서 상대방에게 동의를 구할 때 "네"를 사용한다. (예: "오늘 날씨 좋지, 네?")
- 철도 차량 기호 중 "ネ"는 침대차를 의미한다(침대의 '네').
- "네."는 만년의 후루사와 료지로가 이끈 재즈 그룹이다.
- 네 (EAST END×YURI의 곡)
- 『네』는 다카하시 하유미가 작사·작곡한 악곡이다. 2007년 발표. 다카세 마리코의 노래로 CD화되었으며, 졸업 송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11]
6. 대중문화
보보보-보 보-보보에서 'ね'는 젤리 징글러가 가장 싫어하는 글자이다.
6. 1. 노래
ね일본어는 다카하시 하유미가 작사·작곡한 악곡으로, 2007년에 발표되었다. 졸업식 노래로 자주 불리며[11], 다카세 마리코가 부른 버전이 CD로 발매되었다.6. 2. 만화
만화 "보보보-보 보-보보"에서, 'ね'는 젤리 징글러가 가장 싫어하는 가나이다.참조
[1]
웹사이트
Shift-JIS to Unicode
https://www.unicode.[...]
2015-12-02
[2]
웹사이트
EUC-JP-2007
https://raw.githubus[...]
[3]
서적
GB 18030-2005: Information Technology—Chinese coded character set
https://archive.org/[...]
2005-11-18
[4]
웹사이트
IBM-970
https://raw.githubus[...]
[5]
웹사이트
cp949 to Unicode table
https://www.unicode.[...]
Microsoft / Unicode Consortium
2000
[6]
웹사이트
BIG5 to Unicode table (complete)
https://www.unicode.[...]
2015-12-02
[7]
웹사이트
big5
https://encoding.spe[...]
WHATWG
[8]
URL
http://edu.city.mina[...]
[9]
URL
https://id.ndl.go.jp[...]
[10]
URL
http://webcatplus.ni[...]
[11]
웹사이트
主な管理楽曲《アニメ・学芸》
http://www.columbia-[...]
コロムビアソングス
2022-11-23
[12]
웹인용
Shift-JIS to Unicode
https://www.unicode.[...]
2015-12-02
[13]
웹인용
EUC-JP-2007
https://raw.githubus[...]
[14]
서적
GB 18030-2005: Information Technology—Chinese coded character set
https://archive.org/[...]
2005-11-18
[15]
웹인용
IBM-970
https://raw.githubus[...]
[16]
웹인용
cp949 to Unicode table
https://www.unicode.[...]
마이크로소프트 / Unicode Consortium
2000
[17]
웹인용
BIG5 to Unicode table (complete)
https://www.unicode.[...]
2015-12-02
[18]
웹인용
big5
https://encoding.spe[...]
WHATW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