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락지나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락지나물은 높이 20-60cm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밑동의 잎은 5개의 작은 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붙은 겹잎이며, 줄기에는 3개의 잎이 달린다. 5-7월에 황색 꽃이 취산꽃차례로 피며, 수술과 암술이 많다. 어린순은 식용하며, 한방에서는 지상부를 사함(蛇含)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하는데, 뱀독을 풀고, 출혈을 멈추는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뿌리에서 추출한 알코올 성분은 상처 치료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사용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지꽃속 - 뱀딸기
    뱀딸기는 짚풀속 여러해살이풀로, 기는 줄기로 번식하며 3출엽, 노란색 꽃, 흰색 또는 붉은색 열매를 맺고, 동아시아와 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열매는 식용 가능하고 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 양지꽃속 - 개소시랑개비
    개소시랑개비는 쇠스랑과 비슷한 잎 모양을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노란색 꽃이 피고 들, 길가 등에서 흔히 자생한다.
  • 광엽초본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광엽초본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약용식물 - 인삼
    인삼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에서 약재로 사용되며, 뿌리가 사람의 모습을 닮아 이름 붙여졌고, 강장, 강심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약용식물 - 아스파라거스
    아스파라거스는 유럽, 서아시아, 북아프리카 등지에서 자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린 순은 채소로, 고대부터는 식재료와 약재로 사용되었고, 아스파라긴산, 루틴, 비타민 등이 풍부하며, 화이트, 그린, 보라색 등 다양한 종류가 있고 볶음, 구이, 샐러드 등 여러 요리에 쓰인다.
가락지나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락지나물
가락지나물
학명Potentilla reptans L.
이명Potentilla kleiniana Lehm.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장미목
장미과
양지꽃속
가락지나물

2. 형태

높이는 20cm에서 60cm 정도이며, 줄기의 아랫부분은 비스듬히 땅에 누워 자라는 경향이 있다. 땅 가까이 뿌리에서 나는 잎은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으며, 다섯 갈래로 갈라진 손바닥 모양의 겹잎(5출장상복엽) 형태이다. 줄기에 달리는 잎은 보통 3개씩 나며, 줄기 위쪽으로 갈수록 잎자루의 길이가 짧아진다.

꽃은 5월에서 7월 사이에 노란색으로 피며, 취산꽃차례를 이룬다. 각각의 작은 꽃을 받치는 꽃대는 길이가 5mm에서 20mm 정도이고 뒤쪽을 향하며 흰색 털이 나 있다. 꽃 하나에는 많은 수의 수술과 암술이 있으며, 꽃받침의 가장자리에는 짧은 털이 있다. 열매인 수과는 털이 없고 표면에 세로로 약간의 주름이 있다.

3. 쓰임새

가락지나물은 어린순을 나물 등으로 식용하며,[4] 한의학에서는 약재로도 사용한다.[4] 또한 뿌리 추출물은 상처 소독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5]

3. 1. 식용

어린순은 식용한다.

3. 2. 약용

한방에서는 가락지나물의 땅 위에 나온 부분을 사함(蛇含)이라는 약재 이름으로 사용한다.[4] 사함은 의 독을 푸는 해독 작용과 함께,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여 안정시키는 효능, 피를 멈추게 하는 지혈 작용, 그리고 몸의 열을 내리는 청열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또한, 가락지나물의 뿌리에서 얻은 알코올 성분은 상처 소독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

3. 3. 소독제

가락지나물 뿌리에서 추출한 알코올 성분은 상처를 치료하는 소독제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5]

참조

[1] PLANTS 2015-10-13
[2] GRIN 2018-01-10
[3] 간행물 Antimicrobial assays of three native British plants used in Anglo-Saxon medicine for wound healing formulations in 10th century England http://roar.uel.ac.u[...] 2012-11
[4] 웹인용 사함(蛇含) http://www.koreantk.[...] 특허청 2015-12-07
[5] 논문 Antimicrobial assays of three native British plants used in Anglo-Saxon medicine for wound healing formulations in 10th century England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