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베스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베스만은 튀니지 동남부에 위치한 만으로, 고대에는 시르티스 마이너(Syrtis Minor)로 알려졌다. 이 만은 고대 문헌에서 언급되며, 특히 신약성경에 사도 바울의 항해와 관련된 내용이 등장한다. 가베스만은 지리적으로 제르바 섬과 라스 용가 사이의 해역을 포함하며, 스트라보에 따르면 케르케나 제도와 스팍스 주변 해안까지 넓게 아우른다. 만의 해저에는 석유 및 가스 자원이 매장되어 있으며, 아슈타르 유전과 체르기 유전이 대표적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니지의 지리 - 제르바섬
제르바섬은 튀니지 남동쪽 해안의 지중해 섬으로, 다양한 문화적 영향을 받은 역사와 유대인 소수 민족의 고향이며, 독특한 정착 방식으로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다. - 지중해의 만 - 시드라만
시드라 만은 지중해에 위치한 만으로, 리비아 해안에 깊숙이 위치하여 리비아의 영유권 주장과 관련된 분쟁이 잦았으며 특히 카다피 집권 이후 미국과의 군사적 충돌과 2011년 리비아 내전의 격전지가 되기도 했다. - 지중해의 만 - 트리에스테만
트리에스테만은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에 걸쳐 있는 면적 약 550km2, 평균 수심 18.7m의 얕은 만으로, 탈리아멘토강과 이손초강이 유입되며 피란 만을 포함한다.
가베스만 | |
---|---|
개요 | |
이름 | 가베스만 |
다른 이름 | 소 시르티스 |
현지 이름 | خليج قابس (ḫalīǧ Qābis) |
고대 그리스어 | Μικρά Σύρτις (Mikrá Sýrtis) |
라틴어 | Syrtis Minor |
지리 | |
위치 | 튀니지 |
해양 | 지중해 |
도시 | 가베스 |
길이 | 50km |
폭 | 70km |
![]() | |
생태 | |
서식지 | 포시도니아 오세아니카 키모도케아 노도사 |
보호 구역 | https://rsis.ramsar.org/ris/2012 https://rsis.ramsar.org/ris/1709 https://rsis.ramsar.org/ris/1704 https://rsis.ramsar.org/ris/2076 https://rsis.ramsar.org/ris/2100 https://rsis.ramsar.org/ris/1701 https://rsis.ramsar.org/ris/1702 https://rsis.ramsar.org/ris/2008 https://rsis.ramsar.org/ris/1700 |
동물 | 아파니우스 파시아투스 켈론 라브로수스 에집트스나쥐 알제리 고슴도치 |
2. 역사
대 플리니우스는 라틴어 이름 'Syrtis Minor'를 사용했는데,[4] 이는 폴리비우스가 해당 지역을 ἡ μικρά Σύρτις|헤 미크라 쉬르티스grc라고 쓴 것을 인용한 것이다. 스트라보는 Λωτοφαγῖτις σύρτις|로토파기티스 쉬르티스grc "연꽃을 먹는 사람들의 시르티스"라는 이름을 언급하기도 했다.[5]
신약성경[6]에서 사도 바울이 카이사르 네로 앞에서 재판을 받기 위해 로마로 보내질 때 시르티스가 언급된다. 그의 배의 선원들은 폭풍에 휩쓸려 시르티스에 닿을까봐 걱정하여[7] 이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결국 몰타 섬에서 난파되었다.
스트라보는 타카페(오늘날의 가베스)를 소(小) 시르티스의 중요한 무역 거점으로 언급한다. 헤로도토스는 ''역사'' 제4권에서 이 지역에서 벌어진 폭력적인 의식을 묘사했고, G. Payre는 "Une fete de printemps au Jerid"(1942)에서 샤트 알 제리드 근처의 두 개의 적대적인 갱단이 매년 돌과 곤봉으로 싸우는 현대판 폭력 축제를 묘사했다.[8]
대부분의 자료는[3][9] 가베스만을 동남쪽의 제르바 섬 북서쪽 끝과 북서쪽의 라스 용가(용가 곶) 사이의 선 내에 위치한 것으로 간주한다. 라스 용가는 자지라트 쿠나이스 섬과 그 늪[9] 바로 북쪽에 있으며, 스팍스에서 남서쪽으로 52km 떨어져 있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만의 입구가 케르키나(케르케나) 섬과 메닉스(제르바)에 위치해 있다고 언급했다.[5] 스트라보의 설명에 따르면, 스팍스 바로 북쪽에서 제르바 섬까지의 선을 따라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한다.
가베스만은 아프리카 판의 대륙붕 아래에 있으며,[11] 깊이가 200m를 넘는 곳은 없다.[12]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 동안 탄산염 광물과 증발암이 퇴적되어 염구와 관입을 형성한다.[13] 또한 식생에서 유래된 탄소와 탄화수소가 퇴적되어 현재 만의 석유 및 가스 산업의 기반을 형성한다. 아슈타르 유전[3][14]과 체르기 유전이[15] 대표적이며, 아슈타르 석유 터미널은 만 외곽에 위치해 있다.[16]
2. 1. 고대
대 플리니우스는 라틴어 이름인 'Syrtis Minor'를 사용했는데,[4] 이는 폴리비우스가 해당 지역을 ἡ μικρά Σύρτις|헤 미크라 쉬르티스grc(다른 곳에서는 Σύρτις ἡ μικρά|쉬르티스 헤 미크라grc, Σύρτις ἡ μικροτέρα|쉬르티스 헤 미크로테라grc, ἡ μικροτέρα Σύρτις|헤 미크로테라 쉬르티스grc)라고 쓴 것을 인용한 것이다. 스트라보는 Λωτοφαγῖτις σύρτις|로토파기티스 쉬르티스grc "연꽃을 먹는 사람들의 시르티스"라는 이름을 언급하기도 했다.[5]시르티스는 신약성경[6]에서 언급되는데, 사도 바울이 카이사르 네로 앞에서 재판을 받기 위해 로마로 보내졌다고 한다. 그의 배의 선원들은 폭풍에 휩쓸려 시르티스에 닿을까봐 걱정하여[7] 이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결국 몰타 섬에서 난파되었다.
스트라보는 타카페(오늘날의 가베스)를 소(小) 시르티스의 중요한 앙트레포(무역 거점)로 언급한다.
헤로도토스는 ''역사'' 제4권에서 이 지역에서 벌어진 폭력적인 의식을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아테나 여신에게 바치는 축제 동안, 그들의 젊은 여성들은 두 진영으로 나뉘어 돌과 나무 곤봉으로 서로 싸웠는데, 그들은 이를 우리(그리스인)가 아테나라고 부르는 토착 신을 기리기 위해 조상들이 제정한 의식이라고 말한다. 부상으로 사망하는 여성들을 가짜 처녀라고 부른다.
G. Payre는 "Une fete de printemps au Jerid"(1942)에서 샤트 알 제리드 근처의 두 개의 적대적인 갱단이 매년 돌과 곤봉으로 싸우는 현대판 폭력 축제를 묘사했다.[8]
2. 2. 중세 이후
대 플리니우스가 사용한 라틴어 이름 ''Syrtis Minor''는[4] 폴리비우스의 이전 설명을 인용한 것이다. 폴리비우스는 이에 해당하는 ἡ μικρά Σύρτιςgrc (다른 곳에서는 Σύρτις ἡ μικράgrc, Σύρτις ἡ μικροτέραgrc, ἡ μικροτέρα Σύρτιςgrc)를 사용했다.다른 이름으로는 스트라보가 언급한 Λωτοφαγῖτις σύρτιςgrc ''Lōtophagîtis sýrtis'' "연꽃을 먹는 사람들의 시르티스"가 있다.[5] (대 시르티스와 비교, 시드라만의 고대 명칭.)
시르티스는 신약성경[6]에서 언급되는데, 사도 바울이 카이사르 네로 앞에서 재판을 받기 위해 사슬에 묶여 로마로 보내졌다고 한다. 그의 배의 선원들은 폭풍에 휩쓸려 시르티스에 닿을까봐 걱정하여[7] 이를 막기 위한 조치를 취했으나, 결국 지중해의 몰타 섬에서 난파되었다.
스트라보는 타카페(오늘날의 가베스)를 소(小) 시르티스의 중요한 앙트레포(무역 거점)로 언급한다.
헤로도토스는 ''역사'' 제4권에서 이 지역에서 벌어진 폭력적인 의식을 묘사한다.
G. Payre는 "Une fete de printemps au Jerid"(1942)에서 샤트 알 제리드 근처의 두 개의 적대적인 갱단이 매년 돌과 곤봉으로 싸우는 현대판 폭력 축제를 묘사했다.[8]
3. 지리
대부분의 자료[3][9]는 가베스만을 동남쪽의 제르바(제르바) 섬 북서쪽 끝과 북서쪽의 라스 용가(용가 곶) 사이의 선 내에 위치한 것으로 간주한다. 라스 용가는 자지라트 쿠나이스 섬과 그 늪[9] 바로 북쪽에 있으며, 스팍스에서 남서쪽으로 52km 떨어져 있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만의 입구가 케르키나(케르케나) 섬과 메닉스(제르바)에 위치해 있다고 언급했다.[5] 스트라보의 설명에 따르면, 스팍스 바로 북쪽에서 제르바 섬까지의 선을 따라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한다. 이 더 넓은 지역에는 케르케나 제도 일부와 스팍스 주변 해안이 포함된다. 더 작은 만의 중심점은 북위 33도 59분 29초, 동경 10도 24분 09초에 위치해 있으며, 너비는 68.5km, 깊이는 51km이다. 더 넓은 만은 너비가 150km이고[10] 깊이는 90km이며, 중심점은 북위 34도 04분 48초, 동경 10도 28분 36초에 있다.
더 크고 작은 가베스만 전체는 아프리카 판의 대륙붕 아래에 있으며,[11] 깊이가 200m를 넘는 곳은 없다.[12]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 동안 탄산염 광물과 증발암이 가베스만에 퇴적되었고, 현재 염구와 관입을 형성한다.[13] 또한 식생에서 주로 유래된 탄소와 탄화수소가 퇴적되었다. 이것들은 현재 만의 석유 및 가스 산업의 기반을 형성한다. 만의 중요한 석유 및 가스 유전으로는 아슈타르 유전[3][14]과 체르기 유전이 있다.[15] 아슈타르 석유 터미널은 북위 34도 17분, 동경 11도 23분에 위치한 만 외곽에 있으며, 유조선이 석유를 쉽게 환적할 수 있다.[16]
4. 현대
대부분의 자료[3][9]는 가베스만을 동남쪽의 제르바(제르바) 섬 북서쪽 끝과 북서쪽의 라스 용가(용가 곶) 사이의 선 내에 위치한 것으로 간주한다. 라스 용가는 자지라트 쿠나이스 섬과 그 늪[9] 바로 북쪽에 있으며, 스팍스에서 남서쪽으로 52km 떨어져 있다. 지리학자 스트라보는 만의 입구가 케르키나(케르케나) 섬과 메닉스(제르바)에 위치해 있다고 언급했다.[5] 스트라보의 설명에 따르면, 스팍스 바로 북쪽에서 제르바 섬까지의 선을 따라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한다. 이 더 넓은 지역에는 케르케나 제도 일부와 스팍스 주변 해안이 포함된다. 더 작은 만의 중심점은 위도 33° 59′ 29″ N, 경도 10° 24′ 09″ E에 위치해 있으며, 너비는 68.5km이고, 깊이는 51km이다. 더 넓은 만은 너비가 150km[10]이고 깊이는 90km이며, 중심점은 위도 34° 04′ 48″ N, 경도 10° 28′ 36″ E에 있다.
더 크고 작은 가베스만 전체는 아프리카 판의 대륙붕 아래에 있으며,[11] 깊이가 200m를 넘는 곳은 없다.[12] 페름기와 트라이아스기 동안 탄산염 광물과 증발암이 가베스만에 퇴적되었고, 현재 염구와 관입을 형성한다.[13] 또한 식생에서 주로 유래된 탄소와 탄화수소가 퇴적되었다. 이것들은 현재 만의 석유 및 가스 산업의 기반을 형성한다. 만의 중요한 석유 및 가스 유전으로는 아슈타르 유전[3][14]과 체르기 유전이 있다.[15] 아슈타르 석유 터미널은 위도 34° 17′ N, 경도 11° 23′ E에 위치한 만 외곽에 있으며, 유조선이 석유를 쉽게 환적할 수 있다.[16]
참조
[1]
문서
GoogleEarth
[2]
서적
'The natural history of Pliny, Volume 1'
https://books.google[...]
1855
[3]
간행물
'Sailing Directions (Enroute) for Western Mediterranean'
http://permanent.acc[...]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Bethesda, Maryland
2002
[4]
서적
Naturalis Historia
https://www.perseus.[...]
[5]
서적
Geographica
https://books.google[...]
[6]
문서
Acts 27
[7]
서적
'St. Paul: a study in social and religious history'
https://books.google[...]
Hodder and Stoughton, London
1912
[8]
논문
Sacred Violence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9]
서적
Tunisia
London
1945
[10]
문서
[11]
간행물
'Case concerning the continental shelf (Tunisia/Libya)'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The Hague, Netherlands
1984
[12]
서적
Geology of Egypt and Libya
https://books.google[...]
A.A. Balkema, Rotterdam, Netherlands
2001
[13]
서적
Geology of Egypt and Libya
https://books.google[...]
A.A. Balkema, Rotterdam, Netherlands
2001
[14]
서적
Geology of Egypt and Libya
A.A. Balkema, Rotterdam, Netherlands
2001
[15]
서적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07'
Routledge, London
2006
[16]
간행물
'Sailing Directions (Enroute) for Western Mediterranean'
http://permanent.acc[...]
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Bethesda, Maryland
2002
[17]
웹사이트
'Iles Kerkennah ou L''archipel de Kerkennah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18]
웹사이트
'Salines de Thyn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19]
웹사이트
'Iles Kneiss avec leurs zones intertidales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20]
웹사이트
'Complexe des zones humides des Chott el Guetayate et Sebkhet Dhreia et Oueds Akarit, Rekhama et Meleh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21]
웹사이트
'Complexe des zones humides de Sebkhet Oum Ez-Zessar et Sebkhet El Grine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22]
웹사이트
'Djerba Guellal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23]
웹사이트
'Djerba Ras Rmel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24]
웹사이트
'Golfe de Boughrara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25]
웹사이트
'Djerba Bin El Ouedian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