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염구는 노나라 출신으로 공자보다 29세 연하이며, 공자의 제자 중 한 명이다. 그는 계손씨 가문의 수석 관리자로서 노나라의 재상인 계강자를 보좌하며 치적을 인정받았으나, 공자는 염구가 유교의 핵심 가치를 훼손하고 계손씨의 부를 축적하는 것을 도왔다고 비판했다. 기원전 484년, 염구는 노나라 군대의 사령관으로 제나라 침략군을 격퇴하는 공을 세웠으며, 이후 공자를 노나라로 초청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공자 사후에도 십철 중 한 명으로 존경받았으며, 당나라와 송나라 시대에 작위가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정치인 - 신시행
신시행은 명나라의 관료이자 학자로, 장거정 사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고 만력제의 신임을 얻어 국정을 총괄하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을 위해 노력했으나, 만력제 후계자 문제에 대한 미흡한 대처로 비판받기도 했다. - 중국의 정치인 - 도성장
도성장은 중국의 혁명가로, 일본 유학 후 광복회와 중국동맹회에서 활동하며 기관지 민보의 주편을 맡았으나 손문과의 갈등으로 반 손문 운동을 벌이다가 암살당했다. - 공자의 제자 - 자로
자로는 기원전 542년경 노나라에서 태어난 공자의 제자로, 공자를 호위하며 14년간 그의 가르침을 받았으나 위나라에서 괴외의 난에 휘말려 전사하고 젓갈로 담가지는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강직하고 용감한 인물이다. - 공자의 제자 - 증자 (사상가)
증자는 공자의 제자로서 효를 강조하고 《효경》과 《대학》의 전파에 기여했으며, 맹자의 스승인 자사를 가르쳐 유교 정통 계보를 잇는 데 영향을 미친 사상가이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사람 - 묵자
묵자는 전국 시대의 사상가로, 검소함과 겸애를 강조하며 유교와 대립했고, 전쟁을 반대하며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주의 윤리학을 주창했다. - 기원전 5세기 중국 사람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염구 | |
---|---|
기본 정보 | |
이름 | 冉求 (염구) |
자 | 子有 (자유) |
존칭 | 冉子 (염자) |
시호 | 冉子 (염자) |
출생 | 기원전 522년 |
사망 | 몰년 미상 |
국적 | 노나라 |
사상 | |
학파 | 유교 |
스승 | 공자 |
관련 인물 | |
가족 | 염유 (아들) |
2. 생애
염구는 노나라 출신으로 공자보다 29세 연하였다. 그는 공자의 저명한 제자들인 염경과 염옹과 같은 씨족 출신이었으며 염옹과 동갑이었다.[1]
염구는 《논어》에서 치적을 인정받았다.[1] 그는 공자의 가신으로 일하다가 노나라 정치계를 지배했던 계손씨의 수석 관리자가 되었다.[1] 그는 기원전 492년부터 468년까지 노나라의 재상이었던 계손씨 가문의 수장인 계강자 밑에서 일했다.[1]
공자는 염구의 행실을 심하게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공자의 10대 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 공자묘에서 그의 신주는 십철 중 서쪽에서 세 번째로 놓인다.[2]
[1]
웹사이트
Ran Qiu
http://www.ct.taipei[...]
Taipei Confucian Temple
2014-11-01
염구는 《논어》에서 치적을 인정받았다.[2] 그는 공자의 가신으로 일하다가 노나라 정치계를 지배했던 계손씨의 수석 관리자가 되었다.[2] 기원전 492년부터 468년까지 노나라의 재상이었던 계손씨 가문의 수장인 계강자 밑에서 일했다.[2]
염구는 유교의 의례에는 별 관심이 없었고, 그의 야망은 국가를 다스리는 데 있었다.[2] 공자는 그에게 인의 덕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고,[2] 계강자가 노나라의 제후국인 전유를 공격하는 것을 막지 못한 점, 그리고 계손씨 가문이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것을 도운 점을 엄하게 비판했다.[2] 염구가 유교의 핵심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했기에, 공자는 더 이상 염구를 자신의 제자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2]
기원전 484년, 노나라는 이웃 제나라의 침략을 받았다. 염구는 노나라 군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제나라 침략군을 격퇴했다. 염구의 영향으로, 계강자는 14년간의 망명 생활을 마치고 공자를 고향인 노나라로 초청했다.
3. 평가
염구는 유교의 의례에는 별 관심이 없었고, 그의 야망은 국가를 다스리는 데 있었다.[1] 공자는 그에게 인(仁)의 덕이 부족하다고 생각했고, 계강자가 노나라의 제후국인 전유를 공격하는 것을 막지 못한 점,[1] 그리고 계손씨 가문이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것을 도운 점을 엄하게 비판했다.[1] 염구의 핵심 유교 가치 훼손이 심각했기에, 공자는 더 이상 염구를 자신의 제자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1]
기원전 484년, 노나라는 이웃 제나라의 침략을 받았다.[1] 염구는 노나라 군대의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제나라 침략군을 격퇴했다.[1] 염구의 영향으로, 계강자는 14년간의 망명 생활을 마치고 공자를 고향인 노나라로 초청했다.[1]
공자는 염구의 행실을 심하게 비판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는 여전히 공자의 10대 제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 공자묘에서 그의 신주는 십철 중 서쪽에서 세 번째로 놓인다.[1]
당나라 시대에 당 현종은 염구에게 사후에 서후(徐侯)라는 귀족 작위를 수여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팽성공(彭城公)과 서공(徐公)이라는 작위가 추가로 수여되었다.[1]
염구의 후손들은 오경박사(五經博士, Wǔjīng Bóshì) 칭호를 받았다.[2]
4. 현대적 의의
당나라 당 현종은 염구에게 사후에 서후(徐侯)라는 귀족 작위를 수여했다. 송나라 시대에는 팽성공(彭城公)과 서공(徐公)이라는 작위가 추가로 수여되었다.[1]
염구의 후손들은 오경박사(五經博士) 칭호를 받았다.[2]
참조
[2]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