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나 (문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나(仮名, kana)는 일본어 표기에 사용되는 음절 문자 체계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로 구성된다. 히라가나는 고유어, 조사, 동사 활용 등에 사용되며, 가타카나는 외래어, 의성어, 강조 등에 사용된다. 가나는 만요가나에서 파생되었으며, 현대 일본어에서 한자와 함께 사용되어 문법적 요소와 외래어를 표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역사

일본한자가 전래되기 이전, 일본어에는 고유의 문자가 없었다.[25] 하지만, 한반도에서 한자와 함께 전래된 한문중국어에 기초한 서기법이었으며, 음운이나 구문이 다른 일본어를 기록하는 데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 "한문"을 일본어로서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한문 훈독"이다.

그러나 지명이나 인명과 같은 일본어 고유 명사는 한자를 그대로 사용해도 그 소리를 기록할 수 없었다. 그래서 사용된 것이 한자 본래의 의미를 무시하고 그 발음만을 이용한 "차자"(しゃくじ)였다. 예를 들어, 한자 "阿"의 본래 의미를 무시하고 "아"라는 음만을 추출하여 "阿"를 일본어의 "아"로 읽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표기법은 만요가나라고도 불린다.

쇼소인에 소장된 나라 시대의 공문서 중에는 한자의 일부를 사용하여 글자를 대신한 표기가 보이며, 이는 히라가나가타카나 탄생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어, "多"(많을 다)는 "夕"(저녁 석)으로, "牟"(소 울 무)는 "ム"와 같이 표기되었다. 또한 현재의 히라가나 "つ"(쓰)와 비슷한 글자는 한자 "州"(고을 주)를 어원으로 한다고 전해진다.

이윽고 불경을 강독하는 승려들 사이에서 불경 행간에 한자의 음이나 훈독을 나타내는 차자 등을 덧붙여 쓰는 사례가 나타났다. 이 차자는 한자의 일부나 획수가 적은 한자 등을 사용하여 본래 한자의 자형과는 다른 형태로 기록되었다. 행간이라는 좁은 공간에 기록하기 위해 자형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었고, 한자로 기록된 경전 본문과 구별하기 위함이었다. 이것이 현재 가타카나의 원류이다.

또한 한문 훈독 이외의 장소에서는, 차자로부터 현재의 히라가나의 원류가 나타났다. 이것은 차자로서의 한자를 초서보다 더 간략화한 서체로 기록한 것이다. 그 히라가나를 숫자만큼 이어 쓰는, 즉 연면함으로써 의미의 구분을 만들어내어, 긴 문장도 적을 수 있게 되었다.

thumb가 기노 쓰라유키 자필본에서 임서한 『토사 일기』[26]]]

차자가 "가나"라고 불리게 된 것은 한자를 진명 (마나)이라고 한 것에 대비해서이다. 당초에는 "카리나"라고 읽었으며, 발음 변화 형태인 "칸나"를 거쳐 "가나"의 형태로 정착되었다.[27] 혹은, 산스크리트어의 카라나 (करण, Karana, "음자"의 뜻)에서 전래되었다는 설도 있다.[28][29]

18세기, 중국 중심주의 학문에서 벗어나려는 초기 민족주의 운동은 음운론적 관점에서 문자를 재분석했다.[6] 그 후 수세기 동안, 가나는 중국 문자(한자)와 구별되는 일본의 국문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2. 1. 만요가나 (万葉仮名)

초기에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려 일본어를 표기하는 만요가나가 사용되었다. 만요가나는 한자를 사용하여 일본어의 소리를 나타내는 방식이었지만, 하나의 음절에 여러 한자가 사용될 수 있어 표기의 일관성이 부족했다.[25] 만요가나는 주로 와카와 같은 운문을 표기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자가 일본에 전래되기 이전, 일본어에는 고유의 문자가 없었다. 한반도에서 한자와 함께 전래된 "한문"은 중국어에 기초한 서기법이었으며, 음운이나 구문이 다른 일본어를 기록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다.

지명이나 인명과 같은 일본어의 고유 명사는 한자를 그대로 사용해도 그 소리를 기록할 수 없었다. 그래서 사용된 것이 한자 본래의 의미를 무시하고 그 발음만을 이용하여 일본어의 음에 해당하는 "차자"(借字)였다. 예를 들어 한자의 "阿"가 가진 본래의 의미를 무시하고 "아"라는 음만을 추출하여, "阿"를 일본어의 "아"로 읽게 하는 방법이다. 이 차자에 의해 일본어가 한자로 표기되게 되었는데, 이 표기법을 속칭 "만요가나"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표기법은 가차의 수법에 기초하여 일본 이외의 한자 문화권 지역에서도 옛날부터 행해지고 있었다.

한자를 차자로 일본어 표기에 사용한다면, 방법상으로는 어떤 내용이라도, 얼마나 긴 문장이라도 일본어로 적는 것이 가능했다. 그러나 그렇게 쓰인 문장은 보기에는 한자의 나열이며, 처음 그것을 읽는 측에서는 문장의 어디에 의미의 구절이 있는지 알 수 없어, 매우 읽기 어려웠다. 따라서 차자로 일본어의 문장을 짓는 것은 운문와카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와카라면 오칠오칠칠(五七五七七)과 같이 오음이나 칠음에 구가 나뉘어져 있으며, 그것이 대개 문장이나 단어의 구절이 되기 때문에, 와카임을 미리 알고 있으면 어떻게든 읽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2. 2.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탄생

헤이안 시대(794-1185)에 만요가나를 간략화하여 히라가나가타카나가 만들어졌다.

히라가나는 만요가나를 초서체로 흘려 쓴 것에서 유래했으며, 주로 여성들이 사용했기 때문에 온나데(女手)라고 불리기도 했다.[2] 히라가나는 처음에는 멸시를 받았으나, 8세기부터 공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가타카나는 만요가나의 일부 획을 따서 만든 것으로, 불경의 주석이나 고유 명사, 의성어, 외래어 표기 등에 사용되었다.[2]

'가나'는 仮|카리일본어(빌린|가정된|가짜영어)와 名|나일본어(이름영어)의 합성어로, '칸나'를 거쳐 최종적으로 '가나'가 되었다.[2] 가나는 "정상적으로" 사용된 한자, 특히 楷書|해서체|kaisho일본어와 대조되어 真名|마나|진정한 이름일본어라고 불렸다.[2][3][4][5]

쇼소인에 소장된 나라 시대의 공문서에는 한자의 일부를 사용하여 글자를 대신한 표기가 보이며, 이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탄생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불경 강독 승려들은 행간에 한자의 음이나 훈독을 덧붙여 적었는데, 이때 한자의 일부나 획수가 적은 한자를 사용하여 본래 한자와 다른 형태로 기록했다. 이것이 가타카나의 원류이며, 헤이안 시대 초기 이후 문헌에서 확인된다. 가타카나는 한자에 종속되어 의미나 음을 이해시키는 글자로 취급되었다.

히라가나는 한자를 초서보다 더 간략화한 서체로 기록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히라가나를 연면으로 이어 써서 의미를 구분하고 긴 문장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면서, 『토사 일기』와 같은 가나(히라가나) 문학 작품이 발달하게 되었다.

thumb가 기노 쓰라유키 자필본에서 임서한 『토사 일기』[26]]]

차자가 "가나"라고 불리게 된 것은 한자를 진명 (마나)이라고 한 것에 대비해서이다. 당초에는 "카리나"라고 읽었으며, 발음 편 형태 "칸나"를 거쳐 "가나"의 형태로 정착되었다.[27] 혹은, 산스크리트어의 카라나 (करण, Karana, "음자"의 뜻)에서 전래되었다는 설도 있다.[28][29] 옛날에는 단순히 "가나"라고 하면 히라가나를 가리켰다. "히라가나"라는 명칭은 중세 말에 나타났으며, "평이한 문자"라는 의미를 가진다. 가타카나의 "카타"는 불완전함을 의미하며, 한자에 대해 생략된 자형이라는 것이다.

에 대해서는, 만요가나에서는 /e/와 /je/의 음을 구별하여 썼지만, 그 후, 일본어에서는 양자의 음의 구별이 없어졌기 때문에, 히라가나・가타카나에서는 구별하여 쓰이지 않았다.

에 대해서는, 헤이안 시대 말기에 자형이 정해졌다.

초기에는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혼용되었으나, 점차 용도가 분화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문장 표기에 히라가나를 주로 사용하고, 가타카나는 외래어 등 특수한 경우에 사용하는 방식이 정착되었다.

히라가나는 한자에서 만들어졌지만, 현재의 히라가나 외에 다른 한자를 변형한 다양한 변체 가나가 있었다. 이 변체자 히라가나를 변체 가나라고 하며, 가타카나에도 옛날에는 다른 자형이 있었다. 메이지 시대에 정부가 자형을 정리하면서 현재의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확립되었다.

2. 3. 가나 표기법의 발전과 변화

헤이안 시대 이후 가나 표기법은 음운 변화와 함께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는 가나 표기법을 정리하여 '테이카 가나 표기법'을 만들었으나, 이는 개인적인 목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메이지 시대에는 정부 주도로 '역사적 가나 표기법'이 제정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현대 가나 표기법'이 제정되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3. 종류

가나(仮名)는 히라가나가타카나로 나뉜다.[2]

가나의 종류
종류설명
히라가나만요가나초서체로 흘려 쓴 것에서 유래했다. 곡선적이고 부드러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고유어, 조사, 동사 활용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과거에는 여자들만 쓴다고 하여 온나데(女手)라고 불리기도 했다.
가타카나만요가나에서 쓰던 한자의 일부 획을 따서 그 발음을 표시하던 데에서 비롯되었다. 주로 고유 명사와 의성어,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이 외에도 넓은 의미에서 만요가나, 헨타이가나 등이 가나에 포함되기도 한다.

3. 1. 히라가나 (ひらがな)

만요가나초서체로 흘려 쓴 것에서 유래했다. 곡선적이고 부드러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주로 고유어, 조사, 동사 활용 어미 등 문법적인 요소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과거에는 여자들만 쓴다고 하여 온나데(女手)라고 불리기도 했다.[2]

헤이안 시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멸시를 받기도 했지만, 8세기부터 공문서에 사용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가타카나를 제치고 널리 사용되고 있다.

히라가나는 모두 46자로 되어 있으며, 아래 표와 같이 오십음도 순서로 배열된다.

히라가나
kstnhmyrw
a
i𛀆*
u𛄟*
e𛀁*
o


  • 'yi', 'wu', 'ye'에 해당하는 가나는 현대 일본어에 존재하지 않는다.
  • 'wi'와 'we'는 Yebisu와 같이 특정 경우에 사용되기도 한다.
  • 'wo'는 대격 조사로만 사용된다.
  • 'si', 'ti', 'tu', 'hu', 'wi', 'we', 'wo'는 현대 발음에 따라 'shi', 'chi', 'tsu', 'fu', 'i', 'e', 'o'로 표기된다.
  • 촉음 (っ)는 자음 중복을 나타낸다.


유성음은 해당 무성음 가나에 탁점을 붙여 표기한다.

탁음
gzdbpngl
aか゚ら゚
iき゚り゚
uく゚る゚
eけ゚れ゚
oこ゚ろ゚


  • か゚, 라゚ 등은 표준 일본어 표기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zi', 'di', 'du'는 현대 발음에 따라 'ji', 'ji', 'zu'로 표기되기도 한다.


구개음화된 자음은 ''i'' 행의 가나와 작은 ''ya'', ''yu'', ''yo''를 결합하여 표기한다. (요음)

요음
kstnhmr
yaきゃしゃちゃにゃひゃみゃりゃ
yuきゅしゅちゅにゅひゅみゅりゅ
yoきょしょちょにょひょみょりょ



요음
gj (z)j (d)bpng
yaぎゃじゃぢゃびゃぴゃき゚ゃ
yuぎゅじゅぢゅびゅぴゅき゚ゅ
yoぎょじょぢょびょぴょき゚ょ


  • き゚ゃ, き゚ゅ, き゚ょ는 표준 일본어 철자법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 'zi'+''y''* 및 'di'+''y''*는 현대 발음에 따라 'j*'로 표기되기도 한다.
  • 외래어에서는 작은 ''e''-가나로 이중자를 만들 수 있다.[18]

3. 2. 가타카나 (カタカナ)

만요가나에서 쓰던 한자의 일부 획을 따서 그 발음을 표시하던 데에서 비롯되었다.[2] 주로 고유 명사의성어,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가나(kana)'라는 용어는 현재 히라가나가타카나로 일반적으로 이해되지만, 실제로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2]

  • 음절 문자.
  • ** 가타카나: 만요가나 문자의 일부를 사용하여 파생된 음절 문자, 역사적으로 ''고주온'' 순서로 정렬.


가타카나[2]
kstnhmyrw
a
i이*
u우*
e에*
o


  • 현재 'ye', 'yi' 또는 'wu'에 해당하는 가나는 없으며, 현대 일본어에는 해당 음절이 본래 존재하지 않는다.[7]
  • * 현대 가타카나 'e', エ는 원래 'ye'로 발음되는 만요가나 江에서 파생되었다.[8]


이윽고 불경을 강독하는 승려들 사이에서, 불경 행간에 한자의 음이나 훈독을 나타내는 차자 등을 대비하기 위해 덧붙여 쓰는 사례가 나타났다. 이 차자는 한자의 일부나 획수가 적은 한자 등을 사용하여, 본래 한자의 자형과는 다른 형태로 기록되었다. 행간이라는 좁은 공간에 기록하기 위해서는 자형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었고, 또한 한자로 기록된 경전 본문과 구별하기 위함이었다. 이것이 현재 보이는 가타카나의 원류이다.

3. 3. 그 외

만요가나[2], 스테가나, 헨타이가나, 가나 지명은 '가나(kana)'의 넓은 의미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4. 특징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는 일본어의 일반적인 인식에 따르면, 1개의 가나 문자는 1개의 음과 연결된다. 예외로는 /ha/ 또는 /wa/로 읽히는 'は|하일본어'와, /he/ 또는 /e/로 읽히는 'へ|헤일본어'가 있다. 'お|오일본어'와 'を|오일본어', 'じ|지일본어'와 'ぢ|지일본어', 'ず|즈일본어'와 'づ|즈일본어'는 각각 같은 발음인 /o/, /ji/, /zu/으로 인식되며 발음된다.[2]

하지만, 음성학적 측면에서 보면 현대 가나 표기법에서도 1개의 문자가 1개의 음절에 반드시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か|카일본어', 'が|가일본어'가 단어에 따라 [kwa] 및 [gwa]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 'しょうかい|쇼-카이일본어(紹介, 照会)' 등의 'う|우일본어'는 앞의 음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하며, [u]로 발음되지 않는다. (일본어의 장음 참고)
  • 'ていか|테-카일본어(低下, 定価)'의 'い|이일본어'는 화자에 따라 앞의 음을 연장시키는 경우와 [i]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 'ん|응일본어'은 'しんぶん|심붕일본어(新聞)' 등에서는 [m]으로, 'さんがい|상가이일본어(三階)' 등에서는 [ŋ]으로, 'あんない|안나이일본어(案内)' 등에서는 [n]으로 발음된다. 또한 'はんえい|항에-일본어(反映, 繁栄)', 'かんわ|캉와일본어(緩和,漢和)', 'こんや|콩야일본어(今夜)' 등에서의 'ん|응일본어'은 뒤에 따라오는 음과 같은 음의 발생점을 갖는 비음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 ごご|고고일본어(午後)에서 앞의 'ご|고일본어'는 파열음으로 [go]로 발음되나, 뒤의 'ご'의 경우 화자에 따라 파열음의 [go] 또는 비음의 [ŋo]로 발음하는 경우가 있다.
  • 'こくさいれんごう|코쿠사이렝고-일본어(国際連合)'의 'く|쿠일본어'나 '~です|데스일본어', '~ます|마스일본어'의 'す|스일본어', 'れきし|레키시일본어(歴史)'의 'き|키일본어'의 경우, 모음 부분의 /u/, /i/가 무음화되는 경우가 있다.

5. 현대 일본어에서의 사용

현대 일본어에서 히라가나가타카나는 함께 사용되어 문장을 표기한다.[20] 히라가나는 주로 고유어와 조사, 활용과 같은 문법적인 요소를 표기하는 데 사용된다. 가타카나는 한자 표기가 없는 외래어, 외국 인명 및 지명, 의성어, 감탄사, 강조, 기술 및 과학 용어, 한자의 훈독, 일부 기업 브랜드에 사용된다.[20]

후리가나는 발음을 표시하기 위해 한자 위 또는 옆에 작은 가나 형태로 표기될 수 있으며, 주로 어린이 또는 학습자용 도서에서 사용된다.[20]

모스 부호를 위한 와분 코드 및 JIS X 0201과 같이 제한된 문자 집합만 지원하는 시스템은 가타카나만 사용한다.[20]

일본 가나: 히라가나 (왼쪽)와 가타카나 (오른쪽)
kstnhmyrw
a아 ア카 カ사 サ타 タ나 ナ하 ハ마 マ야 ヤ라 ラ와 ワ
i이 イ키 キ시 シ치 チ니 ニ히 ヒ미 ミ이 イ*리 リ위 ヰ
u우 ウ쿠 ク스 ス쓰 ツ누 ヌ후 フ무 ム유 ユ루 ル우 ウ*
e에 エ케 ケ세 セ테 テ네 ネ헤 ヘ메 メ에 エ*레 レ웨 ヱ
o오 オ코 コ소 ソ토 ト노 ノ호 ホ모 モ요 ヨ로 ロ오 ヲ
'(n응 ン


  • 'ye', 'yi', 'wu'는 현대 일본어에 존재하지 않는 음절이다.[7] [16]
  • ''si'', ''ti'', ''tu'', ''hu'', ''wi'', ''we'', ''wo''는 현대 발음에 따라 ''shi'', ''chi'', ''tsu'', ''fu'', ''i'', ''e'', ''o''로 로마자 표기된다.
  • 촉음(っ/ッ)은 자음 중복을 나타낸다.
  • 탁음(탁점)이 붙은 가나는 유성음 [g], [z], [d], [b]로 시작하는 음절을, 반탁음(반탁점)이 붙은 가나는 [p]로 시작하는 음절을 표기한다.


탁음 및 반탁음 부호
gzdbpngl
a가 ガ자 ザ다 ダ바 バ파 パ카゚ カ゚라゚ ラ゚
i기 ギ지 ジ지 ヂ비 ビ피 ピ키゚ キ゚리゚ リ゚
u구 グ즈 ズ즈 ヅ부 ブ푸 プ쿠゚ ク゚루゚ ル゚
e게 ゲ제 ゼ데 デ베 ベ페 ペ케゚ ケ゚레゚ レ゚
o고 ゴ조 ゾ도 ド보 ボ포 ポ코゚ コ゚로゚ ロ゚


  • ''zi'', ''di'', ''du''는 현대 발음에 따라 ''ji'', ''ji'', ''zu''로 표기된다.
  • 구개음화된 자음으로 시작하는 음절은 ''i'' 행의 자음 가나와 작은 ''ya'', ''yu'', ''yo''가 결합된 요음으로 표기한다.


요음 (히라가나)
kstnhmr
yaきゃしゃちゃにゃひゃみゃりゃ
yuきゅしゅちゅにゅひゅみゅりゅ
yoきょしょちょにょひょみょりょ


  • ''si''+''y''*와 ''ti''+''y''*는 ''sh*''와 ''ch*''로 표기된다. (예: しゃ = ''sha'', ちゅ = ''chu'')


요음 (히라가나)
gj (z)j (d)bpng
yaぎゃじゃぢゃびゃぴゃき゚ゃ
yuぎゅじゅぢゅびゅぴゅき゚ゅ
yoぎょじょぢょびょぴょき゚ょ


  • ''zi''+''y''* 및 ''di''+''y''*는 ''j*''로 표기된다.

6. 일본 이외 지역에서의 가나

류큐국은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가나를 공문서에서 사용하였던 유일한 나라였다. 류큐어의 표기에는 한자와 가나를 혼용하여 표기하였다.[37]

2000년 1월 20일에 제정된 JIS X0213:2000 '7비트 및 8비트의 2바이트 정보교환용 부호화 확장한자 집합'(7ビット及び8ビットの2バイト情報交換用符号化拡張漢字集合일본어) 규격에서는, 아이누어 표기용 문자가 추가되었다. 유니코드에는 3.2버전에서부터 채용되었다.[37]

일본이 대만통치했을 때, 가나 문자를 사용하여 대만어, 하카어 및 대만 원주민들의 언어를 표기하였다. 대만어 가나 문서를 참고할 것.[37]


  • '''류큐어에 사용된 가나'''

  • :류큐 왕국 시대부터 가나 사용의 전통이 있어, 가나 표기의 류큐 문학이 생겨났다. → 오키나와 방언의 표기 체계 및 류큐 제어#문자 참조.

  • '''아이누어 가나'''

  • :2000년 1월 20일에 제정된 JIS X 0213:2000 「7비트 및 8비트 2바이트 정보 교환용 부호화 확장 한자 집합」에서는 아이누어 표기용 문자가 추가되었다. 유니코드에는 3.2부터 채용되었다.[37]

  • :일본이 대만을 일본의 일부로 통치하던 시대, 가나를 사용하여 대만어, 대만 객가어, 고산족의 언어를 표기하는 방법이 고안되어 사용되었다. 대만 원주민의 언어의 가나 문자 표기는, 1980년대에 로마자 표기가 보급될 때까지 존속했다. 또한, 「대만어 가나」는 문자 그대로 대만어용 가나 표기법을 의미하지만, 「광둥어 가나」는 광둥어가 아니라 대만 객가어의 가나 표기법을 의미한다.[37]

7. 유니코드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04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style="width:45pt" |0123456789ABCDEFU+304xぁ | あ | ぃ | い | ぅ | う | ぇ | え | ぉ | お | か | が | き | ぎ | くU+305xけ | げ | こ | ご | さ | ざ | し | じ | す | ず | せ | ぜ | そ | ぞ | たU+306xち | ぢ | っ | つ | づ | て | で | と | ど | な | に | ぬ | ね | の | はU+307xぱ | ひ | び | ぴ | ふ | ぶ | ぷ | へ | べ | ぺ | ほ | ぼ | ぽ | ま | みU+308xめ | も | ゃ | や | ゅ | ゆ | ょ | よ | ら | り | る | れ | ろ | ゎ | わU+309xゑ | を | ん | ゔ | ゕ | ゖ | | | ゙ | ゚ | ゛ | ゜ | ゝ | ゞ | ゟ



가타카나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0A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style="width:45pt" |0123456789ABCDEF
U+30Axァ | ア | ィ | イ | ゥ | ウ | ェ | エ | ォ | オ | カ | ガ | キ | ギ | ク
U+30Bxケ | ゲ | コ | ゴ | サ | ザ | シ | ジ | ス | ズ | セ | ゼ | ソ | ゾ | タ
U+30Cxチ | ヂ | ッ | ツ | ヅ | テ | デ | ト | ド | ナ | ニ | ヌ | ネ | ノ | ハ
U+30Dxパ | ヒ | ビ | ピ | フ | ブ | プ | ヘ | ベ | ペ | ホ | ボ | ポ | マ | ミ
U+30Exメ | モ | ャ | ヤ | ュ | ユ | ョ | ヨ | ラ | リ | ル | レ | ロ | ヮ | ワ
U+30Fxヱ | ヲ | ン | ヴ | ヵ | ヶ | ヷ | ヸ | ヹ | ヺ | ・ | ー | ヽ | ヾ | ヿ



U+3095와 U+3096은 히라가나의 작은 ''ka''와 작은 ''ke''이며, U+30F5와 U+30F6은 이에 해당하는 가타카나이다. U+3099와 U+309A는 결합 탁점반탁점이며, U+309B와 U+309C는 각각 간격을 둔 문자에 해당한다. U+309D는 이전 히라가나를 반복하는 히라가나 반복 부호이다. U+309E는 유성 히라가나 반복 부호로, 이전 히라가나를 나타내지만 자음이 유성화된다(''k''가 ''g''로, ''h''가 ''b''로 바뀌는 등). U+30FD와 U+30FE는 가타카나 반복 부호이다. U+309F는 수직 쓰기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yori'' (より)의 합자이다. U+30FF는 수직 쓰기에서 사용되는 ''koto'' (コト)의 합자이다.

표준 전각 가타카나에 해당하는 반각 가타카나도 있으며, 이는 반각 및 전각 형태 블록(U+FF00–U+FFEF) 내 U+FF65에서 U+FF9F까지 인코딩되어 있다(U+FF61–U+FF64는 반각 구두점).

반각 가타카나
[https://www.unicode.org/charts/PDF/UFF0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style="width:45pt" |0123456789ABCDEF
U+FF6x| | | | ・ | ヲ | ァ | ィ | ゥ | ェ | ォ | ャ | ュ | ョ | ッ
U+FF7xア | イ | ウ | エ | オ | カ | キ | ク | ケ | コ | サ | シ | ス | セ | ソ
U+FF8xチ | ツ | テ | ト | ナ | ニ | ヌ | ネ | ノ | ハ | ヒ | フ | ヘ | ホ | マ
U+FF9xム | メ | モ | ヤ | ユ | ヨ | ラ | リ | ル | レ | ロ | ワ | ン | ゙ | ゚



아이누어를 쓰기 위한 몇몇 추가적인 작은 가나 문자를 포함하는 "가타카나 음성 확장" 범위(U+31F0 ... U+31FF)가 있다.

가타카나 음성 확장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1F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style="width:45pt" |0123456789ABCDEF
U+31Fxㇱ | ㇲ | ㇳ | ㇴ | ㇵ | ㇶ | ㇷ | ㇸ | ㇹ | ㇺ | ㇻ | ㇼ | ㇽ | ㇾ | ㇿ



추가적인 작은 가나 문자는 "작은 가나 확장" 블록(U+1B130 - U+1B16F)에 있다.

작은 가나 확장
[https://www.unicode.org/charts/PDF/U1B130.pdf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 (PDF)
style="width:45pt" |0123456789ABCDEF
U+1B13x| 𛄲 | | | | | | | | | | | | | |
U+1B14x| | | | | | | | | | | | | | |
U+1B15x| | | | | | | | | | | | | | |
U+1B16x| | | 𛅤 | 𛅥 | 𛅦 | 𛅧 | | | | | | | | |


참조

[1] 서적 Nakama 1: Introductory Japanese: Communication, Culture, Context 2nd ed. Heinle
[2] 서적 スーパー大辞林
[3] 문서 Nihon Kokugo Daijiten
[4] 문서 Daijisen
[5] 문서 Kōjien
[6] 서적 On Writing and Rewriting Lexington Books
[7] 웹사이트 Is there a kana symbol for ye or yi? http://www.sljfaq.or[...] 2016-08-04
[8] 웹사이트 JTC1/SC2/WG2 N3388: Proposal to encode two Kana characters concerning YE. http://std.dkuug.dk/[...] 2016-08-04
[9] 서적 A History of Writing in Japan https://books.google[...] BRILL
[10] 웹사이트 Kana Supplement https://www.unicode.[...] Unicode 2016-06-22
[11] 위키 ja:ヤ行エ
[12] 웹사이트 Japanese Kana Chart from the Netherlands http://www.raccoonbe[...]
[13] 웹사이트 平成3年6月28日内閣告示第2号:外来語の表記 http://www.mext.go.j[...]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2011-05-25
[14] 웹사이트 L2/08-359: About WG2 N3528 https://www.unicode.[...]
[15] 웹사이트 伊豆での収穫 http://www.geocities[...]
[16] 위키 ja:わ行う, ja:ヤ行イ, ja:五十音#51全てが異なる字・音: 江戸後期から明治
[17] 웹사이트 Kana Extended-A https://www.unicode.[...]
[18] 웹사이트 ■米国規格(ANSI Z39.11-1972)—要約 http://www.ab.cyberh[...] 2024-05-21
[19] 웹사이트 ■英国規格(BS 4812 : 1972)—要約 http://www.ab.cyberh[...] 2024-05-21
[20] 서적 A History of the Japanese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1] 웹사이트 Kana Supplement https://www.unicode.[...] Unicode 2024-03-11
[22] 웹사이트 Kana Extended-A https://www.unicode.[...] Unicode 2024-03-11
[23] 문서 漢字を真名と呼び、元来の字義および音を持ち、区別される。
[24] 문서 和字は和製漢字を意味することもある。
[25] 문서 江戸時代以降国粋主義の高まりにより、漢字の伝来以前に「神代文字」という文字が日本にあったという主張が行われたが、現在では否定されている。
[26] 문서 文暦2年(1235年)、京都蓮華王院の宝蔵には紀貫之自筆の『土左日記』(その表紙には「土左日記」と記されていたという)が所蔵されていたが、定家はそれを閲覧する機会を得たので、その本文を書き写し写本を作った。画像はその巻末に、写本の本文とは別に書き写した部分である。この臨書の最後には、「為令知手跡之躰、如形写留之。謀詐之輩、以他手跡多称其筆。可謂奇怪」(貫之の手跡がこういうものだと知らしめるために、その通りにここに写しておく。いんちきなことをする連中が、他人の手跡を多く持ち出して貫之のものだと称しているからである。奇っ怪というべき事である)と記されており、当時貫之筆と称するものが多く出まわっていたようである。この臨書がどこまで貫之本人の書風に迫るものなのかは明らかではないが、「乎」(を)や「散」(さ)などの変体仮名は別として、おおむね現在のものに近い字体の仮名が連綿で記されているのが見て取れる。『原典をめざして―古典文学のための書誌―』(橋本不美男 笠間書院、1983年)第二章「古典作品の原典復原」参照。
[27] 문서 なお「仮名」を「かな」と読むのは常用漢字表付表で認められた熟字訓である。「か」は「かり」の転訛であり、漢字音ではないので、重箱読みには該当しない。
[28] 서적 国語のため 第二
[29] 서적 増訂教育辞典 https://books.google[...]
[30] 문서 現在一般に読まれる『古今和歌集』の本文では、この和歌の第四句は「はるたつけふの」となっている。また見ての通り、本文は変体仮名をまじえて記されている。
[31] 문서 『古今和歌集』(『日本古典文学大系』8 岩波書店、1962年)より。ただし「古注」と呼ばれる部分は略した。
[32] 문서 藤原宮や平城宮をはじめとする平安時代以前の各地の遺跡より「なにはづ」や「あさかやま」の歌を記した木簡が出土している。また法隆寺五重塔の部材からも「なにはづ」の歌の墨書が見つかっているが、これらは当然ながらいずれも借字で記されている。『紫香楽宮出土の歌木簡について』(『奈良女子大学21世紀COEプログラム 古代日本形成の特質解明の研究教育拠点』、2008年)参照。
[33] 문서 『源氏物語 一』(『新日本古典文学大系』19 ま、1993年)より。
[34] 문서 ただし「こひ」(恋)については、以下の例外が存在する。関白前左大臣家に人々、経年恋(年を経る恋)といふ心をよみ侍りける 左大臣(源俊房)われが身は とがへるたかと なりにけり としはふれども こゐはわすれず(『後拾遺和歌集』巻第十一・恋一)『後拾遺和歌集』(『新日本古典文学大系』8 岩波書店、1994年)より。「こゐ」というのは、鷹を飼うのに止まらせる止まり木のことをいう(「木居」という漢字がふつう当てられている)。飼われている鷹が飼い主のところから逃げ出して年を経ても、その羽を休めた止まり木は忘れることができず、最後には戻ってきてしまう。それと同じように、自分も以前共に暮らしたが別れた人を忘れられず、結局また恋しく思っている…という趣意である。このなかで「こゐ」(木居)を「こひ」(恋)の掛詞としているが、恋を「こゐ」とすることは当時慣習的に行われていた仮名遣いとも相違する。しかしこの和歌は恋の部に入れられており、詞書にも「経年恋」とあることから、「こゐ」が恋であるとする引き当てが可能であった。「こひ」という表記が圧倒的に優勢な当時の状況で、その文脈から取り出してなんの断りもなしに「こゐ」とだけ書かれたのでは、恋という意味には理解されなかったのであり、「こゐ」を恋とするのはごく特殊な例だったとみてよい。
[35] 문서 以上のことは平仮名における事情であって、当時の片仮名の場合には平仮名と比べて仮名遣いにかなりの変則が見られる。しかしこれは片仮名がその当初より、仏典に記された漢字の意味や読み方を備忘として記すために生れ、使われていたことによる。たとえば「恋」という漢字の読みが「コイ」などと書かれていたとしても、「恋」という漢字の意味をあらかじめ知っていれば、その「コイ」がどういう意味なのか理解できる。漢字の意味や読み方を示すためという目的から、その仮名遣いのありかたは平仮名と比べてゆるやかであった。
[36] 문서 음소 환경에 따른 다양한 이음 현상
[37] 문서 客家와 광동어의 관계
[38] 서적 だめだし日本語論 太田出版 2017
[39] 뉴스 三隨錄(삼수록) (4) 原書(원서) 眞書(진서) 동아일보 1946-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