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거도는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섬이다. 가거도 멸치잡이 노래는 1988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독실산 등산로, 회룡산, 해안도로, 섬등반도, 가거도 등대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갯바위 낚시로 돌돔, 불볼락, 농어 등 고급 어종을 잡을 수 있다. 2012년 11월 30일, 가거도 주변 해역 70.17km2가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개적구, 굵은줄격판담치, 감태 등 해양 생물을 보호하고 있다. 목포항에서 페리로 4시간이 소요되며, 삼국 시대에는 하거도로 불렸고 일제강점기에는 소흑산도로 불리기도 했다가 2008년 가거도로 환원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해양보호구역 - 소화도
    소화도는 전라남도 완도군에 위치하며 다양한 난과 식물과 해안 동식물, 연산호 군락이 있어 생태적, 해양학적 가치가 높아 특정도서 및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되는 섬이다.
  • 대한민국의 극점 - 독도
    독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한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이에서 영유권 분쟁이 있으며, 한국은 역사적 기록과 실효 지배를 근거로 영토임을 주장하고 일본은 1905년 시마네현 편입을 근거로 영유권을 주장한다.
  • 대한민국의 극점 - 마라도
    마라도는 대한민국 최남단의 섬으로, 해저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독특한 지형과 풍부한 해양 생태계, 최남단이라는 상징성을 지닌 관광 명소이지만, 최근 고양이 개체 수 증가로 인한 생태계 교란 문제가 있다.
  • 황해의 섬 - 안면도
    안면도는 태안반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태안군에 속하며, 17세기에 육지에서 분리되었고, 해수욕장과 안면도 자연휴양림 등의 관광지가 있으며, 게국지가 유명하다.
  • 황해의 섬 - 대부도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여러 국가를 거쳐 현재는 5개 행정동으로 나뉘며 관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육지 및 주변 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갯벌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가거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섬 정보
가거도 어항
위치황해
행정 구역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가거도리
지리
면적9.2km2
좌표34°04′17″N 125°06′47″E
한국어 이름
한글가거도
한자可居島
로마자 표기Gageodo
기타 이름소흑산도 (小黑山島, Soheuksando)
일본어 이름
표기可居島
가타카나카고=도
히라가나かご=とう
로마자gageo-do

2. 문화

가거도에서는 어부들이 멸치를 잡을 때 부르는 다양한 노래가 전해져 내려오는데, 1988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된 가거도 멸치잡이 노래가 대표적이다.

2. 1. 가거도 멸치잡이 노래

가거도 어부들은 멸치를 잡으면서 다양한 노래를 부르는데, 이 노래는 가거도 멸치잡이 노래로 1988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2호로 지정되었다.

3. 관광

가거도는 갯바위 낚시 명소로 돌돔, 볼락(불볼락), 농어 등 고급 어종이 풍부하다. 해상관광도 즐길 수 있다.

3. 1. 주요 관광지

가거도는 독실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와 가거도 항, 대리마을의 전경이 펼쳐지는 회룡산, 대리와 항리를 잇는 해안도로, 풍광이 아름다운 섬등반도와 가거도 등대까지 걸으면서 즐길 수 있다. 가거도 곳곳에 산재한 갯바위는 바다낚시의 명소로 돌돔, 볼락(불볼락), 농어 등 고급 어종이 풍부해 낚시꾼들이 한번쯤 찾게 되는 섬이기도 하다. 약 2시간에서 3시간 정도 소요되는 가거도 해상관광도 이용해 볼 만하다.

4. 해양보호구역

2012년 11월 30일 국토해양부는 가거도의 원시적 자연경관과 풍부한 해양생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라 가거도 주변 해역 70.17km2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 고시하였다. 관리청은 목포지방해양항만청이다.[4]

보호 구역 내 주요 자원으로는 개적구, 굵은줄격판담치, 상어껍질별벌레, 좁쌀무늬총알고둥, 검은큰따개비와 같은 무척추동물과 감태, 비늘산호말, 톳, 작은구슬산호말과 같은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4. 1. 보전 가치

2012년 11월 30일 국토해양부는 가거도의 원시적 자연경관과 풍부한 해양생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라 가거도 주변 해역 70.17km2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고시하였다. 관리청은 목포지방해양항만청이다.[4]

보호구역 내 주요 자원으로는 개적구, 굵은줄격판담치, 상어껍질별벌레, 좁쌀무늬총알고둥, 검은큰따개비와 같은 무척추동물과 감태, 비늘산호말, 톳, 작은구슬산호말과 같은 해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4. 2. 주요 서식 생물

2012년 11월 30일 국토해양부는 가거도의 원시적 자연경관과 풍부한 해양생물 다양성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기 위하여 해양생태계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라 가거도 주변 해역 70.17km2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고시하였다. 관리청은 목포지방해양항만청이다.[4]

보호구역 내 주요자원으로는 무척추동물인 개적구, 굵은줄격판담치, 상어껍질별벌레, 좁쌀무늬총알고둥, 검은큰따개비와 해조류인 감태, 비늘산호말, 톳, 작은구슬산호말이 서식하고 있다.

5. 교통

목포항에서 배를 타고 흑산도, 하태도, 만재도 등을 거쳐 약 4시간 가면 가거도에 도착한다.[1]

5. 1. 운항 정보

목포항에서 남해고속 소속 페리로 흑산도, 하태도, 만재도 등을 거쳐 4시간이 걸린다.

6. 역사

삼국 시대에는 '''하거도'''(嘉佳島/可佳島)라 불렸다. 1580년경 서씨가 최초로 섬에 들어왔다고 하나 그 내력은 알 수 없다. 1800년경 임씨가 들어와 정착했다고 하며, 현재는 경주 고씨와 평택 임씨가 살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 '''소흑산도'''(小黑山島)라는 이름이 붙었고, 2008년 5월 26일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해 원래의 가거도로 환원했다.[5]

6. 1. 시대별 명칭

삼국 시대에는 '''하거도'''(嘉佳島/可佳島)라 불렸다.[5] 1910년일제강점기 때 '''소흑산도'''(小黑山島)라는 이름이 붙었고, 현재도 이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5] 2008년 5월 26일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해 소흑산도라는 이름을 원래의 가거도로 환원했다.[5]

6. 2. 정착 역사

삼국 시대에는 '''하거도'''(嘉佳島/可佳島)라 불렸다. 1580년경 서씨가 최초로 섬에 들어왔다고 하나 그 내력은 알 수 없다. 1800년경 임씨가 들어와 정착했다고 하며, 현재는 경주 고씨와 평택 임씨가 살고 있다. 일제강점기 때인 1910년경 '''소흑산도'''(小黑山島)라는 이름이 붙었고, 현재도 이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2008년 5월 26일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해 소흑산도라는 이름을 원래의 가거도로 환원했다.[5]

참조

[1] 서적 世界地名大事典 1 https://www.worldcat[...] 朝倉書店 2012-11
[2] 웹사이트 可居島(新安郡公式サイト) http://jp.shinan.go.[...] 2018-04-13
[3] 웹사이트 韓国文化遺産ポータル http://www.heritage.[...] 2018-04-13
[4]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제2012-835호(가거도 주변해역 해양보호구역 지정) http://gwanbo.mois.g[...] 관보 2012-11-30
[5] 서적 2005 한국의 어항 해양수산부 2005-12-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