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남서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남서로는 송나라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장시성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융흥부, 강주, 감주, 길주, 원주, 무주, 서주, 흥국군, 남안군, 임강군, 건창군 등의 지역으로 구성되었다. 각 지역은 현을 관할했으며, 숭녕 연간에는 각 지역별로 인구와 호수가 기록되었다. 이 지역은 칡, 운모, 석곡, 견직물 등을 공납으로 바쳤으며, 동전 제작소, 철무 등 다양한 경제 활동이 이루어졌다.

2. 강서성의 행정 구역

송나라 시기 강남동로(江南東路)와 강남서로(江南西路)로 나뉘었던 강서성은 다음과 같은 행정 구역으로 구성되었다.


  • 융흥부(隆興府): 예장군 군명으로 진남군절도(鎮南軍節度)가 파견되었다. 1165년 홍주(洪州)에서 융흥부로 승격되었으며, 휘하에 8개 현을 두었다.
  • 강주(江州): 975년 군사로 강등되었다가 1107년 망급군으로 승격되었다. 1127년 정강군절도(定江軍節度)가 추가되었고, 동전을 제작하는 광녕감(廣寧監)이 있었다. 휘하에 5개 현을 두었다.
  • 원주(袁州): 현재의 이춘시(宜春市) 일대에 해당하며, 군명은 의춘군이었다. 휘하에 4개 현을 관할했다.
  • 서주(瑞州): 상급주로 1143년 고안군(高安郡)으로 개명되었다. 보경 원년에 균주(筠州)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휘하에 3개 현을 두었다.
  • 흥국군(興國軍): 977년 악주 영흥현에 영흥군을 신설했다가 978년 흥국군을 두었으며, 휘하에 3개 현을 두었다.
  • 남안군(南安軍): 990년 건주 대유현(大庾縣)을 군으로 승격시켜 설치되었다. 현재의 간저우시(贛州市) 일대에 해당하며, 휘하에 3개 현을 관할했다.
  • 임강군(臨江軍): 992년 균주 청강현에서 분리되었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휘하에 3개 현을 두었다.
  • 건창군(建昌軍): 979년 건무군(建武軍)에서 개명되었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처음에는 2개 현을 두었다가 정강의 변 이후 2개 현이 추가되었다.

2. 1. 융흥부(隆興府)

군명은 예장군이며, 진남군절도(鎮南軍節度)가 파견되었다. 과거 강남서로병마검할(江南西路兵馬鈐轄)이 파견되었다. 1133년(소흥 3년), 회서둔병청강서절제(西屯兵聽江西節制)로서 선무주, 서주, 기주, 광주, 황주, 안주, 복주의 민정을 겸하였다. 1134년 사를 설치했다. 1138년 안무사가 부활하자 대사를 설치했다. 1165년 홍주(洪州)에서 융흥부로 승격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261,105호, 532,446명이 살았다. 을 공납으로 바쳤다. 8현을 두었다.

융흥부 관할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남창현南昌縣난창 시
신건현新建縣난창 시 신젠 구981년 설치
봉신현奉新縣이춘 시 펑신 현남당 때 신오현(新吳縣)에서 개명
풍성현豐城縣이춘 시 펑청 시
분녕현分寧縣주장 시 슈수이현건염 연간에 의녕군(義寧軍)을 추가했으나 얼마 못 가 원상 복귀
무녕현武寧縣주장 시 우닝 현
정안현靖安縣이춘 시 징안 현남당 시기 개명
진현현進賢縣난창 시 진셴 현1103년 남창현 진현진에서 현으로 격상


2. 2. 강주(江州)

975년(개보 8년) 군사로 강등되었다가 1107년(대관 원년) 망급군으로 승격되었다. 과거 강남동로에 소속되었다가 1127년(건염 원년) 정강군절도(定江軍節度)가 추가되었고 1128년(건염 2년)에 안무사가 설치되었다.[1]

1131년(소흥 원년) 2로가 복구되어 안무대사가 설치되었다. 1240년(가희 4년) 사사의 치소를 두었다. 1268년(함순 4년) 황주로 치소가 옮겨졌다가 10년에 복구되었다. 숭녕 연간 84,569호, 138,590명이 살았다. 운모, 석곡을 공납으로 바쳤으며, 5현을 두었다. 동전을 제작하는 광녕감(廣寧監)이 있었다.[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덕화현德化縣주장 시남당에서 심양현(潯陽縣)에서 개명되었다.
덕안현德安縣주장 시 더안 현
서창현瑞昌縣주장 시 뤼창 시
호구현湖口縣주장 시 후커우 현
팽택현彭澤縣주장 시 펑쩌 현


2. 3. 원주(袁州)

원주(袁州)는 현재의 이춘시(宜春市) 일대에 해당하며, 군명은 의춘군이었다. 숭녕 연간에는 132,299호, 324,353명이 파견되었다. 다음 4개의 현을 관할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의춘현宜春縣이춘 시
분의현分宜縣신위 시 펀이 현984년에 설치되었다. 귀산(貴山) 철무(鐵務)가 있다.
평향현萍鄉縣핑샹 시
만재현萬載縣이춘 시 완짜이 현개보 말에 균주(筠州)에서 본주로 내속되었다. 1121년에 건성현으로 개명되었으나 1131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되었다.

[1]

2. 4. 서주(瑞州)

서주는 상급주로 1143년 고안군(高安郡)으로 개명되었다. 보경 원년에 균주(筠州)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숭녕 연간에는 111,421호, 204,564명이 살았다. 다음 3개의 현을 두었다.[1]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고안현高安縣이춘 시 가오안 시
상고현上高縣이춘 시 상가오 현
신창현新昌縣이춘 시 이펑 현981년(태평흥국 6년), 고안현에서 분리 신설했다.


2. 5. 흥국군(興國軍)

977년(태평흥국 2년), 악주 영흥현에 영흥군을 신설했다가 978년(태평흥국 3년)에 흥국군을 두었다. 숭녕 연간에 63,422호, 105,356명이 살았다. 3현을 두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영흥현永興縣황스 시 양신 현
대야현大冶縣황스 시 다예 시통산현과 함께 악주에서 본군으로 이관되었다. 구리 광산과 자호철무(磁湖鐵務), 부민전감(富民錢監)이 있었다.
통산현通山縣셴닝 시 퉁산 현977년, 양산진(羊山鎭)에서 현으로 격상되었다. 1134년 진으로 격하되었으나 1년 만에 복구되었다.


2. 6. 남안군(南安軍)

990년(순화 원년), 건주 대유현(大庾縣)을 군으로 승격시켜 남안군(南安軍)이 설치되었다. 남안군은 현재의 간저우시(贛州市) 일대에 해당하며, 숭녕 연간에는 37,721호, 55,582명이 살았다. 남안군은 다음 3개 현을 관할했다.

현 정보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남강현南康縣난캉 구
대유현大庾縣다위 현990년 건주 상유현과 남강현을 본현으로 내속시켰다.
상유현上猶縣상유 현상전철무가 있었다. 가정 3년, 남안현으로 개명했다.


2. 7. 임강군(臨江軍)

992년(순화 3년), 균주 청강현에서 임강군이 분리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91,699호, 202,656명이 살았다.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임강군은 3개의 현을 두었다.

임강군의 현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청강현淸江縣이춘 시 장수 시 임강진
신감현新淦縣지안 시 신간 현992년, 길주에서 임강군으로 이관되었다.
신유현新喻縣신위 시992년, 원주에서 임강군으로 이관되었다.


2. 8. 건창군(建昌軍)

건창군(建昌軍)은 979년 건무군(建武軍)에서 개명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12,887호, 185,036명이 살았으며, 견직물을 공납으로 바쳤다. 당초 2개 현을 두었다가 정강의 변 이후 2개 현이 추가 신설되었다.

현명한자대략적 위치현급비고
남성현南城縣푸저우 시 난청 현
남풍현南豐縣푸저우 시 난펑 현
신성현新城縣푸저우 시 리촨 현1138년, 남성현의 5개 향을 분리 신설했다.
광창현廣昌縣푸저우 시 광창 현1138년, 남풍현의 3개 향을 분리 신설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